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438B1 - 작업용 안전보호구 - Google Patents

작업용 안전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438B1
KR101404438B1 KR1020130020466A KR20130020466A KR101404438B1 KR 101404438 B1 KR101404438 B1 KR 101404438B1 KR 1020130020466 A KR1020130020466 A KR 1020130020466A KR 20130020466 A KR20130020466 A KR 20130020466A KR 101404438 B1 KR101404438 B1 KR 101404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amp
lamp
face
frame member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태유
Original Assignee
고태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태유 filed Critical 고태유
Priority to KR1020130020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A42B3/0446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intended to light the way ahead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용 안전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모의 전방에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는 안면보호부를 설치하고, 그 안면보호부에 LED램프 및 조명반사갓을 설치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작업시 작업부위를 비추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LED램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중 선명한 발광성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LED램프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원활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용 안전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반구형의 안전모와 그 안전모의 전방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안면보호부로 구성된 작업용 안전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안면보호부는, 상기 안전모의 전방에 설치되되 LED램프 설치를 위한 램프설치공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구된 반원형 틀 형상의 결합프레임부재; 상기 램프설치공의 내측에 설치된 LED램프를 수용한 상태로 그 램프설치공에 장착되는 중공형 조명반사갓; 상기 결합프레임부재의 전면에 설치되어 작업시 발생하는 파편으로부터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호 형상의 투명커버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용 안전보호구{SAFTY PROTECTOR FOR WORKING}
본 발명은 작업용 안전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모의 전방에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는 안면보호부를 설치하고, 그 안면보호부에 LED램프 및 조명반사갓을 설치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작업시 작업부위를 비추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LED램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중 선명한 발광성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LED램프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원활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용 안전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공사현장에서 실시되는 용접작업, 도장작업, 그라이딩 작업 또는 선박, 탱크 안의 협소공간에서의 각종 작업에는 필수적으로 작업복이 필요하고, 더 나아가서는 사람이 호흡시 작업중 발생하는 각종분진을 마시지 않도록 입과 코부위를 덮는 마스크를 착용하며,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모와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안면보호구를 착용하게 된다.
이러한 안전보호장비를 착용한 상태로 작업공간이 협소한 특히 사방이 어둡고 밀폐된 선박내에 들어가서 그라인딩 작업을 할 경우 작업자는 별도의 띠 형상 휴대용 조명기구를 머리에 설치한 후 작업공간으로 들어가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선박의 내부 벽면에 상기 휴대용 조명기구가 걸림되어 벗겨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현장에서의 작업자들은 휴대용 조명기구를 잘 사용하지 않고 그라인딩시 발생되는 순간적인 불빛에 이해 그라인딩 부위의 상태여부를 확인하여 그라이딩을 하게 된다.
이후, 그라이딩 상태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선박내 협소공간에 그라인딩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게되고, 재차 그라인딩 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작업시간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의 머리 및 안면을 작업중 발생하는 파편이나 부유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LED램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램프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작업중 발생하는 먼지나 이물질이 상기 LED램프에 직접부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선명한 발광성을 확보하여 어두운 작업공간에서도 원활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용 안전보호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조명반사갓의 선단이 투명커버판의 면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하고, 그 조명반사갓의 선단에 반사갓패킹을 설치하여 투명커버판의 면부에 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램프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결합프레임부재의 설치면부에 빛차단패킹을 설치하여 결합프레임부재의 개구부방향으로 LED램프의 빛이 새어나가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결합프레임부재의 램프설치공 좌우측에 전원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안전보호구의 좌우쏠림을 방지하고, 안전모의 후방에 보조전원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용 안전보호구의 전후무게중심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반구형의 안전모와 그 안전모의 전방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안면보호부로 구성된 작업용 안전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안면보호부는, 상기 안전모의 전방에 설치되되 LED램프 설치를 위한 램프설치공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구된 반원형 틀 형상의 결합프레임부재; 상기 램프설치공의 내측에 설치된 LED램프를 수용한 상태로 그 램프설치공에 장착되는 중공형 조명반사갓; 상기 결합프레임부재의 전면에 설치되어 작업시 발생하는 파편으로부터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호 형상의 투명커버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프레임부재에는, 상기 램프설치공이 형성된 설치면부가 개구부 상측에 위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설치면부에는, 상기 LED램프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상기 결합프레임의 개구부방향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프레임부재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투명커버판에 선단이 밀착되는 빛차단패킹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면부에는 상기 램프설치공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LED램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반사갓의 선단은 상기 투명커버판의 반원형상에 대응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그 