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304B1 - 전복양식용 수조 - Google Patents

전복양식용 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304B1
KR101620304B1 KR1020150096406A KR20150096406A KR101620304B1 KR 101620304 B1 KR101620304 B1 KR 101620304B1 KR 1020150096406 A KR1020150096406 A KR 1020150096406A KR 20150096406 A KR20150096406 A KR 20150096406A KR 101620304 B1 KR101620304 B1 KR 101620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bottom portion
inclined wall
abal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숙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송경숙
이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숙, 이승철 filed Critical 송경숙
Priority to KR1020150096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14Legs, e.g.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26Overfill preven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양식용 수조에 관한 것으로, 외곽 테두리와 중앙부분 중 어느 한쪽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의 위쪽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되 한 면 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은 바닥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부; 상기 측면부 중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경사벽에서 상기 측면경사벽을 마주보는 곳에 형성된 측면부를 향하는 수직방향과 상기 측면경사벽의 양측에 배치된 측면부들 사이를 향하는 수평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바닥부와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고정되게 설치된 부착날개; 및 상기 측면경사벽과 함께 연속으로 적층 된 수조 중 하부에 배치된 수조에서 상기 부착날개를 추출하거나 하부에 배치된 수조의 관리를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측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 보다 더 아래쪽으로 수직 하게 돌출되게 형성된 다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복양식용 수조{The Water Tank for Farming Abalone}
본 발명은 전복양식용 수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단으로 연속해서 적층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양식장 공간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고밀도 전복양식이 가능한 전복양식용 수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육상 수조식 전복양식 방법으로는 대부분 양식장 바닥에 대형 양식용 수조(시멘트, 콘크리트, 합성수지제, FRP 등)를 설치한 후 그 내부에 전복을 넣어 양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육상 수조식 양식은 땅을 판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수조를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수조 제작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며,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복양식장 설치 및 공간확보가 어려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324839호와 같이 지면에서 전복을 양식할 수 있는 전복양식용 수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전복양식용 수조는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양식장 내 바닥 또는 복층 구조의 건물에 2 ~ 3단의 수직적 지지 구조물과 그 위에 수조를 설치한 입체식 형태로 전복양식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단위 면적당 공간 효율성 및 사육 밀도가 낮아 전복의 단위 생산량당 건축비 등 많은 시설비가 소요되어 경제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324839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적으로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양식장의 건축면적은 줄이고, 단위 면적당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질병 발생으로 인한 폐사를 줄일 수 있는 전복양식용 수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는 외곽 테두리와 중앙부분 중 어느 한쪽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의 위쪽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되 한 면 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은 바닥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부; 상기 측면부 중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경사벽에서 상기 측면경사벽을 마주보는 곳에 형성된 측면부를 향하는 수직방향과 상기 측면경사벽의 양측에 배치된 측면부들 사이를 향하는 수평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바닥부와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고정되게 설치된 부착날개; 및 상기 측면경사벽과 함께 연속으로 적층 된 수조 중 하부에 배치된 수조에서 상기 부착날개를 추출하거나 하부에 배치된 수조의 관리를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측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 보다 더 아래쪽으로 수직 하게 돌출되게 형성된 다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닥부는 중앙 부분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수조 내의 물이 모이도록 경사진 곳에는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측면부 중 어느 하나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진 곳에 맞붙어 있는 측면부와 바닥부 중 어느 한 곳에는 수조 내의 사육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배수구에 결합되어 수조 내의 사육수를 상기 측면경사벽의 양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T자 형태로 형성된 배수구 연결탭; 상기 배수구 연결탭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한측에 결합된 배수라인; 및 상기 배수구 연결탭의 양측 중 상기 배수라인이 결합되지 않은 측에 결합된 연결탭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측면부의 상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측면부와 일체가 되게 형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측면경사벽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부에 형성되거나 상기 측면경사벽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부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측면부와 손잡이의 상면에는 인접하게 배치된 수조들이 서로 벌어지거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접한 수조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클립이 안착되는 클립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안착홈은 상기 클립이 안착될 때 상기 측면부와 손잡이의 상부면과 측면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클립의 두께보다 깊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측면경사벽의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바닥부에만 형성되거나 상기 측면경사벽의 양측의 바닥부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측면경사벽의 양쪽에 배치되게 형성된 다리부의 보강을 위해 바닥부의 중간라인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부분에만 형성되거나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부분과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와 모서리 사이의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부착날개를 끼움결합시키기 위한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날개는 상기 바닥부 및 측면부와 이격되게 상기 