KR101406797B1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797B1
KR101406797B1 KR1020070108867A KR20070108867A KR101406797B1 KR 101406797 B1 KR101406797 B1 KR 101406797B1 KR 1020070108867 A KR1020070108867 A KR 1020070108867A KR 20070108867 A KR20070108867 A KR 20070108867A KR 101406797 B1 KR101406797 B1 KR 101406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 balance
lens
image pickup
lens cap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3163A (ko
Inventor
조덕은
박정우
박치연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8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797B1/ko
Publication of KR20090043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3Colour balance circuits, e.g. white 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1Lens caps as separate access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확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렌즈캡;과, 상기 렌즈부로부터 영상광을 받아 결상시키는 촬상 소자;와, 상기 렌즈캡을 닫은 상태에서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화이트 밸런스의 값을 조정하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촬상 장치, 화이트 밸런스

Description

촬상 장치{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확산판을 포함한 렌즈캡을 구비한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촬상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장치로서, 최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스스로 발광하지 않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는, 촬영 화상에서의 피사체의 색은 피사체의 반사 스펙트럼과 피사체를 조명하는 광원의 색온도에 의존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동일한 흰 종이를 태양광의 조명으로 촬영할 때 희게 보여도, 실내의 백열 램프 하에서의 촬영에서는 불그스름하게 보이게 된다.
그러나, 인간의 경우에는, 인간의 눈에는 조명에 따른 색 순응이 있기 때문에, 태양광이나 백열 램프 하에서 흰종이를 보더라도 늘 하얗게 보인다. 따라서, 인간의 경우처럼, 촬상 장치의 경우에도 광원의 종류에 관계없이 하얀 피사체를 희게 보이게 하는 보정이 필요하는데, 이를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보정이라고 한다.
한편, 종래의 기술은, 촬상 장치와 분리된 별개의 흰색의 보정 부재를 휴대 하고 있다가, 화이트 밸런스 보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그 보정 부재를 촬영하고, 그 촬영한 데이터로 화이트 밸런스 보정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종래의 기술은 촬상 장치와 분리된 별도의 보정 부재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그러한 종래의 기술은, 촬영자가 화이트 밸런스 보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촬영자가 직접 렌즈의 앞쪽에 보정 부재를 위치시켜 보정 부재를 촬영하여야 했기 때문에, 화이트 밸런스 보정을 자동으로 수행하기가 어려웠다. 즉, 촬상 장치의 모드가 화이트 밸런스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도, 보정 부재를 촬영하기 위해 보정 부재를 움직여 촬영 위치로 세팅시키는 촬영자의 행동이 있어야 화이트 밸런스 보정이 가능하였으므로, 촬상 장치 스스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맞추어 화이트 밸런스 보정을 수행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확산판을 포함한 렌즈캡을 구비한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렌즈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확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렌즈캡;과, 상기 렌즈부로부터 영상광을 받아 결상시키는 촬상 소자;와, 상기 렌즈캡을 닫은 상태에서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화이트 밸런스의 값을 조정하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확산판은 반투명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상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캡을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는, 상기 렌즈캡을 닫은 상태에서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이트 밸런스의 기준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기준 값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렌즈캡을 열은 상태에서 촬영한 피사체의 촬영 데이터의 화이트 밸런스의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상 장치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compact digital camera)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상 장치는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보정 부재를 구비하지 않아도 화이트 밸런스 보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렌즈캡이 닫힌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의 배면도이며, 도 3은 촬상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compact digital camera)로서, 렌즈부가 본체부와 일체로 구성된 디지털 카메라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는 렌즈부(111) 등의 광학계, 촬상 소자(112), 앰프 일체형의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 회로(113), A/D 변환기(114), 화상 입력 콘트롤러(115),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116), 압축 처리 회로(120), LCD(Liquid Crystal Display) 드라이버(122), LCD(124), 타이밍 발생기(126), 제어부(128), 조작부(132), 메모리(134), VRAM(Video Random Access Memory)(136), 미디어 콘트롤러(138), 기록 미디어(140), 플래시(150), 보 조광 발광 수단(160), 렌즈캡 조립부(170) 등을 포함하고 있다.
렌즈부(111)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투과시켜 촬상 소자(112)까지 도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렌즈부(111)에는 줌 렌즈, 초점 렌즈, 조리개, 셔터 등이 포함되는데, 줌 렌즈는 광축 방향에 전후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초점거리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렌즈로서, 피사체의 크기를 변화하여 촬영한다. 또한, 조리개는, 화상을 촬영할 때에 촬상 소자(112)로 들어오는 광량을 조절하고, 초점 렌즈는, 광축 방향에 전후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촬상 소자(112)는 렌즈부(111)를 통과한 영상광이 화상으로 결상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결상된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촬상 소자(112)로는 CCD(charge couple devices) 소자가 이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소자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가 이용되어도 되고, 그 밖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해도 된다.
