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058B1 -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 - Google Patents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058B1
KR101621058B1 KR1020140146330A KR20140146330A KR101621058B1 KR 101621058 B1 KR101621058 B1 KR 101621058B1 KR 1020140146330 A KR1020140146330 A KR 1020140146330A KR 20140146330 A KR20140146330 A KR 20140146330A KR 101621058 B1 KR101621058 B1 KR 101621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reduced
reduced iron
dispersion cone
storage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9336A (ko
Inventor
김현수
이춘선
이달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46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058B1/ko
Publication of KR20160049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05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Rotating)하고 있는 두 롤러(Roller) 사이에 환원된 분철광석을 공급하여 압축하는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에 있어서, 분환원철을 압축(Compacting)하는 롤러(Roller)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분환원철을 저장하고, 상기 분환원철을 롤러(Roller)로 일정량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나란히 설치된 분환원철 저장 호퍼, 및 상기 분환원철 저장 호퍼에 설치되고, 상기 분환원철을 상기 분환원철 저장 호퍼에 골고루 분산시켜 주기 위한 분산콘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콘은 상기 분환원철을 상기 스크류 피더가 있는 방향으로 보다 많이 공급될 수 있도록 비축대칭형 구조를 가진다.

Description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HOT COMPACTED IRON MACHINE}
본 발명은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환원철이 분환원철 저장고에 저장될 때 편석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고 분환원철을 스크류 피더(Screw Feeder)에 효과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원된 분철광석은 공기 중에 노출이 될 경우에 반응성이 높아 쉽게 산화되거나 발화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반응성은 분철광석의 비표면적에 기인한다.
적철광 형태의 분철광석은 자철광으로 환원되면서 결정구조가 크게 변화한다. 적철광과 자철광의 격자구조는 매우 상이하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는 부피팽창을 가져오고 많은 내부 크랙을 발생시킨다. 크랙의 발생은 광석의 비표면적을 증가시키고 가스와 반응할 수 있는 면적을 늘려 최종적으로 환원율 증가에 도움이 된다.
갈철광 형태의 분철광석은 대략 500℃ 이상 승온시 내부에 존재하는 결정수가 밖으로 빠져나오면서 적철광으로 변한다. 결정수가 빠져나올 때 결정수가 차지하고 있던 공간이 밖으로 드러나기 때문에 광석 기공율과 비표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적철광과 갈철광 형태의 환원된 분철광석은 높은 비표면적으로 반응성이 높아 상온에서도 산소와 반응하여 발화하거나 재산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이유에서 분철광석의 반응성을 줄이기 위해 코팅을 하거나 질소로 퍼지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장기간 보관하거나 장거리 운송시 발화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분철광석의 반응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비표면적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분광석을 괴성화하는 기술이 발달되었다. 괴성화하는 기술은 산화반응을 통해 분철광석을 소결(Sintering)시키는 방법이 있고, 물리적 압력을 통해 환원 분철광석을 소성 변형시켜 덩어리 형태로 만드는 방법이 있다.
산화반응을 통해 소결(Sintering)시키는 방법은 환원된 분광석을 재산화시키기 때문에 경제적 측면에서 유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주로 물리적 압력을 통해 분철광석을 압축(Compacting)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FINMET, FINEX 등도 이러한 환원 분철광석 괴성화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다.
압축(Compacting)을 하는 가장 효율적은 방법은 회전(Rotating)하고 있는 두 롤러(Roller) 사이에 환원된 분철광석을 공급하여 압축하는 것으로 롤러(Rolle)r의 회전수, 즉, rpm에 따라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생산량에 맞게 롤러(Roller)에 적절량의 분환원철을 연속적으로 공급해주어야 한다.
분환원철을 롤러(Roller)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분환원철 저장 호퍼에 분환원철을 저장하고 이를 스크류 피더(Screw Feeder)를 통해 롤러(Roller)로 일정량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분환원철 저장 호퍼에 저장된 분환원철이 스크류 피더(Screw Feeder)를 통해 잘 흘러내리는 것이 중요하다.
롤러 압축기(Roller Compactor)의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중 하나는 롤러(Roller)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분환원철은 회전하는 두 롤러(Roller) 사이에서 압축되는데, 두 롤러(Roller) 사이의 간격이 가장 좁은 지점에서 최대 압축력을 받는다.
