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175B1 -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 - Google Patents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175B1
KR101624175B1 KR1020140188667A KR20140188667A KR101624175B1 KR 101624175 B1 KR101624175 B1 KR 101624175B1 KR 1020140188667 A KR1020140188667 A KR 1020140188667A KR 20140188667 A KR20140188667 A KR 20140188667A KR 101624175 B1 KR101624175 B1 KR 101624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bicycle
hook
housing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김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현 filed Critical 김대현
Priority to KR1020140188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5Direc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9/0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mirrors for use on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1Electr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몸체부; 몸체부의 외측에 구성되어 몸체부가 자전거의 그립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 몸체부에 몸체부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동부; 회동부에 부착 구성되어 몸체부에 대해 회동부의 회동시 자전거의 후방 부위가 반사되도록 하여 후방주시 기능을 제공하는 후방주시부; 몸체부 또는 회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위에 구성되어 발광 동작되며 방향지시 기능과 전조 기능을 제공하는 발광부; 몸체부의 내부에 구성되는 전원공급부; 및 몸체부의 외주면 또는 몸체부에 유선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그립에 구성되어 발광부의 점멸, 점등 및 소등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 동작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온오프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Direction indicating lamp apparatus for a bicycle with the rear watching function}
본 발명은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손잡이에 탈착 구성된 상태에서 주행방향에 대한 방향지시기능와 전조기능 등과 더불어 후사경을 통한 후방주시기능을 제공하여 안전 운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전거 도로가 많이 개통되어 자전거 인구가 많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나 종래의 자전거 손잡이에는 단순히 그립만 설치되어 있고 운전자가 자전거의 방향을 조정하는데 단순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어, 운전자가 전/후방에 위치된 타인에게 자신이 어느 방향으로 진행할 예정인지를 알릴 수 있는 수단과 이때 운전자의 후방에 위치된 타인의 진행 방향 중복에 따른 후방 추돌 등의 위험을 미리 주시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했다.
이에, 등록특허 10-1406282호와 10-1347658호 등에는, 자전거의 손잡이에 위치되어 엘이디를 통해 방향지시등이나 전방 점등 또는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하는 자전거용 복합기능 방향지시등이 안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전거용 복합기능 방향지시등은, 단순히 자전거의 손잡이나 그립의 단부에 위치되어 스위치에 의해 운전자가 진행할 예정의 방향에 위치된 방향지시등이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할 수 있는 있으나, 육안으로 진행 예정 방향의 후방에서 진행 중인 타인의 유무를 확인할 수가 없어 운전자가 직접 해당 방향의 후방으로 고개를 돌려서 확인해야만 했고, 이로 인하여 전방 주시 부주의 등으로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별도로 자전거의 핸들 부위에 후사경이 탈착 가능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후방 주시를 가능하게 하고 있으나, 종래의 후사경은 조향용 핸들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에 연결되기 때문에 핸들로부터 소정 높이와 거리를 가지면서 돌출 구성되며 이로 인하여, 미관도 좋지 못하고 자전거의 이동이나 보관시 공간 확보에 불편함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의 손잡이에 탈착 구성된 상태에서 주행방향에 대한 방향지시기능, 전조기능 및 점멸기능 등과 더불어 후사경을 통한 후방주시기능을 제공하여 안전 운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몸체부; 몸체부의 외측에 구성되어 몸체부가 자전거의 그립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 몸체부에 몸체부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동부; 회동부에 부착 구성되어 몸체부에 대해 회동부의 회동시 자전거의 후방 부위가 반사되도록 하여 후방주시 기능을 제공하는 후방주시부; 몸체부 또는 회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위에 구성되어 발광 동작되며 방향지시 기능과 전조 기능을 제공하는 발광부; 몸체부의 내부에 구성되는 전원공급부; 및 몸체부의 외주면 또는 몸체부에 유선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그립에 구성되어 발광부의 점멸, 점등 및 소등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 동작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온오프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가 제공된다.