CDS 회로(113)는, 촬상 소자(112)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샘플링 회로의 일종인 CDS 회로와, 잡음을 제거한 후에 전기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가 일체가 된 회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CDS 회로와 앰프가 일체가 된 회로를 이용하여 CDS 회로(113)를 구성하고 있지만, CDS 회로와 앰프를 별도의 회로로 구성해도 된다.
A/D 변환기(114)는, 촬상 소자(112)에서 생성된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화상 입력 콘트롤러(115)는 디지털의 영상 신호를 제어부(128) 등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116)는, 촬상 소자(112)로부터 출력된 촬영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이트 밸런스의 값을 조정하는 회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116)는, 제어부(128)와 별도의 회로로 구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는 제어부(128)의 일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116)는 전기 회로 자체로 구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압축 처리 회로(120)는, 촬영 화상의 데이터를 적절한 형식으로 압축하는 압축처리를 행한다. 화상의 압축 형식은 가역형식 또는 비가역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형식으로 변환해도 된다.
LCD(124)는 표시부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촬영 조작을 행하기 전의 라이브 뷰 표시나, 촬상 장치(100)의 각종 설정 화면이나, 촬영한 화상의 표시 등을 행한다. 화상 데이터나 촬상 장치(100)의 각종 정보의 LCD(124)에의 표시는, LCD 드라이버(122)를 개재하여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로서 LCD(124)를 사용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 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표시부로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타이밍 발생기(126)는, 촬상 소자(112)에 타이밍 신호를 입력한다. 타이밍 발생기(126)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의해 셔터 속도가 결정된다. 즉, 타이밍 발생기(126)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의해 촬상 소자(112)의 구동이 제어되고, 촬상 소자(112)가 구동하는 시간 내에 피사체로부터의 영상광을 입사함으로써, 화상 데이터의 기초가 되는 전기 신호가 생성된다.
제어부(128)는, 촬상 소자(112)나 CDS 회로(113) 등에 대해 신호계의 명령을 행하거나, 조작부(132)의 조작에 대한 조작계의 명령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부를 하나만 포함하고 있지만, 신호계의 명령과 조작계의 명령을 별도의 제어부에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128)는 영상 처리 기능도 수행한다. 즉, 촬상 소자(112)로부터 받은 촬영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대표적으로, 제어부(128)는 전송된 촬영 데이터의 감마 보정을 수행된다.
감마 보정이란 인간의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인간의 시각은 베버의 법칙(Weber's law)에 따라 밝기에 대해 비선형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한정된 비트 심도(Bit depth)가 주어졌을 때, 선형적으로 빛의 밝기를 기록하면 포스터리제이션(Posterization)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어진 비트 심도 하에서 최대한의 화질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비선형 함수를 사용하여 부 호화해야 하는데, 이를 수행하는 것을 감마 보정이라 한다.
제어부(128)의 감마 보정은 감마 커브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감마 보정하여 출력하는데, 예를 들어, 12 비트 영상 신호의 입력 휘도 레벨을 8비트 휘도 레벨로 보정하여 출력한다.
조작부(132)는, 촬영 모드 선택부로서의 기능을 포함하고, 촬상 장치(100)의 조작을 행하거나, 촬영시의 각종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부(132)에 배치되는 부재에는, 전원 버튼, 촬영 모드나 촬영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 및 효과 파라미터의 설정을 행하는 십자키 및 선택 버튼, 촬영 조작을 개시하는 셔터 버튼 등이 배치된다.
메모리(134)는, 화상 기억부의 일례로서, 촬영한 화상의 데이터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것이다. 메모리(134)는, 복수의 화상을 기억할 수 있는 만큼의 기억 용량을 갖고 있다. 메모리(134)에의 화상의 판독/기입은 화상입력 콘트롤러(115)에 의해 제어된다.
VRAM(136)은, LCD(124)에 표시하는 내용을 유지하는 것으로, LCD(124)의 해상도나 최대 발색수(發色數)는 VRAM(136)의 용량에 의존한다.
기록 미디어(140)는, 화상 기록부의 일례로서, 촬영한 화상을 기록하는 것이다. 기록 미디어(140)에의 입출력은, 미디어 콘트롤러(138)에 의해 제어된다. 기록 미디어(140)에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카드형의 기억장치인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MMC(multimedia car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플래시(150)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 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150)를 사용하는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 플래시 모드, 강제 발광 모드, 발광 금지 모드, 적목 감소 모드, 슬로우 싱크로 모드 등이 있다.
