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151A - 전복양식용 수조 - Google Patents

전복양식용 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151A
KR20160089151A KR1020150008722A KR20150008722A KR20160089151A KR 20160089151 A KR20160089151 A KR 20160089151A KR 1020150008722 A KR1020150008722 A KR 1020150008722A KR 20150008722 A KR20150008722 A KR 20150008722A KR 20160089151 A KR20160089151 A KR 20160089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bottom portion
abalo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숙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송경숙
이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숙, 이승철 filed Critical 송경숙
Priority to KR1020150008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9151A/ko
Publication of KR20160089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1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gastropods, e.g. abalones or turban snails
    • A01K61/00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양식용 수조에 관한 것으로, 일 측에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의 위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적어도 1면은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부; 및 상기 바닥부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의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다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복양식용 수조{The Water Tank for Farming Abalone}
본 발명은 전복양식용 수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단으로 연속해서 적층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양식장 공간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고밀도 전복양식이 가능한 전복양식용 수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육상 수조식 전복양식 방법으로는 대부분 양식장 바닥에 대형 양식용 수조(시멘트, 콘크리트, 합성수지제, FRP 등)를 설치한 후 그 내부에 전복을 넣어 양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육상 수조식 양식은 땅을 판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수조를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수조 제작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며,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복양식장 설치 및 공간확보가 어려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324839호와 같이 지면에서 전복을 양식할 수 있는 전복양식용 수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전복양식용 수조는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양식장 내 바닥 또는 복층 구조의 건물에 2 ~ 3단의 수직적 지지 구조물과 그 위에 수조를 설치한 입체식 형태로 전복양식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단위 면적당 공간 효율성 및 사육 밀도가 낮아 전복의 단위 생산량 당 건축비 등 많은 시설비가 소요되어 경제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324839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적으로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양식장의 건축면적은 줄이고, 단위 면적당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질병 발생으로 인한 폐사를 줄일 수 있는 전복양식용 수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는 일 측에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의 위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적어도 1면은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부; 및 상기 바닥부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의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다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측면부에서 상기 바닥부의 가운데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측면부와 바닥부에 결합된 부착 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착 날개는 상기 측면부와 결합되는 쪽의 상면 단부가 단턱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 둘레에는 상기 부착 날개에 의해 분리된 공간에 사육수와 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물/에어 공급관이 설치되고, 상기 물/에어 공급관은 상기 부착 날개의 단턱진 곳과 측면부 사이에 끼워지며,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측면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물/에어 공급관에 사육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와 상기 물/에어 공급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닥부에는 복수개의 공기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닥부는 바닥판들이 서로 만나는 경계면에 상기 배수구와 연결되게 배수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경사진 측면부의 양측에 배치된 다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서 상기 배수구와 연결된 측면배수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닥부에는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일정 높이 이상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오버플로우관이 형성되고,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측면배수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 중 경사진 측면부가 형성된 곳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사진 측면부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다리부는 경사진 측면부의 끝단에서 상기 경사진 측면부와 대향되는 곳에 배치된 측면부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리부의 하부는 평평하게 형성된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에서 하부쪽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단턱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면부는 서로 마주보는 2개가 수평면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경사진 측면부의 양측에 배치된 측면부에는 상기 측면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아래쪽으로 절곡된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조를 다단으로 적층하더라도 별도의 지지 프레임 등의 구조물 없이 수조 자체적으로 수직으로 연속하여 적층될 수 있기 때문에 공간효율성이 탁월하여 양식장 단위면적당 고밀도의 전복양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양식장의 건축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어 건축비 등의 시설투자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수조 내부에 전복이 부착될 수 있는 부착 날개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수조 당 전복의 사육수용량을 크게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복의 부착면 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성장 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 바닥이 배수구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들의 경계면에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복 먹이 찌꺼기 및 전복 배설물이 부패하기 전에 즉각 배수가 되므로 수조 내 사육수의 부패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질병발생으로 인해 전복이 폐사하는 것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사육수를 직접 공급할 수 있는 급수구와 공기(또는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에어공급구가 수조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수조 내측 둘레에 물/에어 공급관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 날개에 의해 분할된 공간에도 사육수나 공기(또는 산소)가 원할하게 공급되므로 수조별 수질 관리가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적어도 1면이 수조의 바닥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수조를 연속적으로 적층하더라도 경사진 곳을 통해 수조의 내부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조 내부에 오버플로우관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육수가 과잉 공급되더라도 수조 내의 수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바닥부의 하부로 돌기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수조를 다단으로 적층하더라도 수조가 미끌리거나 기울어져 쓰러지지 않고 항상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복양식용 수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 부분의 절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B-B' 부분의 절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복양식용 수조의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복양식용 수조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부착 날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전복양식용 수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전복양식용 수조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C-C' 부분의 절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복양식용 수조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A-A' 부분의 절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서 B-B' 부분의 절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복양식용 수조의 측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복양식용 수조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부착 날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는 바닥부(100), 측면부(200), 다리부(300) 및 부착 날개(4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100)는 일 측에 형성된 배수구(102)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부 테두리는 다각 형상, 바람직하게는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배수구(102)는 어느 곳이든 형성이 가능하나, 수조 내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바닥부(100)의 중앙에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고, 상기 배수구(102)에는 큰 덩어리의 이물질과 물을 분리하기 위해 여과망이 설치되는 게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닥부(100)는 바닥판들이 서로 만나는 경계면들에 도 4와 같이 배수로(104)가 배수구(102)와 연결되게 형성되고, 이 배수로(104)에 먹이 찌꺼기 및 전복 배설물 등이 모이게 되며, 상기 배수로(104)에 모인 먹이 찌꺼기 및 전복 배설물은 바닥부(100)의 경사에 의해 배수구(102)로 배출된다.