끼움돌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착날개는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서 분리된 형태로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착날개에는 전복과 사육수의 이동을 위한 이동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통로는 상기 부착날개의 하부면과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면경사벽은 상기 부착날개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측면경사벽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부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닥부에는 수조 내에 일정 높이 이상으로 과잉 공급된 사육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수조 내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오버플로우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배수구 근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바닥부의 하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하부 돌출부분과 상기 바닥부의 위쪽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돌출부분과 상부 돌출부분은 분리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상부 돌출부분에는 나팔모양으로 형성된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수위조절용 홀이 형성된 배출구를 포함하는 수위조절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조를 다단으로 적층하더라도 별도의 지지 프레임 등의 구조물 없이 수조 자체적으로 수직으로 연속하여 적층될 수 있기 때문에 공간효율성이 탁월하여 양식장 단위면적당 고밀도의 전복양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양식장의 건축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어 건축비 등의 시설투자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수조 내부에 전복이 부착될 수 있는 부착날개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수조 당 전복의 사육수용량을 크게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복의 부착면 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성장 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 바닥이 배수구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들의 경계면에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복 먹이 찌꺼기 및 전복 배설물이 부패하기 전에 즉각 배수가 되므로 수조 내 사육수의 부패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질병발생으로 인해 전복이 폐사하는 것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사육수를 직접 공급할 수 있는 급수구와 공기(또는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에어공급구가 수조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수조 내측 둘레에 물/에어 공급관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날개에 의해 분할된 공간에도 사육수나 공기(또는 산소)가 원할하게 공급되므로 수조별 수질 관리가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 면 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이 수조의 바닥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수조를 연속적으로 적층하더라도 경사진 곳을 통해 수조의 내부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조 내부에 오버플로우관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육수가 과잉 공급되더라도 수조 내의 수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안착면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측면부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고, 돌출부가 수조의 내벽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수조를 다단으로 적층하더라도 수조가 미끌리거나 기울어져 쓰러지지 않고 항상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복양식용 수조에 설치되는 부착날개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 부분의 절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B-B' 부분의 절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오버플로우관에 수위조절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복양식용 수조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일 예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복양식용 수조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다른 예이다.
도 8은 도 2에서 C-C' 부분 절단면도의 일 예이다.
도 9는 도 2에서 C-C' 부분 절단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10은 도 2에서 C-C' 부분 절단면도의 또 다른 예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전복양식용 수조에 설치되는 부착날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8에서 D-D' 부분 절단면도의 일 예이다.
도 13은 도 8에서 D-D' 부분 절단면도의 다른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복양식용 수조에 설치되는 부착날개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A-A' 부분의 절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B-B' 부분의 절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오버플로우관에 수위조절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복양식용 수조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일 예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복양식용 수조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다른 예이고, 도 8은 도 2에서 C-C' 부분 절단면도의 일 예이며, 도 9는 도 2에서 C-C' 부분 절단면도의 다른 예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2에서 C-C' 부분 절단면도의 또 다른 예이고,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전복양식용 수조에 설치되는 부착날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8에서 D-D' 부분 절단면도의 일 예이고, 도 13은 도 8에서 D-D' 부분 절단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부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는 바닥부(100), 측면부(200), 다리부(300) 및 부착날개(4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100)는 일 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곽 테두리는 다각 형상, 바람직하게는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부(100)는 외곽 테두리 중 어느 한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내부 중 어느 한 쪽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수조 내의 배수가 용이하고, 수조 내부에 물이 차 있는 상태에서의 무게 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중앙부분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닥부(100)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수조 내의 배수를 위해 배수구(10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배수구(102)는 수조 내의 물이 한쪽으로 모이도록 경사진 곳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102)에는 큰 덩어리의 이물질과 물을 분리하기 위해 여과망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부(100)에 배수구(102)가 형성되는 경우 도 3과 같이 상기 배수구(102)에는 수조의 길이방향 양측(예를 들면, 후술하는 측면부(200) 중 기울어지게 형성된 측면부의 양쪽)으로 배수시키기 위해 T자 형태로 형성된 배수구 연결탭(106)이 결합되고, 상기 배수구 연결탭(106)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한측에는 배수라인(108)이 결합되며, 상기 배수라인(108)은 후술하는 바닥부(100)에 형성된 측면배수구(102)를 통해 외부의 배수관과 연결된다.
