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513Y1 -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513Y1
KR200460513Y1 KR2020100009977U KR20100009977U KR200460513Y1 KR 200460513 Y1 KR200460513 Y1 KR 200460513Y1 KR 2020100009977 U KR2020100009977 U KR 2020100009977U KR 20100009977 U KR20100009977 U KR 20100009977U KR 200460513 Y1 KR200460513 Y1 KR 200460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astened
holder
led modu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372U (ko
Inventor
노진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100009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513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3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3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5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과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조도센서로 구성되는 조도센서모듈과,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조도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조도를 근거로 빛의 세기가 조절되는 LED모듈과,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LED모듈의 배면에 배치되는 반사판과,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LED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어 체결되는 확산렌즈와,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체결되고, 안전모 챙의 일부가 삽입되어지는 삽입홈이 형성된 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Nighttime illumination device for safety cap}
본 고안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야간 및 구내작업 등의 조도가 확보되지 않은 공에서의 전기작업은 전선 혼촉에 의한 아크를 발생시켜 안면 화상을 유발할 수 있고, 감전 및 화재의 원이 되므로 어두운 현장에서 보조 조명기구의 성능은 작업자 안전과 화재로 직격될 수 있어 안전모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헤드랜턴은 매우 중요한 안전장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안전모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는 헤드랜터은 부피가 크고 무겁고 안전모와 부착성이 매우 떨어지는 밴드방식으로 되어 있어 장시간 사용시 끊어지거나 늘어져 사용에 불편함이 많고 특히 아크방지를 위한 안전면과 병형하여 상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안전모 안전면에 병행하고 조명의 방향을 작업하는 면에 집중 조명할 수 잇는 구조로 작업면 조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치 개발이 필요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설치가 용이하고 중량이 가벼운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과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조도센서로 구성되는 조도센서모듈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조도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조도를 근거로 빛의 세기가 조절되는 LED모듈과,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LED모듈의 배면에 배치되는 반사판과,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LED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어 체결되는 확산렌즈와,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체결되고, 안전모 챙의 일부가 삽입되어지는 삽입홈이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는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과 체결되어 기밀시키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되는 제 1 방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은 반사율이 45%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렌즈는 아크릴로 빛의 투과율이 92% 이상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홀더하우징과, 상기 홀더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안전모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홀더하우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되는 제 2 방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모듈의 작동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스위치는,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조작스위치커버와, 상기 조작스위치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조작스위치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는 충전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충전모듈을 방수시키는 방수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안전모에 조립이 간편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야간 작업시 작업자에게 효과적인 광량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는 하우징(113)을 포함한다. 하우징(113)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제 1 하우징(11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3)은 제 1 하우징(111)과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기밀시키는 제 2 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는 하우징(113)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LED모듈(130)을 포함한다. 이때, LED모듈(130)은 LED램프(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ED모듈(130)은 LED램프(131)를 제어하는 LED제어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는 하우징(113)에 체결되는 반사판(140)을 포함한다. 반사판(140)은 LED모듈(13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판(140)은 반사율이 45% 이상일 수 있다.
이때, 반사판(140)의 반사율이 45% 미만인 경우 LED모듈(130)에서 방출되는 빛이 외부로 효과적으로 반사되지 못하므로 작업 시 전면이 잘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의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반사판(140)의 반사율은 45% 이상이어야 한다.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는 하우징(113)에 체결되는 전원공급부(160)를 포함한다. 이때, 전원공급부(160)는 LED모듈(130)과 전기적으로 체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6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공급부(160)는 1차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60)는 2차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원공급부(160)가 2차전지를 포함하는 경우, 전원공급부(160)는 니켈-폴리머(Ni-Polymer)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니켈-폴리머 전지의 전원은 3.7V로 형성될 수 있다.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는 하우징(113)의 전면에 배치되는 확산렌즈(120)를 포함한다. 확산렌즈(120)는 제 1 하우징(111)의 전면에 체결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빛을 확산시킬 수 있다.
이때, 확산렌즈(120)는 아클리로 빛의 투과율이 92% 이상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클리로 빛의 투과율이 92% 미만인 경우에는 빛이 효과적으로 확산되지 않음으로 효율적인 작업반경을 도출할 수 없다.
특히 확산렌즈(120)는 LED모듈(130)에서 방출되는 빛이 조사되었을 때 1m 거리에서 지름 1m 원형으로 조사면이 형성되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는 하우징(113)에 배치되는 조도센서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도센서모듈(190)은 LED제어부(132)에 체결되는 조도센서(1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도센서(192)는 외부의 환경에 따른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조도센서(192)는 상기 측정된 조도를 근거로 LED모듈(130)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는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출되는 빛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조도센서모듈(190)는 하우징(113)에 체결되는 투명판(191)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판(191)은 외부의 광원이 하우징(113) 내부로 유입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는 하우징(113)에 체결되는 홀더(17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70)는 안전모(미도시)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홈(미표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홈은 상기 안전모의 챙 부분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홀더(170)는 하우징(113)에 체결되는 홀더하우징(17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홀더(170)는 홀더하우징(171)과 체결되는 고정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72)는 홀더하우징(171)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172a)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72a)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들 들면, 돌출부(172a)는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72a)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는 LED모듈(130)의 작동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스위치(18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스위치(180)는 조작스위치커버(182)와 조작스위치커버(182)의 내측에 배치되는 조작스위치모듈(18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작스위치모듈(181)은 작업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LED모듈(130)을 작동시키도록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스위치모듈(181)는 4 가지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4 가지 모드는 ON모드, OFF모드, AUTO모드 및 BLINKING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작업환경에 따라서 LED모듈(1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는 제 1 하우징(111)에 체결되는 방수커버(1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는 LED제어부(132) 배면에 배치되는 충전모듈(1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충전모듈(152)은 전원공급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방수커버(151)는 충전모듈(152)을 외부와 단절시킴으로써 외부의 수분이 충전모듈(152)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는 제 1 하우징(111)과 제 2 하우징(112)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방수부재(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는 제 1 하우징(111)과 홀더하우징(171)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방수부재(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방수부재(114) 및 제 2 방수부재(115)는 외부의 수분이 하우징(113)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분이 많은 지역에서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외부의 수분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의 설치 및 작동방법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를 상기 안전모의 챙 부분에 삽입하여 체결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에 상기 안전모의 챙 부분을 삽입시킨다. 작업자가 상기 안전모의 챙 부분을 삽입하면, 돌출부(172a)가 홀더하우징(171) 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삽입홈에 일부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안전모의 챙 부분이 완전히 삽입되면, 돌출부(172a)는 상기 안전모에 힘을 가하여 고정시킨다.
작업자가 상기와 같이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를 장착하고 작업을 하는 동안 조작스위치(180)를 통하여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상기 ON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LED모듈(130)은 외부의 환경에 상관없이 계속해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상기 OFF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LED모듈(130)은 외부의 환경에 상관없이 빛을 방출하지 않는다.
한편, 작업자가 상기 BLINKING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LED모듈(130)은 외부의 환경에 상관없이 계속해서 빛을 방출하였다가 방출하지 않았다를 계속해서 반복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AUTO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조도센서(192)가 외부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조도가 기 설정된 조도 초과하는 경우, 조도센서(192)는 LED모듈(130)을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LED모듈(130)은 외부로 빛을 방출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상기 측정된 조도가 기 설정된 조도를 초과하는 경우, 조도센서(192)는 LED모듈(13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LED모듈(130)은 외부로 빛을 방출하여 작업자의 시야를 밝힐 수 있다.
따라서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는 안전모에 조립이 간편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는 야간 작업시 작업자에게 효과적인 광량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100)는 경량화를 통하여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152 : 충전모듈
111 : 제 1 하우징 160 : 전원공급부
112 : 제 2 하우징 171 : 홀더바디부
114 : 제 1 방수부재 172 : 고정부
115 : 제 2 방수부재 180 : 조작스위치
120 : 확산렌즈 190 : 조도센서모듈
130 : LED모듈 191 : 투명판
140 : 반사판 192 : 조도센서
151 : 방수커버

