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491B1 - L-메티오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L-메티오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491B1
KR101622491B1 KR1020147004082A KR20147004082A KR101622491B1 KR 101622491 B1 KR101622491 B1 KR 101622491B1 KR 1020147004082 A KR1020147004082 A KR 1020147004082A KR 20147004082 A KR20147004082 A KR 20147004082A KR 101622491 B1 KR101622491 B1 KR 101622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ionine
reaction
producing
precursor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271A (ko
Inventor
조르쥬 프레미
파뜨리스 바르
소영 김
성광 손
상목 이
Original Assignee
아르끄마 프랑스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끄마 프랑스,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아르끄마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40057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12P13/12Methionine; Cysteine; Cystine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easoning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합성 공정 및 특수한 효소 공정을 사용하는 L-메티오닌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메틸 메르캅탄 (CH3SH) 의 존재하에 효소 전환 반응에 의해 L-메티오닌 전구체로부터 L-메티오닌을 고수율로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예컨대 사료 및 식품 첨가제로, 의료용품, 의약품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는 L-메티오닌의 선택적 생산을 가능하게 해준다.

Description

L-메티오닌의 제조 방법 {PREPARATION PROCESS OF L-METHIONINE}
본 발명은 생합성 공정 및 특수한 효소 공정을 사용하는 L-메티오닌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메틸 메르캅탄 (CH3SH) 의 존재하에 효소 전환 반응에 의해 L-메티오닌 전구체로부터 L-메티오닌을 고수율로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L-메티오닌 생산 방법은 선행 기술에서 공지된 종래의 방법보다 환경 친화적이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예컨대 사료 및 식품 첨가제로, 의료용품, 의약품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는 L-메티오닌의 선택적 생산을 가능하게 해준다.
메티오닌은 인간 신체의 필수 아미노산 중 하나이고, 사료 및 식품 첨가제로 널리 사용되며, 의료 용액, 의료용품, 뿐만 아니라 의약품의 합성 원료로도 사용된다. 메티오닌은 콜린 (레시틴) 및 크레아틴과 같은 화합물의 전구체로서 작용하며, 시스테인 및 타우린의 합성 원료로도 사용된다. 또한 메티오닌은 황을 제공할 수 있다.
S-아데노실-L-메티오닌은 L-메티오닌으로부터 유래되며, 인간 신체 내에서 메틸 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뇌의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의 합성에 관여한다. L-메티오닌 (L-Met) 및/또는 S-아데노실-L-메티오닌 (SAM) 은 간에서 지방 축적을 저해하고, 동맥 촉진성 지질 대사를 저해한다. 그것은 또한 뇌, 심장 및 신장의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따라서 항우울제, 염증, 근육통, 및 간질환을 완화하는 물질로서 사용되고, 특히 알코올에 의해 야기되는 간질환에 효과적이다.
그것은 또한 소화, 독성 물질의 해독 및 배설 및 납과 같은 중금속의 배설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것은 골관절 질환에 대해 항염증 효과를 갖고, 관절회복을 촉진하고, 또한 모발의 필수 영양소로서 작용하여 탈모를 방지한다.
메티오닌은 이미 화학 합성 및/또는 생물학적 합성에 따라 제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합성은 더욱 효율적, 선택적, 환경 친화적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다수의 작업 및 연구의 주제가 되어 왔다.
화학 합성에서, 메티오닌은 대개 5-(β-메틸메르캅토에틸)히단토인의 가수분해에 의해 생산된다. 화학 합성된 메티오닌은 L-형 및 D-형의 혼합 형태로만 생산된다는 단점이 있다.
생물학적 합성에서, 메티오닌은 메티오닌 합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생산된다. L-메티오닌은 다양한 유전자 예컨대 metA, metB, metC, metE 및 metH 에 의해 발현되는 효소의 작용에 의해 호모세린으로부터 생합성된다. 특히, metA 는 메티오닌 생합성에 필수적인 첫번째 효소인, 호모세린을 O-숙시닐-L-호모세린으로 전환시키는 호모세린-O-숙시닐 트랜스퍼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이다. metB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O-숙시닐호모세린 리아제 또는 시스타티오닌-γ-신타아제는 O-숙시닐-L-호모세린을 시스타티오닌으로 전환한다.
metC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시스타티오닌-β-리아제는 시스타티오닌을 L-호모시스테인으로 전환한다. MetE 는 코발라민-독립 메티오닌 신타아제를 코딩하고, metH 는 코발라민-의존 메티오닌 신타아제를 코딩하고, 이들은 둘다 L-호모시스테인을 L-메티오닌으로 전환한다. 이 때, metF 에 의해 코딩되는 5,10-메틸렌테트라히드로폴레이트 리덕타아제 및 glyA 에 의해 코딩되는 세린 히드록시메틸트랜스퍼라아제가 함께 작용하여 L-메티오닌 합성에 필수적인 메틸기를 제공하는 N(5)-메틸테트라히드로폴레이트를 합성한다. L-메티오닌은 상기 효소들에 의한 일련의 유기 반응에 의해 합성된다.
