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312Y1 - 다기능 휴대용 led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휴대용 led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312Y1
KR200473312Y1 KR2020120011665U KR20120011665U KR200473312Y1 KR 200473312 Y1 KR200473312 Y1 KR 200473312Y1 KR 2020120011665 U KR2020120011665 U KR 2020120011665U KR 20120011665 U KR20120011665 U KR 20120011665U KR 200473312 Y1 KR200473312 Y1 KR 2004733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ortion
main body
housing
filter
l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778U (ko
Inventor
최승열
Original Assignee
파로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로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로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11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312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7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7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3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휴대용 LED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조명장치는 내측에 조명용 LED를 포함하는 헤드부; 상단부에 상기 헤드부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레이저 포인터, 다수의 신호용 LED, 다수의 배터리잔량표시용 LED 및 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가 탑재된 메인 PCB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우징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충전포트를 구비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휴대용 LED 조명장치{MULTIFUNTIONAL POTABLE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APPARATUS ENABLED PENITRATION THROUGH SMOKE}
본 고안은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재 진압이나 인명 또는 재난 구조작업 시 사용하는 휴대용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재 진압이나 인명 또는 재난 구조작업 시 작업자는 파지하기 쉽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휴대용 조명장치를 구비하고 현장에 투입된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현장에서 작업 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옷에 조명장치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클립부재가 형성되며, 조명램프가 내장된 헤드부는 본체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로 고정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조명장치는 헤드부가 고정형이므로 조명각도를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아울러 조명램프가 통상의 소형 전구를 채택하고 있어 연기를 투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종래의 휴대용 조명장치는 방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현장에서 작업자가 위험에 처할 경우 이를 주변에 알리기 위한 기능이 없어 인명구조에 적용할 수 없는 기능적인 제약이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07641호(공개일: 2004년 12월 23일)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로 인해 발생한 연기를 투시하여 조명할 수 있고, 헤드부의 조명각도를 폭넓게 설정할 수 있으며, 방수 효과가 뛰어나고 사용자의 위험상태를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는 다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측에 조명용 LED를 포함하는 헤드부; 상단부에 상기 헤드부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레이저 포인터, 다수의 신호용 LED, 다수의 배터리잔량표시용 LED 및 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가 탑재된 메인 PCB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우징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충전포트를 구비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LED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헤드부의 좌우측과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 사이에는 각각 상기 헤드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가 배치되며,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헤드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다수의 기어치가 일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부; 상기 헤드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기어부의 기어치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의 수용홈에 형성되는 직선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톱퍼; 및 상기 직선홈에 배치되어 상기 스톱퍼를 상기 기어부 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스톱퍼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본체부와 동축으로 배치된 위치(P1)로부터 최대 회전위치(P2) 까지의 각도가 1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다수의 신호용 LED를 온/오프하기 위한 제1 작동버튼; 상기 다수의 배터리잔량표시용 LED를 온/오프하기 위한 제2 작동버튼; 및 상기 레이저포인터를 온/오프하기 위한 제3 작동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작동버튼 누르는 횟수에 따라 상기 다수의 신호용 LED의 색상 변경을 제어하며, 상기 제2 작동버튼은 누르는 횟수에 따라 상기 다수의 배터리잔량표시용 LED 중 어느 