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054B1 - 오존연고와 베타글루칸 및 히아루론산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존연고와 베타글루칸 및 히아루론산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054B1
KR101618054B1 KR1020140032549A KR20140032549A KR101618054B1 KR 101618054 B1 KR101618054 B1 KR 101618054B1 KR 1020140032549 A KR1020140032549 A KR 1020140032549A KR 20140032549 A KR20140032549 A KR 20140032549A KR 101618054 B1 KR101618054 B1 KR 101618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bubble
unit
oxygen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0850A (ko
Inventor
심은경
김덕술
신민재
곽병철
김대현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2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054B1/ko
Publication of KR20150110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존연고와 히아루론산 및 베타글루칸을 이용하여 여드름 피부에 미치는 오존의 살균 재생효과를 상승시키도록 하고, 여드름을 치료할 수 있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존연고와 베타글루칸 및 히아루론산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Omitted}
본 발명은 올리브오일과 오존가스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존연고와 베타글루칸과 히아루론산을 혼합하여 완성하는 화장품 관련 기술 분야에 속한다.
최근 현대인들은 수질오염과 환경오염 등에 노출되어 있으며, 주거 공간에서도 각종 화학물질 등에 의하여 각종 피부병 등에 시달리고 있다.
근래에 오존이 세균성, 바이러스성 및 진균성 감염증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에 우수한 치료효과를 가진다는 연구 결과가 알려지면서 오존을 피부 질환 치료에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다. 기체 상태의 오존은 반감기가 짧아서 오존을 기체 상태로 사용하거나 물에 용해하여 사용하더라도 오존을 장시간 가두어 두기가 곤란하여 오존의 살균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제품이 개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2010년 기준 우리나라 화장품 시장은 46억불 규모로 세계 12위, 약 2.1%를 점유 여드름 시장규모는 1998년 시장형성 초기에는 80억 정도였으나 현재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1,000억에 육박하는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세계 여드름 시장규모는 2009년 기준 28억 달러로 연간 0.7%씩 성장해 2016년에는 30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며 2012년 국내 여드름 전용 화장품 시장규모는 1천억원 규모로 확인되고 있는데, 여드름은 피지선에서 발생하는 세균감염 질환 또는 모낭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일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및 남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발병하는 만성 질환으로 지속적인 관리와 치료가 필요하다.
주로 여드름을 치료 및 관리하는 목적은 여드름 병변으로부터 외관상의 아름다움을 유지하고 흉터를 줄이기 위한 것과 여드름이 대인관계와 정서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연고 외용제 등을 비롯한 의약품들은 치료제로서 매우 효과적이지만, 동시에 약물에 의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계적으로 항균 효과가 좋고 여드름 피부 예방과 완화 및 치료제의 개발에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물을 이용하려는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올리브오일과 오존가스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존연고와 베타글루칸과 히아루론산을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오존연고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피부의 살균 기능을 촉진할 수 있고 보습효과를 극대화한 여드름 치료용 화장품 개발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산소를 생성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오존을 생성하는 단계(s100);
s100단계에서 생성된 오존을 냉각장치 (100) 내부에 위치한 버블토출장치부(800)에서 버블화하여 버블 토출을 수행하는 단계(s200);
냉각장치(100) 내부에 위치하고 버블토출장치부(800) 상단에 결합된 반응장치부(500)에서 s200단계에서 토출된 오존버블(900)과 올리브오일(700)을 반응시키는 단계(s300);
s300 단계후 배오존을 처리하는 단계(s400)
오존처리된 올리브 오일과 베타클루칸과 히아루론산을 오존처리된 올리브 오일에 베타글루칸 및 히아루론산을 각각 0.1 내지 0.3중량%가 되도록 혼합하는 단계(s1000);
을 포함하되,
상기 s100 단계에서는,
대기중의 공기를 받아들여 산소발생장치부(200)를 통해서 산소를 발생시킨 후, 발생된 산소를 펌핑하여, 산소공급파이프(210)를 따라서 냉각장치부(100) 쪽으로 산소(A1)를 흘려 보내는 단계(s110)와,
냉각장치부(100) 내의 냉각파이프(250)로 인입된 산소를 섭씨 3도 내지 7도로 냉각시키는 단계(s120)와,
냉각파이프(250)가 있는 냉각장치부(100)로부터 산소(A2, A3)가 빠져나와, 산소 냉각시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부(280)을 거치는 단계(s130)와,
수분이 제거된 산소(A4)는 오존발생장치부(300) 내부로 인입되어, 1700 내지 2000 ppm의 농도의 오존이 발생되는 단계(s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베타글루칸과 히아루론산은 7.2 내지 7.4 pH 의 산성도를 가지는,
오존연고와 베타글루칸 및 히아루론산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이 제시된다.