이렇게 압축이 일어나면 분환원철 사이에 존재하는 가스는 롤러(Roller)의 회전방향 반대방향으로 배출되게 된다. 롤러(Roller) rpm의 증가는 배출되는 가스 유량을 증가시킨다. 유량을 롤러(Roller) 사이의 간격과 롤러(Roller)의 폭으로 나눠주면 유속이 되고 롤러(Roller) 폭이 일정할 때 유량의 증가는 유속의 증가를 의미하고 이는 분환원철의 유동화를 초래하게 된다.
분환원철의 유동화란 분환원철이 받는 중력과 발생 가스에 의한 항력이 같아지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곧 분환원철이 중력에 의해 롤러(Roller) 사이에 공급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그래서, 발생 가스의 유속을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분환원철 괴성체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rpm 대신에 롤러(Roller) 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롤러(Roller) 폭이 증가되면 분환원철도 보다 넓은 영역으로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분환원철 저장 호퍼도 따라서 롤러(Roller) 폭과 함께 길어져야 한다. 이렇게 되면 분환원철을 일정량 공급해주는 스크류 피더(Screw Feeder)도 다수가 필요하게 된다. 다시 말해, 롤러(Roller)폭 방향으로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다수 나열되어 있어야 한다.
도 1, 도 2에서 이에 대한 구조를 도시하였다. 롤러(Roller)의 폭이 작을 경우에는 분환원철은 축대칭형 형상을 갖는다. 도 1은 소형 분환원철 저장 호퍼의 평면도이고, 도 2 (a)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b)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분산콘에 의해 분환원철은 분환원철 저장 호퍼에 동심원 방향으로 골고루 퍼지게 된다. 분산콘은 원뿔모양으로 A-A선 단면과 B-B선의 단면의 모양이 동일하다.
도 3은 롤러(Roller) 폭이 증가될 경우 사용되는 분환원철 저장 호퍼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동일한 분산콘을 사용할 경우 분산콘의 동심원 방향으로 분환원철(DRI: Direct Reduced Iron: DRI)가 퍼지게 된다.
도 4를 참고하면, 분환원철을 롤러(Roller)에 공급하기 위한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있으며, 롤러(Roller) 폭과 나란히 2개가 설치되어 있다. 분환원철이 저장 호퍼 벽면에 쌓일 수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 스크류 피더(Screw Feeder)의 샤프트(Shaft)에는 스크레이퍼(Scrapper)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회전하면 스크레이퍼(Scrapper)도 함께 회전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Scrapper)가 닿을 수 없는 데드존(Dead-zone)이 반드시 존재한다. 이 데드존(Dead-zone)에는 미분환원철이 쌓일 수 있다. 미분환원철이 데드존(Dead-zone)에 쌓이는 것도 문제이나, 쌓인 분환원철이 갑자기 무너져 미분환원철이 갑자기 일시에 롤러(Roller)에 공급될 때 압축(Compacting)의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데드존(Dead-zone)을 없애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으며, 또한 분환원철을 분환원철 저장 호퍼에 공급할 때 스크류 피더(Screw Feeder)의 스크레이퍼(Scrapper)가 회전하는 유효 공간으로 보내주면 분환원철이 쌓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후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나란히 배치된 축대칭 구조가 아닌 분환원철 저장 호퍼로 분환원철이 공급될 때 스크류 피더(Screw Feeder)에 분환원철 공급량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분산콘의 모양이 축대칭형인 원뿔구조를 벗어나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존재하는 비축대칭형 분환원철 저장 호퍼에서 분환원철이 공급될 때 데드존(Dead-zone) 형성을 억제하고 분환원철을 스크류 피더(Screw Feeder)로 효과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Rotating)하고 있는 두 롤러(Roller) 사이에 환원된 분철광석을 공급하여 압축하는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에 있어서,
분환원철을 압축(Compacting)하는 롤러(Roller)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분환원철을 저장하고, 상기 분환원철을 롤러(Roller)로 일정량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나란히 설치된 분환원철 저장 호퍼, 및
상기 분환원철 저장 호퍼에 설치되고, 상기 분환원철을 상기 분환원철 저장 호퍼에 골고루 분산시켜 주기 위한 분산콘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콘은 상기 분환원철을 상기 스크류 피더가 있는 방향으로 보다 많이 공급될 수 있도록 비축대칭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비축대칭형 분산콘은 분환원철 장입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분환원철을 복수개의 스크류 피더(Screw Feeder)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정렬된 방향의 수직인 방향의 단면적은, 상기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정렬된 방향의 단면적보다 넒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축대칭형 분산콘은 상기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정렬된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분산콘을 잘랐을 때 생기는 