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539B1 - 밸브시트 및 밸브가이드 압입장치 - Google Patents

밸브시트 및 밸브가이드 압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539B1
KR101619539B1 KR1020100092226A KR20100092226A KR101619539B1 KR 101619539 B1 KR101619539 B1 KR 101619539B1 KR 1020100092226 A KR1020100092226 A KR 1020100092226A KR 20100092226 A KR20100092226 A KR 20100092226A KR 101619539 B1 KR101619539 B1 KR 101619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unit
presser
valve seat
serv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0619A (ko
Inventor
이준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2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539B1/ko
Publication of KR20120030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53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 압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 기종별로 실린더 헤드에 밸브가이드와 밸브시트를 압입할 수 있는 복수개의 압입기 유닛이 구비되어 압입작업이 이루어지는 실린더 헤드의 엔진 기종에 따라 압입기 유닛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 압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 압입장치는, 실린더 헤드에 밸브가이드 또는 밸브시트를 압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압입기가 지지대 상에 배열된 압입기 유닛과, 상기 압입기 유닛의 후방에서 각 압입기에 압입력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서보프레스가 프레임 상에 배열되어 일체 이동되는 서보프레스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압입기 유닛이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서보프레스 유닛을 복수개의 압입기 유닛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압입기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개의 압입기 유닛에 대한 서보프레스 유닛의 공용화가 가능하면서, 상기 서보프레스 유닛의 이동에 따라 압입작업을 수행할 압입기 유닛의 선택,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밸브시트 및 밸브가이드 압입장치{INSERTION APPARATUS FOR VALVE SEAT AND VALVE GUIDE}
본 발명은 밸브 시트 및 밸브 가이드의 압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 기종별로 실린더 헤드에 밸브가이드와 밸브시트를 압입할 수 있는 복수개의 압입기 유닛이 구비되어 엔진 기종에 따라 압입기 유닛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 압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린더 헤드는 엔진의 머리 부분으로 실린더의 윗면에 설치되며, 기밀과 수밀을 유지하여 열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곳이다.
그리고 실린더 헤드의 연소실에는 스파크 플러그, 흡입밸브, 배기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린더, 피스톤, 실린더 헤드가 연소실을 구성한다.
또한 실린더 헤드에는 흡기밸브 및 배기밸브를 안내하는 밸브가이드와, 연소실의 압력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통상의 실린더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의 압입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밸브가이드(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10)에 형성된 안내홀에 압입되고, 흡기 및 배기밸브(미도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밸브시트(30)는 흡기 및 배기밸브의 페이스(FACE)부가 밀착되는 지지홀에 압입되어 연소실의 압력이 새는 것을 방지하며, 밸브 헤드의 열을 받아 실린더 헤드(10)의 냉각수 통로를 통해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밸브가이드(20) 및 밸브시트(30)는 실린더 헤드(10)에 압입시 대략 3 ~ 5 ton 정도의 가압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유압을 이용한 압입장치를 이용하여 압입을 진행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10)를 압입 프레스(미도시)에 고정하고, 밸브시트(30)가 장착된 제1압입장치(40)를 실린더 헤드(10)의 상면을 통해 삽입하여 지지홀에 밸브시트(30)를 압입한다.
그런 다음, 밸브가이드(20)가 삽입된 제2압입장치(50)를 실린더 헤드(10)의 저면을 통해 삽입하여 안내홀에 밸브가이드(20)를 압입한다.
이후 제1 및 제2압입장치(40,50)를 실린더 헤드(10)로부터 분리시키면 밸브시트(30) 및 밸브가이드(20)의 압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 헤드(10)를 기준으로 일측에서 제1압입장치(40)가 밸브시트(30)를, 그 반대측에서는 제2압입장치(50)가 밸브가이드(20)를 압입하게 되며, 밸브시트(30)는 실린더 헤드(10)의 상면에서 압입작업을 진행하고, 밸브가이드(20)는 실린더 헤드(10)의 저면에서 압입작업을 진행한다.
한편, 종래의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의 압입장치와 관련한 선행기술특허로서, 공개특허 제2010-8167호(2010.01.25 공개)에는, 밸브가이드 압입을 위한 압입장치와 밸브시트 압입을 위한 압입장치가 각각 구동부재(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서보프레스라 칭함)와 압입부재(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압입기라 칭함), 체결부재(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백업 유닛이라 칭함)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백업 유닛은 밸브가이드 압입장치와 밸브시트 압입장치에 모두 구비되는데, 전후진 구동되는 서보프레스의 구동축과 압입기의 압입축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켜 지지하는 구성부로서, 밸브가이드 압입시 가해지는 힘을 그 반대쪽 밸브시트 압입장치측에서 백업 지지하거나, 밸브시트 압입시 가해지는 힘을 그 반대쪽 밸브가이드 압입장치측에서 백업 지지하는 구성부이다.
즉, 밸브가이드측과 밸브시트측의 어느 한쪽에서 실린더 헤드를 대상으로 가압하여 압입작업이 이루어질 때, 작업대상물인 실린더 헤드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면서 반대쪽 압입장치의 연결부재를 고정 지지하여, 밸브시트 압입장치에서 가해지는 힘 또는 밸브가이드 압입장치에서 가해지는 힘을 반대쪽 압입장치에서 백업 지지함으로써, 이 힘이 반대쪽 압입장치의 전기모터(서보프레스의 구성임) 등에 전달되지 않도록 해주게 된다.
도 3은 상기한 압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압입장치의 측면도로서, 실린더 헤드(10)에 밸브가이드를 압입하기 위하여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서보프레스(60), 본체(71), 압입축(72) 및 압입툴(73)을 포함하는 압입기(70),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는 서보프레스(60)의 구동축(61)과 압입기(70)의 압입축(72) 사이의 연결부위를 선택적으로 고정하여 지지하는 백업 유닛(80) 등으로 구성된 밸브가이드 압입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밸브가이드 압입장치와 밸브시트 압입장치는 압입툴의 구조에 다소 차이가 있고 또한 압입물이 밸브가이드와 밸브시트라는 차이가 있을 뿐, 압입장치를 구성하는 서보프레스(60)와 압입기(70)의 구성 및 이들의 압입을 위한 작동상태 등에는 차이가 없다.