종래의 생물학적 공정으로 생산되는 메티오닌은 L-형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그 생산량이 매우 미량이다. 이는 메티오닌 생합성 경로가 매우 타이트한 피드백 조절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일단 메티오닌이 일정 수준으로 합성되면, 최종 산물인 메티오닌이 메티오닌 생합성을 개시하는 1 차 단백질을 코딩하는 metA 유전자의 전사를 저해한다. metA 유전자는 전사 단계에서는 메티오닌에 의해 억제되고, 그 후 번역 단계에서는 세포내 프로테아제에 의해 분해되기 때문에, metA 유전자의 과발현만으로는 메티오닌 생산을 증가시킬 수 없다.
종래의 메티오닌 생합성 공정은 시스타티오닌 신타아제 대사 경로를 사용하여 메티오닌을 생산하며, 따라서 이러한 효소 반응 공정은 설파이드 독성 및 부산물 생성으로 인해 비효율적이다. 또한, 메티오닌 합성 경로의 피드백 조절은 메티오닌의 대량 생산을 저해한다.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대안적인 L-메티오닌 생산 방법이 국제 출원 공개 번호 WO 2008/013432 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대안적 방법은 발효에 의해 L-메티오닌 전구체를 생산하는 단계, 및 효소에 의해 상기 L-메티오닌 전구체를 L-메티오닌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2 단계 공정이다.
더욱 정확하게는 WO 2008/013432 는 1) L-메티오닌 전구체 생산 균주를 제조하고, 균주의 발효에 의해 L-메티오닌 전구체를 생산하는 단계, 및 2) L-메티오닌 전구체와의 효소 반응에 의해 L-메티오닌 및 유기산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메티오닌 생산 방법을 개시한다.
단계 2) 공정은 시스타티오닌 신타아제 또는 O-숙시닐 호모세린 설프히드릴라아제 또는 O-아세틸 호모세린 설프히드릴라아제의 활성을 갖는 효소 또는 이들 효소 활성을 보유하는 균주를 사용하며, 상기 L-메티오닌 전구체 생산 균주로부터 생산되는 O-숙시닐 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 호모세린, 및 메틸 메르캅탄을 기질로서 사용하는 효소 반응에 의해 L-메티오닌 및 유기산을 생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WO 2008/013432 는 메틸 메르캅탄의 존재 하에 효소 반응에 의해 L-메티오닌 전구체를 L-메티오닌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단계 2) 에 대한 일반적 정보를 제공한다.
L-메티오닌의 총 수율이 만족스럽긴 하지만, 여전히 L-메티오닌의 생합성을 더욱더 개선할 필요가 존재하며, 특히 L-메티오닌 전구체와 메틸 메르캅탄의 효소 전환 단계를 개선하여 특히 L-메티오닌을 개선된 수율로 수득할 필요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L-메티오닌 전구체와 메틸 메르캅탄의 효소 전환으로 L-메티오닌을 개선된 수율로 수득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L-메티오닌 전구체 및 메틸 메르캅탄의 효소 반응에 의한 L-메티오닌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L-메티오닌 전구체는 메틸 메르캅탄과의 효소 반응에 의해 L-메티오닌으로 전환될 수 있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전구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WO 2008/013432 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L-메티오닌 전구체의 전환에 사용되는 효소는 바람직하게는 기질로서 축적된 호모세린, O-포스포-호모세린, O-숙시닐 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 호모세린을 사용하는 시스타티오닌 신타아제 또는 O-숙시닐 호모세린 설프히드릴라아제 또는 O-아세틸 호모세린 설프히드릴라아제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L-메티오닌 전구체는 O-숙시닐 호모세린 (OSH) 및 O-아세틸 호모세린 (OAH) 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L-메티오닌 전구체는 OAH 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O-아세틸 호모세린이 L-메티오닌 전구체로서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렙토스피라 속 (Leptospira sp.), 크로모박테리움 속 (Chromobacterium sp.), 또는 하이포모나스 속 (Hyphomonas sp.) 으로부터 유래된, 더욱 바람직하게는 렙토스피라 메에리 (Leptospira meyeri),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 (Pseudomonas aurogenosa), 하이포모나스 넵튜니움 (Hyphomonas Neptunium) 또는 크로모박테리움 비오라슘 (Chromobacterium Violaceum) 으로부터 유래된, 시스타티오닌-γ-신타아제 또는 O-숙시닐 호모세린 설프히드릴라아제 또는 O-아세틸 호모세린 설프히드릴라아제 (OAHS) 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소 반응 공정은 하기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O-숙시닐-L-호모세린 + CH3SH ↔ L-메티오닌 + 숙시네이트
O-아세틸-L-호모세린 + CH3SH ↔ L-메티오닌 + 아세테이트
상기 반응은 효소 반응이고, 메틸 메르캅탄 (CH3SH) 의 특정 압력 범위로 작업된다.
상기 반응에서, 메틸 메르캅탄의 CH3S- 잔기가 O-숙시닐 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 호모세린의 숙시네이트 또는 아세테이트 잔기와 치환되어 L-메티오닌을 생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틸 메르캅탄은 정확한 압력 범위에서 첨가되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위에 기재된 메틸 메르캅탄의 존재 하에 L-메티오닌 전구체를 L-메티오닌으로 전환하는 반응은 효소 반응이며, 예를 들어 WO 2008/013432 에 개시되어 있다.
