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297B1 - 조명구가 설치된 그라인더 작업용 공기 호흡보호구 - Google Patents

조명구가 설치된 그라인더 작업용 공기 호흡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297B1
KR100967297B1 KR1020090017143A KR20090017143A KR100967297B1 KR 100967297 B1 KR100967297 B1 KR 100967297B1 KR 1020090017143 A KR1020090017143 A KR 1020090017143A KR 20090017143 A KR20090017143 A KR 20090017143A KR 100967297 B1 KR100967297 B1 KR 100967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ee
operator
view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현석
Original Assignee
고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현석 filed Critical 고현석
Priority to KR1020090017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8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with supply or suction of gas, air or smoke inside or outside the welding hoo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Zoolog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구가 설치된 그라인더 작업용 공기 호흡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라인더 작업시 작업공간이 협소한 곳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 할 수 있도록 공기 호흡보호구에 조명구를 설치하고, 보호판넬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뿐 아니라 조명구의 파손을 방지하는 조명구가 설치된 그라인더 작업용 공기 호흡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머리, 안면 및 어깨까지 덮어쓸 수 있는 반 밀폐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투시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로 에어콤푸레셔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라인으로 구성된 공기 호흡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20)는, 상기 몸체(10)의 전면에 설치되는 틀 형상의 투시구(21)와; 상기 투시구(21)의 외주연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설치된 전원공급부(1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조명구(25)와; 상기 투시구(21)의 전면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고 시야를 확보하는 보호판넬(2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 투시부, 에어라인, 조명구, 슬라이딩홈, 그라인딩, 보호판넬