여기서, 결합부는, 몸체부의 하우징 일면에 돌출 또는 연장 구성되어 몸체부가 자전거의 그립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스냅핀 구조 또는 클램프 구조 또는 나사 결합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동부는, 몸체부의 하우징 외측면에 대응된 형상을 가지는 커버체; 커버체와 하우징이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힌지; 힌지에 연결된 커버체의 대향부위에 돌출 구성되는 후크; 후크에 대면되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후크삽입공; 및 후크삽입공에 구성되어 후크가 후크삽입공에 삽입시 후크가 후크삽입공에 걸림 지지되도록 하거나 후크가 후크삽입공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하여 커버체가 소정 각도로 회동되도록 하는 후크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체와 힌지의 결합부위는, 상기 커버체가 하우징의 대면 부위에 대해 90도 내지 180도의 각도로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체와 힌지의 결합부위에는, 커버체가 소정 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 힌지에 대하여 상측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홈과 가이드블록이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체와 힌지의 결합부위는, 커버체가 힌지와의 연결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전거의 손잡이에 탈착 구성된 상태에서 주행방향에 대한 방향지시기능, 전조기능 및 점멸기능 등과 더불어 후사경을 통한 후방주시기능을 제공하여 안전 운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3은 도 1의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100)는,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몸체부(110), 몸체부(110)의 외측에 구성되어 몸체부(110)가 자전거의 그립(G)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120), 몸체부(110)의 결합부(120)에 대향되는 일측면에 몸체부(11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동부(130), 회동부(130)에 부착 구성되어 몸체부(110)에 대해 회동부(130)의 회동시 자전거의 후방 부위가 반사되도록 하여 후방주시 기능을 제공하는 후방주시부(140), 몸체부(110)와 회동부(130)에 구성되어 발광 동작되어 방향지시와 전조기능을 제공하는 발광부(150), 몸체부(110)의 내부에 교체 가능한 상태로 구성되는 전원공급부(160), 몸체부(110)의 외주면 또는 몸체부(110)에 유선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그립(G)에 구성되어 발광부(150)의 점멸, 점등 및 소등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전원공급부(160)의 전원 공급 동작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온오프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170) 및 몸체부(110)의 내부에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부(160), 입력부(170) 및 발광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부(150)의 점멸, 점등 및 소등이 제어되도록 하는 제어부(180) 등을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내부의 중공부에 상기 구성부들이 배열 및 구성되도록 하는 하우징수단으로,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원통 또는 다면체 형상의 하우징(111)을 포함한다.
결합부(120)는, 몸체부(110)의 하우징(111) 일면에 돌출 또는 연장 구성되어 몸체부(110)가 자전거의 그립(G)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수단으로, 공지의 스냅핀 구조 또는 클램프 구조 또는 나사 결합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20)는, 스냅핀 구조인 경우에는 그립(G)의 단부 마감벽에 형성된 결합공에 관통 삽입되어 고정되고 클램프 구조인 경우에는 그립(G)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몸체부(110)가 그립(G)에 안정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여 유지보수와 기존의 그립(G)에도 쉽게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회동부(130)는, 결합부(120)에 대향되는 몸체부(110)의 하우징(111) 타면에 하우징(111)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동수단으로, 하우징(111)의 외측면에 대응된 형상을 가지는 커버체(131), 커버체(131)와 하우징(111)이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힌지(132), 힌지(132)에 연결된 커버체(131)의 대향부위에 돌출 구성되는 후크(133), 후크(133)에 대면되는 하우징(111)에 형성되는 후크삽입공(134) 및 후크삽입공(134)에 구성되어 후크(133)가 후크삽입공(134)에 삽입시 후크(133)가 후크삽입공(134)에 걸림 지지되도록 하여 커버체(131)가 하우징(111)에 대면 결합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거나 후크(133)가 후크삽입공(134)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하여 커버체(131)가 소정 각도로 회동되도록 하는 후크걸림편(135)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130)는, 상기와 같은 구성부 이외에도, 공지의 화장품 콤팩트 용기에 있어서 케이스와 뚜껑의 개폐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지거나, 공지의 하우징(111)과 커버체(131)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프레스 투 오픈(Press to Open) 구조를 통하여 커버체(131)의 누름 동작시 하우징(111)의 잠금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하우징(111)의 회동수단에 연결된 커버체(131)가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하고,반대 동작시 잠금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주시부(140)는, 회동부(130)의 커버체(131) 내측면에 부착 구성되어 몸체부(110)에 대해 회동부(130)의 회동시 자전거의 후방 부위에 대한 주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후방주시기능을 제공하는 후방주시수단으로, 후사경 또는 반사필름 등과 같은 후방반사수단(141)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130)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131)와 