WO 2008/013432 는 메틸 메르캅탄의 존재 하에 L-메티오닌 전구체를 L-메티오닌으로 전환하는 적합한 활성을 갖는, 사용될 수 있는 효소의 성질 및 제조에 대한 세부사항을 제공한다. 그러한 적당한 효소는 예를 들어 생명공학적 방법에 따른 유전자 발현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상기 효소 활성을 갖는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서열은 NCBI (미국), 및 DNA 데이타 뱅크 (KEGG) (일본) 의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생물학적 전환 반응을 위해, 수득된 유전자 서열로부터 유전자가 클로닝된 후, 발현 벡터 내로 도입된다. 재조합 균주로부터 효소가 활성 형태로 발현된다. 효소 발현 균주 및 발현된 효소는 둘다 반응에 직접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효소 또는 그러한 효소를 발현하는 미생물 균주가 직접, 일부 또는 전부, L-메티오닌 전구체가 축적된 발효 상청액 또는 발효 브로쓰와 혼합되어 반응이 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발효액에 축적된 O-숙시닐 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 호모세린은 슈도모나스 속 (Pseudomonas sp.), 크로모박테리움 속 (Chromobacterium sp.), 렙토스피라 속 (Leptospira sp.) 또는 하이포모나스 속 (Hyphomonas sp.) 으로부터 유래된 시스타티오닌-γ-신타아제 또는 O-아세틸 호모세린 설프히드릴라아제 또는 O-숙시닐 호모세린 설프히드릴라아제에 의해 L-메티오닌으로 전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발효액에 축적된 O-숙시닐 호모세린은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 (Pseudomonas aurogenosa), 슈도모나스 푸티다 (Pseudomonas putida) 또는 크로모박테리움 비오라슘 (Chromobacterium Violaceum) 으로부터 유래된 시스타티오닌-γ-신타아제 또는 O-아세틸 호모세린 설프히드릴라아제 또는 O-숙시닐 호모세린 설프히드릴라아제에 의해 메티오닌으로 전환된다. 발효액에 축적된 O-아세틸 호모세린은 렙토스피라 메에리 (Leptospira meyeri), 하이포모나스 넵튜니움 (Hyphomonas Neptunium) 또는 크로모박테리움 비오라슘 (Chromobacterium Violaceum) 으로부터 유래된 시스타티오닌-γ-신타아제 또는 O-아세틸 호모세린 설프히드릴라아제 또는 O-숙시닐 호모세린 설프히드릴라아제에 의해 메티오닌으로 전환된다.
각각의 유전자는 대장균 (E. coli) 용 발현 벡터인 pCL-CJI 벡터 (CJ, 대한민국) 에서 발현되고, 발현된 단백질은 초음파처리를 이용하는 세포 용해로 제조된 효소 용액으로부터 수득된다. O-숙시닐 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 호모세린이 축적된 발효액에 효소 용액이 첨가되고, 거기에 또한 메틸 메르캅탄이 첨가되어 반응이 개시된다.
반응이 DTNB [5,5-디티오비스(2-니트로-벤조산, Sigma, 미국] 을 사용하여 확인되고, 반응 산물이 HPLC 로 분석된다. 본 발명에서, 숙신산 또는 아세트산과 같은 부산물이, 별도의 생산 공정 없이, 각각 메틸 메르캅탄과 O-숙시닐 호모세린 및 O-아세틸 호모세린의 반응에 의해 부가적으로 수득될 수 있다.
L-메티오닌 전구체와 CH3SH 의 효소 반응은 하기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4015537819-pct00001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L-메티오닌 전구체의 효소 전환은 메틸 메르캅탄 (CH3SH) 의 존재 하에, 본 발명에 따라, CH3SH 압력 하에 실시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반응 매질 위의 CH3SH 분압이 특정 압력 범위 내이다.
WO 2008/013432 에 기재된 방법은 이와 같이 메틸 메르캅탄의 존재 하에 L-메티오닌 전구체를 L-메티오닌으로 효소 전환하는 것에 관한 상세한 작업 조건을 제공하지 않으며, 특히 메틸 메르캅탄을 투여 방식에 대한 지시 없이 사용한다. 또한 L-메티오닌 전구체의 전환율에 대한 정보도 없다.
본 발명자들은 이제 L-메티오닌 전구체의 전환율이 메틸 메르캅탄을 반응 매질에 투여하는 방식, 특히 이러한 반응에 사용되는 전환 반응 용기에 존재하는 CH3SH 분압에 크게 의존함을 발견했다.
더욱 정확하게는, 전환율이 압력의 유익한 효과에서부터 강한 저해 효과까지 이동하는, 0 에서부터 반응 온도에서의 CH3SH 포화 증기압까지 좁은 구간 (thin window) 이 존재하는 것이 분명해 보인다.