올리브 오일에 오존을 반응시킨 후 제조된 오존연고를 7.2 내지 7.4 pH 의 산성도를 갖는 베타글루칸 및 히아루론산과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상기 올리브오일과 오존을 반응시킨 오존연고를 제조하기 위하여는, 산소를 생성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오존을 생성하는 단계(s100); s100단계에서 생성된 오존을 냉각장치 (100) 내부에 위치한 버블토출장치부(800)에서 버블화하여 버블 토출을 수행하는 단계(s200); 냉각장치(100) 내부에 위치하고 버블토출장치부(800) 상단에 결합된 반응장치부(500)에서 s200단계에서 토출된 오존버블(900)과 올리브오일을 반응시키는 단계(s300); s300 단계후 반응하지 않고 남은 배오존을 처리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되, s200 단계에서는, s100단계에서 생성된 오존이 오존공급관(310)을 따라서 냉각장치부(100)로 인입되는 단계(s210)와, 수분제거부(400)를 통과시켜 s210단계에서 인입된 오존에 남아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s220)와, s220단계에서 제거된 수분을 수분토출파이프(410)를 통하여 냉각장치부(100)의 외부로 토출하는 단계(s230)와, s220단계에서 수분이 제거된 오존이 오존공급파이프(330)를 따라 흘러가서, 오존버블(900)과 올리브 오일(700)이 반응하는 반응장치부 (500)의 하측의 버블토출장치(800)으로 공급하는 단계(s240)을 거친후, s240단계에서 토출된 오존버블(900)과 올리브 오일을 상호 반응시키는 단계(s300)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반응장치부(500)는 실린더 형태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오존이 반응장치부(500)에 공급되는 양은 1분당 3 내지 6리터가 투입되도록 하는, 오존연고와 베타글루칸 및 히아루론산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이 제시된다.
오존연고는 오존 가스와 순수 올리브 올리브 오일만을 사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므로 스테로이드 계열에서 오는 부작용이 없으며, 강한 산화력과 살균력으로 2차 감염의 우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오존연고 제조과정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제 장치의 냉각장치 내부를 촬영한 것이다.
도 3은 산소발생기와 오존 발생기를 촬영한 것이다.
도 4 및 도 6은 오존 버블 분사장치이다.