모양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다리꼴의 윗변의 길이는 분환원철(DRI) 장입관으로 공급된 분환원철이 데드존(Dead-zone)이 있는 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분환원철(DRI) 장입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다리꼴의 각도는 45도~ 90도 범위 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축대칭형 분산콘은 상기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정렬된 방향으로 분산콘을 잘랐을 때 생기는 모양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삼각형의 각도는 45도~ 90도 범위 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환원철 저장 호퍼는 비축대칭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는 분환원철 저장호퍼 내로 공급되는 분환원철이 데드존(Dead zone)에 쌓이지 않고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있는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데드존(Dead zone)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축대칭형 구조의 분환원철 저장 호퍼에 원뿔형 분산콘이 설치된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축대칭형 구조의 분환원철 저장 호퍼에 설치된 원뿔형 분산콘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도 1의 A-A선 단면도와, (b)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축대칭형 구조, 즉, 복수의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나란히 설치된 분환원철 저장 호퍼에 원뿔형 분산콘이 중앙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의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나란히 설치된 분환원철 저장 호퍼에 비축대칭형 분산콘이 설치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비축대칭형 분산콘의 단면로서, (a)는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b)는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A-A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의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나란히 설치된 분환원철 저장 호퍼에 비축대칭형 분산콘이 설치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비축대칭형 분산콘의 단면로서, (a)는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b)는 도 5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B-B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5의 A-A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는, 회전(Rotating)하고 있는 두 롤러(Roller) 사이에 환원된 분철광석을 공급하여 압축하는 장치로서,
분환원철을 압축(Compacting)하는 롤러(Roller)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분환원철을 저장하고, 상기 분환원철을 롤러(Roller)로 일정량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스크류 피더(Screw Feeder)(20)가 나란히 설치된 분환원철 저장 호퍼(10), 및
상기 분환원철 저장 호퍼(10)에 설치되고, 상기 분환원철을 상기 분환원철 저장 호퍼(10)에 골고루 분산시켜 주기 위한 분산콘(100)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콘(100)은 상기 분환원철을 상기 스크류 피더(20)가 있는 방향으로 보다 많이 공급될 수 있도록 비축대칭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환원철 저장 호퍼(10)의 상부에는 분환원철을 상기 분환원철 저장 호퍼에 장입하기 위한 분환원철 장입관(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피더(20)의 스크류 샤프트(21)에는 상기 분환원철 저장 호퍼(10)의 내벽면에 쌓인 분환원철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레이퍼(Scrapper)(2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 피더(20)는 분환원철을 압축(Compacting)하는 롤러의 축방향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회전하는 복수개의 롤러의 축방향으로 분환원철을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해 롤러 폭과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환원철 저장 호퍼(10)는 축대칭형 구조를 가질 수 없고 그림 5에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볼 때, 길쭉한 모양을 갖는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환원철 저장 호퍼(10)의 중앙에 위치한 분산콘(100)은 비축대칭형이기 때문에, 도 5의 A-A선 방향의 단면으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게 되며, 도 5의 B-B선 단면으로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비축대칭형 분산콘(100)은 상기 분환원철 장입관(30)으로부터 공급되는 분환원철을 복수개의 스크류 피더(Screw Feeder)(20)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스크류 피더(Screw Feeder)(20)가 정렬된 방향의 수직인 방향의 단면적은, 상기 스크류 피더(Screw Feeder)(20)가 정렬된 방향의 단면적보다 넒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축대칭형 