그러므로 메티오닌 전구체 (예를 들어 OAHS) 가 메티오닌으로 최대로 전환되는 최적 CH3SH 분압이 존재한다. CH3SH 압력이 높을수록, 용해되는 CH3SH 의 양이 더 많아지고, 결과적으로 전환 반응의 속도가 빨라지므로, 메티오닌으로의 전환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CH3SH 압력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은 상기 전환에 유해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론에 구속되지 않으면서, 이러한 현상에 대한 하나의 설명은 너무 큰 CH3SH 압력은 반응 매질에 너무 많은 양의 CH3SH 가 존재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잉량의 CH3SH 는 효소의 활성 자리를 차단하여, 반응의 저해를 초래할 것이다. 그러므로 반응 속도와 효소의 반응 자리에 대한 접근 사이에 경쟁이 존재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반응 온도에서 반응 용기 내의 반응 매질 위의 최적 CH3SH 분압은 10 ㎪ ~ 180 ㎪, 바람직하게는 51 ㎪ ~ 18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1 ㎪ ~ 160 ㎪,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80 ㎪ ~ 약 160 ㎪, 유리하게는 약 90 ㎪ ~ 약 150 ㎪ 이고, 예를 들어 CH3SH 분압은 약 100 ㎪ ~ 150 ㎪ 이다.
이들 특정 조건은 빠른 전환 속도 뿐만 아니라 높은 L-메티오닌 전구체 전환율을 허용하며, 예를 들어 2 시간의 반응 시간 후에 100% 전환율이 수득될 수 있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L-메티오닌 전구체를 L-메티오닌으로 효소 전환하는데 적합화된 적당한 온도에서 실시되며, 예를 들어 WO 2008/013432 에 개시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반응 온도는 20℃ ~ 45℃, 바람직하게는 25℃ ~ 40℃,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0℃ ~ 40℃ 이다.
더욱 정확하게는, 메틸 메르캅탄은 딥 튜브 (dip-tube) 를 통해 반응기 내에 반응 매질 내로 도입된다. 메틸 메르캅탄은 외부 메틸 메르캅탄 용기에 질소 압력을 가함으로써 도입된다. 메틸 메르캅탄 유량은 질소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그리고 배출 밸브 (exhaust valve) 로 제어된다. 도입된 메틸 메르캅탄 중 일부는 반응 매질에 용해되지만, 나머지 일부는 반응 매질 위에 기체 형태로 존재한다.
반응 매질 중 메틸 메르캅탄의 용해도는 메틸 메르캅탄과 디메틸 설파이드 (DMS) 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DMS 의 사용은 L-메티오닌 전구체로부터 L-메티오닌 및 유기산으로의 전환율, 뿐만 아니라 L-메티오닌 생산 수율을 개선한다.
DMS 가 메틸 메르캅탄과 혼합되는 경우, 메틸 메르캅탄/DMS 몰비는 바람직하게는 1:0.05 ~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 1:1,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25 ~ 약 1:0.50 이다. 예를 들어, DMS 는 메틸 메르캅탄 및 DMS 의 총합에 대해 약 5% ~ 25%, 바람직하게는 20% ~ 25% 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요구량의 메틸 메르캅탄을 반응기 내로 도입하고, 액체상과 기체상 사이의 평형 상태에 도달된 후, 메틸 메르캅탄이 첨가 또는 제거될 수 있고, 반응 매질 위의 분압이 임의의 공지된 방법으로, 예를 들어 압력계로 체크된다. 메틸 메르캅탄 분압은 반응 완료시까지 반응 내내 제어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메틸 메르캅탄의 도입은 화학량론적 양이 도입되었을 때 중단되고, 이 시점에서부터 반응 완료시까지 메틸 메르캅탄 분압이 감소한다.
반응의 효소 전환 반응은 또한 산성 부산물을 초래하므로, 반응 매질의 pH 는 유리하게는 대략 중성 또는 약산성 값으로 제어 및 유지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환 동안 반응 매질의 pH 는 6 ~ 7 로 유지된다.
pH 값을 6 ~ 7 로 조정하기 위해, 1 종 이상의 염기성 화합물이 반응 매질에 첨가될 수 있고, 상기 염기성 화합물은, 예를 들어 수산화 암모늄, 수산화 칼륨, 암모니아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WO 2008/013432 에 개시된, 수성 염기이고, 예를 들어 암모니아 수용액이다.
또한 전환 반응은 유리하게는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조효소의 존재 하에 실시되며, 예를 들어 WO 2008/013432 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조효소의 예는 피리독살-5'-포스페이트 (PLP) 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면서, CH3SH 분압을 위에 정의된 바람직한 값으로 설정하면, L-메티오닌 전구체의 전환율은 CH3SH 분압이 본 발명의 방법의 범위 밖에 있을 때보다 10% ~ 20% 더 높다. 이들 특정 조건 하에, L-메티오닌 전구체 전환율이 이르게는 0.5 시간 후에 80% 초과이고, 2 시간의 반응 시간 후에 100% 일 수 있음이 또한 관찰되었다.
이렇게 특히 빠른 완전한 전환율은 L-메티오닌의 전체적 제조 (overall preparation) 를 초래하므로 (이때 L-메티오닌 전구체의 효소 전환은 제한 단계가 아님), L-메티오닌의 전체적 생합성 수율은 이제까지 선행기술에서 알려진 수율보다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두번째 양상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L-메티오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1) L-메티오닌 전구체-생산 균주를 제조하고, 균주의 발효에 의해 L-메티오닌 전구체를 생산하는 단계,
2) 10 ㎪ ~ 180 ㎪, 바람직하게는 50 ㎪ ~ 160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0 ㎪ ~ 약 150 ㎪ 분압의 CH3SH 의 존재 하에 효소 반응에 의해 상기 L-메티오닌 전구체를 L-메티오닌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3) 수득된 L-메티오닌을 수집하는 단계.