본 발명은 오존연고와 히아루론산 및 베타글루칸을 이용하여 여드름 피부에 미치는 오존의 살균 재생효과를 상승시키도록 하고, 여드름을 치료할 수 있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I. 오존연고 제조단계
산소를 생성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오존을 생성하는 단계(s100);
s100단계에서 생성된 오존을 냉각장치 (100) 내부에 위치한 버블토출장치부(800)에서 버블화하여 버블 토출을 수행하는 단계(s200);
냉각장치(100) 내부에 위치하고 버블토출장치부(800) 상단에 결합된 반응장치부(500)에서 s200단계에서 토출된 오존버블(900)과 올리브오일(700)을 반응시키는 단계(s300);
s300 단계후 배오존을 처리장치(s400)을 포함하되,
상기 s100 단계에서는,
대기중의 공기를 받아들여 산소발생장치부(200)를 통해서 산소를 발생시킨 후, 발생된 산소를 펌핑하여, 산소공급파이프(210)를 따라서 냉각장치부(100) 쪽으로 산소(A1)를 흘려 보내는 단계(s110)와,
냉각장치부(100) 내의 냉각파이프(250)로 인입된 산소를 섭씨 3도 내지 7도로 냉각시키는 단계(s120)와,
냉각파이프(250)가 있는 냉각장치부(100)로부터 산소(A2, A3)가 빠져나와, 산소 냉각시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부(280)을 거치는 단계(s130)와,
수분이 제거된 산소(A4)는 오존발생장치부(300) 내부로 인입되어, 1700 내지 2000 ppm의 농도의 오존이 발생되는 단계(s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s200 단계에서는,
s100단계에서 생성된 오존이 오존공급관(310)을 따라서 냉각장치부(100)로 인입되는 단계(s210)와,
수분제거부(400)를 통과시켜 s210단계에서 인입된 오존에 남아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s220)와,
s220단계에서 제거된 수분을 수분토출파이프(410)를 통하여 냉각장치부(100)의 외부로 토출하는 단계(s230)와,
s220단계에서 수분이 제거된 오존이 오존공급파이프(330)를 따라 흘러가서, 오존버블(900)과 올리브 오일이 반응하는 반응장치부 (500)의 하측의 버블토출장치(800)으로 공급하는 단계(s240)을 거친후, s240단계에서 토출된 오존버블(900)과 올리브 오일(700)을 상호 반응시키는 단계(s300)가 이루어진다.
한편, s300단계 후 생성된, 반고체 상태의 오존화 오일인 오존연고를 연고토출파이프(570)를 통하여(C) 획득하는 단계를 거침과 동시에, s400단계에서는, 반응장치부(500) 에서 반응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오존인 배오존을, 배오존 배출 파이프(580)를 통하여 배오존처리부(600)로 배출시키되, 상기 배오존처리부에서는 활성탄에 의하여 오존을 산소로 변환시킨 후 외부(B4)로 배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냉각장치부 중앙에는 반응장치부(500)가 하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며, 반응장치부(500)에는 오존과 올리브오일의 반응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명창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s200단계의 오존 버블 토출은, 버블토출장치부(800)를 통하여 미세한 오존 버블로 형성되어 반응장치부(500) 내부로 토출됨이 바람직하다.
버블토출장치부(800)의 구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버블토출장치부의 하부에는 오존공급파이프(330)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존 공급받는 구멍(811) 형성되고, 버블토출장치부(800) 측면에는 최상부 토출구멍(812), 중단토출구멍 (814), 하단토출구멍(816)으로 3단의 토출구멍이 형성되어, 최상부토출구멍에서 토출되는 버블은 수평 혹은 상방(F1 방향)으로 토출되고, 중단토출구멍 (814)에서 토출되는 버블은 중앙통로(819)와 연결되는 중단토출구멍(814) 을 통하여 수평면을 기준으로 70도 내지 89도의 각도를 가지는 방향(F2방향)으로 토출되어, 버블이 강한 상승 에너지를 가지도록 한다. 하단 토출구멍 (816)으로 토출되는 버블은 수평 또는 비스듬한 하부방향(F3방향)으로 향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360각도 전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방으로 내려오는 올리브 오일과의 혼합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제 장치의 냉각장치 내부를 촬영한 도면, 도 3은 산소발생기와 오존 발생기를 촬영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오존 버블 분사장치를 촬영한 도면, 도 6은 다중 버블 분사장치 내의 오존 분사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존화오일을 이용한 연고제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피부질환치료용 연고는 크게 오존을 생성하는 장치, 오존을 버블화하여 다중으로 버블토출을 수행하는 장치, 냉각장치 내에서 오존과 올리브오일을 반응시키는 장치 및 배오존 처리장치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오존을 생성하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오존의 생성하기에 앞서서 우선 대기중의 공기로부터 산소를 생성한다. 이어서 생성된 산소를 이용하여 오존 발생장치에 공급함으로써, 오존을 생성하게 된다. 도 1에서 산소발생장치부(200)는 대기중의 공기를 공급받아 산소를 생성하는데,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면 충분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생성된 산소를 펌핑하여, 산소공급파이프(210)를 따라서 A1 방향으로 냉각장치부(100) 쪽으로 산소를 흘려 보내어 펌핑된 산소를 냉각하여야 한다.