이러한, 바닥부(100)에는 수조 내부로 공기(또는 산소)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개의 공기 구멍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공기 구멍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수조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공기 공급수단이 설치되는 게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부(200)는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0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100)의 위쪽을 향해 형성(즉, 수평면과 수직되게 형성)되며, 적어도 1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과 일정한 각(예를 들면, θ는 20도 ~ 70도, 바람직하게는 45도)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측면부(200) 중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부(이하, "측면경사벽"이라 함)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부(200)와 직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반원 또는 타원형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측면경사벽(201)은 수평면과 경사지게 형성되되 직선형태로 형성되거나 굴곡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300)는 상기 바닥부(100)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100)의 아래쪽을 향해 형성(즉, 수평면과 수직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다리부(300)는 상기 바닥부(100)의 가장자리에 모두 형성되거나 상기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에만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경사벽(201)의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다리부(300)는 바닥부(100)의 4면 가장자리에 모두 형성되거나 바닥부(100)의 4면 가장자리 중 상기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에만 2개 형성되거나 상기 측면경사벽(201)의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3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경사벽(201)의 하부에 다리부(300)가 형성될 경우에는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에서 측면경사벽(201)의 중앙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복양식용 수조가 적층될 때 수조와 수조 사이의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다리부(300)의 하부는 도 3과 같이 단턱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다리부(300)의 하부에 형성된 안착면(304)은 도 7과 같이 하부에 적층되는 수조의 측면부(200) 상면과 밀착되고, 상기 안착면(304) 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기(306)는 수조의 내벽면이나 외벽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밀착된다. 이로 인해, 수조가 적층될 때 상기 돌기(306)가 아래에 배치된 수조의 상면에 걸림되어 위쪽과 아래쪽에 배치된 수조들이 서로 맞물리게 되므로 수조가 다단으로 적층되더라도 미끌리거나 기울어져 쓰러지지 않고 항상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다리부(300) 중 상기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에 형성된 다리부(300)에는 상기 배수구(102)와 연결된 측면배수구(302)가 형성되는데, 상기 측면배수구(302)는 상기 바닥부(100)의 하부에서 상기 배수구(102)와 연결되고, 상기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에 형성된 다리부(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결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배수구(302)는 상기 측면경사벽(201)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된 다리부(300)에만 연결되게 형성되거나 상기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에 배치된 다리부(300)에 모두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 날개(400)는 수조 내의 전복 서식공간(즉, 전복이 부착되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넓히기 위한 것으로, 측면부(200)에서 바닥부(100)의 가운데 부분을 향해 돌출되게 상기 측면부(200) 및 바닥부(100)에 결합되고, 상기 바닥부(100)의 위쪽으로 돌출되게 상기 바닥부(10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부착 날개(400)는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부(200)에만 설치되거나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부(200)와 측면경사벽(201)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 날개(400)는 상기 측면부(200)나 바닥부(1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측면부(200)나 바닥부(100)에 끼움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부(100)에서 위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부착 날개(400)는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측면부(200)와 바닥부(100)에 결합되는 부착 날개(400)는 도 8과 같이 측면부(200)와 결합되는 쪽의 상면 일측 단부가 단턱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부착 날개(400)에 형성된 단턱진 부분에는 도 1과 같이 상기 수조 내부에 사육수나 공기(또는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물/에어 공급관(202)이 끼워진다.
한편, 상술한 물/에어 공급관(202)은 부착 날개(400)에 의해 분할된 곳에도 사육수와 공기(또는 산소)가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200)의 내측면 둘레(즉, 수조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다.
