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520B1 -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520B1
KR101618520B1 KR1020150097195A KR20150097195A KR101618520B1 KR 101618520 B1 KR101618520 B1 KR 101618520B1 KR 1020150097195 A KR1020150097195 A KR 1020150097195A KR 20150097195 A KR20150097195 A KR 20150097195A KR 101618520 B1 KR101618520 B1 KR 101618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wall
space
heat
transf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길재
Original Assignee
장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길재 filed Critical 장길재
Priority to KR1020150097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520B1/ko
Priority to CN201690001006.3U priority patent/CN208124386U/zh
Priority to PCT/KR2016/007355 priority patent/WO2017007253A1/ko
Priority to US15/864,391 priority patent/US2018014290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는, 벽체로 둘러싸인 내부에 조리실을 구비한 챔버; 상기 챔버의 벽체 외측 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벤딩부에 의해 절곡 연장되어 상기 벽체의 적어도 2개면에 걸치도록 일정 폭을 가지고 1쌍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그 단면 구조로서 볼록하게 돌출된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의 단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벽체의 외측 면에 밀착된 밀착부 및, 상기 밀폐부와 상기 벽체의 일 부위에 의해 감싸여 발생된 공간인 완충 스페이스를 구비한 열전달 구조체; 상기 1쌍으로 연장된 상기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발생된 공간인 열전달 스페이스; 상기 벽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열전달 스페이스를 덮는 외부 벽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밀폐부에 접촉하면서 상기 열전달 스페이스의 상부 밀폐 면을 이루는 보조 벽체; 상기 열전달 스페이스의 일 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열원을 발생시켜 상기 열전달 스페이스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달 구조체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에 의하면, 챔버의 외벽에 열전달 구조체가 장착되기 때문에 설치의 편의성 및 시공의 간편성이 있고, 열전달 구조체가 챔버에 견고하게 밀착됨과 동시에 하중이 적기 때문에 챔버의 변형 내지 뒤틀림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OVEN DEVICE WITH HEAT TRANSFER SPACE BETWEEN HEAT TRANSFER STRUCTURES}
본 발명은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공지의 파이프를 대체하는 슬림하고 내구성 있는 구조의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제공하여 이로써 열전달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하중과 변형 개연성을 최소화하면서 제작 공정의 간편함을 추구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보장하는 오븐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븐은 조리실 내에 음식을 담아 밀폐한 다음 가열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기구로서, 오븐 장치 또는 오븐 조리장치로 명명되기도 한다.
이러한 오븐은 열원의 종류에 따라 크게 가스식과 전기식으로 구분이 될 수 있는데, 가스식 구조는 버너에 의해 가스를 연소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전기식 구조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전자파 발생장치(전자레인지)나 열선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며 현재 이러한 가스식 구조와 전기식 구조가 사용 환경에 따라 각각 널리 활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스식 오븐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가스식 오븐장치는 조리실(1) 내부에 버너에 의해 발생된 열이 지나는 통로 역할을 하는 히터 파이프(2)가 복수 회수로 절곡(bending)되어 연장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히터 파이프(2)의 연장길이가 길수록 히터 파이프(2)의 무게가 가중되는바 이로 인해 히터 파이프(2) 자체의 무거운 무게로 인해 조리실을 감싸는 벽체가 휘어지거나 비틀리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는 단점이 따랐다.