냉각장치부(100)의 온도는 섭씨 3도 내지 7도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이는 이후 설명될 연고 제조를 위한 반응장치부(500)에서 요구되는 온도이기도 하다.
산소가 흘러가는 냉각파이프(250)가 냉각된 이후에는 냉각장치부(100)로부터 빠져나와(A2, A3), 산소 냉각시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부(280)을 거치게 된다. 수분이 제거된 산소(A4)는 오존발생장치부(300) 내부로 인입되어, 1700 내지 2000 ppm의 농도인 오존이 발생된다. 물론 이러한 오존의 특정 농도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생성된 오존은 오존공급관(310)을 따라서 B1 방향으로 냉각장치부(100)쪽으로 인입된다.
이러한 오존에는 수분이 여전히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는 수분제거부(400)를 거치게 된다. 제거된 수분은 수분토출파이프(410)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이어서 수분이 제거된 오존은 오존공급파이프(330)를 따라서 B2 방향으로 흘러가서, 반응장치부(500)를 통하여 공급된다.
반응장치부(500)는 실린더 형태의 세로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그 하부에는 공급되는 오존을 다수의 오존토출구멍을 가진 버블토출장치부(800)가 형성되어 있다.
버블토출장치부(800)에 대한 상세설명은 도 5, 도 6을 인용하여 이후 설명하기로 한다.
오존이 반응장치부(500)에 공급되는 양은 1분당 3 내지 6리터가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반응장치부(500)의 크기, 올리브 오일(700)의 량, 냉각장치부 내부의 온도 등을 고려하여 가감 가능함은 물론이다.
미세한 버블로 반응장치부(500) 내부에 공급되는 버블은 반응장치부(500) 내부에 미리 공급되어 있는 올리브오일(700)과 100 내지 150시간 동안 상호 반응을 하게 된다. 도 2의 장치에서는 반응장치부(500)에 공급된 올리브오일은 2.5 리터이고, 일주일간 미세한 오존 버블(900)을 공급하여 오존화 오일을 생성하는 반응을 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오존과 올리브 오일을 반응시키면 반고체 상태의 오존화 오일인 연고가 생성되며, 이를 연고토출파이프(570)를 통하여(C) 획득한다.
한편, 반응장치부(500)에서 반응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오존 즉, 배오존은 B3 방향으로 따라서 배오존배출파이프(580)를 통하여 배오존처리부(600)로 배출된다.
오존 그자체로 외부에 오존이 토출되면 인체에 유해할 수 있으므로 배오존처리부에서는 활성탄 등 공지의 오존처리수단을 이용하여, 오존을 산소로 변환시킨 후 외부(B4)로 토출된다.
도 2 내지 도 6을 통하여, 도 1의 각 주요 장치들에 대한 실제 외형을 파악하도록 한다.
도 2에서는 냉각장치부(100)의 도어를 오픈한 상태를 촬영한 것으로서, 산소발생장치부(200), 오존발생장치부(300)는 도시되어 있지 않고, 이들은 도 3의 냉각장치부(100)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냉각장치부(100)는 섭씨 3 내지 7도에서 유지되고 있으며, 산소발생장치부(200)로부터 생성된 산소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파이프(250)가 냉각장치부(100) 내부 측면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냉각장치부 중앙에는 반응장치부(500)가 하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며, 오존과 올리브오일의 반응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명창이 형성된다.