그리고, 물/에어 공급관(202)에 각각 사육수와 공기(또는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측면경사벽(201)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부(200)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200)에는 외부로부터 각각 사육수와 공기(또는 산소)를 상기 물/에어 공급관(202)에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구(204) 및 에어공급구(206)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급수구(204) 및 에어공급구(206)를 통해 연결되는 급수관이나 에어공급관이 상기 물/에어 공급관(202)에 연결되어 물(즉, 사육수)이나 공기(또는 산소) 또는 물과 산소를 한꺼번에 수조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조에는 과잉 공급된 사육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수조 내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바닥부(100)에서 위쪽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된 오버플로우관(208)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수조 내의 물이 일정량 이상(예를 들면, 부착 날개(400)가 모두 잠길만큼의 높이)이 되면, 상기 오버플로우관(208)을 통해 수조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오버플로우관(208)은 바닥부(100)의 하부로 관통되게 형성되거나 상기 바닥부(100)의 하부에서 상기 측면배수구(302)와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는데, 배수관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바닥부(100)의 하부에서 상기 측면배수구(302)와 연결되는 게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는 바닥부(100), 측면부(200), 다리부(300) 및 부착 날개(400)가 모두 일체로 형성되거나, 바닥부(100), 측면부(200) 및 다리부(300)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 날개(400)는 상기 측면부(200)나 바닥부(100)에 끼움결합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전복양식용 수조의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는 일 측에 배수구(102)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102)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부(100),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0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100)의 위쪽을 향해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2면이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록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부(200), 상기 바닥부(100)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00)의 가장자리 중 경사진 측면부가 형성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100)의 아래쪽을 향해 형성된 다리부(300) 및 상기 측면부(200)에서 바닥부(100)의 가운데 부분을 향해 돌출되게 상기 측면부(200)에 설치된 부착 날개(4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와 비교하여 4개의 측면부(200)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면부(200)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다른 전복양식용 수조는 일 측에 배수구(102)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102)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부(100),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0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100)의 위쪽을 향해 형성되며, 적어도 1면이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록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부(200), 상기 바닥부(100)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00)의 가장자리 중 경사진 측면부가 형성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100)의 아래쪽을 향해 형성된 다리부(300) 및 상기 측면부(200)에서 바닥부(100)의 가운데 부분을 향해 돌출되게 상기 측면부(200)에 설치된 부착 날개(4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와 비교하여 상기 다리부(300)가 측면경사벽(201)의 하부까지 연장되게 형성(즉, 측면경사벽(201)의 끝단에서 상기 측면경사벽(201)과 대향되는 곳에 배치된 측면부까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전복양식용 수조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C-C' 부분의 절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는 일 측에 배수구(102)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102)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부(100),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0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100)의 위쪽을 향해 형성되며, 적어도 1면이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록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부(200), 상기 바닥부(100)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00)의 가장자리 중 경사진 측면부가 형성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100)의 아래쪽을 향해 형성된 다리부(300) 및 상기 측면부(200)에서 바닥부(100)의 가운데 부분을 향해 돌출되게 상기 측면부(200)에 설치된 부착 날개(4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와 비교하여 상기 측면부(20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아래쪽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손잡이(210)가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의 측면부(200)에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다리부(300)가 측면경사벽(201)의 하부까지 연장되게 형성(즉, 측면경사벽(201)의 끝단에서 상기 측면경사벽(201)과 대향되는 곳에 배치된 측면부까지 형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의 구조는 측면경사벽(201)이 한쪽에만 형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뿐만 아니라 측면경사벽(201)이 서로 마주보는 곳에 형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에 배치된 측면부(200)에 손잡이(210)가 형성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의 구조는 측면경사벽(201)이 한쪽에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뿐만 아니라 측면경사벽(201)이 서로 마주보는 곳에 형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300)가 측면경사벽(201)의 하부까지 연장되게 형성(즉, 측면경사벽(201)의 끝단에서 상기 측면경사벽(201)과 대향되는 곳에 배치된 측면부까지 형성)된 구조와 측면경사벽(201)의 양측에 배치된 측면부(200)에 손잡이(210)가 형성된 구조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복양식용 수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복양식용 수조는 수조를 다단으로 적층하더라도 별도의 지지 프레임 등의 구조물 없이 수조 자체적으로 수직으로 연속하여 적층될 수 있기 때문에 공간효율성이 탁월하여 양식장 단위면적당 고밀도의 전복양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양식장의 건축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어 건축비 등의 시설투자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복양식용 수조는 수조 내부에 전복이 부착될 수 있는 부착 날개(40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수조 당 전복의 사육수용량을 크게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복의 부착면 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성장 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복양식용 수조는 수조 바닥이 배수구(102)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들의 경계면에 배수로(10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복 