이때, 배수라인(108)은 수조의 양측으로 배수가 가능하도록 상기 배수구 연결탭(106)의 양쪽에 모두 설치되거나 수조의 일측으로만 배수되도록 배수구 연결탭(106)의 일측에만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배수라인(108)이 상기 배수구 연결탭(106)의 일측에만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구 연결탭(106)의 타측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배수구 연결탭(106)의 타측에 연결탭 마개(110)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바닥부(100)는 바닥판들이 서로 만나는 경계면에 도 4와 같이 배수로(104)가 형성되고, 이 배수로(104)에는 먹이 찌꺼기 및 전복 배설물 등이 모이게 되며, 상기 배수로(104)에 모인 먹이 찌꺼기 및 전복 배설물은 바닥부(100)의 경사에 의해 배수구(102)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00)의 상부면에는 후술하는 부착날개(400)가 결합되는 끼움돌기(112)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112)에 부착날개(400)의 하부면 부분이 끼움결합되어 수조 내부에 배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바닥부(100)에는 수조 내에 일정 높이 이상으로 과잉 공급된 사육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수조 내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오버플로우관(208)이 형성된다.
이러한, 오버플로우관(208)은 바닥부(100)의 하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하부 돌출부분과 상기 바닥부(100)의 위쪽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하부 돌출부분과 상부 돌출부분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버플로우관(208)이 하부 돌출부분과 상부 돌출부분이 분리될 때 상기 수조 내의 물이 상기 오버플로우관(20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오버플로우관(208)은 배수구(102) 근처에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오버플로우관(208)의 상부 돌출부분에는 도 5와 같이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된 수위조절유닛(22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위조절유닛(220)은 나팔모양으로 형성된 투입구(222)와 상기 투입구(222)의 하부에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 배출구(224)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배출구(224)의 측면에 수위조절용 홀(22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조 내의 수위를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배출구(224)의 측면에 형성된 수위조절용 홀(226)이 오버플로우관(208)의 상부 돌출부분 내부에 배치되게 상기 수위조절유닛(220)을 오버플로우관(208)으로 밀어 넣고, 상기 수조 내의 수위를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배출구(224)의 측면에 형성된 수위조절용 홀(226)이 오버플로우관(208)의 상부 돌출부분 위쪽에 배치되게 수위조절유닛(220)을 오버플로우관(208)에서 빼낸다.