오존공급파이프(330)로부터 공급된 오존은 버블토출장치부(800)를 통하여 하방에서 상방으로 미세한 버블로 형성되어 반응장치부(500) 내부로 인입되여, 상세 그림은 도 6의 그림과 같이 오존버블(900)이 내측 중앙부로부터 외측으로 다방향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냉각장치부(100)의 측면에 부착, 설치된 오존발생장치부(300), 그 하부에 설치된 산소발생장치부(200)가 도시되어 있으며, 기타 반응장치부(500)에서 반응 후 잔존한 배오존을 배출하는 배오존배출파이프(580)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 버블토출장치부(800)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반응장치부(500) 아래에는 오존버블을 공급하기 위한 버블토출장치부(800)가 형성되어 있는데, 버블을 미세하게 다중 방향으로 공급하여, 반응장치부(500) 내의 올리브 오일과 효과적인 반응을 하도록 하는 것이 그 주된 기능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버블토출장치부의 하부에는 오존공급파이프(330)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존 공급받는 구멍(811) 형성된다.
그리고, 버블토출장치부(800)는 미세하게 버블화시킴과 동시에 다단으로, 방사향으로 방향(전방향)으로 버블을 토출화시키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다단이라 함은 도 6과 같이 최상부 토출구멍(812), 중단토출구멍 (814), 하단토출구멍(816)으로 3단의 토출구멍이 버블토출장치부(8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360도 전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기 때문이다.
F3 방향으로 토출되는 버블은 수평 또는 비스듬한 하부방향으로 향하며 버블토출장치부(8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360도 전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토출구멍을 통하여 빠져 나오게 된다.
F2 방향으로 토출되는 버블은, 중앙통로(819)와 연결되는 중단토출구멍(814) 을 통하여 토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중단토출구멍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70도 내지 89도의 각도를 가지면서, 버블이 강한 상승 에너지를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최상부에서 토출되는 버블은 F1 방향으로 토출되며, 수평 혹은 상방으로 토출된다.
즉, 통상적 버블발생장치는 버블의 자체 부력만으로 유체 내에 투입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의 오존버블(900)을 토출해 내는 버블토출장치부(800)는 상방향, 수평방향, 하부방향을 향하여 전방위로 오존버블을 토출하기 때문에 올리브오일이 위치한 곳으로 강한 대류 현상을 지속적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로써 올리브 오일과 오존의 접촉 빈도는 증가하게 되고, 냉각자치부(100) 내의 저온상태에서 오존화올리브 오일 연고제가 빠른 속도로 생성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올리브 오일과 오존버블(900)을 냉각장치부(100) 내부에서 저온 상태로 100 내지 150시간 반응시킴으로써, 반고체 혹은 크림 성상의 오존화올리브오일 연고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냉각 장치부의 온도가 상기 온도보다 높으면, 연고상태가 아니라 점성(viscosity)이 매우 낮은 물과 같은 상태로 연고가 제조되기 때문에, 제조 후 오존이 올리브 오일과 분리되어 기체화되어 날아가 버리기 쉽기 때문에 연고의 약효를 발휘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온도에 맞추어 연고를 제조하여야 하며, 통상의 온도센서를 통하여 반응도중의 온도 유지여부가 체크 되어야 한다.
본 I 단계에서 제조된 오존처리 올리브 오일을 오존 연고로 명명한다.
II . 오존연고와 베타글루칸 및 히아루론산의 혼합에 의한 화장품 제조단계
상기 제조된 오존연고를 베타글루칸 및 히아루론산와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조된 오존연고 중량에 대하여 베타글루칸 및 히아루론산 중량 0.1 내지 0.3%중량을 혼합함으로써 여드름 치료 및 살균 기능을 동시에 발휘하게 된다.
베타글루칸 및 히아루론산 7.2 내지 7.4pH의 산성도를 유지해야 한다.