도 3은 4개의 서보프레스(60)와 4개의 압입기(70)가 구비된 4축식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4개의 밸브가이드(또는 밸브시트)를 동시에 압입하도록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된 서보프레스와 압입기가 총 4열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 압입장치가 이용될 경우, 4기통 실린더 헤드에서 기통별로 2개씩의 흡기밸브(총 8개)와 배기밸브(총 8개)가 설치된다고 할 때, 실린더 헤드(10)에 장착되는 전체 밸브가이드(또는 밸브시트) 수 8개에 대하여, 4개의 밸브가이드가 먼저 압입되고, 이후 나머지 4개의 밸브가이드가 압입될 수 있다.
즉, 각 기통별로 흡기밸브측 밸브가이드 1개씩 4개의 밸브가이드가 우선 압입되고, 이어 흡기밸브측 나머지 밸브가이드 1개씩 4개의 밸브가이드가 나중에 압입되는 방식으로, 총 8개의 밸브가이드가 4개씩 나누어 1차, 2차로 순차 압입되는 것이다.
밸브시트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전체 밸브시트 수 8개에 대하여 4개의 밸브시트가 먼저 압입되고, 이후 나머지 4개의 밸브시트가 압입된다.
도 5는 종래의 전체 압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장치(1)로 실린더 헤드의 흡기밸브측 밸브가이드와 밸브시트를 각각 압입하기 위한 흡기밸브측 전용 압입장치와, 배기밸브측 밸브가이드와 밸브시트를 각각 압입하기 위한 배기밸브측 전용 압입장치를 포함하며, 이와 함께 작업대상물인 실린더 헤드를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의 압입을 위한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고 압입이 완료된 실린더 헤드를 작업위치에서 외부로 반출시키기 위한 반송로봇(2)과, 압입 전에 실린더 헤드에 오일을 분사하기 위한 오일분사장치(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반송로봇(2)에는 실린더 헤드를 픽업(pick up)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픽업장치(2a)가 암(arm)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상기 픽업장치(2a)의 핑거(2a)가 실린더 헤드를 픽업한 상태로 오일분사장치(3)로 이동시키면, 오일분사장치(3)에서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가 압입되는 실린더 헤드의 각 홀에 오일을 분사하게 되며, 이어 반송로봇(2)이 실린더 헤드를 픽업한 상태에서 압입이 이루어지는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반송로봇이 실린더 헤드를 흡기밸브의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를 압입하기 위한 흡기밸브측 전용 압입장치의 작업위치로 이동시켜 흡기밸브의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의 압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어 압입이 완료되면 배기밸브측 전용 압입장치의 작업위치로 이동시켜 배기밸브의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의 압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반송로봇은 압입이 모두 완료된 실린더 헤드를 외부로 반출하게 된다.
한편, 종래와 같은 압입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통상 차종에 따라 사용되는 엔진 기종이 상이한데, 이때 엔진 기종별로 실린더 헤드에 형성되는 흡기포트와 배기포트의 위치 및 포트 간 피치가 상이할 수 있다.
도 6은 차종에 따라 상이한 두 엔진 기종에 대해서 실린더 헤드의 배기포트와 흡기포트의 위치 및 피치가 상이함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가 장착되는 배기포트 및 흡기포트의 위치와 포트 간 피치가 엔진 기종에 따라 상이하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압입장치는 단일 엔진 기종에 대해서만 대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기종 추가시에는 별도의 압입장치가 추가되어야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압입장치에서는 흡기밸브측 및 배기밸브측 전용 압입장치에서 각각 정해진 수의 열(예컨대, 밸브가이드 압입용과 밸브시트 압입용이 각각 4열로 배치됨)로 나란히 설치된 서보프레스와 압입기가 구비되어 있고, 특히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된 각 열의 서보프레스와 압입기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압입기와 압입기 간 간격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특정 포트 간 피치를 가지는 하나의 엔진 기종에 대해서만 압입이 가능할 뿐, 피치가 상이한 다른 엔진 기종의 압입을 위해서는 해당 피치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압입기 간 간격이 설정된 별도의 압입장치가 추가되어야 하는 것이다.