힌지(132)의 결합부위는, 상기 커버체(131)가 하우징(111)의 대면 부위에 대해 90도 내지 180도 정도의 각도로 회동 동작되도록 하여, 자전거의 손잡이가 플랫바 또는 드롭바 형태를 가지더라도 커버체(131)의 내측면에 구성된 후방반사수단(141)이 항상 후방 부위를 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체(131)와 힌지(132)의 결합부위에는, 상기 커버체(131)가 소정 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 힌지(132)에 대하여 상측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홈(미도시)과 가이드블록(미도시)이 더 구성되도록 하여, 커버체(131)의 내측면에 구성된 후방반사수단(141)의 반사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후방 부위 시야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체(131)와 힌지(132)의 결합부위는, 상기 커버체(131)가 힌지(132)와의 연결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하여, 커버체(131)의 내측면에 구성된 후방반사수단(141)의 반사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후방 부위 시야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부(150)는, 몸체부(110)와 회동부(130)에 구성되어 발광 동작되어 방향지시와 전조기능을 제공하는 발광수단으로, 몸체부(110)의 하우징(111) 외주면이나 회동부(130)의 커버체(131) 외측면 또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설치홈(미도시)에 장착 위치되며 복수개의 LED를 포함하는 띠 타입의 LED모듈(151)과, LED모듈(151)이 장착된 설치홈(미도시)을 커버하면서 구성되어 LED모듈(151)을 보호하며 LED로부터 발광된 빛이 외부로 투과되도록 하는 투광커버(15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LED모듈(151)은, 일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인쇄회로가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에 발광동작을 위해 복수개의 LED, 보호회로소자 및 전력제어소자가 실장되는 가요성(플렉시블) 기판의 PCB와, 복수개의 PCB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PCB의 양단부를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소자와, 상기 연결소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PCB가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의 상단부가 개방된 개방부위를 가지는 가요성(플렉시블) 커버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 양측에 복수개의 PCB가 상호간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전원공급부(160)로부터 각각의 PCB의 연결소자에 동작전원이 병렬 공급되도록 하는 전도선과, 상기 케이스에 PCB와 전도선이 구비된 상태에서 수용공간이 밀폐되도록 개방부위에 방수를 위해 몰딩되는 몰딩부재 등을 통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된 제어신호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LED들이 점멸, 점등 및 소등 동작되어 타인으로 하여금 운전자를 인지하도록 하는 점멸 기능을 제공하거나 주행 방향에 대한 방향지시나 전조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공급부(160)는, 몸체부(110)의 하우징(111) 내부에 장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발광부(150)와 입력부(170) 및 제어부(18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으로, 상기 커버체(131)가 하우징(111)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동 동작시 개방되는 중공부에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는 건전지나 충전지 등과 같은 배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부(170)는, 몸체부(110)의 하우징(111) 외주면 또는 하우징(111)에 유선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그립(G)에 이격 구성되어 발광부(150)의 점멸, 점등 및 소등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전원공급부(160)의 전원 공급 동작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온오프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수단으로, 상기 배터리와 후술된 제어부(180) 사이의 온/오프 스위칭을 가능하게 하는 온/오프스위치(171)와, LED의 다양한 점멸, 점등 및 소등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제어신호스위치(17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온/오프스위치와 제어신호스위치는 단일의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신호스위치(172)는, 운전자의 손의 접촉 여부를 진동, 압력, 온도, 단락 및 정전용량을 통하여 감지하고 이에 대한 해당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공지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신호는 운전자의 손가락 가령 엄지손가락이나 새끼손가락의 접촉 회수에 따라 LED가 모두 점멸, 또는 순차적으로 점멸 또는 모두 점등 또는 모두 소등되도록 하여 방향지시 기능과 전조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기능을 제공하는 해당 제어신호스위치(172)가 복수개로 배열될 수 도 있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다양한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1)의 내부에서 전원공급부(160)의 배터리와 발광부(150)의 LED모듈(151), 입력부(170)의 스위치(171,172) 및 제어부(180) 사이의 전기적인 결선은 공지의 방법과 구조에 의해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는 것에 해당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80)는, 몸체부(110)의 하우징(111) 내부에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부(160), 입력부(170) 및 발광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부(150)의 점멸, 점등 및 소등이 제어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으로, 공지의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100)는, 먼저, 기존의 자전거 손잡이에 구성된 그립(G)의 단부에 결합부(120)의 스냅핀 또는 클램프 수단을 통하여 장착 결합된다.