이러한, 수위조절유닛(220)의 투입구(222)는 적층된 수조의 바닥부(100)를 통해 아래로 돌출된 오버플로우관(208)의 하부 돌출부분과 동일한 곳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오버플로우관(208)을 통해 흐르는 배출수는 가장 하부에 설치된 수조의 오버플로우관(208) 하부 돌출부분으로 배출되고, 이렇게 배출된 배출수는 배출관(도시하지 않음)으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수위조절유닛(220)이 상기 오버플로우관(208)에 설치될 때 상기 오버플로우관(208)에서 이탈되거나 조절된 높이가 변하지 않도록 상기 수위조절유닛(220)과 오버플로우관(208)은 고정유닛(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거나 상기 수위조절유닛(220)과 오버플로우관(208)이 나사결합과 같은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측면부(200)는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0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100)의 위쪽을 향해 형성(즉, 수평면과 수직되게 형성)되며, 한 면 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과 일정한 각(예를 들면, 20도 ~ 70도)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측면부(200) 중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부(이하, "측면경사벽"이라 함)는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부(200)와 직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반원 또는 반타원형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면경사벽(201)은 수평면과 경사지게 형성되되 직선형태로 형성되거나 굴곡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경사벽(201)은 양측에 형성된 측면부(200) 및 마주보는 곳에 형성된 측면부(200) 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측면경사벽(201)이 굴곡을 갖거나 다른 측면부(200) 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이유는 내부에 설치되는 부착날개(400)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측면부(200)에는 본 발명의 전복양식용 수조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손잡이(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210)는 상기 측면부(200) 상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측면경사벽(20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측면부(200)에만 형성되거나 상기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부(200)에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측면부(200)와는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200)의 상부면에는 본 발명의 전복양식용 수조를 다층으로 적층할 때 다단으로 적층된 전복양식용 수조가 미끌리거나 기울어져 쓰러지지 않도록 결합홈(212)과 결합돌기(308)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212)과 결합돌기(308)는 상기 측면부(200)의 상부면이 아닌 손잡이(21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홈(212)과 결합돌기(308)는 상기 측면부(200)의 상부면에 결합홈(212)이 형성되는 경우 후술하는 다리부(300)의 하부면에 결합돌기(308)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200)의 상부면에 결합돌기(308)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다리부(300)의 하부면에 결합홈(212)이 형성되는데, 외부환경으로부터 결합돌기(308)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면부(200)의 상부면에는 결합홈(212)이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측면부(200)의 상부면에는 클립안착홈(214)이 더 형성된다.
이때, 클립안착홈(214)은 인접하게 배치된 수조들이 서로 벌어지게 배치되거나 수조들의 배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접한 수조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클립(도시하지 않음)이 안착되는 곳으로, 클립이 안착되더라도 측면부(200)와 손잡이(210)의 상부면이나 측면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클립의 두께보다 깊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클립안착홈(214)이 클립의 두께보다 깊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이유는 수조가 적층될 때 클립에 의해 아래에 배치된 수조와 위에 적층된 수조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수조가 클립에 의해 서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측면경사벽(201)과 마주보게 형성된 측면부(200)의 내측면(즉, 수조 내부를 향하는 면)에는 후술하는 부착날개(400)와의 결합을 위해 끼움돌기(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부(200) 중 어느 한 곳에는 배수구(102)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바닥부(100)가 측면부(200) 중 어느 하나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배수구(102)는 경사진 곳에서 바닥부(100)와 맞붙어 있는 측면부(200)나 경사진 곳의 바닥부(100)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배수구(102)가 상기 측면부(200)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배수구(102)에는 상술한 배수구 연결탭(106)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 연결탭(106)에는 배수라인(108)이 연결되며, 상기 배수라인(108)이 상기 배수구 연결탭(106)의 일측에만 연결되는 경우 상기 배수구 연결탭(106)의 타측에는 연결탭 마개(110)가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 연결탭(106)의 타측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한다.