보조광 발광 수단(160)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촬상 장치(100)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보조광을 공급한다.
이하, 렌즈캡 조립부(170)의 구성에 대해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실시예에 관한 렌즈캡 조립체의 렌즈캡이 열린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실시예에 관한 렌즈캡 조립체의 렌즈캡이 닫힌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렌즈캡 조립부(170)는 렌즈부(111)의 앞쪽에 배치되는데, 렌즈캡(171), 액츄에이터(172) 및 베이스부(173)를 포함한다.
렌즈캡(171)은 확산판(171a)과 확산판 지지부(171b)로 이루어진다.
확산판(171a)은 흰색을 띤 반투명의 천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확산판(171a)을 통과하는 빛이 확산되고 투과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확산판(171a)의 소재는 흰색을 띤 반투명의 천으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확산판은 화이트 밸런스 필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그 소재 및 구체적인 색상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종래의 화이터 밸런스 필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확산판 지지부(171b)는 일측으로 확산판(171a)을 지지하며, 타측으로는 베이 스부(173)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액츄에이터(172)로부터 힘을 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액츄에이터(172)는 솔레노이드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데, 제어부(128)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솔레이노이드 장치를 구동시킴으로써, 렌즈캡(171)을 소정의 궤적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베이스부(173)는 금속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판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부(173)에는 확산판 지지부(171b) 및 액츄에이터(172)가 장착되며, 개구부(173a)를 구비하는데, 개구부(173a)는 렌즈부(111)로 영상광이 투사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는 부분이다.
렌즈캡 조립체(170)의 작동에 대해,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촬상 장치(100)의 촬영시에는, 제어부(128)는 렌즈캡(171)이 열리도록 액츄에이터(172)를 작동시킨다. 그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73a)를 통과한 영상광이 렌즈부(111)로 투사되게 된다.
촬상 장치(100)의 촬영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어부(128)는 렌즈캡(171)이 닫히도록 액츄에이터(172)를 작동시키고, 그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캡(171)이 닫혀 렌즈부(111)를 보호하게 된다.
한편,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수행할 경우에는 렌즈캡(171)을 닫은 상태에서 촬영하여 기준 값을 확보하고, 렌즈캡(171)을 열은 상태에서 피사체를 촬영한 후, 상기 확보된 기준 값을 사용하여 피사체의 촬상 데이터의 화이트 밸런스를 보정하는데,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로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수행하는 모습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제어부 및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가 화이트 밸런스 조정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제어부(128)는 촬상 장치(100)의 모드가 화이트 밸런스 조정 모드인지 판단한다(S501).
판단 결과, 촬상 장치(100)의 모드가 화이트 밸런스 조정 모드이면, 렌즈캡(171)이 닫히도록 액츄에이터(172)를 작동시키고, 렌즈캡(171)이 닫힌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한다(S502).
참고로 설명하면, 촬상 장치(100)의 모드의 변경은, 사용자가 직접 조작부(132)를 통하여 촬상 장치(100)의 모드를 화이트 밸런스 조정 모드로 변경할 수도 있고,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촬상 장치(100) 스스로 화이트 밸런스 조정 모드로 변경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상기 S502 단계에서 촬영을 수행하여 촬영 데이터가 들어오면,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116)는 촬영된 데이터의 색상 정보를 분석하게 된다(S503). 즉, 촬영된 색상 데이터 R(적) 성분, G(녹) 성분, B(청) 성분의 색온도를 검출하여, R 성분의 크기가 B 성분의 크기와 같도록 게인(gain)을 조정하여 연산한 후, 그 연산 값을 기준 값(SV)으로 하여, 자체의 기억 장소에 기억시킨다.
그 다음, 제어부(128)는, 렌즈캡(171)이 열리도록 액츄에이터(172)를 작동시키고, 렌즈캡(171)이 열린 상태에서 피사체에 대한 촬영을 수행한다. 이어,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116)는 피사체의 촬영 데이터의 색상을 분석함으로써, 피사체 촬영 데이터에 대한 화이트 밸런스 값을 식별한다(S504).
그 다음,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116)는, 피사체 촬영 데이터에 대한 R 성분과 B 성분을 각각 상기 기준 값(SV)의 R 성분과 B 성분과 곱하여, 피사체의 촬영 데이터의 화이트 밸런스의 값을 조정하고 적용한다(S505).