Claims (18)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과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조도센서로 구성되는 조도센서모듈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조도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조도를 근거로 빛의 세기가 조절되는 LED모듈과,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LED모듈의 배면에 배치되는 반사판과,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LED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어 체결되는 확산렌즈와,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체결되고, 안전모 챙의 일부가 삽입되어지는 삽입홈이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는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과 체결되어 기밀시키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하는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되는 제 1 방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반사율이 45% 이상인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충전이 가능한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렌즈는 아크릴로 빛의 투과율이 92% 이상인 재질로 형성되는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홀더하우징과,
    상기 홀더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안전모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홀더하우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되는 제 2 방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ED모듈의 작동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는,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조작스위치커버와,
    상기 조작스위치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조작스위치모듈을 포함하는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는 충전모듈을 더 포함하는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충전모듈을 방수시키는 방수커버를 더 포함하는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KR2020100009977U 2010-09-28 2010-09-28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KR2004605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977U KR200460513Y1 (ko) 2010-09-28 2010-09-28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977U KR200460513Y1 (ko) 2010-09-28 2010-09-28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372U KR20120002372U (ko) 2012-04-05
KR200460513Y1 true KR200460513Y1 (ko) 2012-05-25

Family

ID=4660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977U KR200460513Y1 (ko) 2010-09-28 2010-09-28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51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7295B2 (en) * 2012-10-18 2017-08-01 Ansell Limited Lighted visor and method of retrofitting a protective su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6942A (en) * 1978-02-27 1979-06-05 Isfeld Rodney H Lamp assembly for helmets, hard hats and the lik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6942A (en) * 1978-02-27 1979-06-05 Isfeld Rodney H Lamp assembly for helmets, hard hats and the li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372U (ko)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89269B (zh) 带有可调扩散透镜的头灯
JP5948379B2 (ja) 消防士用照明装置および方法
US7934846B1 (en) Welding helmet having an automatic lighting system
CN109982596A (zh) 焊接帽罩的灯具附件
US20110107491A1 (en) Welding Helmet Light/Strike Light
KR101882719B1 (ko) 휴대용 엘이디조명 겸용 경광등
KR101691428B1 (ko) 비상 점멸이 가능한 휴대형 led 랜턴
KR101174492B1 (ko) 엘이디 일체형 차량용 안개등
KR200460513Y1 (ko) 안전모 야간 조명장치
CN218095518U (zh) 头灯
KR101981248B1 (ko) 밴드타입 헤드랜턴
CN218237122U (zh) 一种车用手电筒
JP7190678B2 (ja) 防災照明装置
KR200425653Y1 (ko) 이동형 작업등
CN220030125U (zh) 电动工具
KR20140003164U (ko) 탈부착식 중장비차량의 실내조명등
GB2576280A (en) LED light source
CN217736968U (zh) 双向照明设备
CN210568042U (zh) 灯具
RU2682316C1 (ru) Светильник шахтный головной
KR101648163B1 (ko) Led 조명장치
KR101666164B1 (ko) 헬멧용 랜턴
KR101648162B1 (ko) Led 조명장치
JP2024004541A (ja) 照明装置
KR101159295B1 (ko) 휴대용 조명기구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안전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