한편, 상기 측면부(200)에는 수조 내부에 사육수와 공기(또는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물/에어 공급관(202)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물/에어 공급관(202)이 수조 내부를 둘러 싸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고정돌기는 모든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물/에어 공급관(202)이 측면경사벽(201)에만 형성되는 경우 상기 고정돌기는 측면경사벽(201)에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경사벽(201)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부(200)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200)(바람직하게는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부(200) 중 하나)에는 외부에서 사육수와 공기(또는 산소)를 상기 물/에어 공급관(202)에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구(204)와 에어공급구(206)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다리부(300)는 상기 바닥부(10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100) 보다 더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즉, 수평면과 수직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다리부(300)는 상기 바닥부(100)의 가장자리에 모두 형성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경사벽(201)의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바닥부(100)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부(300)는 상기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에만 배치되도록 상기 바닥부(100)의 하부에 형성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100)의 모서리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닥부(100)의 모서리부분 뿐만 아니라 모서리와 모서리 사이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다리부(300)가 상기 바닥부(100)의 모든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전복양식용 수조가 적층될 때 수조와 수조 사이의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측면경사벽(201)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리부(300)가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에서 측면경사벽(201)의 중앙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300)가 상기 측면경사벽(201)의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바닥부(100) 가장자리에만 형성되거나 상기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에만 배치되게 바닥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에 배치되게 형성된 다리부(300)의 보강을 위해 상기 다리부(300)가 바닥부(100)의 중간라인을 향해 일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다리부(300)는 상기 바닥부(100) 및 측면부(200)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다리부(300)의 하부면은 도 3과 같이 단턱지게 형성되는데, 안착면(304)은 하부에 적층되는 수조의 측면부(200) 상부면과 밀착되고, 상기 안착면(304)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출부(306)는 수조의 내벽면(즉, 측면부(200)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면(304)에는 결합홈(212)과 결합돌기(308)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데, 상기 측면부(200)의 상부면에 결합홈(212)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안착면(304)에는 결합돌기(308)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200)의 상부면에 결합돌기(308)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안착면(304)에 결합홈(212)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돌기(308)가 안착면(304)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수조가 적층될 때 상기 돌출부(306)가 아래에 배치된 수조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안착면(304)은 아래에 배치된 수조의 측면부(200) 상부면에 밀착되며, 상기 결합돌기(308)가 상기 측면부(200)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홈(212)에 삽입되기 때문에 위쪽과 아래쪽에 배치된 수조들이 서로 맞물려서 다단으로 적층되더라도 미끌리거나 기울어져 쓰러지지 않고 항상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다리부(300) 중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에 형성된 다리부(300)에는 측면배수구(102)가 형성되는데, 상기 측면배수구(102)를 통해 상기 배수라인(108)이 외부의 배수관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측면배수구(102)는 배수라인(108)이 수조에 의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리부(300)에 형성되는데, 상기 다리부(300)에 홀 형태로 형성되거나 다리부(300)의 하부면에서 배수라인(108)을 끼울 수 있도록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날개(400)는 수조 내의 전복 서식공간(즉, 전복이 부착되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넓히기 위한 것으로, 측면경사벽(201)을 기준으로 상기 측면경사벽(201)과 수직한 방향(즉, 상기 측면경사벽(201)에서 상기 측면경사벽(201)과 마주보는 측면부(200)를 향하는 수직방향)과 상기 측면경사벽(201)과 평행한 방향(즉, 상기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에 배치된 측면부(200) 사이를 향하는 수평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배치되게 수조 내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부착날개(40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경사벽(201)과 상기 측면경사벽(201)을 마주보는 곳에 배치된 측면부(200) 사이에 설치되거나 상기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부(200)들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날개(40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경사벽(201)과 상기 측면경사벽(201)을 마주보는 곳에 배치된 측면부(200) 사이에 ㅡ자 형태로 배치되거나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00)의 일측(예를 들면, 바닥부(100)의 중앙부분)에서 분리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착날개(400)는 도 8 및 도 9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이 상기 바닥부(100)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과 평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착날개(400)의 하부면이 바닥부(100)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부착날개(400)의 하부면에는 전복 및 수조 내의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40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동통로(402)는 상기 부착날개(400)의 하부면쪽 뿐만 아니라 부착날개(400)의 내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착날개(400)가 바닥부(100)의 일측에서 분리되는 형태로 수조 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부착날개(400)의 하부면에는 이동통로(402)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부착날개(400)와 부착날개(400) 사이가 이동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별도의 이동통로를 만들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착날개(400)는 측면부(200)와 바닥부(100)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수조 내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돌기(112)에 끼움 결합되어 수조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부착날개(400)의 하부면은 사육수와 이물질 및 찌꺼기 등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끼움돌기(112)에 의해 상기 바닥부(100) 및 측면부(200)와 일정간격 이격된다.