하나를 별도로 점멸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는 진동감지센서 및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작동버튼은 누르는 횟수에 따라 안전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안전모드에서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진동감지센서에 의해 진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스피커를 작동시켜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작동버튼은 각각 상기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 버튼커버부재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버튼커버부재는 고무와 플라스틱이 일체로 형성된 이중사출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헤드부 및 배터리장착부의 하단부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필터 해머; 상기 필터 해머 내측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링; 및 상기 고정링에 의해 상기 필터 해머에 고정되는 연기투시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기투시필터 옐로우 앰버(yellow-amber) 컬러이고, 투과율이 620nm의 파장을 가지며 UV코팅된 내충격 강화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위조 판별을 위한 215~400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 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영상을 레코딩하고 위한 카메라 모듈과 음성을 레코딩하기 위한 초소형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헤드부로 인입되는 배선을 관통하는 상기 헤드부의 삽입구멍에 결합되는 씨일부재; 및 상기 씨일부재를 상기 삽입구멍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씨일부재는 상기 체결나사를 상기 헤드부에 체결 시 상기 고정나사가 회전하면서 상기 씨일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씨일부재의 경사면에 의해 돌출된 부분이 눌리면서 상기 씨일부재가 압착되어 원주방향으로 늘어남에 따라 상기 삽입구멍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신호용 LED와 상기 배터리잔량표시용 LED는 각각 상기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광판 및 커버부재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도광판 및 상기 커버부재는 초음파 융착을 통해 상기 본체부에 밀폐 방수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는, 조명을 위한 헤드부의 각도가 75°내지 180°범위 내에서 회전 각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안전모드에서 진동감지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배선이 관통하는 헤드부와 본체부의 관통부분 및 조명장치의 각 조립부분에 대한 방수가 이루어짐에 따라 제품의 기능 확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LED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터부를 제거한 상태의 휴대용 LED 조명장치를 전방 및 후방에서 바라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부의 후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헤드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a에 도시된 하우징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b에 도시된 연결부에 형성된 충전포트 및 방수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장착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장치(10)는 헤드부(100), 본체부(300) 및 배러티장착부(500)를 포함한다.
헤드부(100)는 조명용 LED(111, 도 4 참조)와, 조명용 LED(111)에서 발산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히트싱크 케이스(110)를 구비한다.
히트싱크 케이스(110)는 본체부(300)의 하우징(310) 상부에 형성된 수용홈(311)에 설치되며, 도 1 같이 본체부(300)와 동축으로 배치되는 제1 위치(P1)에서부터 도 2와 같이 본체부(300)에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2 위치(P2)까지의 각도(θ) 범위 내에서 선회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히트싱크 케이스(110)는 내측에 마련된 공간부(110a)에 LED(111)가 실장되는 메탈 PCB(Metal Printed Circuit Borad)(113)와, 메탈 PCB(113)의 후면에 접촉되어 메탈 PCB(113)의 열을 히트싱크 케이스(110)로 전달하기 위한 방열판(115)과, 메탈 PCB(113)의 전면에 배치되어 LED(111)에서 발산되는 빛을 전방 측으로 반사하는 원추형 반사판(120)이 배치된다.
또한, 원추형 반사판(120)의 선단부에는 LED(111)를 보호하기 위한 강화유리(131)를 구비한 헤드캡(133)이 나사 결합된다. 상기 헤드캡(133) 내측에는 강화유리(131)를 헤드캡(133)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링(135)이 체결된다. 이 경우 원추형 반사판(120)의 선단과 고정링(135) 사이에는 방진링(137)이 배치되어 강화유리(131)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헤드 캡(133)의 전방에는 연기를 투시할 수 있는 필터부(140)가 분리 가능하게 배치된다.
필터부(140)는 연기투시필터(141)를 구비하는 필터 해머(143)가 헤드캡(133)의 선단부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필터 해머(143) 내측에는 연기투시필터(141)를 필터 해머(143)에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링(145)이 체결된다.
상기 연기투시필터(141)는 황색계열 예를 들면, 옐로우 앰버(yellow-amber) 컬러이고, 연기, 먼지, 안개에 대한 투과율이 높은 약 620nm의 파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연기투시필터(141)는 UV코팅된 내충격 강화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 해머(143)의 전방에는 필터 보호캡(150)에 분리 가능하게 압박 결합된다. 이 경우 필터 해머(143)는 사용자가 유사 시에 위험지역에서 탈출을 도울 수 있도록 유리를 파괴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와 가벼운 무게를 가지는 항공 알루미늄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헤드캡(133)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항공 알루미늄으로 제작할 수 있다.