결국, 피치가 상이한 두 엔진 기종에 대해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엔진 기종별로 각각의 압입장치가 필요하므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A 엔진 기종의 압입을 위한 서보프레스 총 16축, 압입기 총 16축에 더하여, B 엔진 기종의 압입을 위한 서보프레스 총 16축, 압입기 총 16축이 추가로 구비되어야 하고, 결국 A 엔진 및 B 엔진 두 기종의 압입을 위해 서보프레스 총 32축, 압입기 총 32축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두 엔진 기종의 대응을 위해서는 서보프레스 및 압입기의 총수 또한 2배로 증가하므로 이들이 설치되는 설치면적이 크게 증가할 수밖에 없으며, 투자비 또한 크게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엔진 기종별로 실린더 헤드에 밸브가이드와 밸브시트를 압입할 수 있는 복수개의 압입기 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압입기 유닛에 대해 압입력을 전달하는 공용의 서보프레스 유닛이 구비되어, 압입작업이 수행될 실린더 헤드의 엔진 기종에 대응하여 서보프레스 유닛이 이동함에 따라 압입기 유닛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서보프레스 유닛의 공용화에 따른 설치면적 및 비용 축소, 서보프레스의 총수를 줄일 수 있는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 압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의 실린더 헤드에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를 압입하기 위한 압입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헤드에 밸브가이드 또는 밸브시트를 압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압입기가 지지대 상에 배열된 압입기 유닛과, 상기 압입기 유닛의 후방에서 각 압입기에 압입력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서보프레스가 프레임 상에 배열되어 일체 이동되는 서보프레스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압입기 유닛이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서보프레스 유닛을 복수개의 압입기 유닛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압입기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개의 압입기 유닛에 대한 서보프레스 유닛의 공용화가 가능하면서, 상기 서보프레스 유닛의 이동에 따라 압입작업을 수행할 압입기 유닛의 선택,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 압입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 압입장치에 의하면, 엔진 기종별로 실린더 헤드에 밸브가이드와 밸브시트를 압입할 수 있는 복수개의 압입기 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압입기 유닛에 대해 압입력을 전달하는 공용의 서보프레스 유닛이 구비되어, 압입작업이 수행될 실린더 헤드의 엔진 기종에 대응하여 서보프레스 유닛이 이동함에 따라 압입기 유닛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서보프레스 유닛의 공용화에 따른 설치면적 및 비용 축소의 효과와 더불어 서보프레스의 총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통상의 실린더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의 압입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압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압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전체 압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차종에 따라 상이한 두 엔진 기종에 대해서 실린더 헤드의 배기포트와 흡기포트의 위치 및 피치가 상이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입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입장치에서 엔진 기종별 압입기 유닛과 공용의 서브프레스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압입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11과 도 12는 도 8 및 도 9에서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입장치에서 서보프레스 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 액츄에이터로서 실린더 기구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3은 평면도이고, 도 14는 후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입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입장치에서 엔진 기종별 압입기 유닛(100a,100b)과 공용의 서보프레스 유닛(120)을 나타내는 평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압입장치의 후면도이다.
또한 도 11과 도 12는 도 8 및 도 9에서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입장치에서 서보프레스 유닛(120)을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 액츄에이터로서 실린더 기구(103)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3은 평면도이고, 도 14는 후면도이다.
본 발명은 엔진 기종별로 실린더 헤드(도 9에서 도면부호 10임)에 밸브가이드와 밸브시트의 압입이 모두 가능하도록 엔진 기종별로 압입기를 구비하되, 상기 압입기에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의 압입을 위한 압입력을 제공하는 서보프레스가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하여 엔진 기종별로 구비된 압입기를 선택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 압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서보프레스가 이동하여 엔진 기종별로 압입기가 선택, 교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입기는 각 엔진 기종에 대해서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의 압입이 가능하도록 엔진 기종별로 각각 구비하지만, 상기 서보프레스는 두 기종의 압입기에 대해서 공용화함으로써 그 수가 축소되도록 한 것에 주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서보프레스는 엔진 기종별로 구비된 두 가지 타입의 압입기 중 이동수단에 의해 어느 하나로 이동되어 선택된 압입기에 압입력을 제공하게 되며, 어느 한 타입의 압입기에서 압입작업이 이루어지면 나머지 다른 타입의 압입기에서 압입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동된다.
예컨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A 엔진 기종 전용 압입기와 B 엔진 기종 전용 압입기가 구비되는데, 이때 각 엔진 기종 전용 압입기는 흡기밸브측 밸브가이드 압입 전용 4축, 흡기밸브측 밸브시트 압입 전용 4축, 배기밸브측 밸브가이드 압입 전용 4축, 배기밸브측 밸브시트 압입 전용 4축의 총 16축 압입기가 필요하며, 이때 A, B 두 엔진 기종에 대해서 각각 총 16축 압입기가 설치되므로, 전체로는 총 32축의 압입기가 구비된다.
즉, A 엔진 기종 전용의 압입기 총 16개축과, B 엔진 기종 전용의 압입기 총 16개축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각 엔진 기종에 대해서 흡기밸브측 밸브가이드 압입 전용 4축이 한 조가 되어 하나의 압입기 유닛을, 흡기밸브측 밸브시트 압입 전용 4축이 한 조가 되어 또 다른 압입기 유닛을, 그리고 배기밸브측 밸브가이드 압입 전용 4축이 한 조가 되어 또 다른 압입기 유닛을, 배기밸브측 밸브시트 압입 전용 4축이 한 조가 되어 또 다른 압입기 유닛을 구성하게 되며, 각 엔진 기종마다 4개의 압입기 유닛, 그리고 두 엔진 기종에 대해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8개의 압입기 유닛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압입기 유닛의 전체 개수 및 각 압입기 유닛을 구성하는 압입기의 개수(축 수)는 변경 실시가 가능하며, 위의 예는 4기통 16밸브(각 기통별로 흡기밸브 2개, 배기밸브 2개) 타입의 2기종 엔진에 대해서 밸브가이드와 밸브시트를 압입하기 위한 장치의 예를 든 것이다.
또한 각 압입기 유닛이 흡기/배기포트 간 피치가 상이한 엔진 기종별로 구비될 경우 엔진 기종에 따라 압입기 유닛의 압입축 및 압입툴 간 피치는 차이가 있다(엔진 기종에 따라 압입위치가 차이가 있으므로).
한편, 서보프레스 유닛은 각 압입기 유닛을 구성하는 4개의 압입기에 대해서 동시에 압입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4개의 서보프레스가 프레임에 나란히 배열된 4축 장치로 구성되며,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엔진 기종에 따라 구분되는 두 압입기 유닛 사이에서 일체로 이동(도 7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용의 4축 서보프레스 구성을 서보프레스 유닛이라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요컨대, 각 압입기 유닛은 4개의 압입기가 나란히 배열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A 엔진 기종 전용의 압입기 유닛 4개, B 엔진 기종 전용 압입기 유닛 4개로, 총 8개의 압입기 유닛이 구비되고(2개 엔진 기종인 경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기밸브측 밸브가이드 압입 전용 압입기 유닛, 흡기밸브측 밸브시트 압입 전용 압입기 유닛, 그리고 배기밸브측 밸브가이드 압입 전용 압입기 유닛, 배기밸브측 밸브시트 압입 전용 압입기 유닛이 각각 A 엔진 기종 전용과 B 엔진 기종 전용으로 구비된다.