이와 같은 L-메티오닌의 생합성 제조의 전체적 과정은 하기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4015537819-pct00002
상기 L-메티오닌 전구체는 글루코스의 발효로부터, 유전자 발현을 통해 제조된, OAHS 이다.
단계 1 의 발효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발효 방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WO 2008/013432 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방법의 단계 1) 에서, L-메티오닌 전구체 생산 균주가 생성되고 발효되어 배양 배지에 L-메티오닌 전구체가 축적된다.
본 발명의 L-메티오닌 전구체는 바람직하게는 O-아세틸 호모세린 또는 O-숙시닐 호모세린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L-메티오닌 전구체-생산 균주" 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에 의해 L-메티오닌 전구체를 축적할 수 있는 원핵 또는 진핵 미생물 균주를 언급한다.
예를 들어, 균주는 에스케리치아 속 (Escherichia sp.), 에르비니아 속 (Erwinia sp.), 세라티아 속 (Serratia sp.), 프로비덴시아 속 (Providencia sp.), 코리네 박테리아 속 (Coryne bacteria sp.), 슈도모나스 속 (Pseudomonas sp.), 렙토스피라 속 (Leptospira sp.), 살모넬라 속 (Salmonellar sp.), 브레비박테리아 속 (Brevibacteria sp.), 히포모노나스 속 (Hypomononas sp.), 크로모박테리움 속 (Chromobacterium sp.) 및 노르카디아 속 (Norcardia sp.) 미생물 또는 진균 또는 효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슈도모나스 속 (Pseudomonas sp.), 노르카디아 속 (Norcardia sp.) 및 에스케리치아 속 (Escherichia sp.) 의 미생물이 사용되어 O-숙시닐 호모세린을 생산할 수 있고, 에스케리치아 속 (Escherichia sp.), 코리네박테리움 속 (Coryne bacteria sp.), 렙토스피라 속 (Leptospira sp.) 의 미생물 및 효모가 사용되어 O-아세틸 호모세린을 생산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스케리치아 속 (Escherichia sp.) 의 미생물이 사용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스케리치아 콜라이 (Escherichia coli) (이후 "대장균 (E. coli)" 으로 언급됨) 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외래 유전자가 에스케리치아 속 (Escherichia sp.) 미생물 내로 도입되어 O-숙시닐 호모세린 및 O-아세틸 호모세린을 선택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L-메티오닌 전구체 생산 균주는 L-라이신, L-트레오닌 또는 L-이소류신 생산 균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것은 L-트레오닌 생산 균주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균주의 경우, 호모세린 합성이 이미 더 높으므로, 결과적으로 메티오닌 전구체의 생산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메티오닌 전구체는 L-트레오닌 생산 균주를 사용하여 트레오닌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 및 그 후 metA 또는 metY 또는 MetZ 유전자를 결실 또는 약화시킴으로써 축적될 수 있다. 먼저 thrB 유전자를 그리고 그 후 metB, metY 또는 metZ 를 결실 또는 약화시켜 메티오닌 전구체를 합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metA 또는 metX 유전자 발현의 증강은 메티오닌 전구체 합성의 증가를 초래한다.
본원에서 이전에 기재된, 본 발명의 "L-트레오닌-생산 균주" 는 생체 내에서 L-트레오닌을 생산할 수 있는 원핵 또는 진핵 미생물 균주를 언급한다. 예를 들어, 균주는 에스케리치아 속 (Escherichia sp.), 에르비니아 속 (Erwinia sp.), 세라티아 속 (Serratia sp.), 프로비덴시아 속 (Providencia sp.), 코리네박테리움 속 (Corynebacterium sp.) 및 브레비박테리움 속 (Brevibacterium sp.) 에 속하는 L-트레오닌 생산 미생물 균주일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에스케리치아 속 (Escherichia sp.) 미생물이 바람직하고, 에스케리치아 콜라이 (Escherichia coli) 가 더욱 바람직하다.
L-트레오닌 생산 균주는 천연 미생물 뿐만 아니라 그의 변이체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이소류신 리키형 요구성 (leaky requirement) 및 L-라이신 유사체 및 α-아미노부티르산에 대한 내성을 갖는 미생물; 내재적 포스포에놀 피루베이트 카르복실라아제 (ppc) 유전자가 추가로 1 카피 이상 부가적으로 도입된 변이 미생물; L-메티오닌 합성의 중간체인 옥살로아세테이트 (OAA) 를 포스포에놀 피루베이트 (PEP) 로 전환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pckA 유전자가 불활성화된 미생물; L-메티오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tyrB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는 tyrR 유전자가 불활성화된 미생물; 글루코스 수송에 관여하는 galP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는 galR 유전자가 불활성화된 미생물이다.
본원에서 L-라이신 유사체는 S-(2-아미노에틸)-L-시스테인 및 δ-메틸-L-라이신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L-트레오닌을 생산하는 대장균 변이 균주 TF4076 (KFCC 10718, 대한민국 특허 공고 92-8365) 을 변이시킨 L-트레오닌 생산 및 L-메티오닌-비요구성 균주 CJM002 가 사용되었다. TF4076 은 메티오닌 요구성, 및 메티오닌 유사체 (예를 들어, α-아미노-β-히드록시 발레르산, AHV), 라이신 유사체 (예를 들어, S-(2-아미노에틸)-L-시스테인, AEC), 및 이소류신 유사체 (예를 들어, α-아미노부티르산) 에 대한 내성을 갖는다.