필터 보호캡(150)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러버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부(140)는 헤드캡(133)에 체결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배터리장착부(500)의 하단부(550)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체결해 둘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헤드부(100)는 본체부(300)로부터 인출되는 배선(L)이 인입되는 삽입구멍(110a)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멍(110a)에는 방수를 위한 씨일부재(171)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씨일부재(171)가 삽입구멍(110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너트(173)를 체결한다. 이 경우 씨일부재(171)와 고정너트(173)는 각각 배선(L)이 관통하는 관통구멍(171a,173a)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나사(173)를 삽입구멍(110a)에 체결 시 고정나사(173)가 회전하면서 씨일부재(171)를 가압하면, 경사면에 의해 돌출된 부분이 눌리면서 씨일부재(171)가 압착되어 원주방향으로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삽입구멍(110a)이 완전 밀봉되어 방수가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헤드부(100)는 좌우측에 각각 대칭으로 형성된 각도조절부(160)에 의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원하는 각도로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헤드부(100)는 대략 75° 내지 180 °의 각도 범위(θ2) 내에서 미세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각도 범위(θ2)는 헤드부(100)가 본체부(300)와 동축으로 배치된 위치(P1)로부터 회전 가능한 최대 위치(P2) 까지의 각도인 105°가 된다.
상기 각도조절부(160)는 기어부(161), 스톱퍼(163) 및 코일스프링(165)을 포함한다.
기어부(161)는 헤드부(161)에 일체로 형성되며 일주변을 따라 다수의 기어치(161a)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어부(161)는 하우징(310)의 좌우 내측에 형성된 요홈부(312)에 힌지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기어부(161)는 중앙에 힌지나사(168)가 체결되는 힌지공(161b)이 형성되며, 힌지나사(168)는 하우징(310)의 좌우측에 형성된 체결구멍(313)에 관통 결합된다. 이 경우, 체결구멍(313)에 방수를 위해 도 7a와 같이 하우징(310) 좌우 양측에는 씰링부재(169)를 결합하기 위한 방수홈(31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기어부(161)의 기어치(161a)의 피치의 장단에 따라 헤드부(100) 회전 각도의 미세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다수의 기어치(161a)의 피치를 좁힐수록 더 미세한 각도로 헤드부(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스톱퍼(163)는 상기 요홈부(312)의 하측과 연통되는 직선홈(31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스톱퍼((163)는 상면에 기어부(161)의 기어치(161a)와 치합하는 걸림돌기(164)가 형성된다. 이 경우, 걸림돌기(164)는 헤드부(100)의 회전에 따라 다수의 기어치(161a)에 분리 및 결합 됨에 따라 헤드부(100)를 설정한 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165)는 상기 직선홈(316)에 설치되어 스톱퍼(163)가 기어부(161) 측으로 이동하도록 탄력적으로 스톱퍼(163)를 지지한다.
도 7a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체부(300)는 하우징(310), 레이저포인터(331), 신호용 LED(335), 배터리잔량표시용 LED(350), 하부하우징(370) 및 메인 PCB(390)를 포함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하우징(310)은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헤드부(1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용홈(311)이 형성되며, 내측에는 지지브라켓(330)이 결합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하우징(310)은 난연성 플라스틱(예를 들면, 난연 고충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함으로써 화재 현장에서 사용 시 화재에 따라 발생하는 고온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300)는 내측 상단에 배선이 관통하는 배선구멍(301)이 형성되고, 외측 상단(수용홈(311) 내)에 배선구멍(301)으로부터 인출된 배선이 헤드부(100)로 가이드될 수 있는 가이드홈(303)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300)는 내측에 배선구멍(301)을 포함하는 요홈부(303)에 방수부재(307)의 돌출부(308)가 결합된다. 이때, 배선구멍(301)과 방수부재(307) 간의 씰링을 위해 돌출부(308) 내측에 씰링부재(305)가 삽입된다. 이 경우, 도 8을 참고하면, 씰링부재(305)와 방수부재(307)의 돌출부(308)에는 각각 배선이 관통하는 관통구멍(305a,308a)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330)은 일측에 레이저 빔을 발생하기 위한 레이저포인터(331)가 배치된다. 레이저포인터(331)에서 발사되는 레이저 빔은 예를 들면, 5mW의 가시거리가 50m인 레드 컬러 레이저 빔일 수 있다. 또한, 지지브라켓(330)은 레이저 포인터(331)가 설치된 영역에 레이저 포인터(331)를 둘러싸도록 격자 배열되는 다수의 신호용 LED(335)가 설치된다. 