즉, 피사체의 촬상 데이터는, 그와 같은 방식으로 조정된 화이트 밸런스가 적용되며, 조정된 화이트 밸런스가 적용된 피사체의 촬상 데이터는 메모리(134)로 이동하여 저장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촬상 데이터의 R 성분과 B 성분을 연산처리하여 화이트 밸런스의 값을 조정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는 방법은 종래의 기술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렌즈캡(171)이 닫힌 상태에서 촬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할 수만 있다면, 그 외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 방법에 있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에 따르면, 렌즈캡(171)을 닫은 채로 촬상함으로써 화이트 밸런스 조정의 기준 값을 구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흰색의 보정 부재가 없어도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에 따르면,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위해 사 용자가 직접 흰색의 보정 부재를 렌즈부(111) 앞에 놓고 촬상할 필요가 없으므로, 촬상 장치(100) 스스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맞추어 화이트 밸런스 보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촬상 장치(100)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의 종류 및 형식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는, 렌즈의 착탈이 가능한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 영상 캠 코더 등의 다양한 종류 및 형식의 촬상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촬상 장치가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200)인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렌즈부(211) 앞에는 렌즈캡(271)이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렌즈캡(271)은 확산판(271a)을 포함하고 있는데, 확산판(271a)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확산판(171a)과 소재 및 기능이 동일하다.
사용자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 렌즈캡(217)을 이용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본 예의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200)의 경우에는 렌즈캡(271)을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수동으로 렌즈캡(271)의 개폐를 조정함으로써, 화이트 밸런스의 조정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 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렌즈캡이 닫힌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촬상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캡 조립체의 렌즈캡이 열린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캡 조립체의 렌즈캡이 닫힌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제어부 및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가 화이트 밸런스 조정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촬상 장치가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인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촬상 장치 111, 211: 렌즈부
112: 촬상 소자 113: CDS 회로
114: A/D 변환기 115: 화상 입력 콘트롤러
116: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 120: 압축 처리 회로
122: LCD 드라이버 124: LCD
126: 타이밍 발생기 128: 제어부
132: 조작부 134: 메모리
136: VRAM 138: 미디어 콘트롤러
140: 기록 미디어 150: 플래시
160: 보조광 발광 수단 170: 렌즈캡 조립부
171, 271: 렌즈캡 171a, 271a: 확산판
172: 액츄에이터 173: 베이스부

Claims (8)

  1. 렌즈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확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렌즈캡;
    상기 렌즈캡을 구동하여 상기 렌즈캡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렌즈부로부터 영상광을 받아 결상시키는 촬상 소자; 및
    상기 렌즈캡을 닫은 상태에서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화이트 밸런스의 값을 조정하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는 상기 렌즈캡을 닫은 상태에서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이트 밸런스의 기준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기준 값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렌즈캡을 연 상태에서 촬영한 피사체의 촬영 데이터의 화이트 밸런스의 값을 조정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반투명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compact digital camera)인 촬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인 촬상 장치.
KR1020070108867A 2007-10-29 2007-10-29 촬상 장치 KR101406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867A KR101406797B1 (ko) 2007-10-29 2007-10-29 촬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867A KR101406797B1 (ko) 2007-10-29 2007-10-29 촬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163A KR20090043163A (ko) 2009-05-06
KR101406797B1 true KR101406797B1 (ko) 2014-06-12

Family

ID=4085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867A KR101406797B1 (ko) 2007-10-29 2007-10-29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7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767A (ja) * 1991-07-29 1993-02-12 Sony Corp ビデオカメラのレンズキヤツプ
JP2006154458A (ja) 2004-11-30 2006-06-15 Canon Inc カメ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767A (ja) * 1991-07-29 1993-02-12 Sony Corp ビデオカメラのレンズキヤツプ
JP2006154458A (ja) 2004-11-30 2006-06-15 Canon Inc 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163A (ko) 200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7677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7944500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acklight status
KR100651813B1 (ko) 스트로보 제어장치, 및 스트로보 제어방법
US20090262207A1 (en) Camera system
KR20100092217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50104998A1 (en) Camera apparatus
JP5316923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717840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033386A (ja)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US8041206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emission
KR101406797B1 (ko) 촬상 장치
JP2007028546A (ja) 撮像装置
JP2009276610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撮像装置
JP5448391B2 (ja) 撮像装置及び赤目補正方法
JP2005167465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撮像方法
JP5070655B2 (ja) 電子カメラ
JP2000092380A (ja) カメラ装置及びその露出制御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4524066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6173860A (ja) 電子カメラ
JP2018191141A (ja) 撮像装置
KR101624216B1 (ko) 렌즈 경통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JP4432040B2 (ja) シェーディングデータ生成方法
JP3805658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500666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96309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