한편, 상기 부착날개(400)는 측면부(200)와 결합되는 쪽의 상부면 일측 단부가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고, 이렇게 단턱진 곳과 측면부(200) 사이에는 수조 내부에 사육수나 공기(또는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물/에어 공급관(202)이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는 바닥부(100), 측면부(200), 다리부(300) 및 부착날개(400)가 모두 일체로 형성되거나, 바닥부(100), 측면부(200) 및 다리부(300)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날개(400)는 상기 측면부(200)나 바닥부(100)에 끼움결합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복양식용 수조는 수조를 다단으로 적층하더라도 별도의 지지 프레임 등의 구조물 없이 수조 자체적으로 수직으로 연속하여 적층될 수 있기 때문에 공간효율성이 탁월하여 양식장 단위면적당 고밀도의 전복양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양식장의 건축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어 건축비 등의 시설투자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복양식용 수조는 수조 내부에 전복이 부착될 수 있는 부착날개(40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수조 당 전복의 사육수용량을 크게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복의 부착면 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성장 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복양식용 수조는 수조 바닥이 배수구(102)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들의 경계면에 배수로(10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복 먹이 찌꺼기 및 전복 배설물이 부패하기 전에 즉각 배수가 되므로 수조 내 사육수의 부패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질병발생으로 인해 전복이 폐사하는 것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복양식용 수조는 사육수를 직접 공급할 수 있는 급수구(204)와 공기(또는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에어공급구(206)가 수조 측면(즉,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에 배치된 측면부(2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육수나 공기(또는 산소)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어 수조별 수질 관리가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복양식용 수조는 한 면 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이 수조의 바닥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수조를 연속적으로 적층하더라도 경사진 곳을 통해 수조의 내부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조 내부에 오버플로우관(208)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육수가 과잉 공급되더라도 수조 내의 수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안착면(304)에 형성된 결합돌기(308)가 측면부(20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212)에 삽입되고, 돌출부(306)가 수조의 내벽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수조를 다단으로 적층하더라도 수조가 미끌리거나 기울어져 쓰러지지 않고 항상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바닥부 102 : 배수구
104 : 배수로 106 : 배수구 연결탭
108 : 배수라인 110 : 연결탭 마개
112 : 끼움돌기 200 : 측면부
201 : 측면경사벽 202 : 물/에어 공급관
204 : 급수구 206 : 에어공급구
208 : 오버플로우관 210 : 손잡이
212 : 결합홈 214 : 클립안착홈
220 : 수위조절유닛 222 : 투입구
224 : 배출구 226 : 수위조절용 홀
300 : 다리부 302 : 측면배수구
304 : 안착면 306 : 돌출부
308 : 결합돌기 400 : 부착날개
402 : 이동통로

Claims (17)

  1. 수직으로 연속 적층 하여 전복을 양식하기 위한 전복양식용 수조에 있어서,
    외곽 테두리와 중앙부분 중 어느 한쪽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의 위쪽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되 한 면 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은 바닥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부;
    상기 측면부 중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경사벽에서 상기 측면경사벽을 마주보는 곳에 형성된 측면부를 향하는 수직방향과 상기 측면경사벽의 양측에 배치된 측면부들 사이를 향하는 수평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바닥부와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고정되게 설치된 부착날개; 및
    상기 측면경사벽과 함께 연속으로 적층 된 수조 중 하부에 배치된 수조에서 상기 부착날개를 추출하거나 하부에 배치된 수조의 관리를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측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 보다 더 아래쪽으로 수직 하게 돌출되게 형성된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중앙 부분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수조 내의 물이 모이도록 경사진 곳에는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측면부 중 어느 하나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진 곳에 맞붙어 있는 측면부와 바닥부 중 어느 한 곳에는 수조 내의 사육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4. 청구항 2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 결합되어 수조 내의 사육수를 상기 측면경사벽의 양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T자 형태로 형성된 배수구 연결탭;
    상기 배수구 연결탭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한측에 결합된 배수라인; 및