이 경우, 다수의 신호용 LED(335)는 다색(예를 들면 3색 또는 5색 등)으로 색상 변환이 가능한 LED로서 사용자간 미리 규정된 신호를 빛의 색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다수의 신호용 LED(335)는 신호 불빛의 식별가능 거리가 약 1000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신호용 LED(335)가 설치되는 영역에 신호용 LED를 대체하여 파장이 215~400nm인 자외선 램프(미도시)를 혼용 혹은 단독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 램프는 위조 지폐 및 문서 감별, 화학 물질 분석 등의 용도로 사용 할 수 있으며, 레이저 포인터(331)가 설치되는 영역에 카메라 모듈(미도시)로 대체 구비함으로써 영상 레코딩을 할 수 있도록 구조 변경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해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과 함께 음성을 레코딩하기 위한 초소형 마이크 모듈(미도시)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330)에는 다수의 신호용 LED(335)를 온/오프하기 위한 제1 작동버튼(미도시)이 설치된다. 이 경우 제1 작동버튼의 누르는 횟수에 따라 다수의 신호용 LED(335)의 색상이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메인 PCB(390)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310)에는 상기 제1 작동버튼을 커버하는 제1 버튼커버부재(C1)가 결합되는 관통구멍(348a, 도 8 참조)이 형성된다. 제1 버튼커버부재(C1)는 방수가 가능하도록 씰링성을 가지는 러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우징(310)은 지지브라켓(330)이 내측 공간에 결합될 때, 상술한 레이저포인터(331) 및 신호용 LED(335)가 배치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레이저 빔 및 LED 광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34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멍(341)에는 다수의 신호용 LED(335)를 보호하기 위한 도광판(343)이 결합되며, 상기 도광판(343)은 통상의 초음파 융착기법을 통해 관통구멍(341)이 밀폐 방수되도록 관통구멍(341)에 결합된다. 이 경우 도광판(343)에는 레이저포인터(331)에 대응하는 위치에 레이저 빔이 통과할 수 있도록 레이저 빔 발사구멍(344)이 형성된다.
배터리잔량표시용 LED(350)는 지지브라켓(330)의 일측면에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다. 이 경우, 하우징(310)에는 배터리잔량표시용 LED(350)가 배치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다수의 LED용 관통구멍(346)이 형성되고, LED용 관통구멍(346)을 커버하는 도광판(351)과 투명 또는 반투명 커버부재(353)가 결합되는 결합구멍(347)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재(353)은 상술한 도광판(343)과 마찬가지로 통상의 초음파 융착을 통해 하우징(310)에 밀폐 방수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지지브라켓(330)에는 배터리잔량표시용 LED(350)를 온/오프하기 위한 제2 작동버튼(B2, 도 7b 참조)이 설치된다. 이 경우 메인 PCB(390)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미도시)는 제2 작동버튼(B2)에 의해 발생하는 작동신호에 응답하여 배터리잔량표시용 LED(3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잔량표시용 LED(350) 중 어느 하나를 후술하는 안전모드 활성화 확인용으로 점멸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잔량표시용 LED(350)를 온/오프는 제2 작동버튼(B2)에 의해 발생하는 작동신호에 응답하여 메인 PCB(390)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310)에는 상기 제2 작동버튼(B2)을 커버하는 제2 버튼커버부재(C2)가 결합되는 관통구멍(348b)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버튼커버부재(C2)는 제1 버튼커버부재(C1)와 마찬가지로 방수가 가능하도록 씰링성을 가지는 러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b를 참고하면, 하부하우징(370)은 다수의 체결나사(371)를 통해 하우징(310) 하단부에 결합된다. 이 경우 하부하우징(370)의 하단에는 방수패드(373)가 상기 다수의 체결나사(371)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방수패드(373)는 하부하우징(370)과 배터리장착부(500)의 케이싱(510) 상단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하부 하우징(370)은 하단에 배터리장착부(500)의 케이싱(510) 상단에 형성된 나사부(513)와 나사체결되는 나사부(379)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하부하우징(370)은 일측에 레이저포인터(331)를 온/오프하기 위한 제3 작동버튼(B3)이 설치된다. 상기 제3 작동버튼(B3)은 누르는 횟수에 따라 안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PCB(390)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미도시)는 제3 작동버튼(B3)에 의해 발생하는 작동신호에 응답하여 레이저포인터(331) 및 본체부(310) 내측에 배치되는 스피커(SP)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피커(SP)는 하면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본체부(310) 내측에 설치하여 이러한 공간에 의해 울림통 효과를 내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안전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예를 들면, 10 초 이내에 본체부(310) 내측에 설치되는 진동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진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본 고안의 조명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안전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스피커(SP)를 작동시켜 경보음을 발생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주변에 알릴 수 있다. 