또한 각 서보프레스 유닛은 4개의 서보프레스가 나란히 배열된 구성으로 구비되어, A 엔진 기종 전용의 서보프레스 유닛 2개, B 엔진 기종 전용 서보프레스 유닛 2개로, 총 4개의 서보프레스 유닛이 구비되고(2개 엔진 기종인 경우), 전체 장치에서 엔진 흡기밸브측 밸브가이드 압입 전용 서보프레스 유닛 1개, 흡기밸브측 밸브시트 압입 전용 서보프레스 유닛 1개, 그리고 배기밸브측 밸브가이드 압입 전용 서보프레스 유닛 1개, 배기밸브측 밸브시트 압입 전용 서보프레스 유닛이 1개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각 서보프레스 유닛은 엔진 기종에 상관없이 흡기밸브측 밸브가이드와 밸브시트, 배기밸브측 밸브가이드와 밸브시트의 압입 용도로 총 4개만이 구비되어, 동일 용도의 서보프레스 유닛이 복수의 엔진 기종에 대해 공용화된다.
이때, 동일 용도(흡기밸브측 밸브가이드용, 흡기밸브측 밸브시트용, 배기밸브측 밸브가이드용, 배기밸브측 밸브시트용 총 4개 용도)로 사용되는 A 엔진 기종의 압입기 유닛과, B 엔진 기종의 압입기 유닛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웃 배치되어, 이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하나의 서보프레스 유닛에 의해 선택적으로 압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동일 용도로 사용되는 두 압입기 유닛(100a,100b)의 전체 압입기(110)는 하나의 지지대(101) 상측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설치되며, 각 압입기(110)가 지지대(101) 상에서 전후(도 7에서 도면상 좌우 방향임, 도 8 및 도 9에서는 도면상 상하 방향임)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각 용도의 압입기 유닛(100a,100b)(각 용도별 2개)과 서보프레스 유닛(120)(각 용도별 1개)이 구비되어,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동일 용도로 사용되는 두 압입기 유닛(100a,100b) 사이에서 선택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될 수 있어야 하는 바, 상기 이동수단은 압입기 유닛(100a,100b)의 압입기(110)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서보프레스 유닛(1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지지대(101) 상에 설치되어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결합, 안내되는 제1레일(102)과, 제1레일(102)을 따라 두 압입기 유닛(100a,100b) 사이에서 상기 서보프레스 유닛(120)을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 액츄에이터(1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8 및 도 9 참조).
도 8과 도 9는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엔진 기종별 2개의 압입기 유닛(100a,100b)과, 이들 사이에서 선택 이동되어 압입력을 제공하는 공용의 서보프레스 유닛(120)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압입기 유닛(100a,100b)은 종래와 같이 압입물(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이 결합되는 압입툴(112)의 일부 구조에서 밸브가이드 압입용이냐, 밸브시트 압입용이냐에 따라(또는 흡기밸브측, 배기밸브측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고, 또한 각 압입물의 압입 피치에 따라 이웃한 압입축(111) 및 압입툴(112) 간 간격에 다소 차이가 있을 뿐, 전체적인 기기 구성 및 작동상태에는 차이가 없으며, 도 8 및 도 9의 압입기 유닛(100a,100b)이 흡기밸브측 밸브가이드 압입용, 흡기밸브측 밸브시트 압입용, 배기밸브측 밸브가이드 압입용, 배기밸브측 밸브시트 압입용 중 어느 한 용도의 압입기 유닛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서보프레스 유닛(120) 역시 흡기밸브측 밸브가이드 압입용, 흡기밸브측 밸브시트 압입용, 배기밸브측 밸브가이드 압입용, 배기밸브측 밸브시트 압입용 중 어느 한 용도의 서보프레스 유닛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압입기 유닛(100a,100b)을 구성하는 각 압입기(110)의 구성과, 서보프레스 유닛(120)을 구성하는 각 서보프레스(121)의 구성에 있어서도 종래의 구성과 차이가 없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되, 구동축(122)과 압입축(111)이 분리된 구성, 분리된 상태에서 상호 힘이 전달되도록 한 구성, 서보프레스 유닛(120)을 엔진 기종별로 구비되는 동일 용도의 두 압입기 유닛(100a,100b)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구성 등 차이 부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엔진 기종별로 구비되어 동일 용도로 사용되는 4축 구성(나란히 배열되는 4개의 압입기로 구성됨)의 압입기 유닛(100a,100b) 2개가 이웃 배치되고, 이때 압입기 유닛(100a,100b)을 구성하는 전체 압입기(110) 8개가 지지대(101) 상에서 모두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압입작업이 이루어지는 엔진 기종에 따라 각 유닛을 구성하는 4개의 압입기(110)만이 선택적으로 사용되게 된다.
상기 두 압입기 유닛(100a,100b)의 후방에는 4축 구성(나란히 배열되는 4개의 서보프레스로 구성됨)의 서보프레스 유닛(120) 하나가 배치되는데, 서보프레스 유닛(120)을 구성하는 서보프레스(121) 총 4개의 축방향은 모두 평행한 방향, 즉 나란한 방향이 된다.
상기 각 압입기(110)는 지지대(101) 상측의 제2레일(104)(LM 가이드)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보프레스(121)의 압입력을 전달받아 밸브가이드 또는 밸브시트를 실린더 헤드(10)의 각 홀에 압입하도록 전진 가압하게 되는 압입축(111)과, 압입축(111)의 선단부에 일체로 장착되어 압입물인 밸브가이드 또는 밸브시트가 결합되는 압입툴(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밸브가이드 또는 밸브시트의 압입을 위해 서보프레스(121)의 구동축(122)이 전진할 때 구동축으로부터 힘을 전달받은 압입기(110)의 압입축(111)이 전진 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압입툴(112)이 전진 이동하여 실린더 헤드의 내부로 삽입되고, 이후 연속해서 압입툴(112)에 장착된 밸브가이드 또는 밸브시트가 실린더 헤드의 홀에 압입된다.