먹이 찌꺼기 및 전복 배설물이 부패하기 전에 즉각 배수가 되므로 수조 내 사육수의 부패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질병발생으로 인해 전복이 폐사하는 것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복양식용 수조는 사육수를 직접 공급할 수 있는 급수구(204)와 공기(또는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에어공급구(206)가 수조 측면(즉, 측면경사벽(201)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부(200))에 형성되어 있고, 수조 내측 둘레에 물/에어 공급관(202)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 날개(400)에 의해 분할된 공간에도 사육수나 공기(또는 산소)가 원할하게 공급되므로 수조별 수질 관리가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복양식용 수조는 적어도 1면이 수조의 바닥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수조를 연속적으로 적층하더라도 경사진 곳을 통해 수조의 내부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조 내부에 오버플로우관(208)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육수가 과잉 공급되더라도 수조 내의 수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바닥부(100)의 하부로 돌기(306)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수조를 다단으로 적층하더라도 수조가 미끌리거나 기울어져 쓰러지지 않고 항상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바닥부 102 : 배수구
104 : 배수로 200 : 측면부
201 : 측면경사벽 202 : 물/에어 공급관
204 : 급수구 206 : 에어공급구
208 : 오버플로우관 210 : 손잡이
300 : 다리부 302 : 측면배수구
304 : 안착면 306 : 돌기
400 : 부착 날개

Claims (13)

  1. 일 측에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의 위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적어도 1면은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부; 및
    상기 바닥부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의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서 상기 바닥부의 가운데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측면부와 바닥부에 결합된 부착 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착 날개는 상기 측면부와 결합되는 쪽의 상면 단부가 단턱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 둘레에는 상기 부착 날개에 의해 분리된 공간에 사육수와 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물/에어 공급관이 설치되고, 상기 물/에어 공급관은 상기 부착 날개의 단턱진 곳과 측면부 사이에 끼워지며,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측면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물/에어 공급관에 사육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와 상기 물/에어 공급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5. 청구항 1과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복수개의 공기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6. 청구항 1과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바닥판들이 서로 만나는 경계면에 상기 배수구와 연결되게 배수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7. 청구항 1과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사진 측면부의 양측에 배치된 다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서 상기 배수구와 연결된 측면배수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일정 높이 이상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오버플로우관이 형성되고,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측면배수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9. 청구항 1과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 중 경사진 측면부가 형성된 곳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측면부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다리부는 경사진 측면부의 끝단에서 상기 경사진 측면부와 대향되는 곳에 배치된 측면부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11. 청구항 1과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하부는 평평하게 형성된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에서 하부쪽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단턱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12. 청구항 1과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서로 마주보는 2개가 수평면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13. 청구항 1과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사진 측면부의 양측에 배치된 측면부에는 상기 측면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아래쪽으로 절곡된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양식용 수조.
KR1020150008722A 2015-01-19 2015-01-19 전복양식용 수조 KR20160089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722A KR20160089151A (ko) 2015-01-19 2015-01-19 전복양식용 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722A KR20160089151A (ko) 2015-01-19 2015-01-19 전복양식용 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151A true KR20160089151A (ko) 2016-07-27

Family

ID=5661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722A KR20160089151A (ko) 2015-01-19 2015-01-19 전복양식용 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91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782A (ko) * 2018-07-25 2020-02-04 김홍근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839B1 (ko) 1993-03-09 2002-06-20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와류펌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839B1 (ko) 1993-03-09 2002-06-20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와류펌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782A (ko) * 2018-07-25 2020-02-04 김홍근 다층다단 회류식 사육수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66525A1 (en) Hydroponic garden system
CN105475019B (zh) 绿植巢
CA2937824A1 (en) A stackable planting system layer quarter section
CN204707554U (zh) 保水透气栽培盆
KR101620304B1 (ko) 전복양식용 수조
KR200472746Y1 (ko) 식물 재배 용기
CN204616721U (zh) 一种家禽养殖用组合笼
KR20160089151A (ko) 전복양식용 수조
JP2007236294A (ja) 隔離床栽培用プランター
CN106106115A (zh) 压盘式豆芽机
CN204272773U (zh) 防涝草皮培育装置
CN213095390U (zh) 一种多功能生态式植物养殖装置
CN206350404U (zh) 一种养鸡设备
KR20090021301A (ko) 버섯재배사업의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한 배양용기, 균상선반, 관수·보습장치 및 버섯재배방법
AU2009251937B2 (en) A bird drinker assembly with a triangular water supply line
CN205830540U (zh) 一种花盆的托架
KR102320508B1 (ko) 적층식 화분
KR20210078469A (ko) 벽면 설치용 식물 포트의 적층 설치 구조
CN202551775U (zh) 一种墙体式组合花盆
TWM457404U (zh) 綠牆盆栽裝置
TWI607692B (zh) 壁面綠化單元及壁面綠化的設置方法
CN205250132U (zh) 一种石蛙孵化变态一体池
CN2870455Y (zh) 一种海产贝类平面流培育装置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CN109168763A (zh) 一种农业苗木种植用育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