    상기 배수구 연결탭의 양측 중 상기 배수라인이 결합되지 않은 측에 결합된 연결탭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상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측면부와 일체가 되게 형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측면경사벽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부에 형성되거나 상기 측면경사벽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부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와 손잡이의 상면에는 인접하게 배치된 수조들이 서로 벌어지거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접한 수조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클립이 안착되는 클립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안착홈은 상기 클립이 안착될 때 상기 측면부와 손잡이의 상부면과 측면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클립의 두께보다 깊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측면경사벽의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바닥부에만 형성되거나 상기 측면경사벽의 양측의 바닥부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측면경사벽의 양쪽에 배치되게 형성된 다리부의 보강을 위해 바닥부의 중간라인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부분에만 형성되거나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부분과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와 모서리 사이의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는 상기 부착날개를 끼움결합시키기 위한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날개는 상기 끼움돌기에 의해 상기 바닥부 및 측면부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날개는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서 분리된 형태로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날개에는 전복과 사육수의 이동을 위한 이동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통로는 상기 부착날개의 하부면과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경사벽은 상기 부착날개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측면경사벽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부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14. 청구항 2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수조 내에 일정 높이 이상으로 과잉 공급된 사육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수조 내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오버플로우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배수구 근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바닥부의 하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하부 돌출부분과 상기 바닥부의 위쪽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돌출부분과 상부 돌출부분은 분리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상부 돌출부분에는 나팔모양으로 형성된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수위조절용 홀이 형성된 배출구를 포함하는 수위조절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KR1020150096406A 2015-07-07 2015-07-07 전복양식용 수조 KR101620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406A KR101620304B1 (ko) 2015-07-07 2015-07-07 전복양식용 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406A KR101620304B1 (ko) 2015-07-07 2015-07-07 전복양식용 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304B1 true KR101620304B1 (ko) 2016-05-12

Family

ID=5602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406A KR101620304B1 (ko) 2015-07-07 2015-07-07 전복양식용 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3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674B1 (ko) * 2017-03-03 2017-09-12 한국홍원주식회사 해삼 양식용 하우스
KR101777675B1 (ko) * 2017-03-03 2017-09-13 한국홍원주식회사 해삼 양식 시스템
CN110371454A (zh) * 2019-08-01 2019-10-25 杜萌 底座结构及具有其的周转箱
KR102075634B1 (ko) * 2019-04-29 2020-02-10 양원택 스마트 양식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2512A (ja) * 2005-09-26 2007-04-05 Nishizawa Gakuen 水槽、及びオーバーフロー排水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2512A (ja) * 2005-09-26 2007-04-05 Nishizawa Gakuen 水槽、及びオーバーフロー排水管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674B1 (ko) * 2017-03-03 2017-09-12 한국홍원주식회사 해삼 양식용 하우스
KR101777675B1 (ko) * 2017-03-03 2017-09-13 한국홍원주식회사 해삼 양식 시스템
KR102075634B1 (ko) * 2019-04-29 2020-02-10 양원택 스마트 양식기
CN110371454A (zh) * 2019-08-01 2019-10-25 杜萌 底座结构及具有其的周转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304B1 (ko) 전복양식용 수조
US8191310B2 (en) Stackable plant pot
CN204560398U (zh) 一种花盆
US20160353674A1 (en) Stackable planting system layer quarter section
KR200477376Y1 (ko) 무동력 자동 관수 화분
CN105454143A (zh) 一种封闭循环水系统养殖池全自动定时排污方法及装置
KR200472746Y1 (ko) 식물 재배 용기
US20050145184A1 (en) Bird bath with reservoir
CN205546828U (zh) 一种植物无土栽培盆及盆组
JP2007236294A (ja) 隔離床栽培用プランター
KR20160089151A (ko) 전복양식용 수조
US8534226B2 (en) Bird drinker assembly with a triangular supply line
KR102346341B1 (ko) 분리형 화분
CN213095390U (zh) 一种多功能生态式植物养殖装置
WO2013071496A1 (zh) 花盆
CN108012935A (zh) 一种立体养牛装置
CN209390730U (zh) 一种挂墙式组合花盆
KR200463213Y1 (ko) 보강토 옹벽블럭 구축용 고정핀
TWI622344B (zh) 外掛式活水飲水系統
CN205250132U (zh) 一种石蛙孵化变态一体池
CN205694988U (zh) 鱼类受精卵孵化器
CN205585101U (zh) 龟养殖池
CN114158522B (zh) 一种仿野生大鲵养殖系统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WO2017041756A1 (zh) 用于无土栽培植物的管槽组件和相应的植物培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