상기 각 압입축(111)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의 레일결합부(113)가 지지대(101) 상의 제2레일(104)에 결합되어 이 제2레일(104)을 따라 전후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압입기 유닛(100a,100b)에서 각 압입기(110)는 제2레일(104)에 의해 지지대(101) 상에서 각각 전후진 가능하도록 구비되나, 서보프레스 유닛(120)을 구성하는 서보프레스(121)는 전체가 제1레일(102)을 따라 일체로 이동하도록 일체화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물론, 전체 서보프레스(121)가 제1레일(102)을 따라 일체로 움직이는 하나의 유닛을 구성하지만, 구동축(122)의 전후 압입작동 등 구동 측면에서 각 서보프레스(121)는 개별 제어 및 구동이 가능한 독립된 요소가 된다.
또한 압입기 유닛(100a,100b)은 복수개의 압입기(110)와 더불어, 지지대(101) 상측에 고정 설치된 상부지지대(105)에 설치되는 백업 유닛(130), 서보프레스 클램프 유닛(140), 압입기 클램프 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백업 유닛(130)은 전술한 종래의 백업 유닛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종래의 백업 유닛은 서보프레스의 구동축과 압입기의 압입축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잡아주도록 구비되나, 본 발명에서는, 엔진 기종에 따라 압입기 유닛(100a,100b)이 교환될 수 있도록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이동하는 구조이면서, 서보프레스(121)의 구동축(122)과 압입기(110)의 압입축(111)이 연결부재 등에 의해 완전히 일체로 연결된 구조가 아니므로, 백업 유닛(130)이 고정구조물인 상부지지대(105)에 설치되어 백업 지지시 압입기(110)에만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 백업 유닛(130)은 상부지지대(105)에서 제2레일(104)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도록 된 각 압입기(110)만을 고정하여 백업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반대쪽 압입기 유닛(100a,100b)(실린더 헤드의 반대쪽에서 압입작업을 수행하는 압입기 유닛)에서 압입작업이 이루어질 때 압입기(110)를 후진하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백업 지지하게 된다.
구성을 살펴보면, 백업 유닛(130)은 상부지지대(105)에 고정 설치되고 상하로 전후진 구동되는 피스톤을 가지는 유압 또는 공압의 제1실린더 기구(131)와, 상기 피스톤에 고정 장착되어 피스톤의 전후진시 상하로 승강 이동되면서 하강된 상태에서는 압입축(111)의 제1결합부(114)에 결합되어 압입축(111)을 후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제1체결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백업 유닛(130)은 고정구조물인 상부지지대(105)에 복수개가 배열되어 설치되는데, 압입기 유닛(100a,100b)을 구성하는 각 압입기(110)마다 하나씩 상측으로 구비되며, 상부지지대(105)에 설치된 각 백업 유닛(130)의 제1실린더 기구(131)와 제1체결부(132)가 해당하는 각 압입기(110)의 압입축(111)을 고정시켜, 해당 압입축(111)이 후진되지 않도록 백업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서보프레스 클램프 유닛(140)은 해당 압입기 유닛(100a,100b)의 후방으로 이동된 서보프레스 유닛(120)을 클램핑함으로써 압입작업시 서보프레스 유닛을 움직이지 않게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주는 구성부로서, 압입작업을 위해 이동된 서보프레스 유닛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택된 엔진 기종의 실린더 헤드에 대해서 압입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두 압입기 유닛(100a,100b) 중 어느 하나의 후방으로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선택 이동되는데, 압입작업을 위해 선택된 압입기 유닛과 이동된 서보프레스 유닛을 연결시키는 구성부가 되며, 이동을 완료한 서보프레스 유닛을 압입작업 동안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게 된다.
상기 서보프레스 클램프 유닛(140)은 상부지지대(105)에 고정 설치되고 상하로 전후진 구동되는 피스톤을 가지는 유압 또는 공압의 제2실린더 기구(141)와, 상기 피스톤에 고정 장착되어 피스톤의 전후진시 상하로 승강 이동되면서 하강된 상태에서는 서보프레스 유닛(120)의 프레임(123)에 형성된 제2결합부(124)에 결합되는 제2체결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서보프레스 클램프 유닛(140)은 상부지지대(105)에 설치된 제2실린더 기구(141)에서 제2체결부(142)가 서보프레스 유닛(120)의 프레임(123)에 결함됨으로써 상부지지대(105)와 서보프레스 유닛(120)을 일체로 체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두 압입기 유닛(100a,100b) 사이를 선택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서보프레스 유닛이 각 압입기 유닛 모두에 선택적으로 위치 고정되어야 하므로, 각 압입기 유닛마다 동일한 구성의 서보프레스 클램프 유닛(140)이 구비되어,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어느 한쪽으로 위치 이동되더라도 선택된 압입기 유닛(100a,100b)과 클램핑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 기종에 따라 선택 교환되도록 2개의 압입기 유닛(100a,100b)이 구비되는 경우 2개의 서보프레스 클램프 유닛(140)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각 압입기 유닛(100a,100b)마다 그 후방 상측으로 서보프레스 클램프 유닛(140)이 구비되는 것으로, 예컨대 서보프레스 유닛이 A 엔진 기종 전용의 압입기 유닛 후방에 위치될 때 서보프레스 유닛을 고정시키는 서보프레스 클램프 유닛과, B 엔진 기종 전용의 압입기 유닛 후방에 위치될 때 서보프레스 유닛을 고정시키는 서보프레스 클램프 유닛이 각각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압입기 클램프 유닛(150)은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일측 압입기 유닛에서 분리되어 타측 압입기 유닛으로 이동된 상태일 때 서보프레스 유닛이 제거된 상기 일측 압입기 유닛의 압입기가 전후로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 고정시키는 구성부이다.