Description

조명구가 설치된 그라인더 작업용 공기 호흡보호구{AIR RESPIRATORY APPARATUS FOR A GRINDER WORK THAT WAS INSTALLED ILLUMIN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구가 설치된 그라인더 작업용 공기 호흡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라인더 작업시 작업공간이 협소한 곳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 할 수 있도록 공기 호흡보호구에 조명구를 설치하고, 보호판넬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뿐 아니라 조명구의 파손을 방지하는 조명구가 설치된 그라인더 작업용 공기 호흡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공사현장에서 실시되는 용접작업, 도장작업, 그라인딩 작업 또는 선박, 탱크 안의 협소공간에서의 각종 작업에는 필수적으로 작업복이 필요하고, 더 나아가서는 사람의 호흡시 작업중 발생하는 각종 분진을 마시지 않도록 별도의 보호구를 머리부위에 착용하게 된다.
일례로 분진이 많이 발생하는 공기 호흡기용 그라인딩 보호구를 살펴보면, 보호구의 일측에 에어 콤프레셔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라인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에어라인의 타측에는 상기 보호구내로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콤프레셔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구의 전면에는 작업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보안경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 호흡기용 그라인딩 보호구를 착용한 상태로 작업공간이 협소한 특히 사방이 어둡고 밀폐된 선박내에 들어가서 그라인딩 작업을 할 경우 작업자는 별도의 띠형상 휴대용 조명기구를 머리에 설치한 후 작업공간으로 들어가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그라인딩 부위가 옮겨질때 마다 상기 휴대용 조명기구의 입사각도를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름은 물론 작업장소를 옮기는 과정에서 선박의 내부 벽면에 상기 휴대용 조명기구가 걸림되어 벗겨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현장에서의 작업자들은 휴대용 조명기구를 잘 사용하지 않고 그라인딩시 발생되는 순간적인 불빛에 의해 그라인딩 부위의 상태여부를 확인하여 그라인딩을 하게 된다.
이후, 그라이딩 상태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선박내 협소공간에 그라인딩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게되고, 재차 적인 그라인딩 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작업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투시구에 조명구를 설치하여 작업공간이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의 시야에 맞게 조명이 비춰지도록 하며, 보호판넬의 용이한 교체와 더불어 조명구의 파손을 방지하는 조명구가 설치된 그라인더 작업용 공기 호흡보호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작업자의 머리, 안면 및 어깨까지 덮어쓸 수 있는 반 밀폐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투시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로 에어콤푸레셔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라인으로 구성된 공기 호흡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20)는, 상기 몸체(10)의 전면에 설치되는 틀 형상의 투시구(21)와; 상기 투시구(21)의 외주연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설치된 전원공급부(1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조명구(25)와; 상기 투시구(21)의 전면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고 시야를 확보하는 보호판넬(2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면, 투시구에 설치된 조명구로 인해 작업자 가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자의 시야에 맞게 상기 조명구에서 발산되는 빛이 비춰지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작업자의 시야가 옮겨 질때 마다 머리에 장착된 조명기기를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판넬로 인해 조명구가 그라인딩 작업시 파편에 의한 파손되는 것이 방지됨으로 유지 및 보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명구가 설치된 그라인더 작업용 공기 호흡보호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구가 설치된 그라인더 작업용 공기 호흡보호구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시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시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구가 설치된 그라인더 작업용 공기 호흡보호구는 작업자의 머리, 안면 및 어깨까지 덮어쓸 수 있는 반 밀폐형 몸체와, 투시부, 에어라인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천 소재로 제조되어 작업자의 머리, 안면 및 어깨까지 덮어쓸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의 하단에는 조임용 고무밴드(11)가 설치되고, 상기 투시부(20)는 상기 몸체(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라인(30)은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에어콤푸레셔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공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주요 특징부 구성인 상기 투시부(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투시부(20)는, 투시구(21)와, 조명구(25)와, 보호판넬(27)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투시구(21)는 틀 형상으로 상기 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투시공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투시구(21)의 외주연에는 후술되는 조명구(25)가 설치되도록 일정깊이의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명구(25)는 상기 투시구(21)의 외주연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설치된 전원공급부(1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한다.
다시 말해, 상기 투시구(21)의 외주연에 형성된 삽입홈(22)에 상기 조명구(25)가 설치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설치된 전원공급부(15)에 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15)에 형성된 스위치(16)의 작동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거나 발산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16)는 상기 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호판넬(27)은 상기 투시구(2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투시구(21)의 전면을 가린다.
즉, 상기 보호판넬(2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투시구(21)의 짧은변 일측에서 상기 투시구(21)의 긴변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23)을 통해 타측 짧은변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투시구(21)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투시구(21)의 전면 개구부를 가림과 동시에 그라인더 작업시 튀게 되는 파편으로부터 상기 조명구(25)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판넬(27)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투시구(21)의 외주연에 설치된 회전고정구(28)를 매개로 상기 투시구(21)의 전면에 결합된다.
다시 말해, 상기 투시구(21)의 외주연에 회동가능하게 핀 설치된 상기 회전고정구(28)에 의해 상기 투시구(21)의 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투시구(21)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구(29)에 상기 보호판넬(27)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전고정구(28)를 회동하여 상기 보호판넬(27)이 상기 투시구(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작업자는 몸체(10)의 후면에 에어콤푸레셔가 연결된 에어라인을 연결하여 작업과정중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상기 몸체(10)의 전면에 설치된 틀 형상의 투시구(21)에 보호판넬(27)을 결합한다.
이후, 선박내 협소공간으로 그라인딩 작업을 하러 들어가기 전에 상기 몸체(10)를 간단하게 머리에서부터 뒤집어 쓴 다음 상기 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스위치(16)를 작동하여 상기 조명구(25)에 불이 들어오게 한다.
그런 다음, 작업장소로 이동하여 그라인딩 작업을 수행하면 되는데, 그라인딩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파편이 상기 보호판넬(27)에 튀게 되어 상기 보호판넬(27)에 흠집이 생기게 되는데, 이렇게 흠집이 생기게 되면 작업자의 시야에 방해가 되므로 상기 보호판넬(27)을 상기 투시구(21)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보호판넬를 결합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판넬(27)은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함은 물론 그라인딩 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파편에 의해 상기 투시구(21)에 설치된 조명구(25)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투시구에 설치된 조명구로 인해 작업자가 작업공간이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경우 투시구에 설치된 조명구로 인해 용이한 작업이 가능할 뿐 아니라 조명구에서 발산되는 빛이 작업자의 시야에 맞게 비춰지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작업자의 시야가 옮겨 질때 마다 머리에 장착된 조명기기를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판넬에 의해 조명구가 그라인딩 작업시 파편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조명구의 교체에 따른 보수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구가 설치된 그라인더 작업용 공기 호흡보호구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시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시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시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시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1: 조임용 고무밴드
15: 전원공급부 16: 스위치
20: 투시부 21: 투시구
22: 삽입홈 23: 슬라이딩홈
25: 조명구 27: 보호판넬
28: 회전고정구 29: 돌출구
30: 에어라인

Claims (3)