상기 제조된 L-메티오닌 전구체 생산 균주의 배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적합한 배지 및 조건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당업자는 선택된 균주에 따라 배양 방법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잘 이해한다. 예를 들어, 배양 방법은 배치식 (batch) 배양, 연속식 배양 및 유가식 (fed-batch) 배양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배양 방법이 예를 들어 "Biochemical Engineering", J. M. Lee, Prentice-Hall International Editions, pp 138-176 에 기재되어 있다.
배지는 특정 균주에 대한 배양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다양한 미생물 배양 배지가 예를 들어 "Manual of Methods for General Bacteriology", American Society for Bacteriology, Washington D.C., USA, 1981 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배지는 다양한 탄소 공급원, 질소 공급원 및 미량 원소를 포함한다. 탄소 공급원은 예를 들어 탄수화물 예컨대 글루코스, 수크로스, 락토스, 프룩토스, 말토스, 전분, 셀룰로스; 지방 예컨대 대두유, 해바라기유, 피마자유 및 코코넛 오일; 지방산 예컨대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리놀레산; 알코올 예컨대 글리세롤 및 에탄올; 및 유기산 예컨대 아세트산이다.
이들 화합물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탄소 공급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질소 공급원은 예를 들어 유기 질소 공급원 예컨대 펩톤, 효모 추출물, 그레이비, 맥아 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CSL) 및 콩가루 및 무기 질소 공급원 예컨대 요소, 암모늄 설페이트, 암모늄 클로라이드,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카르보네이트 및 암모늄 니트레이트이다. 이들 화합물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질소 공급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배지는 칼륨 이수소 포스페이트, 이칼륨 수소 포스페이트 및 상응하는 나트륨-함유 염을 포스페이트 공급원으로서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지는 금속 염 예컨대 마그네슘 설페이트 또는 철 설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 비타민 및 적절한 전구체가 첨가될 수 있다. 배지 또는 전구체는 배양물에 배치식 또는 연속식으로 첨가될 수 있다.
배양물의 pH 는 배양 동안 암모늄 수산화물, 칼륨 수산화물, 암모니아, 인산 및 황산과 같은 화합물을 적당한 방식으로 첨가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배양물의 호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산소 또는 산소-함유 기체 (예를 들어 공기) 가 배양물 내로 주입될 수 있다. 배양물의 온도는 통상적으로 20℃ ~ 45℃, 바람직하게는 25℃ ~ 40℃ 이다.
배양 기간은 L-메티오닌 전구체의 생산이 원하는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될 수 있고, 바람직한 배양 시간은 10 시간 ~ 160 시간 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L-메티오닌의 선택적 생산 (이는, D-메티오닌 및 L-메티오닌을 함께 생산하는 종래의 화학 합성보다 우수함), 및 부가적 독립적 방법 없이 부산물로서 유기산 예컨대 숙신산 또는 아세트산의 생산을 가능하게 해준다.
하기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의도 없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용적인 현재 바람직한 구현예가 하기 실시예에서 오직 설명을 목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당업자는 이러한 공개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범위 내에서 변화 및 개선을 이룰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 1 ~ 4
실시예 1 ~ 4 는 반응 매질 위의 메틸 메르캅탄 (CH3SH) 분압을 다양하게 하여 실시한다. 하기 실시예에서 이들 분압은 10 ㎪ ~ 200 ㎪ 이다.
앵커-패들로 끝나는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속도계가 달린 교반기 모터, 재킷 내부의 오일 순환을 허용하는 자동온도조절식 바쓰, 시쓰 (sheath) 내 온도측정 프로브, pH 프로브, 압력계, 질소 주입구 및 딥 튜브를 통하는 메틸 메르캅탄 주입구를 갖춘 5 ℓ 스테인리스 스틸 재킷형 반응기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모든 시험을 실시한다. 메틸 메르캅탄의 유량을 측정하고, 질량 유량계로 제어한다.
하기 절차를 모든 실험에 적용했다:
3 ℓ 의 증류수로 희석한 225 g 의 O-아세틸 호모세린 (OAHS, 1.4 mol) 을 반응기에 도입한다.
교반 속도를 600 RPM 으로 설정하고 반응 매질을 33℃ (반응 온도) 로 가열한다.
반응 온도가 33℃ 에 도달할 때, 암모니아 (증류수 중 28 wt%) 를 첨가하여 pH 를 6.5 로 조정한다.
3 ㎖ 의 피리독살-5'-포스페이트 (PLP) 용액 (증류수 중 10 mM) 을 반응기에 첨가한다. PLP 는 조효소로 사용된다. 그 후 반응기를 밀폐한다.
그리고, 메틸 메르캅탄을 딥 튜브가 설치되어 있는 가압 실린더 내에서 액화시킨다. CH3SH 압력보다 높은 질소 압력을 액화 CH3SH 위에 가한다. 이런 식으로, 액체 CH3SH 를 주 반응기 내의 반응 매질 내로 도입할 수 있다. CH3SH 는 주 반응기 내에서 자발적으로 기화된다.