베타글루칸은 다당류의 일종으로 면역증강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효모의 세포벽, 버섯류, 곡류 등에 존재하고 있다.인간 정상 세포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증식과 재발을 억제하고 혈당과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며 지질대사를 개선하여 체지방 형성과 축적을 억제한다. 베타글루칸은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비특이적 면역반응으로 인간의 정상 세포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증식과 재발을 억제하고 대식세포(macrophage)를 활성화 시켜 암세포가 있는 체내로 들어가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Cytokine)의 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면역세포인 T세포와 B세포의 면역기능을 활성화 시켜 준다. 이 외에도 베타글루칸은 혈당강하 및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가 우수하며, 지질대사를 개선하여 체지방 형성과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항 비만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베타글루칸
분자구조
Figure 112014026722626-pat00001

분자식
(C18H30O14)n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은 일반적으로는 히아루론산나트륨으로 제조 판매되고 있다. 히아루론산나트륨의 성상은 백색의 분말로 물에 가용하며, 히아루론산의 분자량과 농도, , 이온강도 등에 따라 여러 가지 점탄성을 가진 젤리나 점조 용액을 형성한다. 히아루론산은 1934년 Meyer 등에 의해 소의 유리체에서 분리, 명명된 대표적인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이다. 히아루론산은 포유동물의 결합조직 중에 널리 그리고 대량으로 분포되어 있고 닭벼슬, 건, 피부, 대동맥, 관절액 등에 많이 들어있다. 그 외 연쇄상구균 등의 미생물도 생산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정제된 히아루론산의 안전성은 LD50, 아급성 독성, 변이원성시험, 눈점막 자극시험, 피부 1차 자극시험, 누적피부자극시험, 사람의 패치테스트 등 모두 negative여서 매우 안전성이 높다. 히아루론산의 약리 작용으로는 임파구와 마크로파지의 유주 저해 등이 보고되어 있다.
히아루론산
분자구조
Figure 112014026722626-pat00002

분자식
(C14H21NO11)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은 거의 모든 조직의 세포외기질에 존재하고 있는 다당류의 성분으로 조직의 수분 함유를 유지하여 세포외 공간을 유지하고, 전해질과 영양소의 이동을 촉진시킨다(Meyer LJ and Stern R. Age-Dependent Changes of Hyaluronan in Human Skin. J . Invest. Dermatol., 102:385-9, 1994)고 보고된 바 있으며, 또한 섬유아세포의 이동을 촉진시키고 콜라겐 섬유의 증착 및 상처치유에 효과적임이 밝혀졌다.(Doillon CJ and Silver FH. Collagen-based wound dressing: effects of hyaluronic acid and fibronectin on wound healing. Biomaterials, 7:3 1986). 여드름 및 아토피 피부염과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있는 민감한 피부에 적용되는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히아루론산을 발명의 구성요소로 채택하였으며, 그리고 히아루론산은 저습도, 고습도 조건하에서 거의 같은 정도의 흡습성과 사용감촉이 있는 장점도 있다.