  1. 삭제
  2. 천 소재로 제조되어 작업자의 머리, 안면 및 어깨까지 덮어쓸 수 있는 반 밀폐형으로 구성되고, 하단에 조임용 고무밴드(11)가 설치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부(20)와; 작업과정중에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도록 에어콤푸레셔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라인(30)으로 구성되고,
    상기 투시부(20)는, 상기 몸체(10)의 전면에 설치되는 틀 형상의 투시구(21)와, 상기 투시구(21)의 외주연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설치된 전원공급부(1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조명구(25)와, 상기 투시구(21)의 전면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고 시야를 확보하는 보호판넬(27)로 구성되며,
    상기 보호판넬(27)은 상기 투시구(2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구가 설치된 그라인더 작업용 공기 호흡보호구.
  3. 천 소재로 제조되어 작업자의 머리, 안면 및 어깨까지 덮어쓸 수 있는 반 밀폐형으로 구성되고, 하단에 조임용 고무밴드(11)가 설치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부(20)와; 작업과정중에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도록 에어콤푸레셔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라인(30)으로 구성되고,
    상기 투시부(20)는, 상기 몸체(10)의 전면에 설치되는 틀 형상의 투시구(21)와, 상기 투시구(21)의 외주연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설치된 전원공급부(1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조명구(25)와, 상기 투시구(21)의 전면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고 시야를 확보하는 보호판넬(27)로 구성되며,
    상기 보호판넬(27)은 상기 투시구(21)의 외주연에 설치된 회전고정구(28)를 매개로 상기 투시구(21)의 전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구가 설치된 그라인더 작업용 공기 호흡보호구.
KR1020090017143A 2009-02-27 2009-02-27 조명구가 설치된 그라인더 작업용 공기 호흡보호구 KR100967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143A KR100967297B1 (ko) 2009-02-27 2009-02-27 조명구가 설치된 그라인더 작업용 공기 호흡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143A KR100967297B1 (ko) 2009-02-27 2009-02-27 조명구가 설치된 그라인더 작업용 공기 호흡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297B1 true KR100967297B1 (ko) 2010-07-01

Family

ID=42645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143A KR100967297B1 (ko) 2009-02-27 2009-02-27 조명구가 설치된 그라인더 작업용 공기 호흡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2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3695U (ko) * 1978-03-09 1979-09-17
KR200163072Y1 (ko) * 1996-12-23 2000-03-02 신현준 조명장치를 갖는 용접용 안면보호장비
KR20010063072A (ko) * 1999-12-21 2001-07-09 신영주 적층형 열교환기
KR20040039220A (ko) * 2004-04-06 2004-05-10 박춘배 방호두건용 보안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3695U (ko) * 1978-03-09 1979-09-17
KR200163072Y1 (ko) * 1996-12-23 2000-03-02 신현준 조명장치를 갖는 용접용 안면보호장비
KR20010063072A (ko) * 1999-12-21 2001-07-09 신영주 적층형 열교환기
KR20040039220A (ko) * 2004-04-06 2004-05-10 박춘배 방호두건용 보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33060A1 (en) Lighting attachment for welding helmets
KR100967297B1 (ko) 조명구가 설치된 그라인더 작업용 공기 호흡보호구
US20160113734A1 (en) Blasting device
ES2950042T3 (es) Casco de soldadura con oscurecimiento automático
KR101378978B1 (ko) 블라스팅 노즐 장치
KR101404438B1 (ko) 작업용 안전보호구
KR20120085595A (ko) 산업용 고글 및 그 고글이 장착된 안전 보호구
KR101237675B1 (ko)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KR100976692B1 (ko) 작업용 방호두건
KR200478261Y1 (ko) 보안경 일체형 안전모
KR101923541B1 (ko) 안면 보호 마스크용 차광판
CN214912798U (zh) 一种多功能装修防尘面具
KR20120004567U (ko) 작업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안전모
CN211068815U (zh) 煤矿用防尘防雾防护面罩
KR101202519B1 (ko) 용접 마스크
KR20130076385A (ko) 용접 마스크
KR20100009777U (ko) 안전등이 구비된 안전모
KR200445891Y1 (ko) 도장 작업용 풍력식 방폭 작업등
KR200421052Y1 (ko) 불빛이 발광되는 안전복
KR20110033540A (ko) Led가 부착된 잠수복
KR20240066591A (ko) 에어가 공급되는 송기마스크의 조명장치
CN213250366U (zh) 一种可视安全防护罩
JPH05137808A (ja) 塗装作業等で使用される保護装置
CN221098572U (zh) 一种多功能型led头灯
JP3125671U (ja) 額帯電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