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032B1 -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 - Google Patents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032B1
KR101616032B1 KR1020150166321A KR20150166321A KR101616032B1 KR 101616032 B1 KR101616032 B1 KR 101616032B1 KR 1020150166321 A KR1020150166321 A KR 1020150166321A KR 20150166321 A KR20150166321 A KR 20150166321A KR 101616032 B1 KR101616032 B1 KR 101616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lamp
main body
flashl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주
김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이타게이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이타게이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이타게이트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66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traction or compression, e.g.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에 대한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은 배터리를 병렬로 삽입할 경우 배터리마개부의 일면에 공회전되는 접지부를 구비하여 삽입된 배터리가 회전되지 않고 그 위치를 유지하며 배터리마개부를 나사 체결하여 기존 배터리를 안착하는 배터리케이스와 같은 부수적인 구성품이 불필요하고, 램프의 회전부에 수기어를 형성하고, 램프안착부에 수직방향으로 탄성이동되는 암기어를 구비하여 라쳇기어작용으로 램프를 원하는 위치로 회전후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 { Batteries are easily mounted flashlight }
본 발명은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전등에 삽입되는 배터리가 병렬로 삽입되되 배터리마개가 나사체결되도록 배터리마개의 상면에 공회전되는 접지부가 구비되고, 램프가 정해진 각도로 가변되도록 램프의 회전부에 수기어를 형성하고, 램프안착부에 수직방향으로 탄성이동되는 암기어가 구비된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전등은 자체 전원을 구비하여 휴대용으로 이용되는 조명등을 말하며 이러한 손전등은 조명이 없거나 부족한 어두운 곳에서는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품이다.
그러나 기존의 손전등은 단순한 조명수단의 역할에만 기능이 한정되어 있는 제품들이 대부분으로 조명기능에만 한정된 기존의 손전등은 오히려 사용자의 행동에 제약을 가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긴급상황에서 한 손에 손전등이 들려 있기 때문에 긴급하게 다른 동작을 수행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손전등이 사용되는 긴급상황을 살펴보면 야전 즉, 산이나 들 따위의 야외에서 밤에 벌이는 전투시 총 또는 군장들을 소지한 상태로 후레쉬를 사용하거나 화재현장 즉, 화재시 전기가 끊기고 연기로 인하여 주변이 식별되지 않을 경우에 사용되는 것을 말하는데 이러한 긴급상황에서는 두 손이 모두 자유로워야 그 상황에 유리하게 대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최근들어 몸에 고정할 수 있는 손전등이 많이 개발되고 있고, 이러한 기술문헌으로 소방관 또는 병사의 헬멧에 고정되는 결착식 손전등으로 국내특허공보 제10-2015-0012430호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손전등은 긴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헬멧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두 손을 자유롭게 하는 것은 개선하였으나 손전등의 빛을 원하는 지점으로 비추기 위해서는 직접 몸 또는 머리를 움직여야 함으로써, 긴급상황시 어느 한 지점을 정확하게 비추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손전등에 결합되는 배터리는 상기 손전등의 내측에 일자형의 직렬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건전지의 수명이 단축되게 되어 자주 건전지를 교체하여 주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문헌으로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7684호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손전등은 배터리를 안착시키는 별도의 배터리케이스가 구비됨으로써, 손전등의 제작시 생산단가가 상승하고, 배터리의 교체 작업시 다수의 구성요소로 인하여 배터리의 교체작업 자체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를 병렬로 삽입할 경우 배터리마개부의 일면에 공회전되는 접지부를 구비하여 삽입된 배터리가 회전되지 않고 그 위치를 유지하며 배터리마개부를 나사 체결하여 기존 배터리를 안착하는 배터리케이스와 같은 부수적인 구성품이 불필요하고, 램프의 회전부에 수기어를 형성하고, 램프안착부에 수직방향으로 탄성이동되는 암기어를 구비하여 라쳇기어작용으로 램프를 원하는 위치로 회전후 고정할 수 있는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은 내부에 배터리가 삽입되어 휴대용 조명수단으로 사용되는 손전등으로서 일면에 고정클립과 전원스위치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램프가 구비된 램프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배터리가 병렬로 삽입되는 배터리부로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상기 배터리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지닌 한 쌍의 배터리삽입부와, 상기 한 쌍의 배터리삽입부가 접촉된 양측면에 상부방향으로 요입된 삽입공과, 상기 본체부의 하부 외측면에 나사체결되는 접시형상의 배터리마개부와, 상기 배터리마개부의 상면에 상기 배터리의 하면에 접촉되는 접지단자가 형성된 접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단자가 상면에 안착된 접지판과, 상기 접지판의 하부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연장편과, 상기 접지판이 삽입되는 링형상의 접지판소켓과, 상기 접지판소켓의 상부 내측면에 상기 걸림연장편이 걸려지도록 내측으로 연장된 걸림연장부와, 상기 접지판의 상면에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도록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회전방지돌기와, 상기 걸림연장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마개부의 바닥면에 