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124B1 - 다이나믹 로드 - Google Patents

다이나믹 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124B1
KR101616124B1 KR1020140103760A KR20140103760A KR101616124B1 KR 101616124 B1 KR101616124 B1 KR 101616124B1 KR 1020140103760 A KR1020140103760 A KR 1020140103760A KR 20140103760 A KR20140103760 A KR 20140103760A KR 101616124 B1 KR101616124 B1 KR 101616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incision
incision groove
groove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9256A (ko
Inventor
김현성
윤홍원
Original Assignee
김현성
윤홍원
주식회사 앤트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성, 윤홍원, 주식회사 앤트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김현성
Priority to KR1020140103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124B1/ko
Priority to PCT/KR2015/007847 priority patent/WO2016024739A1/ko
Publication of KR20160019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나믹 로드에 관한 것으로, 로드 몸통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절개되어 척추 관절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절개홈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벌어지는 하나 이상의 전방절개홈 및 상기 전방절개홈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로드 몸통부 타측에서 일측으로 상기 전방절개홈과 반대방향으로 절개되어 척추 관절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전방절개홈과 반대로 절개홈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하나 이상의 후방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로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간관절(Facet Joint)이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 척추 관절의 움직임에 무리가 가지 않고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소 침습 수술 시 삽입 기구를 이용하여 척추경 나사못 헤드의 측면을 통과할 때 나사못 헤드에 걸리지 않으면서 시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이나믹 로드{DYNAMIC ROD}
본 발명은 다이나믹 로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척추경에 삽입되는 나사못에 고정되어 척추뼈를 고정시켜주며 척추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가능한 다이나믹 로드에 관한 것이다.
척추 뼈와 뼈 사이에는 디스크가 있는데, 이러한 디스크의 바깥쪽은 질긴 섬유로 보호되고 있고, 디스크의 안쪽에는 수핵이라는 것이 들어있다.
디스크는 관절의 기능을 하며 척추의 움직임에 따라서 수핵의 위치와 모양이 바뀌면서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수핵의 대부분은 수분(물)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나이를 먹으면서 점차 수분량이 줄어들어 디스크는 완충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섬유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면 허리통증이 발생하고, 여기서 더 진행되면 섬유가 심하게 늘어나거나 파열되면서 뒤쪽에 위치한 신경근을 눌러서 골반, 다리 등에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척추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거나 척추 뼈가 내려앉으면서 척추변형이 일어나는 등 각종 부작용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심하게 찌그러지거나 상한 디스크를 제거하는 수술을 하는 경우 척추간격을 유지하고 척추가 변형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척추 디스크 환자는 척추 뼈의 손상된 부분이 눌리거나 압박되지 않도록 손상된 부위의 디스크를 제거하고, 중공형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인공 보조물(케이지)에 뼈 조각을 채워 디스크를 제거한 부위에 삽입한 다음, 손상된 디스크 상하부위의 척추 뼈에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고정한 후, 척추경 나사못에 로드를 연결하여 척추 뼈 사이의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골 융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 시술되고 있다.