이에, 종래와 같이, 자전거 손잡이에 구성된 그립(G)을 교체하지 않고 그립(G)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외부 보관시 분리 보관을 통하여 도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몸체부(110)의 하우징(111)에 구성된 입력부(170)의 온/오프스위치(171)에 의해 온 신호가 발생되어 전원공급부(160)의 배터리로부터 제어신호스위치(172), 제어모듈 및 발광부(150)의 LED모듈(151)에 동작 전원이 공급 가능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후, 이 상태에서 운전자의 손가락 등의 터치에 의해 입력부(170)의 제어신호스위치(172)로부터 제어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제어모듈에 의해 LED모듈(151)이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점멸 또는 점등 또는 소등되어 방향지시 기능 및 전조 기능이 제공되고, 이에, 타인으로 하여금 운전자가 진행할 방향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하우징(111)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회동부(130)의 커버체(131)가 하우징(111)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동되는 경우 커버체(131)의 내측면에 구성된 후방주시부(140)의 후방반사수단(141)에 의하여 운전자의 후방 부위가 반사되고 이에, 운전자가 자전거를 주행하면서 후방에 대한 주시를 가능하게 하여 안전 운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커버체(131)가 하우징(111)으로부터 회동 동작되는 것을 통하여 후방주시 기능이 사용될 수 있어 미관도 좋고 자전거의 이동이나 보관시 공간 확보에 불편함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전거의 손잡이 그립에 탈착 구성된 상태에서 주행방향에 대한 방향지시기능, 전조기능 및 점멸기능 등과 더불어 후사경을 통한 후방주시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전거 손잡이에 구성된 그립을 교체하지 않고 그립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외부 보관시 분리 보관을 통하여 도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사경이 그립에 단부에 구성된 몸체부의 하우징으로부터 회동 되는 것을 통하여 후방을 향하면서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후방주시기능을 통한 운전자의 안전 운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몸체부(110); 몸체부(110)가 자전거의 그립(G)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120); 몸체부(11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동부(130); 회동부(130)에 부착 구성되어 몸체부(110)에 대해 회동부(130)의 회동시 자전거의 후방 부위가 반사되도록 하여 후방주시 기능을 제공하는 후방주시부(140); 몸체부(110) 또는 회동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위에 구성되어 발광 동작되며 방향지시 기능과 전조 기능을 제공하는 발광부(150); 몸체부(110)의 내부에 구성되는 전원공급부(160); 및 몸체부(110)의 외주면 또는 몸체부(110)에 유선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그립(G)에 구성되어 발광부(150)의 점멸, 점등 및 소등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전원공급부(160)의 전원 공급 동작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온오프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170)를 포함하고,
    결합부(120)는,
    몸체부(110)의 하우징(111) 일면에 돌출 또는 연장 구성되어 몸체부(110)가 자전거의 그립(G)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스냅핀 구조 또는 클램프 구조 또는 나사 결합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지며,
    회동부(130)는,
    몸체부(110)의 하우징(111) 외측면에 대응된 형상을 가지는 커버체(131);
    커버체(131)와 하우징(111)이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힌지(132);
    힌지(132)에 연결된 커버체(131)의 대향부위에 돌출 구성되는 후크(133);
    후크(133)에 대면되는 하우징(111)에 형성되는 후크삽입공(134); 및
    후크삽입공(134)에 구성되어 후크(133)가 후크삽입공(134)에 삽입시 후크(133)가 후크삽입공(134)에 걸림 지지되도록 하거나 후크(133)가 후크삽입공(134)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하여 커버체(131)가 소정 각도로 회동되도록 하는 후크걸림편(135)을 포함하고,
    발광부(150)는,
    몸체부(110)의 하우징(111) 외주면이나 회동부(130)의 커버체(131) 외측면 또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설치홈(미도시)에 장착 위치되며 복수개의 LED를 포함하는 띠 타입의 LED모듈(151)과;