더불어, 오븐 제작 공정에서 이러한 히터 파이프(2)가 조리실(1)을 감싸는 벽체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프레스 내지 압축기와 같은 장치가 사용되는데 이로 인해 제작비용이 상승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직경이 원형 또는 타원형인 히터 파이프(2)의 구조적 한계에 따라 벽체와의 접촉 면적이 적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히터 파이프(2)의 내구성을 보장하는데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국내 특허 제 451360호는 방열부에 의하여 직접 음식을 조리하기 때문에 열손실을 막는다는 효과가 있다고 게시되었으나, 결국 이러한 도 1와 유사한 히터 파이프를 구비하기 때문에 조리실의 변형이나 뒤틀리는 문제를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종래의 히터 파이프를 효율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열전달 구조체를 제공함과 아울러 이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마련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할 뿐 아니라 조리실의 변형을 방지하고 우수한 열전달 성능을 추구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오븐 조리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리실에 열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원형 히터 파이프 대신 챔버 외벽에 밀착한 열전달 구조체 및 보조 벽체를 제공하고 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마련함으로써 설치의 편의성을 도모할 뿐 아니라 슬림하고 가벼운 구조로서 조리실 벽체의 변형/뒤틀림 문제를 방지하는 오븐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전달 구조체가 보다 견고하게 챔버의 벽체에 장착될 수 있는 고유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스식은 물론 전기식에서도 적용 가능한 확장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열전달 구조체의 벤딩부에서 크랙이나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보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는, 벽체로 둘러싸인 내부에 조리실을 구비한 챔버; 상기 챔버의 벽체 외측 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벤딩부에 의해 절곡 연장되어 상기 벽체의 적어도 2개면에 걸치도록 일정 폭을 가지고 1쌍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그 단면 구조로서 볼록하게 돌출된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의 단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벽체의 외측 면에 밀착된 밀착부 및, 상기 밀폐부와 상기 벽체의 일 부위에 의해 감싸여 발생된 공간인 완충 스페이스를 구비한 열전달 구조체; 상기 1쌍으로 연장된 상기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발생된 공간인 열전달 스페이스; 상기 벽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열전달 스페이스를 덮는 외부 벽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밀폐부에 접촉하면서 상기 열전달 스페이스의 상부 밀폐 면을 이루는 보조 벽체; 상기 열전달 스페이스의 일 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열원을 발생시켜 상기 열전달 스페이스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 모듈은 버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전달 모듈의 연장 라인의 단부에는 배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발열 모듈은 전열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전달 스페이스는, 상기 전열기에서 연결되어 연장된 전열선과, 상기 보조 벽체의 내측 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열선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열전달 구조체는, 상기 부착부의 양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에 의하면,
1) 챔버의 외벽에 열전달 구조체가 장착되고 보조 벽체를 그 상부에 설치하여 그 사이로 열전달 스페이스를 마련하기 때문에 설치의 편의성 및 시공의 간편성이 있고,
2) 열전달 구조체가 챔버에 견고하게 밀착됨과 동시에 하중이 적기 때문에 챔버의 변형 내지 뒤틀림을 방지하며,
3) 챔버의 외벽에 밀착함과 동시에 접촉 면적이 원형의 히터 파이프보다 크기 때문에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4) 열전달 구조체의 벤딩 부위에서 크랙이나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강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가스식 오븐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열전달 스페이스 사이에 열전달 구조체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의 외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열전달 스페이스 사이에 열전달 구조체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의 주요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오븐 조리장치가 전기식 구동 구조일 때 전열선을 구비한 상태를 예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열전달 구조체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의 외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오븐 조리장치는 챔버(10) 내에 마련된 공간인 조리실(1)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하여 발열 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 구조체(100)가 챔버(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벽체(11)에 걸쳐 부착된 다음 그 위로 보조 벽체(20)가 부착된 구조를 취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챔버(10)는 벽체(11)에 의해 둘러싸여 내부의 중공부, 즉 조리실(1)을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일 측 벽체는 개방된 상태로 개폐 가능한 도어가 형성되어 음식을 조리실(1) 내부로 수용하거나 뺄 수 있다. 이러한 벽체(11)는 열전달이 용이하면서 내구성이 강한 전도성 재질(예를 들어,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다.
더불어, 벽체(11)의 상하 단 각각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일정 길이 연장된 단턱(12)이 구비되어 있는바, 이 단턱(12)은 후술할 열전달 구조체(100)의 장착 높이에 상응하게 돌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단턱(12)은 열전달 구조체(100)가 벽체(11)의 외측 면에 장착될 때 열전달 구조체(100)가 도드라지게 벽체(11)에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즉 벽체(11)의 외측 부위를 편평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여 벽체의 외측 공간에 추가로 장착되는 보조 벽체(20) 또는 단열체가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하며 마치 상하 단에서 감싸는 것과 같은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발열 모듈은 열원, 즉 조리실(1)을 가열할 수 있는 열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발열 모듈은 가스식 구조와 전기식 구조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즉, 가스식 구조일 경우 발열 모듈은 버너로 이루어지고, 전기식 구조일 경우 전열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열전달 구조체(100)는 챔버(10)를 구성하는 벽체(11)의 외측 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발열 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벽체(11)의 전도 기능에 의해 조리실(1)에 전달하는 열전달 스페이스(200)를 형성하는 내벽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열전달 구조체(100)는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발열 모듈에서 시작되어 벽체(11)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걸쳐 복수 개의 벤딩부(120)를 통해 벤딩(절곡)처리되어 구불구불하게 연장된 구조, 즉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열전달 스페이스(200)를 기준으로 좌우 내벽 1쌍이 1 세트 단위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열전달 구조체(100)는 가스식 구조로서 예시된 것을 알 수 있는바, 1쌍을 1세트로 2세트의 연장 라인으로 구성되어 벽체(11)의 1개면에서 2 갈래의 라인으로 분기 연장되되 1 세트의 연장 라인은 좌측 벽체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고 다른 1 세트의 연장 라인은 우측 벽체에 이르도록 연장되어 있다.