교반하는 동안, 수 분 내지 한두 시간 후에 반응기 내에서 액체상 및 기체상 사이의 평형 상태에 도달된다. CH3SH 분압이 압력계에 표시되고, 밸브를 사용하여 실시예에 요구되는 값으로 제어된다. 메틸 메르캅탄을 또한 유량 제어하면서 도입한다.
메틸 메르캅탄 분압을 10 ㎪ (실시예 1), 100 ㎪ (실시예 2), 150 ㎪ (실시예 3), 및 200 ㎪ (실시예 4) 로 설정한다.
9 g 의 효소 (예컨대 WO 2008/013432 에 기재됨) 를 150 ㎖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중간체 질소 가압 용기를 사용하여 반응기 내에 도입한다.
화학량론적 양 (67.2 g, 1.4 mol) 을 도입했을 때 메틸 메르캅탄 (CH3SH) 의 도입을 중단한다. 이 시점으로부터, CH3SH 분압은 반응 시간 종료시까지 감소한다.
반응 시간 내내, 앞에 언급한 바와 같이 암모니아를 첨가하여 pH 를 6.2 ~ 6.5 로 유지한다. 실제로 반응 매질의 pH 는 반응 부산물인 아세트산의 방출로 인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한다.
매 시간 마다, 반응기로부터 샘플을 취하고, HPLC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로 분석하여 잔류 OAHS 및 L-메티오닌 함량을 확인한다.
하기 표 1 은 실시예 1-4 의 결과를 조합한다:
-- 표 1 --
Figure 112014015537819-pct00003
이들 결과는 첫째로 CH3SH 분압 증가의 유익 효과를 보여주며, 예를 들어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의 3 h 에서의 OAHS 전환율, 즉 L-메티오닌 수율을 비교한다. CH3SH 분압의 추가의 증가는 유해 효과를 초래하며, 예를 들어 실시예 4 의 3 h 에서의 OAHS 전환율, 즉 L-메티오닌 수율을 참고한다.
이들 첫번째 4 가지 실험은 반응기 내부의 정확한 CH3SH 분압 (상기 실시예에서 10 ㎪ ~ 150 ㎪, 바람직하게는 100 ㎪ ~ 150 ㎪) 에서 최적 OAHS 전환율, 및 결과적으로 최적 L-메티오닌 생산 수율이 달성됨을 명백히 보여준다.
실시예 5 ~ 7
하기 실시예 5 ~ 7 에 기재된 시험을 30 ℓ 반응기에서 이전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여 실시하나, 33℃ 대신 37℃ 의 반응 온도에서 실시하고, PLP 를 처음 용해시켰던 신선한 효소 용액의 또다른 샘플을 반응기 내에 도입하기 전에 20 분 동안 느리게 교반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효소/PLP 용액을 WO 2008/013432 에 따라 신선하게 제조된 효소 용액 1.2 ℓ 및 증류수 중 10 mM PLP 용액 25 ㎖ 로 제조한다. OAHS 의 사용량은 18.5 ℓ 의 증류수에 희석된 1480 g 이다.
이전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반응 매질의 pH 를 6.2 로 조정하고, 교반 속도를 300 RPM 으로 설정한다.
하기 표 2 는 실시예 5 ~ 7 의 결과를 조합한다:
-- 표 2 --
Figure 112014015537819-pct00004
이들 실시예는 메틸 메르캅탄 분압의 효과와 관련하여 동일한 현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반응에 최고 성능이 수득될 수 있는 최적 압력이 존재함이 확인된다. 이러한 최적 CH3SH 분압은 여기서 다시 10 ㎪ 내지 200 ㎪ 미만으로 관찰된다.

Claims (12)

  1. L-메티오닌 전구체와 메틸 메르캅탄의 효소 전환으로 L-메티오닌을 수득하는 방법으로서, 반응 온도에서 반응 용기 내의 반응 매질 위의 메틸 메르캅탄 분압이 10 ㎪ ~ 180 ㎪ 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 온도가 20℃ ~ 45℃ 인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L-메티오닌 전구체가 O-숙시닐 호모세린 (OSHS) 및 O-아세틸 호모세린 (OAHS) 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효소 전환에 사용되는 효소가 생명공학적 방법에 따른 유전자 발현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효소 전환에 사용되는 효소가 슈도모나스 속, 크로모박테리움 속, 렙토스피라 속 또는 하이포모나스 속으로부터 유래된 시스타티오닌-γ-신타아제 또는 O-아세틸 호모세린 설프히드릴라아제 또는 O-숙시닐 호모세린 설프히드릴라아제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반응 매질의 pH 가 6 ~ 7 로 유지되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효소가 첨가되고, 상기 조효소는 피리독살-5'-포스페이트인 방법.