더욱이, 스피커(SP)의 작동 시 신호용 LED(335)가 함께 점멸되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러한 작동은 메인 PCB(390)에 실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하우징(370)에는 상기 제3 작동버튼(B3)을 커버하는 제3 버튼커버부재(C3)가 결합되는 관통구멍(375)이 형성된다. 상기 제3 버튼커버부재(C3)는 제1 및 제2 버튼커버부재(C1,C2)와 마찬가지로 방수 가능하도록 씰링성을 가지는 러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버튼커버부재(C1-C3)는 고무와 플라스틱이 일체로 형성된 이중 사출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방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도 7a 및 도 7b 참조).
또한, 하부하우징(370)에는 충전용 배터리(530, 도 10 참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37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충전포트(372)로 전원이 인가되면 하부 하우징(370)에 포함된 통상의 충전회로를 구비한 모듈(미도시)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하부하우징(370)에는 충전포트(372)를 방수하기 위한 방수캡(380)이 결합되는 관통구멍(378)이 형성된다. 상기 방수캡(380)은 일측에 하부하우징(370)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구멍(377)에 삽입되는 연결부(381)를 구비하며, 연결부(381)에는 방수캡(380)이 하부하우징(37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걸림턱(383)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하우징(370)의 하단부에는 배터리(53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한 쌍의 전원 단자(372a,372b)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하단부(550)는 필터 해머(143)과 마찬가지로 유리를 파괴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와 가벼운 무게를 가지는 항공 알루미늄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PCB(390)는 하부하우징(370) 내측에 장착되며 상술한 각종 장치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회로를 구비한다.
배터리 장착부(500)는 케이싱(510), 배터리(530) 및 하단부(550)를 포함한다. 케이싱(510)은 하부하우징(370)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체결되고, 내측에는 배터리(53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511)가 형성된다. 이 경우 케이싱(510)은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그립부분이 된다. 상기 케이싱(510)의 내측 상부에는 전극(532)을 구비한 배터리 상부 하우징(53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510)은 상술한 본체부(300)의 하우징(310)과 같이 난연성 플라스틱(예를 들면, 난연 고충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 장착부(500)의 하단부(550)는 케이싱(510)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부(515)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부(551)가 하단부(55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하단부(550)에는 배터리 하부 하우징(533)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530)은 충전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회용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310)의 후방에는 고리부(610) 및 고정클립(630)을 구비한다. 고리부(610)는 휴대용 LED 조명장치를 사용자의 옷이나 각종 장비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고정클립(630)은 사용자가 작업 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용 LED 조명장치 자신의 옷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는, 조명을 위한 헤드부의 각도가 75°내지 180°범위 내에서 회전 각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안전모드에서 진동감지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스피커(SP)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배선이 관통하는 헤드부(100)와 본체부(300)의 관통부분에 방수를 위한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300)와 하부하우징(370)의 각 부품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이중 사출구조를 구비하는 등 각각 방수처리를 위한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사용분야에 제한되지 않으며 소방서뿐만 아니라 경찰 또는 군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헤드부 110: 히트싱크 케이스
111: 조명용 LED 113: 메탈 PCB
115: 방열판 120: 원추형 반사판
133: 헤드캡 135: 제1 고정링
137: 방진링 140: 필터부
141: 연기투시필터 143: 필터 해머
145: 제2 고정링 150: 필터 보호캡
160: 각도조절부 161: 기어부
163: 스톱퍼 165: 코일스프링
300: 본체부 310: 하우징
331: 레이저 포인터 335: 신호용 LED
350: 배터리잔량표시용 LED 370: 하부하우징
390: 메인 PCB 500: 배러티장착부

Claims (11)