상기 서보프레스 클램프 유닛(140)은 상부지지대(105)에서 서보프레스 유닛(120)을 클램핑하여 궁극적으로는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제1레일(102)(도 9에서 도면부호 102임)을 따르는 이동방향, 즉 도 8에서 도면상 좌우 이동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나, 상기 압입기 클램프 유닛(150)은 압입작업이 완료된 뒤 상부지지대(105)에서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제거된 압입기(110)의 전후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후방에 위치된 압입기 유닛(100a,100b)의 경우 그 압입기(110)가 후방의 서보프레스(121)에 의해 후방 이동이 제한되나, 서보프레스 유닛이 제거된 압입기 유닛에서는 각 압입기가 후방의 서보프레스에 의해 지지될 수 없기 때문에 제2레일(104)을 따라 후방 이동될 수 있는 바, 이때 압입기 클램프 유닛(150)이 각 압입기(110)를 후방 이동되지 않도록 위치 고정시키는 것이다.
구성을 살펴보면, 압입기 클램프 유닛(150)은 상부지지대(105)에 고정 설치되고 상하로 전후진 구동되는 피스톤을 가지는 유압 또는 공압의 제3실린더 기구(151)와, 상기 피스톤에 고정 장착되어 피스톤의 전후진시 상하로 승강 이동되면서 하강된 상태에서는 각 압입기(110)의 압입축(111)에 형성된 제3결합부(115)에 결합되는 제3체결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압입기 클램프 유닛(150)은 상부지지대(105)에 설치된 제3실린더 기구(151)에서 제3체결부(152)가 압입축(111)에 결함됨으로써 상부지지대(105)와 각 압입기(110)를 일체로 체결하게 된다.
상기 압입기 클램프 유닛(150)은 압입기 유닛(100a,100b)을 구성하는 각 압입기(110)마다 하나씩 구비되며,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제거된 압입기 유닛에서 압입기 클램프 유닛에 의해 압입기들이 클램핑되어 위치 고정되게 된다.
한편, 서보프레스 유닛(120)은 엔진 기종별로 구비된 두 압입기 유닛(100a,100b) 사이에서 선형 액츄에이터(103)에 의해 횡방향(도 8의 도면상 좌우 방향임)으로 이동하여, 압입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두 압입기 유닛(100a,100b)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후방 위치되는데, 두 압입기 유닛(100a,100b) 중 어느 하나의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4개의 각 서보프레스(121)가 전방으로 위치된 압입기 유닛(100a,100b)의 각 압입기(110)에 일대일로 압입력을 전달하여 압입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압입기 유닛(100a,100b) 사이에서 선택 이동됨으로써 선택된 압입기 유닛에만 압입력 전달이 가능해지는 바, 이에 엔진 기종에 따른 압입기 유닛의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서보프레스 유닛(120)을 두 압입기 유닛(100a,100b) 후방에서 선택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선형 액츄에이터(103)가 지지대(101) 상측에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103)는 서보프레스 유닛(120)의 이동방향, 즉 압입기 유닛(100a,100b)의 좌우 횡방향으로 전후진 동작되는 피스톤을 가지는 유압 또는 공압의 실린더 기구가 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은 연결브라켓(123a)을 매개로 서보프레스 유닛(120)의 프레임(123) 일측에 결합되며, 이와 함께 서보프레스 유닛(120)의 프레임(123)이 레일결합부(도 9 및 도 13에서 도면부호 123b임)를 매개로 좌우 횡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대(101)의 제1레일(102)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바, 상기 실린더 기구(103)의 피스톤이 전후진함에 따라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제1레일(102)을 따라 이동되면서 위치가 제어된다.
결국, 상기 실린더 기구(103)의 구동으로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두 압입기 유닛(100a,100b) 중 어느 하나로 선택 이동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압입작업시 사용되는 압입기 유닛의 교환이 가능해지게 된다.
그리고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선택된 압입기 유닛(100a,100b) 후방으로 이동한 뒤 압입작업시 서보프레스(121)의 구동축(122)이 전진하여 압입축(111)의 후단을 강한 압입력으로 밀어주게 되는데, 압입기 유닛 교환시에는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압입기 유닛(100a,100b)과 분리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는 구조가 되어야 하므로, 각 서보프레스(121)의 구동축(122)과 각 압입기(110)의 압입축(111) 간에는 종래와 같이 직접적으로 체결되지 않고 압입력 전달만 가능하도록 전후로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각 서보프레스(121)의 구동축(122)과 각 압입기(110)의 압입축(111)은 분리된 축 형태로 구비되어 전후로 배치되며, 각 서보프레스의 구동축 전단과 각 압입기의 압입축 후단 사이에는 이격된 상태로 간극이 존재한다(도 12에서 원 "A" 참조).
이러한 구조에서 서보프레스(121)의 구동축(122)이 전진할 때 구동축 전단이 압입기(110)의 압입축(111) 후단에 접촉된 후 밀어주게 되며, 이에 압입축이 전진하여 압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서보프레스(121)의 구동축(122)이 후진할 때에도 압입축(111)이 함께 후진될 수 있어야 하므로, 서보프레스의 구동축과 압입기의 압입축 사이에는 구동축의 후진시 압입축과 걸림작용을 하는 걸림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각 서보프레스(121)의 구동축(12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름부재(161)가 설치되고, 지지대(101) 상에 각 서보프레스의 구동축을 지지하기 위한 이동프레임(162)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프레임(162)의 일측에는 서보프레스 유닛(120)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각 서보프레스(121)의 구동축(122)에 장착된 구름부재(161)가 결합되는 결합부재(16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162)은 레일결합부(163)를 매개로 각 압입기(110) 하측 지지대(101) 상에 설치된 제2레일(104)에 결합되어 전후 안내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동프레임(162)의 전측에는 각 압입기(110)의 압입축(111) 하부면에 형성된 걸림턱(166)에 후방으로 걸려질 수 있도록 돌출부(167)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프레임(162)은 각 압입기(110)마다 그 하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구성부이고, 상기 결합부재(164)는 각 이동프레임(162)마다 설치되어 구비되는 구성부로서, 상기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작업을 수행할 압입기 유닛(100a,100b) 후방의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각 서보프레스(121)의 구동축(122) 상 구름부재(161)는 압입력을 전달할 각 압입기(110) 하측의 이동프레임(162)의 결합부재(164)와 결합된다.