접촉된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공에는 상기 배터리의 상면과 연결되어 상기 램프에 연결된 리턴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돌기의 상면에는 상기 접지단자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접지판이 체결된 후 상기 리턴단자와 접촉되는 리턴연결단자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마개부의 바닥면에는 긴급상황시 유리 또는 바위를 내리쳐 파쇄할 수 있도록 테두리 하면이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내부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파쇄망치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상기 램프가 안착되도록 상면과 전방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요입된 램프안착부와, 상기 램프의 양측면에는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램프안착부의 내부 양측면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회전돌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돌부의 일면에는 치차형상의 수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램프안착부의 내부 일측면에는 상기 수기어와 맞물리는 암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암기어의 하면에는 상기 암기어가 승하강되도록 승하강스프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는 레이저빔이 투광되도록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레이저램프가 형성되고, 상기 레이저램프의 하부에는 상기 배터리와 레이저램프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램프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레이저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의 내부면에는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음향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램프안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경보장치에서 발생된 음향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음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는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의 잔량이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다수개의 엘이디가 실장된 배터리잔량확인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내부에 충전잭포트가 형성된 충전접속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는 상기 고정클립외 카라비너가 연결될 수 있는 파이프형상의 카라비너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터리가 손전등의 내부에 병렬로 삽입되도록 배터리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지닌 한 쌍의 배터리삽입부를 형성함으로써, 배터리를 병렬로 삽입할 수 있어 기존 직렬로 삽입하는 손전등과 대비하여 그 길이를 대폭 감소시켜 휴대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해지고,
둘째, 배터리를 병렬로 삽입할 경우 배터리마개부의 일면에 공회전되며 접촉되는 접지부를 구비함으로써, 배터리삽입부에 삽입된 배터리가 회전되지 않고 그 위치를 유지하며 배터리마개부를 본체부의 하부에 나사체결할 수 있어 기존 배터리를 안착하는 배터리케이스와 같은 부수적인 구성품이 불필요하며,
셋째, 램프에 형성된 회전돌부의 일면에 수기어를 형성하고, 램프안착부의 내부 일면에 수기어와 맞물리되 수직방향으로 탄성이동되는 암기어를 구비함으로써, 평상시에는 탄성력으로 그 위치를 유지하되 적당한 힘을 가하면 램프를 정해진 방향으로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고,
넷째, 손전등의 하부면에 파쇄망치부를 형성함으로써, 긴급한 상황시 주변 구조물 즉, 유리 또는 바위를 파쇄할 수 있으며,
다섯째, 손전등의 일면에 레이저부를 형성함으로써, 긴급한 상화시 주변 구조물등을 편리하게 지적할 수 있고,
여섯째, 손전등의 내부에 음향부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손전등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조난될 경우 주위 사람들에게 음향으로 조난신호를 보내어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키며,
일곱째, 손전등의 일면에 충전접속구를 형성함으로써, 배터리가 모두 소진될 경우 새로운 배터리로 교환하는 것이 아닌 충전 사용하여 사용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여덜째, 손전등의 일면에 배터리잔량확인부를 형성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손전등의 사용을 효과적으로 계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전등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전등의 배터리부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전등의 내부구조를 나타내 보인 일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전등의 파쇄망치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전등의 램프부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전등의 램프부 작용을 나타내 보인 부분작용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손전등의 레이저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손전등의 음향부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손전등의 배터리잔량확인부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손전등의 충전접속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전등의 카라비너홀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은 내부에 배터리(B)가 삽입되어 휴대용 조명수단으로 사용되는 손전등(1)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고정클립(11)과 전원스위치(12)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램프(21)가 구비된 램프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배터리(B)가 병렬로 삽입되는 배터리부(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상기 