    LED모듈(151)이 장착된 설치홈(미도시)을 커버하면서 구성되어 LED모듈(151)을 보호하며 LED로부터 발광된 빛이 외부로 투과되도록 하는 투광커버(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커버체(131)와 힌지(132)의 결합부위는,
    상기 커버체(131)가 하우징(111)의 대면 부위에 대해 90도 내지 180도의 각도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
  5. 삭제
  6. 삭제
KR1020140188667A 2014-12-24 2014-12-24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 KR101624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667A KR101624175B1 (ko) 2014-12-24 2014-12-24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667A KR101624175B1 (ko) 2014-12-24 2014-12-24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175B1 true KR101624175B1 (ko) 2016-05-25

Family

ID=5611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667A KR101624175B1 (ko) 2014-12-24 2014-12-24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1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1590A (zh) * 2017-08-16 2017-12-29 赵娜 一种机踏车辆用的警示装置
KR20200099320A (ko) * 2019-02-14 2020-08-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압력센서를 이용한 방향지시장치가 구비된 전동킥보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0575A (ja) * 1999-06-25 2001-01-16 Infuomu:Kk 自転車の後方確認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0575A (ja) * 1999-06-25 2001-01-16 Infuomu:Kk 自転車の後方確認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1590A (zh) * 2017-08-16 2017-12-29 赵娜 一种机踏车辆用的警示装置
CN107521590B (zh) * 2017-08-16 2023-08-15 赵娜 一种机踏车辆用的警示装置
KR20200099320A (ko) * 2019-02-14 2020-08-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압력센서를 이용한 방향지시장치가 구비된 전동킥보드 및 그 제어방법
KR102176424B1 (ko) 2019-02-14 2020-11-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압력센서를 이용한 방향지시장치가 구비된 전동킥보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7623B2 (en) Multiple beam light source
EP2998205B1 (en) Warning lamp for a bicycle
US6109770A (en) Illuminating or light signalling device, particularly for bicycles and the like
KR200473312Y1 (ko) 다기능 휴대용 led 조명장치
US20110222302A1 (en) Lighting system
JP2004530595A (ja) 自動車の外部機器モジュール
JP2004521011A (ja) 自転車用ライト
US20200361365A1 (en) Lighting device
KR102049163B1 (ko) 이륜 동적 호버보드
WO2018019156A1 (zh) 电动滑板车及速度控制装置
KR101624175B1 (ko)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
US6759947B2 (en) Moving vehicle comfort, security and safety signaling system
US7488100B2 (en) Bicycle light
EP2922744B1 (en) Bicycle light-projecting devices with laser beam
EP1394029A2 (en) Bicycle lighting system
US7429121B1 (en) Automobile multifunction auxiliary lamp
WO2016203224A1 (en) An indicator light device for a vehicle with handlebar
JP3073881B2 (ja) 自動車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20200076910A (ko) 이륜차용 손잡이 표시등
US8350171B2 (en) Function switch on handle of motorcycle
GB2565792A (en) A hand mounted mirror and indicator device
KR200445818Y1 (ko) 경음기가 구비된 자전거용 전조등
NL1032336C1 (nl) Richtingaanduidingsinrichting voor een veiligheidshelm.
US20060007693A1 (en) Front light for a bicycle
JP2001171428A (ja) 車両用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