투명커버판의 면부에 밀착되며, 상기 조명반사갓의 선단에는, 상기 투명커버판의 면부와 조명반사갓 선단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반사갓패킹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모의 후방에는, 상기 설치면부의 전원부에서 상기 LED램프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LED램프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전원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머리 및 안면을 작업중 발생하는 파편이나 부유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LED램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램프 파손이 방지됨은 물론 이물질이나 먼지가 부착되지 않게 되어 선명한 발광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조명반사갓의 선단의 형상 및 그 선단에 설치되는 반사갓패킹, 빛차단패킹에 의해 LED램프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결합프레임부재의 개구부방향으로 새어나가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음으로써 작업자가 원활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보호구를 착용시 좌우기울림이나 전후기울림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안전보호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안전보호구의 측면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보호부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면부에 조명반사갓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반사갓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반사갓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안전보호구에 보조전원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안전보호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함에 있어 '상부', '하부', '선단', '전방', '내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안전보호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안전보호구의 측면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보호부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면부에 조명반사갓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반사갓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반사갓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안전보호구는 작업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반구형의 안전모(10)와 그 안전모(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안면보호부(20)로 구성된 작업용 안전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안면보호부(20)는, 결합프레임부재, 조명반사갓, 투명커버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전모(10)는 작업자의 머리에 씌워질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모(10)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안전모(10)는 공지된 바와 같이 외피와 그 외피의 내면에 부착되는 내피로 이루어지며, 외피는 반구형상으로 다양한 굴곡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강화유리섬유재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외부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는 형상과 재질로 제조된다.
그리고, 내피는 상기 외피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그 외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이 착용자의 머리에 전달되지 못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공지된 바와 같이 내피는 상기 외피에 탈부착할 수 있고, 착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따라 그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면보호부(20)는, 상기 안전모(1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결합프레임부재(30)와, 조명반사갓(50), 투명커버판(70)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프레임부재(30)는 전면이 개구된 반원형 틀 형상으로 그 결합프레임부재에는 LED램프의 설치를 위한 램프설치공(3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프레임부재(30)는 상기 안전모(10)에 탈부착가능하도록 설치되거나 고정피스와 같은 고정구를 매개로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프레임부재(30)를 반원형 틀 형상으로 형상하는 이유는, 상기 안전모(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여 그 안전모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작업자의 얼굴 정면이나 옆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프레임부재(30)에는 상기 램프설치공(32)이 형성된 설치면부(31)가 그 결합프레임부재의 내측 상부에 상기 개구부(35)와 연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프레임부재(30)의 내측 상부에 상기 설치면부(31)가 형성되고, 그 설치면부의 아랫쪽에는 작업자의 안면이 드러나는 개구부(35)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모(10)에 상기 결합프레임부재(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안전 보호구를 착용하였을 경우 상기 결합프레임부재(30)에 형성되는 설치면부(31)는 작업자의 이마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설치면부(31)에는 상기 LED램프(40)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그 설치면부의 아랫쪽에 위치하는 개구부(35)방향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프레임부재(30)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어 후술되는 투명커버판(70)에 선단이 밀착되는 빛차단패킹(33)이 설치된다.
즉, 상기 LED램프(40)의 빛이 상기 개구부(35)방향으로 새어나가는 경우,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이로 인해 안전작업 및 용접부위의 정밀한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빛차단패킹(33)을 설치하여 상기 LED램프(40)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상기 개구부(35)방향으로 새어나가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프레임부재(30)의 설치면부(31)에는 상기 램프설치공(32)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LED램프(4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원부(34)의 내측에는 통상의 건전지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이고, 상기 결합프레임부재(30)에는 상기 LED램프의 발광을 위한 전원스위치(36)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부(34)에는 내측의 건전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커버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34)를 상기 램프설치공(32)을 중심으로 좌/우측 설치면부(31)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보호구를 착용시 좌측이나 우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여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조명반사갓(50)은 상기 램프설치공(32)의 내측에 설치된 LED램프(40)를 수용한 상태로 그 램프설치공(32)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조명반사갓(50)의 선단은 상기 투명커버판(70)의 반원형상에 대응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그 투명커버판으 면부에 밀착된다.