배터리(B)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지닌 한 쌍의 배터리삽입부(31)와, 상기 한 쌍의 배터리삽입부(31)가 접촉된 양측면에 상부방향으로 요입된 삽입공(32)과, 상기 본체부(10)의 하부 외측면에 나사체결되는 접시형상의 배터리마개부(33)와, 상기 배터리마개부(33)의 상면에 상기 배터리(B)의 하면에 접촉되는 접지단자(341)가 형성된 접지부(3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접지부(34)는 상기 접지단자(341)가 상면에 안착된 접지판(342)과, 상기 접지판(342)의 하부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연장편(343)과, 상기 접지판(342)이 삽입되는 링형상의 접지판소켓(344)과, 상기 접지판소켓(344)의 상부 내측면에 상기 걸림연장편(343)이 걸려지도록 내측으로 연장된 걸림연장부(345)와, 상기 접지판(342)의 상면에 상기 삽입공(32)으로 삽입되도록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회전방지돌기(346)와, 상기 걸림연장부(345)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마개부(33)의 바닥면에 접촉된 코일스프링(347)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접지판소켓(344)의 하부 내측면에는 상기 배터리마개부(33)의 일면에 나사체결되도록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마개부(33)의 접지판소켓(344)이 접촉되는 외주면에는 상기 접지판소켓(344)의 나사홈이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하부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마개부(33)의 상부 내측면에는 상기 본체부(10)의 나사산과 체결되는 나사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32)에는 상기 배터리(B)의 상면과 연결되어 상기 램프(21)에 연결된 리턴단자(321)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돌기(346)의 상면에는 상기 접지단자(341)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접지판(342)이 체결된 후 상기 리턴단자(321)와 접촉되는 리턴연결단자(321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B)의 상면과 램프(22)의 사이에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마개부(33)의 바닥면에는 도 4와 같이 긴급상황시 유리 또는 바위를 내리쳐 파쇄할 수 있도록 테두리 하면이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내부에 다수의 요철(332)이 형성된 파쇄망치부(33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부(20)는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상기 램프(21)가 안착되도록 상면과 전방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요입된 램프안착부(22)와, 상기 램프(21)의 양측면에는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램프안착부(22)의 내부 양측면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회전돌부(2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돌부(23)의 일면에는 치차형상의 수기어(231)가 형성되고, 상기 램프안착부(22)의 내부 일측면에는 상기 수기어(231)와 맞물리는 암기어(232)가 형성되며, 상기 암기어(232)의 하면에는 상기 암기어(232)가 승하강되도록 승하강스프링(23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램프안착부(22)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회전돌부(23)가 삽입될 수 있는 요입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암기어(232)는 상기 요입홈(미도시)의 하면에 승하강되도록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일면에는 도 7과 같이 레이저빔이 투광되도록 상기 배터리(B)와 연결된 레이저램프(13)가 형성되고, 상기 레이저램프(13)의 하부에는 상기 배터리(B)와 레이저램프(13)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램프(13)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레이저스위치(1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내부면에는 도 8과 같이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음향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장치(15)가 형성되고; 상기 램프안착부(22)의 바닥면에는 상기 경보장치(15)에서 발생된 음향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음향공(1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일면에는 도 9와 같이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B)의 잔량이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다수개의 엘이디(L)가 실장된 배터리잔량확인부(1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일면에는 도 10과 같이 상기 배터리(B)가 충전되도록 내부에 충전잭포트(171)가 형성된 충전접속구(17)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충전접속구(17)는 미사용시 상기 충전잭포트(171)를 보호하기 위한 포트덥개(172)가 형성되고, 상기 포트덥개(172)의 일면에는 포트덥개(172)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10)에 연결된 분실방지편(173)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일면에는 도 11과 같이 상기 고정클립(11)외 카라비너(C)가 연결될 수 있는 파이프형상의 카라비너홀(18)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은 내부에 배터리(B)가 삽입되어 휴대용 조명수단으로 사용되는 손전등(1)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고정클립(11)과 전원스위치(12)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램프(21)가 구비된 램프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배터리(B)가 병렬로 삽입되는 배터리부(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부(30)는 상기 배터리(B)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지닌 한 쌍의 배터리삽입부(31)가 형성됨으로써, 다수의 배터리(B)를 상기 본체부(10)의 내측 병렬로 삽입할 수 있어 기존 직렬로 삽입하는 손전등(1)과 대비하여 그 길이가 대폭 