오존연고는 오존 가스와 순수 올리브 올리브 오일만을 사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므로 스테로이드 계열에서 오는 부작용이 없으며, 강한 산화력과 살균력으로 2차 감염의 우려가 없이 여드름 치료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냉각장치부 200:산소발생장치부
210:산소공급파이프
250:냉각파이프 280:수분제거부
300:오존발생장치부
330:오존공급파이프
400:수분제거부 410:수분토출파이프
500:반응장치부 570:연고토출파이프
580:배오존배출파이프
600:배오존처리부 700:올리브오일
800:버블토출장치부 819:중앙통로 900:오존버블

Claims (8)

  1. 산소를 생성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오존을 생성하는 단계(s100);
    s100단계에서 생성된 오존을 냉각장치 (100) 내부에 위치한 버블토출장치부(800)에서 버블화하여 버블 토출을 수행하는 단계(s200);
    냉각장치(100) 내부에 위치하고 버블토출장치부(800) 상단에 결합된 반응장치부(500)에서 s200단계에서 토출된 오존버블(900)과 올리브오일(700)을 반응시키는 단계(s300);
    s300 단계후 반응하지 않고 남은 배오존을 처리하는 단계(s400);
    상기 s300에서 완성된 오존과 반응된 올리브오일에 대하여,
    7.2 내지 7.4 pH 의 산성도의 베타글루칸 및 히아루론산을 각각 0.1 내지 0.3중량%를 상온에서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s100 단계에서는,
    대기중의 공기를 받아들여 산소발생장치부(200)를 통해서 산소를 발생시킨 후, 발생된 산소를 펌핑하여, 산소공급파이프(210)를 따라서 냉각장치부(100) 쪽으로 산소(A1)를 흘려 보내는 단계(s110)와,
    냉각장치부(100) 내의 냉각파이프(250)로 인입된 산소를 섭씨 3도 내지 7도로 냉각시키는 단계(s120)와, 냉각파이프(250)가 있는 냉각장치부(100)로부터 산소(A2, A3)가 빠져나와, 산소 냉각시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부(280)을 거치는 단계(s130)와, 수분이 제거된 산소(A4)는 오존발생장치부(300) 내부로 인입되어, 1700 내지 2000 ppm의 농도의 오존이 발생되는 단계(s140)를 포함하며,
    s200 단계에서는,
    s100단계에서 생성된 오존이 오존공급관(310)을 따라서 냉각장치부(100)로 인입되는 단계(s210)와, 수분제거부(400)를 통과시켜 s210단계에서 인입된 오존에 남아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s220)와, s220단계에서 제거된 수분을 수분토출파이프(410)를 통하여 냉각장치부(100)의 외부로 토출하는 단계(s230)와, s220단계에서 수분이 제거된 오존이 오존공급파이프(330)를 따라 흘러가서, 오존버블(900)과 올리브 오일(700)이 반응하는 반응장치부 (500)의 하측의 버블토출장치(800)로 공급하는 단계(s240)을 거친후, s240단계에서 토출된 오존버블(900)과 올리브 오일(700)을 상호 반응시키는 단계(s300)를 포함하되,
    s400단계에서는,
    반응장치부(500)에서 반응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오존인 배오존을,
    배오존배출파이프(580)를 통하여 배오존처리부(600)로 배출시키되,
    상기 배오존처리부에서는 활성탄에 의하여 오존을 산소로 변환시킨 후 외부(B4)로 배출함을 특징으로 하며,
    s200단계의 오존 버블 토출은, 버블토출장치부(800)를 통하여 미세한 오존 버블로 형성되어 반응장치부(500) 내부의 올리브오일(700)로 토출되되,
    반응장치부(500)와 버블토출장치부(800)는 냉각장치부(100) 내부에 장착된 것으로,
    실린더 형태의 세로로 긴 원통형 반응장치부(500)가 냉각장치부(100) 내부 중앙에 하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반응장치부(500) 아래에 오존버블을 공급하기 위한 버블토출장치부(800)가 형성되며,
    버블토출장치부(800)의 구조는,
    버블토출장치부의 하부에는 오존공급파이프(330)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존 공급받는 구멍(811) 형성되고, 버블토출장치부(800) 측면에는 최상부 토출구멍(812), 중단토출구멍 (814), 하단토출구멍(816)으로 3단의 토출구멍이 버블토출장치부(8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360도 전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최상부토출구멍에서 토출되는 버블은 수평 혹은 상방(F1 방향)으로 토출되고, 중단토출구멍 (814)에서 토출되는 버블은 중앙통로(819)와 연결되는 중단토출구멍(814) 을 통하여 수평면을 기준으로 70도 내지 89도의 각도를 가지는 방향(F2방향)으로 토출되어, 버블이 강한 상승 에너지를 가지도록 하며,
    하단토출구멍(816)으로 토출되는 버블은 수평 또는 비스듬한 하부방향(F3방향)으로 향하며 버블토출장치부(8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360각도 전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하단토출구멍(816)을 통해 하방으로 내려옴으로써 토출되는 오존버블의 대류현상으로 올리브 오일과의 혼합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연고와 베타글루칸 및 히아루론산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032549A 2014-03-20 2014-03-20 오존연고와 베타글루칸 및 히아루론산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KR101618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549A KR101618054B1 (ko) 2014-03-20 2014-03-20 오존연고와 베타글루칸 및 히아루론산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549A KR101618054B1 (ko) 2014-03-20 2014-03-20 오존연고와 베타글루칸 및 히아루론산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850A KR20150110850A (ko) 2015-10-05