상기 구름부재(161)와 결합부재(164)의 결합상태에서는 양측 부재가 상호 걸림작용을 하게 되므로, 서보프레스(121)의 구동축(122)이 전후로 이동할 때 이동프레임(162)이 레일결합부(163)를 매개로 제2레일(104)을 따라 일체로 전후 이동되게 된다
이에 따라 서보프레스(121)의 구동축(122)이 압입작업 후 후진할 때 이동프레임(162)이 일체로 후진되면, 이동프레임(162)의 돌출부(167)가 해당 압입축(111)의 걸림턱(166)에 걸린 상태로 후진하게 되므로, 서보프레스(121)의 구동축(122)이 뒤로 당겨주는 형태가 되면서 압입기(110) 전체가 함께 후진하게 된다.
상기 걸림턱(166)은 압입축(111)의 하부면에 상기 돌출부(167)가 삽입되는 홈부(165)를 형성하여 구비할 수 있으며, 걸림턱(166)을 이루는 홈부(165)에 돌출부(167)가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부(167)와 그 전방의 홈부(165) 내측면 간에는 간극이 존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동프레임(162)의 전면과 이에 마주 보는 압입축(111) 부분 사이에는 압입작동시 이동프레임(162)과 압입축(111) 사이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쿠션부재(168)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쿠션부재(168)로는 압입축(111) 부분의 스프링홈(169)에 장착된 스프링이 될 수 있다.
한편, 도면상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각 구동부의 작동, 즉 서보프레스의 구동, 상술한 각 실린더 기구 등의 작동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부는 장치 전반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부로, 이는, 서보프레스의 구동축 위치 제어, 각 실린더 기구의 피스톤 동작 제어를 위하여, 서보프레스의 구동축, 서보프레스 유닛, 압입기 등 이동요소 및 작동요소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는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각 구동부의 동작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이동요소 및 작동요소의 위치를 감지하여 서보프레스 유닛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서보프레스의 구동을 제어(전기모터 및 구동축 제어)하거나 각 실린더 기구의 피스톤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동화 시스템 관련 분야 및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주지의 기술적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엔진에 따라 흡기포트 및 배기포트 간 피치가 상이한 경우 밸브가이드와 밸브시트가 압입되는 위치 역시 엔진에 따라 달라지며, 따라서 엔진 기종별로 구비된 복수개의 압입기 유닛에서 나란히 배열된 압입축들의 간격과 피치에 있어서 압입기 유닛 상호 간에 다소의 차이가 있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서 서보프레스 유닛은 공용화되어 단수로 구비되므로, 서보프레스 유닛의 각 구동축 간 간격과 피치가 일정하게 설정되며, 이로 인해, 서보프레스 유닛의 각 서보프레스가 압입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압입기 유닛의 후방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압입기 유닛에 따라서는 구동축과 압입축이 동축 상에 정확히 배치되지 않고 편심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구동축이 전진하여 압입력을 전달할 때 압입축과의 편심은 압입력 전달 및 가압작용에 있어서 작업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은 아니며, 이에 단수의 서보프레스 유닛을 공용화하여 복수개의 압입기 유닛을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입장치에서는 엔진 기종에 따라 밸브가이드 또는 밸브시트를 압입하기 위한 동일 용도의 압입기 유닛(100a,100b)을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압입기 유닛(100a,100b)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여 선택된 해당 압입기 유닛(100a,100b)의 각 압입기(110)에 압입력을 전달하는 공용 서보프레스 유닛(120)을 구비하여, 작업대상이 되는 실린더 헤드의 엔진 기종 전환시에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해당 엔진 기종의 압입기 유닛(100a,100b)으로 이동됨으로써 압입기 유닛(100a,100b)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a. 100b : 압입기 유닛 101 : 지지대
110 : 압입기 120 : 서보프레스 유닛
121 : 서보프레스

Claims (8)

  1. 자동차 엔진의 실린더 헤드(10)에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를 압입하기 위한 압입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헤드(10)에 밸브가이드 또는 밸브시트를 압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압입기(110)가 지지대(101) 상에 배열된 압입기 유닛(100a,100b)과, 상기 압입기 유닛(100a,100b)의 후방에서 각 압입기(110)에 압입력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서보프레스(121)가 프레임 상에 배열되어 일체 이동되는 서보프레스 유닛(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압입기 유닛(100a,100b)이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서보프레스 유닛(120)을 복수개의 압입기 유닛(100a,100b)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압입기(110)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개의 압입기 유닛(100a,100b)에 대한 서보프레스 유닛(120)의 공용화가 가능하면서, 상기 서보프레스 유닛(120)의 이동에 따라 압입작업을 수행할 압입기 유닛(100a,100b)의 선택,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압입기 유닛(100a,100b)의 압입기(110) 전후 길이방향에 대해 좌우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101) 상에 서보프레스 유닛(1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서보프레스 유닛(120)의 프레임(123)이 결합, 안내되는 제1레일(102)과,
    상기 서보프레스 유닛(120)을 제1레일(102)을 따라 두 압입기 유닛(100a,100b)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 액츄에이터(10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 압입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103)는 서보프레스 유닛(120)의 이동방향으로 전후진 동작되는 피스톤을 가지면서 상기 피스톤이 서보프레스 유닛(120)의 프레임(123)으로 연결된 유압 또는 공압의 실린더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 압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압입기 유닛(100a,100b)은 엔진 기종에 따라 상이한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의 실린더 헤드 내 압입 위치에 상응하여 압입기(110)의 압입축(111) 및 압입툴(112) 위치가 설정, 구비되는 엔진 기종별 압입기 유닛(100a,10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 압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입기 유닛(100a,100b)은 각 압입기(110)의 압입축(111)에 결합되어 해당 압입기(110)를 백업 지지하는 백업 유닛(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백업 유닛(130)은,