작아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삽입부(31)로 인하여 기존 배터리(B)를 안착하는 배터리케이스와 같은 부수적인 구성품이 불필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전등(1)의 생산단가가 대폭 절감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삽입부(31)에 삽입된 배터리(B)를 상부방향으로 가압하되 상기 배터리(B)를 가압하는 접지판(342)이 공회전되도록 상기 배터리마개부(33)의 상면에 돌출되되 양측면이 상기 배터리마개부(33)의 내부에 단속되며 그 사이에 코일스프링(347)이 구비된 접지부(34)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터리삽입부(31)에 삽입된 배터리(B)가 회전되지 않고 그 위치를 유지하며 상기 배터리마개부(33)를 회전시키며 나사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접지부(34)는 접지판(342)의 걸림연장편(343)이 상기 접지판소켓(344)의 걸림연장부(345)에 걸려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배터리마개부(33)의 회전시 상기 접지판(342)을 공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접지판(342)의 하면에는 상부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코일스프링(347)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접지판(342)에 형성된 접지단자(341)와 배터리(B)가 상호 이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마개부(33)의 회전시 상기 접지판(342)이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접지판의 상면에 회전방지돌기(346)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지판(342)이 상기 삽입공(32)에 삽입되는 것으로 접지판(342)의 회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방지돌기(346)에는 상기 접지단지(341)와 연결된 리턴연결단자(321a)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32)에는 상기 배터리(B)와 램프(21)에 연결된 리턴단자(32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터리(B)의 전력이 상기 램프(21)를 지나쳐 상기 리턴단자(32)를 통하여 다시 배터리(B)로 이동하며 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부(20)는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 램프(21)의 양측면에 회전돌부(2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램프(21)가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돌부(23)의 일면에는 치차형상의 수기어(231)가 형성되고, 상기 램프안착부(22)의 내부 일측면에는 상기 수기어(231)와 맞물리는 암기어(232)가 형성되며, 상기 암기어(232)의 하면에는 상기 암기어(232)가 승하강되도록 승하강스프링(23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램프(21)의 회전돌부(23)에 형성된 수기어(231)가 상기 승하강스프링(233)으로 상승하는 암기어(232)와 맞물려 평상시에는 그 위치를 유지하되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하강스프링(233)의 탄성으로 기어가 바뀌며 라쳇기어작용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B : 배터리 1 : 손전등
10 : 본체부 11 : 고정클립
12 : 전원스위치 13 : 레이저램프
14 : 레이저스위치 15 : 경보장치
151 : 음향공 16 : 배터리잔량확인부
17 : 충전접속구 171 : 충전잭포트
172 : 포트덥개 173 : 분실방지편
18 : 카라비너홀 20 : 램프부
21 : 램프 22 : 램프안착부
23 : 회전돌부 231 : 수기어
232 : 암기어 233 : 승하강스프링
30 : 배터리부 31 : 배터리삽입부
32 : 삽입공 321 : 리턴단자
321a : 리턴연결단자 33 : 배터리마개부
331 : 파쇄망치부 332 : 요철
34 : 접지부 341 : 접지단자
342 : 접지판 343 : 걸림연장편
344 : 접지판소켓 345 : 걸림연장부
346 : 회전방지돌기 347 : 코일스프링
L : 엘이디 C : 카라비너

Claims (9)

  1. 내부에 배터리(B)가 삽입되어 휴대용 조명수단으로 사용되는 손전등(1)에 있어서,
    일면에 고정클립(11)과 전원스위치(12)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램프(21)가 구비된 램프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배터리(B)가 병렬로 삽입되는 배터리부(30)로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상기 배터리(B)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지닌 한 쌍의 배터리삽입부(31)와, 상기 한 쌍의 배터리삽입부(31)가 접촉된 양측면에 상부방향으로 요입된 삽입공(32)과, 상기 본체부(10)의 하부 외측면에 나사체결되는 접시형상의 배터리마개부(33)와, 상기 배터리마개부(33)의 상면에 상기 배터리(B)의 하면과 접촉되는 접지단자(341)가 형성된 접지부(3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지부(34)는 상기 접지단자(341)가 상면에 안착된 접지판(342)과, 상기 접지판(342)의 하부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연장편(343)과, 상기 접지판(342)이 삽입되는 링형상의 접지판소켓(344)과, 상기 접지판소켓(344)의 상부 내측면에 상기 걸림연장편(343)이 걸려지도록 내측으로 연장된 걸림연장부(345)와, 상기 접지판(342)의 상면에 상기 삽입공(32)으로 삽입되도록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회전방지돌기(346)와, 상기 걸림연장부(345)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마개부(33)의 바닥면에 접촉된 코일스프링(34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32)에는 상기 배터리(B)의 상면과 연결되어 상기 램프(21)에 연결된 리턴단자(321)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돌기(346)의 상면에는 상기 접지단자(341)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접지판(342)이 체결된 후 상기 리턴단자(321)와 접촉되는 리턴연결단자(32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마개부(33)의 바닥면에는 긴급상황시 유리 또는 바위를 내리쳐 파쇄할 수 있도록 테두리 하면이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내부에 다수의 요철(332)이 형성된 파쇄망치부(33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상기 램프(21)가 안착되도록 상면과 전방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요입된 