  1. 내측에 조명용 LED를 포함하는 헤드부;
    상단부에 상기 헤드부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레이저 포인터, 다수의 신호용 LED, 다수의 배터리잔량표시용 LED 및 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가 탑재된 메인 PCB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우징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충전포트를 구비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다수의 신호용 LED를 온/오프하기 위한 제1 작동버튼;
    상기 다수의 배터리잔량표시용 LED를 온/오프하기 위한 제2 작동버튼; 및
    상기 레이저포인터를 온/오프하기 위한 제3 작동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작동버튼 누르는 횟수에 따라 상기 다수의 신호용 LED의 색상 변경을 제어하며,
    상기 제2 작동버튼은 누르는 횟수에 따라 상기 다수의 배터리잔량표시용 LED 중 어느 하나를 별도로 점멸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LED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좌우측과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 사이에는 각각 상기 헤드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가 배치되며,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헤드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다수의 기어치가 일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부;
    상기 헤드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기어부의 기어치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의 수용홈에 형성되는 직선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톱퍼; 및
    상기 직선홈에 배치되어 상기 스톱퍼를 상기 기어부 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스톱퍼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LED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본체부와 동축으로 배치된 위치(P1)로부터 최대 회전위치(P2) 까지의 각도가 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LED 조명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진동감지센서 및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작동버튼은 누르는 횟수에 따라 안전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안전모드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진동감지센서에 의해 진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스피커를 작동시켜 경보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LED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작동버튼은 각각 상기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 버튼커버부재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버튼커버부재는 고무와 플라스틱이 일체로 형성된 이중사출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LED 조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및 배터리장착부의 하단부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필터 해머;
    상기 필터 해머 내측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링; 및
    상기 고정링에 의해 상기 필터 해머에 고정되는 연기투시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기투시필터 옐로우 앰버(yellow-amber) 컬러이고, 투과율이 620nm의 파장을 가지며 UV코팅된 내충격 강화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LED 조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위조 판별을 위한 215~400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 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LED 조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영상을 레코딩하고 위한 카메라 모듈과 음성을 레코딩하기 위한 초소형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LED 조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헤드부로 인입되는 배선을 관통하는 상기 헤드부의 삽입구멍에 결합되는 씨일부재; 및
    상기 씨일부재를 상기 삽입구멍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씨일부재는 상기 고정나사를 상기 헤드부에 체결 시 상기 고정나사가 회전하면서 상기 씨일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씨일부재의 경사면에 의해 돌출된 부분이 눌리면서 상기 씨일부재가 압착되어 원주방향으로 늘어남에 따라 상기 삽입구멍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LED 조명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용 LED와 상기 배터리잔량표시용 LED는 각각 상기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광판 및 커버부재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도광판 및 상기 커버부재는 초음파 융착을 통해 상기 본체부에 밀폐 방수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LED 조명장치.