    지지대(101) 상측으로 고정 설치된 상부지지대(105)에 장착되고 상하로 전후진 구동되는 피스톤을 가지는 유압 또는 공압의 제1실린더 기구(131)와;
    상기 제1실린더 기구(131)의 피스톤에 고정 장착되어 피스톤의 전후진시 상하로 승강 이동되면서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압입축(111)의 제1결합부(114)에 결합되는 제1체결부(13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 압입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선택된 압입기 유닛(100a,100b)의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서보프레스 유닛(120)을 클램핑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서보프레스 클램프 유닛(1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보프레스 클램프 유닛(140)은,
    지지대(101) 상측으로 고정 설치된 상부지지대(105)에 장착되고 상하로 전후진 구동되는 피스톤을 가지는 유압 또는 공압의 제2실린더 기구(141)와;
    상기 제2실린더 기구(141)의 피스톤에 고정 장착되어 피스톤의 전후진시 상하로 승강 이동되면서 하강된 상태에서는 서보프레스 유닛(120)의 프레임(123)에 형성된 제2결합부(124)에 결합되는 제2체결부(14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 압입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압입기 유닛(100a,100b)은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일측 압입기 유닛(100a,100b)에서 타측 압입기 유닛(100a,100b)으로 이동된 상태일 때 서보프레스 유닛(120)이 제거된 상기 일측 압입기 유닛(100a,100b)의 압입기(110)가 전후로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 고정시키는 압입기 클램프 유닛(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입기 클램프 유닛(150)은,
    지지대(101) 상측으로 고정 설치된 상부지지대(105)에 장착되고 상하로 전후진 구동되는 피스톤을 가지는 유압 또는 공압의 제3실린더 기구(151)와;
    상기 제3실린더 기구(151)의 피스톤에 고정 장착되어 피스톤의 전후진시 상하로 승강 이동되면서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압입축(111)의 제3결합부(115)에 결합되는 제3체결부(15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 압입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서보프레스(121)의 구동축(122)과 각 압입기(110)의 압입축(111)이 압입작업 후 함께 후진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각 서보프레스(121)의 구동축(122) 상에 설치된 구름부재(161)와;
    상기 지지대(101) 상의 제2레일(104)에 결합되어 전후로 안내되는 이동프레임(162)과;
    상기 이동프레임(162)의 일측에 서보프레스 유닛(120)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구름부재(161)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프레임(162)과 서보프레스(121)의 구동축(122)이 일체로 전후진되도록 하는 결합부재(164)와;
    상기 이동프레임(162)에 형성되어 압입축(111)에 형성된 걸림턱(166)에 후방으로 걸려지면서 압입축(111)과 이동프레임(162)이 일체로 후진되도록 하는 돌출부(167);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가이드 및 밸브시트 압입장치.
KR1020100092226A 2010-09-20 2010-09-20 밸브시트 및 밸브가이드 압입장치 KR101619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226A KR101619539B1 (ko) 2010-09-20 2010-09-20 밸브시트 및 밸브가이드 압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226A KR101619539B1 (ko) 2010-09-20 2010-09-20 밸브시트 및 밸브가이드 압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619A KR20120030619A (ko) 2012-03-29
KR101619539B1 true KR101619539B1 (ko) 2016-05-10

Family

ID=46134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226A KR101619539B1 (ko) 2010-09-20 2010-09-20 밸브시트 및 밸브가이드 압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5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3813A (ja) * 2008-03-27 2009-10-15 Daihatsu Motor Co Ltd シリンダヘッド用圧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3813A (ja) * 2008-03-27 2009-10-15 Daihatsu Motor Co Ltd シリンダヘッド用圧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619A (ko)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9902B2 (ja) シリンダヘッド用圧入装置
JP4421530B2 (ja) バルブガイドおよびバルブシートの圧入装置
US20020157287A1 (en) Quick coupling
JP2007229842A (ja) シリンダヘッドにおけるバルブガイド並びにバルブシートの圧入装置
KR101693878B1 (ko) 양팔 로봇을 이용한 엔진 플라이휠의 자동 조립 및 가체결 장치
JP2011530414A (ja) 動いているワークピースへの作業を実施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207771223U (zh) 转子压装系统
KR101619539B1 (ko) 밸브시트 및 밸브가이드 압입장치
CN113459202A (zh) Pcb生产板自动压板装置、钻孔机及方法
JP2000094235A (ja) 圧入装置
CN206415854U (zh) 一种双头压装机
CN109434423B (zh) 一种多加工面的压装机构及其压装方法
CN207479969U (zh) 压缩机转子装配系统
JP2005313277A (ja) ピストンへのスナップリング組付機
CN113058883B (zh) 一种多工位集成联动式自动化检测机构
KR20090094700A (ko) 밸브 스템 씰 압입장치
CN104525820A (zh) 一种单机多工位热锻机械手
KR101360623B1 (ko) 밸브시트 및 밸브가이드의 압입장치 및 압입방법
JPH07145849A (ja) 防振装置及びこれを具備した転がり案内ユニット
JPH0429953Y2 (ko)
JP2000141148A (ja) シリンダヘッドの加工方法及び装置
KR100667420B1 (ko) 엔진의 인젝터 삽입장치
CN113021798B (zh) 一种换挡拨叉取件嵌件治具
JP3732072B2 (ja) 燃料噴射ポンプのテスト装置
CN219852693U (zh) 压头机构及焊接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