KR101618054B1 true KR101618054B1 (ko) 2016-05-09

Family

ID=54344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549A KR101618054B1 (ko) 2014-03-20 2014-03-20 오존연고와 베타글루칸 및 히아루론산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0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73295A1 (en) 1999-11-25 2003-01-08 Manuel-Antonio Gomez Moraleda Composition comprising ozonized oils and/or other ozonized natural and/or synthetic products and their use in pharmaceutical, cosmetic, dietetic or food supplement compositions in human and veterinary medicine
WO2007046122A2 (en) * 2005-10-17 2007-04-26 Bioo3Pharma S.R.L. Ozonised oi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and use thereof in medical field
KR101382153B1 (ko) 2013-11-29 2014-04-07 참좋은우리 주식회사 오존처리 연고 제조장치 및 연고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73295A1 (en) 1999-11-25 2003-01-08 Manuel-Antonio Gomez Moraleda Composition comprising ozonized oils and/or other ozonized natural and/or synthetic products and their use in pharmaceutical, cosmetic, dietetic or food supplement compositions in human and veterinary medicine
WO2007046122A2 (en) * 2005-10-17 2007-04-26 Bioo3Pharma S.R.L. Ozonised oi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and use thereof in medical field
KR101382153B1 (ko) 2013-11-29 2014-04-07 참좋은우리 주식회사 오존처리 연고 제조장치 및 연고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100414639 B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850A (ko) 201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91836C (zh) 氢气作为药物活性成分在制备药物产品中的用途
BRPI0713734A2 (pt)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beta-glucano solúvel, e, composição
CN113679046B (zh) 促进透明质酸与胶原蛋白相互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Urakov et al. Possibility of dissolution and removal of thick pus due to the physical-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edicines
CN108721320A (zh) 小分子透明质酸片段的应用
EP2830634A1 (en) Method for treatment of labor arrest
Huang et al. Analgesis and wound healing effect of chitosan and carboxymethyl chitosan on scalded rats
CN109833215A (zh) 一种石墨烯基负离子面膜
KR101618054B1 (ko) 오존연고와 베타글루칸 및 히아루론산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WO2000010550A2 (en) Reduction of surfactant inactivation in pulmonary surfactant therapy
EP2830635A1 (en) Combination treatment comprising sulphated glycosaminoglycans for inducing labor
CN105749333A (zh) 一种透明质酸医用敷料及其制备方法
DE602004008756D1 (de) Verwendung von gangliosiden zur behandlung von entzündungen
CN116019978B (zh) 一种微交联透明质酸钠-重组胶原蛋白复合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123757B (zh) 一种应用于治疗脉管异常的乙醇泡沫硬化剂及制备方法
CN111778300A (zh) 一种β-1,3-葡聚糖及制备方法和应用
WO2020048270A1 (zh) 一种用蜗牛酶制备壳寡糖的方法及其用途
JP2009096807A (ja) アレルギー性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薬
KR101989066B1 (ko) 두피 또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KR101148383B1 (ko) 전자빔 조사에 의한 알지네이트와 후코이단의 저분자화 방법
KR101618055B1 (ko) 오존연고와 bha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CN109260457A (zh) 一种透明质酸-白介素10复合物、其制备方法及其应用
JPS624703A (ja) 低分子量へパリン画分の製法
Litwiniuk et al. Clinical immunology Chronic inflammation in venous leg ulcer-problems and perspectives
CN114350035B (zh) 一种透明质酸交联活性材料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