램프안착부(22)와, 상기 램프(21)의 양측면에는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램프안착부(22)의 내부 양측면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회전돌부(23)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돌부(23)의 일면에는 치차형상의 수기어(231)가 형성되고, 상기 램프안착부(22)의 내부 일측면에는 상기 수기어(231)와 맞물리는 암기어(232)가 형성되며, 상기 암기어(232)의 하면에는 상기 암기어(232)가 승하강되도록 승하강스프링(2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일면에는 레이저빔이 투광되도록 상기 배터리(B)와 연결된 레이저램프(13)가 형성되고, 상기 레이저램프(13)의 하부에는 상기 배터리(B)와 레이저램프(13)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램프(13)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레이저스위치(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내부면에는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음향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장치(15)가 형성되고;
    상기 램프안착부(22)의 바닥면에는 상기 경보장치(15)에서 발생된 음향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음향공(1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일면에는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B)의 잔량이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다수개의 엘이디(L)가 실장된 배터리잔량확인부(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일면에는 상기 배터리(B)가 충전되도록 내부에 충전잭포트(171)가 형성된 충전접속구(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일면에는 상기 고정클립(11)외 카라비너(C)가 연결될 수 있는 파이프형상의 카라비너홀(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
KR1020150166321A 2015-11-26 2015-11-26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 KR101616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321A KR101616032B1 (ko) 2015-11-26 2015-11-26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321A KR101616032B1 (ko) 2015-11-26 2015-11-26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032B1 true KR101616032B1 (ko) 2016-04-28

Family

ID=55915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321A KR101616032B1 (ko) 2015-11-26 2015-11-26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0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210U (ko) * 2016-10-21 2018-05-02 (주)폴스텍 다양한 형태로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한 랜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913Y1 (ko) * 2002-04-04 2002-07-13 주식회사 에이텍 손전등
KR200312459Y1 (ko) * 2002-11-12 2003-05-12 주식회사 에이텍 발광다이오드 손전등
KR20140003778U (ko) * 2012-12-11 2014-06-19 파로비트 주식회사 다기능 휴대용 led 조명장치
US20140177210A1 (en) * 2012-11-26 2014-06-26 Streamlight, Inc. Battery Powered Light With Alignment Mechanis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913Y1 (ko) * 2002-04-04 2002-07-13 주식회사 에이텍 손전등
KR200312459Y1 (ko) * 2002-11-12 2003-05-12 주식회사 에이텍 발광다이오드 손전등
US20140177210A1 (en) * 2012-11-26 2014-06-26 Streamlight, Inc. Battery Powered Light With Alignment Mechanism
KR20140003778U (ko) * 2012-12-11 2014-06-19 파로비트 주식회사 다기능 휴대용 led 조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210U (ko) * 2016-10-21 2018-05-02 (주)폴스텍 다양한 형태로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한 랜턴
KR200487269Y1 (ko) 2016-10-21 2018-10-04 박용주 다양한 형태로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한 랜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6229B2 (en) Stackable LED flare and system
US7748127B1 (en) Light fixture alignment tool
US9239161B2 (en) Coupling for a sealed, lockable battery pack and power adapter and a high intensity search light
US20030151914A1 (en) Safety flashlight
US11898732B2 (en) Lighting fixture
KR101616032B1 (ko) 배터리 안착이 용이한 손전등
AU2010364269B2 (en) Illumination lamp with integrated switch and alarm
US8596810B2 (en) Lighting device with emergency illumination function
WO2012175042A1 (zh) 应急照明设备
JP3172228U (ja) 便利に使用できる移動式led応急灯管
JP2023130482A (ja) 照明器具
CN202972567U (zh) 手电筒
CN106764583A (zh) 一种防摔防水防爆手电筒
KR200478834Y1 (ko) 탐조등
KR200482202Y1 (ko) 스탠드형 조명 또는 걸이형 조명 또는 휴대용 조명으로 겸용할 수 있는 다용도 조명 장치
KR20150114758A (ko) 캠핑 랜턴
CN213513286U (zh) 耐压防爆led照明灯
CN211976593U (zh) 一种便于携带的新型照明工具
KR20190128277A (ko) 태양전지 광섬유 led 조명 논슬립
CN202938261U (zh) 便于握持的led应急灯泡
CN211925439U (zh) 一种安全操作电击手电
CN105042349A (zh) 一种便携应急照明装置
CN203763727U (zh) 灭火装置
CN204333480U (zh) 应急照明插座
CN201568757U (zh) 工作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