다시 말해 챔버(10)의 벽체(11)에서 1개 면, 즉 도어가 장착되는 벽체(11)의 일 측면을 제외한 3개의 벽체(11)에 걸쳐 연장되어 상대적으로 벽체(11)와 넓은 접촉 면적을 자랑하면서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열전달 구조체(100)의 연장 패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개의 연장 라인으로서 벽체(11) 중 2개면에 걸쳐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나, 상술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우수한 열전달 효율을 담보하기 위하여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스식 구조에 따른 열전달 구조체(100)의 사이 공간인 열전달 스페이스(200)의 일 측 단 주변 부위, 바람직하게는 보조 벽체(20)에는 발열 모듈이 장착되는 발열 모듈 수용부(110)가 형성되어 있어 발열 모듈에서 발생된 열이 후술할 열전달 스페이스로 전달되고, 타측 단에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공(130)이 형성되어 이에 배기관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도 2에 따른 열전달 구조체(100)는 본 발명의 오븐 조리장치가 가스식 구조일 때를 예시한 것으로 발열 모듈 수용부(110)에는 버너가 장착되고 후술할 열전달 스페이스(200)를 지나 가열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공(130)이 그 버너가 장착된 열전달 스페이스의 일 측 단에 대한 타단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보조 벽체(20)는 1쌍의 열전달 구조체(100)의 사이에 발생된 열전달 스페이스(200)의 외측 일 면을 덮어 열전달 스페이스(200)가 밀폐된 공간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벽체(11)와 보조 벽체(20) 사이에 열전달 구조체(100) 및 열전달 스페이스(200)가 포함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열전달 스페이스(200)를 기준으로 관찰할 때, 이 열전달 스페이스(200)는 4개의 밀폐 면으로 감싸이는데 구체적으로 하부 면은 벽체의 일 부위, 좌우 면은 1쌍의 열전달 구조체(100), 상부 면은 보조 벽체(20)에 의하여 감싸이는 구조를 취한다.
더불어,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이러한 보조 벽체(20)에 발열 모듈 수용부(110)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의 주요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열전달 구조체(100)는 일정 폭을 가진 1쌍으로 연장이 되어 1쌍 사이의 내부 공간, 즉 열전달 스페이스(200)를 통해 전도 성질에 따라 챔버(10)의 벽체(11)를 거쳐 조리실(1)에 열을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 즉 구체적으로는 열전달 스페이스(200)의 2개의 내측벽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그 단면 구조는 그 일부가 보조 벽체와 밀착되면서 완충 스페이스(101)를 밀폐하는 밀폐부(160)와, 밀폐부(160)의 단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절곡되어 벽체(11)의 외측 면 일 부위에 밀착/부착되는 부착부(170)를 구비하고, 추가적으로 부착부(170)의 양단에서 외측으로 절곡 연장된 절곡부(180)로 이루어져 있다.
밀폐부(160)는 완충 스페이스(101)라는 내부 공간이 발생하도록 벽체(11)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부위로서, 이는 아치형, 돔형 등의 다양한 입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밀폐부(160)가 곡면으로 연장되면서 돌출되는 경우 열에 의한 변형이 일어날 개연성이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와 유사한 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ㄷ' 형상의 밀폐부(160)는 벽체(11)의 외측 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된 평행면(161)과, 상기 평행면(161)의 양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벽체(11)의 외측 면에 닿도록 연장된 수직면(162)으로 이루어져 있다.