KR2020120011665U 2012-12-11 2012-12-11 다기능 휴대용 led 조명장치 KR2004733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665U KR200473312Y1 (ko) 2012-12-11 2012-12-11 다기능 휴대용 led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665U KR200473312Y1 (ko) 2012-12-11 2012-12-11 다기능 휴대용 led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778U KR20140003778U (ko) 2014-06-19
KR200473312Y1 true KR200473312Y1 (ko) 2014-06-25

Family

ID=5149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665U KR200473312Y1 (ko) 2012-12-11 2012-12-11 다기능 휴대용 led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31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334A (ko) * 2015-03-19 2016-09-28 주식회사 무선테크윈 헬멧용 랜턴
KR101801317B1 (ko) * 2015-12-15 2017-11-27 세운물산주식회사 여러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 선택이 용이한 랜턴
KR101823969B1 (ko) * 2015-07-23 2018-03-15 주식회사 디엔피유 다기능 휴대용 led 조명
WO2018221807A1 (ko) * 2017-05-29 2018-12-06 디큐브랩 주식회사 방열구조 기반의 다기능 dvr 탐조등
WO2022155214A1 (en) * 2021-01-12 2022-07-2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ortable light, such as a stick ligh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563Y1 (ko) * 2015-05-12 2016-10-20 인병찬 빛을 이용한 호신장치
KR101616032B1 (ko) * 2015-11-26 2016-04-28 주식회사 데이타게이트코리아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
KR101951466B1 (ko) * 2017-04-19 2019-02-22 주식회사 무선테크윈 소방용 다기능 연기투시랜턴
KR102613479B1 (ko) * 2017-12-29 2023-12-13 코웨이 주식회사 휴대용 모듈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632Y1 (ko) * 1990-04-14 1992-09-21 김승용 자외선 주민등록증 감별기
JPH11162202A (ja) * 1997-11-28 1999-06-18 Sanyo Electric Co Ltd 携帯式のランプ
KR20100070756A (ko) * 2008-12-18 2010-06-28 이병집 다기능 랜턴
KR200454894Y1 (ko) * 2010-06-14 2011-08-02 김종천 다기능 연기투시 랜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632Y1 (ko) * 1990-04-14 1992-09-21 김승용 자외선 주민등록증 감별기
JPH11162202A (ja) * 1997-11-28 1999-06-18 Sanyo Electric Co Ltd 携帯式のランプ
KR20100070756A (ko) * 2008-12-18 2010-06-28 이병집 다기능 랜턴
KR200454894Y1 (ko) * 2010-06-14 2011-08-02 김종천 다기능 연기투시 랜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334A (ko) * 2015-03-19 2016-09-28 주식회사 무선테크윈 헬멧용 랜턴
KR101666164B1 (ko) * 2015-03-19 2016-10-17 주식회사 무선테크윈 헬멧용 랜턴
KR101823969B1 (ko) * 2015-07-23 2018-03-15 주식회사 디엔피유 다기능 휴대용 led 조명
KR101801317B1 (ko) * 2015-12-15 2017-11-27 세운물산주식회사 여러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 선택이 용이한 랜턴
WO2018221807A1 (ko) * 2017-05-29 2018-12-06 디큐브랩 주식회사 방열구조 기반의 다기능 dvr 탐조등
WO2022155214A1 (en) * 2021-01-12 2022-07-2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ortable light, such as a stick light
US11732847B2 (en) 2021-01-12 2023-08-2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ortable light, such as a stick 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778U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312Y1 (ko) 다기능 휴대용 led 조명장치
WO2006119701A1 (en) Emergency and alarm lamp with a video camera
JP2014239069A (ja) 消防士用照明装置および方法
KR101755342B1 (ko) 차량의 안전경고등 및 화재감지 기능을 갖는 캠핑 레저겸용 조명장치
JP2023525183A (ja) ブロードビューヘッドランプ
US11925229B2 (en) Safety helmet to be used by a person in low light conditions and monitoring procedure associated
KR20190088360A (ko) 안전 진단용 조명 조끼
KR200454894Y1 (ko) 다기능 연기투시 랜턴
KR101530845B1 (ko) 소방 헬멧 결착식 랜턴
KR101624175B1 (ko) 후방주시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기구
JPH087602A (ja) Sosブザー付き懐中電灯
US11014492B2 (en) Wire-free system and method for signaling deceleration in vehicles
JP2007247097A (ja) 警報機能付きヘルメット
KR101421115B1 (ko) 군사용 랜턴
GB2565792A (en) A hand mounted mirror and indicator device
KR101404438B1 (ko) 작업용 안전보호구
CN217584203U (zh) 一种泳池投光灯
CN221014269U (zh) 一种智能灭火救援盾牌
KR200460513Y1 (ko)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TWM480129U (zh) 緊急指示燈裝置
KR200329066Y1 (ko) 비상용구 함
CN213118544U (zh) 多功能智能语音声光报警手电筒
TWI554710B (zh) 手電筒改良結構
JP2008186310A (ja) 火災警報器
CN106781277B (zh) 自呼救警示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