즉, 상기 조명반사갓(5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는 확장구(53)와 그 확장구에 일체화된 상태로 상기 램프설치공(32)에 장착시 상기 LED램프(40)를 수용하는 중공형 수용구(5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확장구(53)의 선단에는 그 확장구(53)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구(5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명반사갓(50)의 선단을 상기 투명커버판(70)의 반원형상에 대응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상기 투명커버판(70)의 면부에 밀착되게 하는 이유는, 반원형상을 하는 상기 투명커버판(70)의 오목한 일측면과 조명반사갓(50)의 일측단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LED램프(40)에서 발광하는 빛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즉, 상기 조명반사갓(50)의 일측단이 평단면상 직선인 경우, 투명커버판(70)의 일측면과 조명반사갓(50)의 일측단사이에 일정한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그 이격공간을 통해 상기 LED램프(40)에서 발광하는 빛이 외부로 새어나감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작업부위를 환하게 비출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명반사갓(50)의 일측단을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상기 투명커버판(70)의 오목한 내측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LED램프에서 발광하는 빛이 작업부위를 보다 환하게 비출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LED램프(40)에서 발광하는 빛이 상기 개구부(35)방향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일차적으로 방지하여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명반사갓(50)의 선단에 반사갓패킹(51)을 설치하여 상기 투명커버판(70)의 면부와 조명반사갓(50) 선단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조명반사갓(50)의 선단이 더욱 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조명반사갓(50)의 연장구(54)에 상기 반사갓패킹(51)이 끼워지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명반사갓(50)의 선단에 설치되는 반사갓패킹(51)에 의해 상기 LED램프(40)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상기 결합프레임부재(30)의 개구부(35)로 새어나가는 것을 일차적으로 방지하고, 상기 설치면부(31)에 설치되는 빛차단패킹(33)에 의해 재차 방지함으로써 상기 LED램프(40)에서 발광하는 빛이 개구부방향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안전모(10)의 후방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면부(31)의 전원부(34)에서 상기 LED램프(4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LED램프(4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전원부(11)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전원부(11)에도 통상의 건전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전원부(11)의 내측에는 중량구(13)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중량구(13)는 상기 보조전원부(11)의 내측 하부 또는 외측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량구(13)를 상기 보조전원부(11)에 설치하는 이유는, 안전모(10)의 전방에 상기 결합프레임부재(30)가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무게 중심이 앞쪽으로 쏠리게 됨으로, 이러한 현상을 없애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안전모(10)의 후방에 상기 중량구(13)가 설치하여 작업중 안전 보호구가 앞쪽으로 기울여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안전보호구를 착용하게 되면 머리와 안면을 함께 보호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안전모와 안면보호장비를 별도로 착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편의성이 향상되고, 투명커버판의 오목한 내측면과 조명반사갓의 일측단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LED램프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작업부위를 더욱 환하게 비출 수 있게 된다.
그리고, LED램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협소한 작업공간의 이동중 발생하는 LED램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LED램프에 작업공간의 먼지나 작업중 발생하는 이물질이 직접 부착되지 않게 되어 작업중 선명한 발광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명반사갓 및 결합프레임부재의 설치면부에 설치되는 빛차단패킹에 의해 LED램프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결합프레임부재의 개구부방향으로 새어나가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안전모 20: 안면보호부
30: 결합프레임부재 40: LED램프
50: 조명반사갓 51: 반사갓패킹
70: 투명커버판

Claims (7)

  1. 작업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반구형의 안전모와 그 안전모의 전방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안면보호부로 구성된 작업용 안전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안면보호부는, 상기 안전모의 전방에 설치되되 LED램프 설치를 위한 램프설치공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구된 반원형 틀 형상의 결합프레임부재;
    상기 램프설치공의 내측에 설치된 LED램프를 수용한 상태로 그 램프설치공에 장착되는 중공형 조명반사갓;
    상기 결합프레임부재의 전면에 설치되어 작업시 발생하는 파편으로부터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호 형상의 투명커버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 보호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부재에는, 상기 램프설치공이 형성된 설치면부가 개구부 상측에 위치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 보호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부에는 상기 램프설치공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LED램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 보호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부에는, 상기 LED램프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상기 결합프레임의 개구부방향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프레임부재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투명커버판에 선단이 밀착되는 빛차단패킹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 보호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반사갓의 선단은 상기 투명커버판의 반원형상에 대응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그 투명커버판의 면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 보호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반사갓의 선단에는, 상기 투명커버판의 면부와 조명반사갓 선단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반사갓패킹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 보호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의 후방에는, 상기 설치면부의 전원부에서 상기 LED램프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LED램프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전원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 보호구.