부착부(170)는 밀폐부의 단부에서 바깥 방향(완층 스페이스 측의 대향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벽체(11)의 외측 면 일 부위에 부착되는 것으로, 별도의 접착 수단에 의해 본딩 처리를 하거나 실링 처리를 하여 벽체(11)의 외측 면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절곡부(180)는 부착부(170)의 부착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벽체(11)와 열전달 구조체(100)의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 인장력이나 열변형성이 서로 달라 부착부(170)의 단부가 들뜨거나 휘어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즉, 절곡부(180)는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부착부(170)의 단부에 추가적인 압박력을 가함과 동시에 부착부(170)의 단부에서 변형성이 일어나는 문제를 자신이 대신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부착부(170)가 벽체(11)의 외측 면에 보다 긴밀하게 부착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완충 스페이스(101)는 열전달 구조체(100)가 단순히 열전달 스페이스(200)를 형성하기 위한 내벽의 역할에 지나지 않고 완충 및 부가적인 역할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단순히 단일 층의 좌우 내측 벽으로 열전달 스페이스(200)가 감싸이는 구조에 비하여 완충 공간을 제공하여 열 변형에 탄력적인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완충 스페이스(101) 내에 보강재 내지 단열재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 열전달 구조체(100)의 내구성과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열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열전달 스페이스(200)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열전달 구조체(100)와 벽체(11)의 외측 면 일부 및 보조 벽체(20)에 의해 감싸인 공간으로서, 발열 모듈에서 발생된 열이 지나는 통로 역할을 하여 열전달 구조체(100)가 연장된 길이에 상응하게 벽체(11)의 외측 면에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이러한 열전달 스페이스(200)를 지나는 열은 전도에 의해 벽체(11)를 지나 조리실(1)로 전달되어 조리실(1)을 가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완충 스페이스(101)에는 단열재가 추가로 장착되어 벽체(11)의 외측 면이 과잉 과열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이러한 보조 벽체(20)의 외측 부위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케이스가 추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데, 이 케이스는 방열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여 오븐의 외부 환경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열 모듈에서 발생된 열은 1쌍으로 연장된 열전달 구조체(100) 사이의 공간인 열전달 스페이스(200)를 따라 이동되는바,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열전달 스페이스(200)는 공지의 히터 파이프와 같이 조리실(1)에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특히, 원형 단면인 공지의 파이프가 챔버의 내주 면과 선 접촉을 하는 것과 달리 열전달 스페이스(200)의 일부 밀폐 면이 벽체(11)의 일부 부위 자체를 이루기 때문에 충분한 면적으로서 효율적 전도를 위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열전달 스페이스(200)가 챔버(10)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하더라도 우수한 열전달 효율을 자랑할 수 있으며, 프레스기를 사용하는 등의 별다른 번거로운 설치 공정이 없이도 간편하고 수월하게 챔버(10)의 벽체의 외측 면에 열전달 구조체(100)를 장착하고 보조 벽체(20)를 설치하면서 열전달 스페이스(200)를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절곡부(180)에 의해 부착부(170)의 단부가 벽체(11)의 외측 면에서 들뜨거나 휘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을 하여도 본 발명의 오븐 조리장치가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특성을 구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오븐 조리장치가 전기식 구동 구조일 때 전열선을 구비한 상태를 예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에 따른 오븐 조리장치는 전기식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한 것으로, 이 경우 발열 모듈은 전열기로 이루어지고 이 전열기에서 시작된 전열선(140)이 열전달 스페이스(200)를 따라 연장된 구조를 취한다. 이 때, 전열선(140)이 열전달 스페이스(200)에서 유동성 없이 안전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도 4(a)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보조 벽체(20)의 내측 면에서 열전달 스페이스(200)로 일정 길이로서 연장된 고정 부재(150)에 전열선(140)이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 부재(150)는 열전달 스페이스(200)의 연장 라인을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복수 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전열선(140)이 쉽사리 유동되거나 흔들려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열전달 스페이스(200) 내에 전열선(140)을 수용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4(b)는 오븐 조리장치가 전기식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때 서포터 