분산콘(100)은 상기 스크류 피더(Screw Feeder)(20)가 정렬된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분산콘(100)을 잘랐을 때 생기는 모양이 사다리꼴(110)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다리꼴(110)의 윗변의 길이는 분환원철(DRI) 장입관(10)으로 공급된 분환원철이 데드존(Dead-zone)(40)이 있는 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분환원철(DRI) 장입관(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축대칭형 분산콘(100)의 사다리꼴(110)의 각도(a)는 90도 이하 45도 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이는, 사다리꼴(110)의 각도(a)가 90도 이상인 경우에는 사다리꼴 윗변에 분환원철이 적층될 확률이 높아지게 되며, 사다리꼴(110)의 각도(a)가 45도보다 작을 경우에는 미분의 안식각이 45도 이상인 경우가 있어 경사변에 분환원철이 쌓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사다리꼴(110)의 윗변의 길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환원철(DRI) 장입관(30)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사다리꼴(110)의 윗변의 길이가 분환원철(DRI) 장입관(30)의 직경에 비해 작을 경우 분환원철(DRI) 장입관(30)으로 공급된 분환원철이 데드존(Dead-zone)(40)이 있는 방향으로 공급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비축대칭형 분산콘(100)은 상기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정렬된 방향으로 분산콘을 잘랐을 때 생기는 모양이 삼각형(120)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B-B선 방향 단면에서 삼각형(120)의 각도(b)는 90도 보다는 작아야 한다. 이는, 삼각형(120)의 각도(b)가 90도인 경우, 도 5의 B-B선 방향으로 단면은 삼각형이 아닌 직선이 되고, 이는 분산콘이 아닌 판재가 되기 때문이며, 이와 같이 분산콘이 아닌 판재가 되면, 분환원철이 데드존(Dead-zone)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도 5의 B-B선 방향 단면에서 삼각형(120)의 각도(b)는 45도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삼각형(120)의 각도(b)가 45도보다 작을 경우 삼각형의 좌측변 및 우측변에 분환원철이 쌓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비축대칭형 분산콘(100)의 형상은 도 5의 A-A선 방향의 단면과 B-B선 방향의 단면을 갖는 다양한 모양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분산콘(100)은 상기 분환원철을 상기 스크류 피더(20)가 있는 방향으로 보다 많이 공급될 수 있도록 비축대칭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분환원철 저장 호퍼(10)는 축대칭형 구조를 가질 수 없고 그림 5에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볼 때, 길쭉한 모양을 갖는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환원철 저장 호퍼(10)의 중앙에 위치한 분산콘(100)은 비축대칭형이기 때문에, 도 5의 A-A선 방향의 단면으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고 있으며, 도 5의 B-B선 단면으로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비축대칭형 분산콘(100)은 상기 스크류 피더(Screw Feeder)(20)가 정렬된 방향의 수직인 방향의 단면적은, 상기 스크류 피더(Screw Feeder)(20)가 정렬된 방향의 단면적보다 넒은 면적을 가지게 되므로, 상기 분환원철 장입관(30)으로부터 공급되는 분환원철을 복수개의 스크류 피더(Screw Feeder)(20)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비축대칭형 분산콘(100)은 상기 스크류 피더(Screw Feeder)(20)가 정렬된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분산콘(100)을 잘랐을 때 생기는 모양이 사다리꼴(110)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다리꼴(110)의 윗변의 길이는 상기 분환원철(DRI) 장입관(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환원철(DRI) 장입관(10)으로 공급된 분환원철이 데드존(Dead-zone)(40)이 있는 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축대칭형 분산콘(100)의 사다리꼴(110)의 각도(a)는 90도 이하 45도 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다리꼴(110) 윗변에 분환원철이 적층될 확률이 낮아지게 되며, 경사변에 분환원철이 쌓이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사다리꼴(110)의 윗변의 길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환원철(DRI) 장입관(30)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환원철(DRI) 장입관(30)으로 공급된 분환원철이 데드존(Dead-zone)(40)이 있는 방향으로 공급될 가능성이 없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축대칭형 분산콘(100)은 상기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정렬된 방향으로 분산콘을 잘랐을 때 생기는 모양이 삼각형(120)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삼각형(120)의 각도(b)는 45도 내이 90도 범위 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환원철이 데드존(Dead-zone)(40)으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삼각형(120)의 좌측변 및 우측변에 분환원철이 쌓이지 않게 된다.