KR1020130020466A 2013-02-26 2013-02-26 작업용 안전보호구 KR101404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466A KR101404438B1 (ko) 2013-02-26 2013-02-26 작업용 안전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466A KR101404438B1 (ko) 2013-02-26 2013-02-26 작업용 안전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438B1 true KR101404438B1 (ko) 2014-06-10

Family

ID=5113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466A KR101404438B1 (ko) 2013-02-26 2013-02-26 작업용 안전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4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664Y1 (ko) 2020-01-07 2020-05-15 최석재 스크래치 방지구조를 가지는 안면 보호구
CN114711502A (zh) * 2022-04-15 2022-07-08 西安科技大学 一种一体化防尘防噪音安全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8447U (ko) * 1990-04-07 1991-12-25
US6609913B1 (en) 2002-05-15 2003-08-26 Felix M. Batts Educational youth fireman helmet
KR20030079879A (ko) * 2003-09-04 2003-10-10 (주)킨스트 레저용 안전모
KR200450780Y1 (ko) 2010-04-13 2010-10-29 이호남 조명수단이 구비된 안전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8447U (ko) * 1990-04-07 1991-12-25
US6609913B1 (en) 2002-05-15 2003-08-26 Felix M. Batts Educational youth fireman helmet
KR20030079879A (ko) * 2003-09-04 2003-10-10 (주)킨스트 레저용 안전모
KR200450780Y1 (ko) 2010-04-13 2010-10-29 이호남 조명수단이 구비된 안전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664Y1 (ko) 2020-01-07 2020-05-15 최석재 스크래치 방지구조를 가지는 안면 보호구
CN114711502A (zh) * 2022-04-15 2022-07-08 西安科技大学 一种一体化防尘防噪音安全帽
CN114711502B (zh) * 2022-04-15 2023-11-17 西安科技大学 一种一体化防尘防噪音安全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780Y1 (ko) 조명수단이 구비된 안전모
US6250769B1 (en) Visor light cap
EP3541220B1 (en) Lighting attachment for welding helmets
KR20140111730A (ko) 마스크 탈착형 자동 차광 고글
JP2011518960A5 (ko)
US7341361B2 (en) Auxiliary light source for self-contained breathing masks
KR101404438B1 (ko) 작업용 안전보호구
CA2660317C (en) Hard hat outer shell having clear acrylic construction and internal illumination
KR200489213Y1 (ko) 탈착식 조명장치가 구비된 안전모
KR102160663B1 (ko) 엘이디가 구비된 용접 마스크
EP2825068B1 (en) Protective helmet with lighting device
KR101202519B1 (ko) 용접 마스크
JP2013167033A (ja) Led照明付き頭部被り物
US10588371B2 (en) Safety light apparatus for headwear
KR20170099314A (ko) 용접 마스크용 조명장치
KR100534550B1 (ko) 레이저를 이용한 화재진압용 관창
KR20120085595A (ko) 산업용 고글 및 그 고글이 장착된 안전 보호구
KR101537979B1 (ko) 조명기구 장착부재
KR101923541B1 (ko) 안면 보호 마스크용 차광판
JP3125671U (ja) 額帯電灯
KR102265831B1 (ko) 하나의 라이트로 다양한 발광이 제공되는 안전모
JP3235608U (ja) ニット帽用ライト及びライトユニット
KR100967297B1 (ko) 조명구가 설치된 그라인더 작업용 공기 호흡보호구
CN213250366U (zh) 一种可视安全防护罩
KR200460513Y1 (ko)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