빔(190)이 열전달 스페이스(200)에 추가로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서포터 빔(190)은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관찰하였을 때 마치 H자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서포터 빔(190)은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보조 벽체의 내측 면 및 이의 대향 측인 벽체(11)의 외측 면 일부에 각각 접하는 지지대(191)와, 상기 2개의 지지대(191)의 중앙 부위를 연결하는 서포터(192)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전달 스페이스(200)의 연장 라인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서포터 빔(190)에 의하여, 외력이나 열에 의하여 열전달 스페이스(200)의 체적이 줄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바, 특히 전열선(140)이 안정적으로 지날 수 있기 위하여 열전달 스페이스(200)의 체적이 외력에 의해 쉽사리 변형되지 않아야 하는 전기식 구조의 오븐 조리장치에서 이와 같은 서포터 빔(190)이 유용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열전달 구조체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에 따른 열전달 구조체(100)의 변형 실시예는 벤딩부(120)의 구조를 개선 및 변형한 것으로서, 1쌍의 열전달 구조체의 연장 부위를 각각 제 1,2 열전달 구조체라 하고 제 1 열전달 구조체는 내측 연장 라인을 이루고 제 2 열전달 구조체는 외측 연장 라인을 이루는 것으로 정의할 때, 내측 연장 라인인 제 1 열전달 구조체의 벤딩부(120)에서 벤딩이 시작되는 지점인 제 1 변곡점(123)(양 측 부위에 2개로 존재)에서 다른 연장 부위보다 곡률반경이 낮게(즉, 보다 급한 곡률) 연장된 제 1 곡률 연장부(121)와, 제 1 곡률 연장부(121)의 단부인 제 2 변곡점(124)(역시 양측 부위에 2개로서 존재)에서 제 1 곡률 연장부(121)보다 곡률반경이 낮게(역시 보다 급한 곡률)로 연장된 제 2 곡률 연장부(1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A는 일반적인 연장 라인을 가지고, B는 제 1 곡률 연장부(121), C는 제 2 곡률 연장부(122)라 할 때 곡률 반경은 A>B>C가 되어 B, C로 갈수록 급한 곡률을 가진다. 이로 인해, 제 1,2 곡률 연장부(121,122)가 형성된 지점에서의 벤딩부(120)사이의 폭, 즉 열전달 스페이스(200)의 폭은 다른 열전달 스페이스(200)의 폭보다 점진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즉, 도 5에 따른 변형 실시예는 곡선형 라인에서 열 변형이 진행되는 벡터 방향이 마치 원심력이 작용되는 것과 같이 외측을 향하게 되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특히 열 변형이 많은 벤딩부(120), 구체적으로 1쌍의 열전달 구조체가 벤딩처리되는 부위에서 내측에 자리한 제 1 열전달 구조체의 벤딩부(120)에 대한 구조를 보강 처리한 것이다.
다시 말해, 제 1,2 곡률 연장부(121,122)에 의하여 열 변형이 일어나는 벡터 방향에 상응하게 열전달 구조체(100)의 연장 패턴을 형성하면서 열 변형 패턴(방향)을 따르면서 발생될 수 있는 열 응집력에 대항하기 위하여 해당 부위(제 1,2 곡률 연장부가 형성된 부위)를 다른 부위보다 두껍게 처리한 것이다. 이 경우, 인접한 벤딩부(120), 즉 제 2 열전달 구조체의 벤딩부와 역시 동일한 폭을 유지(인접한 벤딩부에 방해되지 않는 구조)하면서도 벤딩부(120) 사이의 두께, 즉 열전달 스페이스를 확장시킬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변형 실시예에 의한 열전달 구조체(100)에 의하여 열 변형 방향에 적응하여 내구성을 보강한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조리실 2: 히터 파이프
10: 챔버 11: 벽체
12: 단턱 20: 보조 벽체
100: 열전달 구조체 101: 완충 스페이스
110: 발열 모듈 수용부 120: 벤딩부
121: 제 1 곡률 연장부 122: 제 2 곡률 연장부
123: 제 1 변곡점 124: 제 2 변곡점
130: 배기공 140: 전열선
150: 고정 부재 160: 밀폐부
161: 평행면 162: 수직면
170: 부착부 180: 절곡부
190: 서포터 빔 191: 지지대
192: 서포터 200: 열전달 스페이스

Claims (7)

  1.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로서,
    벽체로 둘러싸인 내부에 조리실을 구비한 챔버;
    상기 챔버의 벽체 외측 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벤딩부에 의해 절곡 연장되어 상기 벽체의 적어도 2개면에 걸치도록 일정 폭을 가지고 1쌍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그 단면 구조로서 볼록하게 돌출된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의 단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벽체의 외측 면에 밀착된 밀착부 및, 상기 밀폐부와 상기 벽체의 일 부위에 의해 감싸여 발생된 공간인 완충 스페이스를 구비한 열전달 구조체;
    상기 1쌍으로 연장된 상기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발생된 공간인 열전달 스페이스;
    상기 벽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열전달 스페이스를 덮는 외부 벽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밀폐부에 접촉하면서 상기 열전달 스페이스의 상부 밀폐 면을 이루는 보조 벽체;
    상기 열전달 스페이스의 일 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열원을 발생시켜 상기 열전달 스페이스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모듈은 버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전달 스페이스의 연장 라인의 단부 일 측에는 배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모듈은 전열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전달 스페이스는,
    상기 전열기에서 연결되어 연장된 전열선과, 상기 보조 벽체의 내측 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열선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스페이스는,