10: 분환원철 저장 호퍼 20: 스크류 피더
21: 스크류 샤프트 22: 스크레이퍼
30: 분환원철 장입관 40: 데드존
100: 분산콘 110: 사다리꼴
120: 삼각형

Claims (8)

  1. 회전(Rotating)하고 있는 두 롤러(Roller) 사이에 환원된 분철광석을 공급하여 압축하는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에 있어서,
    분환원철을 압축(Compacting)하는 롤러(Roller)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분환원철을 저장하고, 상기 분환원철을 롤러(Roller)로 일정량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나란히 설치된 분환원철 저장 호퍼, 및
    상기 분환원철 저장 호퍼에 설치되고, 상기 분환원철을 상기 분환원철 저장 호퍼에 골고루 분산시켜 주기 위한 분산콘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콘은 상기 분환원철을 상기 스크류 피더가 있는 방향으로 보다 많이 공급될 수 있도록 비축대칭형 구조를 갖고,
    상기 비축대칭형 분산콘은 분환원철 장입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분환원철을 복수개의 스크류 피더(Screw Feeder)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정렬된 방향의 수직인 방향의 단면적은, 상기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정렬된 방향의 단면적보다 넒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비축대칭형 분산콘은 상기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정렬된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분산콘을 잘랐을 때 생기는 모양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꼴의 윗변의 길이는 분환원철(DRI) 장입관으로 공급된 분환원철이 데드존(Dead-zone)이 있는 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분환원철(DRI) 장입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꼴의 각도는 45도~ 90도 범위 내로 형성되는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축대칭형 분산콘은 상기 스크류 피더(Screw Feeder)가 정렬된 방향으로 분산콘을 잘랐을 때 생기는 모양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의 각도는 45도~ 90도 범위 내로 형성되는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환원철 저장 호퍼는 비축대칭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
KR1020140146330A 2014-10-27 2014-10-27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 KR101621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330A KR101621058B1 (ko) 2014-10-27 2014-10-27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330A KR101621058B1 (ko) 2014-10-27 2014-10-27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336A KR20160049336A (ko) 2016-05-09
KR101621058B1 true KR101621058B1 (ko) 2016-05-13

Family

ID=56020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6330A KR101621058B1 (ko) 2014-10-27 2014-10-27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0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864B1 (ko) 2006-12-20 2008-01-24 주식회사 포스코 분환원철 함유 환원체의 괴성체 제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용철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864B1 (ko) 2006-12-20 2008-01-24 주식회사 포스코 분환원철 함유 환원체의 괴성체 제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용철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336A (ko)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65318A1 (ja) ウェッジワイヤスクリーン付きチークプレート
WO2012014271A1 (ja) 竪型ミルローラ
KR101621058B1 (ko) 분환원철 괴성화 장치
US8939278B2 (en) Deconsolidation device for particulate material extrusion pump
JP2010158637A (ja) 竪型粉砕機
CN205369261U (zh) 混凝土九槽防卡送料隔风装置
JP2017209637A (ja) 竪型粉砕機
CN210285402U (zh) 一种新型清堵装置
WO2014045839A1 (ja) 還元鉄冷却装置及び還元鉄冷却方法
KR20160075264A (ko) 성형탄 제조 설비의 원료 공급장치
JP2016002555A (ja) 成型機
CN206262679U (zh) 一种螺旋式立磨下料装置
CN206927270U (zh) 一种用于斜溜槽清堵的喷射系统
CN203470097U (zh) 矿用球磨机出料口锥形导料器
CN207324940U (zh) 一种机械式密封的破碎机
CN204602122U (zh) 搅齿造粒机
CN207141939U (zh) 漏斗式料仓防堵机
KR100797866B1 (ko) 괴성체 제조장치
CN105709463A (zh) 一种废石粉回收改性沉淀池
JP2011194298A (ja) 竪型粉砕機
CN202322724U (zh) 一种干熄焦环境除尘灰仓结构
CN216510408U (zh) 一种带破拱装置的加料斗
CN214039579U (zh) 一种焙烧装沙系统
CN207887304U (zh) 一种矿渣立磨进料装置
CN206688864U (zh) 一种水泥生产球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