  8.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L-메티오닌의 제조 방법:
    1) L-메티오닌 전구체-생산 균주를 제조하고, 균주의 발효에 의해 L-메티오닌 전구체를 생산하는 단계,
    2)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효소 전환 방법에 따라, 상기 L-메티오닌 전구체를 L-메티오닌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3) 수득된 L-메티오닌을 수집하는 단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L-메티오닌 전구체-생산 균주가 L-메티오닌 전구체를 축적할 수 있는 원핵 또는 진핵 미생물 균주인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균주가 에스케리치아 속, 에르비니아 속, 세라티아 속, 프로비덴시아 속, 코리네 박테리아 속, 슈도모나스 속, 렙토스피라 속, 살모넬라 속, 브레비박테리아 속, 히포모노나스 속, 크로모박테리움 속 및 노르카디아 속 미생물 또는 진균 또는 효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다양한 탄소 공급원, 질소 공급원 및 미량 원소를 포함하는 배양 배지에서 균주가 수득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탄소 공급원이 글루코스, 수크로스, 락토스, 프룩토스, 말토스, 전분, 셀룰로스; 대두유, 해바라기유, 피마자유 및 코코넛 오일과 같은 지방;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리놀레산과 같은 지방산; 글리세롤 및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및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KR1020147004082A 2011-09-02 2011-09-02 L-메티오닌의 제조 방법 KR101622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1/065241 WO2013029690A1 (en) 2011-09-02 2011-09-02 Preparation process of l-methion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271A KR20140057271A (ko) 2014-05-12
KR101622491B1 true KR101622491B1 (ko) 2016-05-18

Family

ID=4464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082A KR101622491B1 (ko) 2011-09-02 2011-09-02 L-메티오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365877B2 (ko)
EP (1) EP2751276B1 (ko)
JP (1) JP5981995B2 (ko)
KR (1) KR101622491B1 (ko)
CN (3) CN107475319A (ko)
BR (1) BR112014004588B1 (ko)
ES (1) ES2940460T3 (ko)
SG (1) SG2014010441A (ko)
WO (1) WO20130296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3287B1 (fr) 2014-07-04 2016-07-22 Arkema France Procede de preparation de methylmercaptan
FR3023288B1 (fr) 2014-07-04 2016-07-15 Arkema France Procede de preparation de disulfure de dimethyle
FR3041658B1 (fr) * 2015-09-30 2017-10-20 Arkema France Procede de production de l-methionine
FR3041659B1 (fr) * 2015-09-30 2017-10-20 Arkema France Procede de production de l-methionine
FR3061494B1 (fr) 2016-12-29 2020-07-03 Arkema France Procede de synthese de dithiocarbamates cycliques fonctionnalises
FR3061493B1 (fr) 2016-12-29 2020-07-03 Arkema France Procede de synthese de polysulfures fonctionnalis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365B1 (ko) 1990-12-31 1992-09-26 제일제당 주식회사 L-스레오닌 제조방법
CA2130347A1 (en) 1992-02-20 1993-09-02 Jefferson C. Lievense Biosynthesis of methionine using a reduced source of sulfur
US5905171A (en) * 1995-06-22 1999-05-18 Novus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3-(methylthio)propanal
FR2851256A1 (fr) * 2003-02-18 2004-08-20 Metabolic Explorer Sa Procede de criblage et d'evolution dirigee de souches produisant de la methionine par nouvelle voie metabolique
FR2851255B1 (fr) 2003-02-18 2007-05-25 Metabolic Explorer Sa Microorganisme a activite methionine synthase modifiee et procede de preparation de la methionine
KR100905381B1 (ko) 2006-07-28 2009-06-30 씨제이제일제당 (주) L-메치오닌 전구체 생산 균주 및 상기 l-메치오닌전구체로부터의 l-메치오닌 및 유기산의 생산방법
KR101048593B1 (ko) * 2009-02-27 2011-07-12 씨제이제일제당 (주) 메칠머캅탄과 디메칠설파이드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메치오닌 생산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US8609396B2 (en) 2009-08-28 2013-12-17 Cj Cheiljedang Corporation Microorganism producing O-acetyl-homoserine and the method of producing O-acetyl-homoserine using the microorganism
KR101250651B1 (ko) 2010-12-21 2013-04-03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제 또는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메치오닌 전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04588B1 (pt) 2019-12-31
SG2014010441A (en) 2014-08-28
EP2751276A1 (en) 2014-07-09
JP2014521358A (ja) 2014-08-28
US9365877B2 (en) 2016-06-14
CN108342424A (zh) 2018-07-31
CN103764832A (zh) 2014-04-30
BR112014004588A2 (pt) 2017-04-25
US20140227746A1 (en) 2014-08-14
EP2751276B1 (en) 2023-01-25
KR20140057271A (ko) 2014-05-12
ES2940460T3 (es) 2023-05-08
WO2013029690A1 (en) 2013-03-07
JP5981995B2 (ja) 2016-08-31
CN107475319A (zh) 2017-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8101B2 (ja) L−メチオニン前駆体産生菌株およびl−メチオニン前駆体からのl−メチオニンおよび有機酸の産生方法
JP5339996B2 (ja) L−メチオニン前駆体生産菌株およびこれを用いたl−メチオニン前駆体の生産方法
JP5525746B2 (ja) L−メチオニン前駆体生産菌株およびこれを用いたl−メチオニン前駆体の生産方法
KR101622491B1 (ko) L-메티오닌의 제조 방법
KR20090106365A (ko) L-메치오닌 전구체 생산 균주 및 이를 이용한 l-메치오닌 전구체의 생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