    일정 길이로 연장된 것으로, 상기 보조 벽체의 내 측 및 상기 보조 벽체에 의해 덮여진 벽체 일 부위 각각에 밀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중앙 부위를 연결하는 서포터로 이루어진 서포터 빔;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벽체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보조 벽체에 밀착되는 평행면과, 상기 평행면의 양 단부에서 각각 수직 절곡되어 상기 벽체에 이르기까지 연장된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구조체는,
    상기 밀폐부의 상기 수직면의 단부 각각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면서 상기 벽체의 외측 면에 부착되는 부착부;
    상기 부착부의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절곡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열전달 구조체 중에서 상기 벤딩부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연장되는 열전달 구조체의 벤딩부는,
    벤딩 처리가 시작되는 부위의 제 1 변곡점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열전달 구조체의 벤딩부의 대응 부위보다 낮은 곡률반경으로 연장된 제 1 곡률 연장부와,
    상기 제 1 곡률 연장부의 단부의 제 2 변곡점에서 상기 제 1 곡률 연장부보다 낮은 곡률반경으로 연장된 제 2 곡률 연장부로 이루어져,
    상기 내외측 열전달 구조체의 벤딩부에서 상기 제 1,2 곡률 연장부가 형성된 사이의 폭이 다른 열전달 구조체 사이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















KR1020150097195A 2015-07-08 2015-07-08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 KR101618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195A KR101618520B1 (ko) 2015-07-08 2015-07-08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
CN201690001006.3U CN208124386U (zh) 2015-07-08 2016-07-07 具备传热结构的烤箱烹饪设备
PCT/KR2016/007355 WO2017007253A1 (ko) 2015-07-08 2016-07-07 열전달 구조체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
US15/864,391 US20180142903A1 (en) 2015-07-08 2018-01-08 Oven cooking apparatus provided with heat transfe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195A KR101618520B1 (ko) 2015-07-08 2015-07-08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520B1 true KR101618520B1 (ko) 2016-05-04

Family

ID=56022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195A KR101618520B1 (ko) 2015-07-08 2015-07-08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5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926B1 (ko) 2003-11-29 2005-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0705066B1 (ko) 2004-08-09 2007-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레인지의 이중 바닥 고정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926B1 (ko) 2003-11-29 2005-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0705066B1 (ko) 2004-08-09 2007-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레인지의 이중 바닥 고정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0184B2 (ja) 無線送電システム
JPWO2004049414A1 (ja) 半導体処理装置用電気ヒータ
CN103929935A (zh) 散热的emi/rfi屏蔽装置
CN101273479A (zh) 具有压电变压器的变压器装置
RU2623135C2 (ru) Секция радиатора отопления с изогнутым теплоотдающим элементом и масляный электрообогреватель, состоящий из таких секций
KR101618520B1 (ko) 열전달 구조체 사이에 열전달 스페이스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
CN109907663B (zh) 电烤箱
WO2022089007A1 (zh) 烹饪装置
KR101618519B1 (ko) 열전달 구조체를 구비한 오븐 조리장치
ITMC20090107A1 (it) Circuito stampato dotato di coperchio isolante e relativo metodo di montaggio.
US20180142903A1 (en) Oven cooking apparatus provided with heat transfer structure
US8592734B2 (en) Heater holder and electric hob including the same
CN206686485U (zh) 一种感应无线设备外壳
KR200469807Y1 (ko) 열효율을 향상시킨 배관용 히팅자켓
CN210183763U (zh) 一种散热装置以及一种散热无线通信模块
JP5213240B2 (ja) 加熱調理器
CN208014895U (zh) 一种提升基站天线前后比的装置
KR101243947B1 (ko) 중계기용 히트 싱크
US8735780B2 (en) Heater supporter and electric hob including the same
CN111071501B (zh) 一种真空环境下模态试验结构温度补偿器
JP7147877B2 (ja) 熱電変換装置の設置方法および熱電変換装置
CN218820543U (zh) 散热片、微波发生装置及烹饪器具
CN214481987U (zh) 电子设备
CN103779682B (zh) 弹性导电构件及其电子装置
CN209767910U (zh) 散热屏蔽结构及电路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