한편, 척추 디스크 환자 중 척추 뼈 사이의 디스크의 손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디스크는 그대로 두고, 손상된 디스크의 상하부위의 척추 뼈에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고정한 후, 척추경 나사못에 로드를 연결하여 척추 뼈 사이의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손상된 디스크의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척추경 나사못 연결 로드에 관한 특허를 보면, 로드 중앙의 판 형상의 탄성부가 척추경 나사못의 헤드를 통과할 수 없어 최소 침습 수술을 통해 나사못 헤드의 측면에서 로드를 삽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결국, 이러한 형태의 로드는 최소 침습으로 절개 후 시술하는데 부적합 하여 절개 범위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소 침습 시술을 통해 나사못 헤드의 측면으로 삽입 가능한 로드의 경우, 시술된 로드가 추간관절(Facet Joint)의 움직임에 따라 같이 자연스럽게 움직여줘야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는데, 종래의 로드를 보면, 추간관절(Facet Joint)의 움직임을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97755호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척추경 나사못에 결합된 로드가 추간관절(Facet Joint)이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서 동일하게 움직이도록 하는 다이나믹 로드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인체의 척추는 앞으로 휘어지는 각도보다 뒤로 휘어지는 각도가 상대적으로 더 크므로 이러한 움직임을 고려하여 척추경 나사못에 결합 후 전방으로 휘어지는 각도보다 후방으로 휘어지는 각도가 상대적으로 더 큰 다이나믹 로드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최소 침습 수술 시 삽입 기구를 이용하여 척추경 나사못 헤드의 측면을 통과할 때 나사못 헤드에 걸리지 않으면서 시술이 가능한 다이나믹 로드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나믹 로드는 로드 몸통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절개되어 척추 관절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절개홈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벌어지는 하나 이상의 전방절개홈 및 상기 전방절개홈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로드 몸통부 타측에서 일측으로 상기 전방절개홈과 반대방향으로 절개되어 척추 관절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전방절개홈과 반대로 절개홈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하나 이상의 후방절개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절개홈 및 후방절개홈은 로드 길이방향 중심축에 수직인 면에 대해 일정 각도 대각선 방향으로 절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는 활모양으로 굽은 형상이며 상기 전방절개홈은 볼록한 부분에 형성되고 후방절개홈은 오목한 부분에 형성되며, 후방절개홈의 두께는 전방절개홈의 두께보다 일정 비율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절개홈과 후방절개홈은 로드 중앙 일정 영역에서 일정 간격으로 교차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이나믹 로드는 로드 몸통부 중앙의 일측에서 로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 로드 몸통부 타측에서 로드 몸통부를 지나 상기 돌출부측으로 절개되어 척추 관절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절개홈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벌어지는 하나 이상의 전방절개홈 및 상기 전방절개홈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서 로드 몸통부 타측으로 상기 전방절개홈과 반대방향으로 절개되어 척추 관절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전방절개홈과 반대로 절개홈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하나 이상의 후방절개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절개홈 및 후방절개홈은 로드 길이방향 중심축에 수직인 면에 대해 일정 각도 대각선 방향으로 절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는 활모양으로 굽은 형상이며 상기 전방절개홈은 볼록한 부분에 형성되고 후방절개홈은 오목한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에 형성되고, 후방절개홈의 두께는 전방절개홈의 두께보다 일정 비율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절개홈과 후방절개홈은 로드 중앙 일정 영역에서 일정 간격으로 교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나믹 로드에 의하면, 추간관절(Facet Joint)이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 척추 관절의 움직임에 무리가 가지 않고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소 침습 수술 시 삽입 기구를 이용하여 척추경 나사못 헤드의 측면을 통과할 때 나사못 헤드에 걸리지 않으면서 시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나믹 로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나믹 로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이나믹 로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이나믹 로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나믹 로드가 척추경 나사못 헤드에 결합된 모습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이나믹 로드가 척추경 나사못 헤드에 결합된 모습의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나믹 로드(1)는 척추경 나사못에 결합되어 척추뼈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로드(1) 몸통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절개되어 척추 관절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절개홈(10a)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벌어지는 하나 이상의 전방절개홈(10a) 및 전방절개홈(10a)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로드(1) 몸통부 타측에서 일측으로 전방절개홈(10a)과 반대방향으로 절개되어 척추 관절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전방절개홈(10a)과 반대로 절개홈(10b)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하나 이상의 후방절개홈(10b)이 형성된다.
전방절개홈(10a) 및 후방절개홈(10b)은 로드(1) 길이방향 중심축에 수직인 면에 대해 일정 각도 대각선 방향으로 절개된다. 대각선 방향으로 절개한 것은 이웃하는 척추의 상관절돌기와 하관절돌기가 접하는 면 부위의 각도와 동일하게 하여 추간관절의 움직임과 최대한 유사한 움직임을 주기 위해서이다.
또한, 전방절개홈(10a)과 후방절개홈(10b)은 로드(1) 중앙 일정 영역에서 일정 간격으로 교차되어 형성된다. 절개홈(10a, 10b)을 교차 형성함으로써 로드(1)가 앞 또는 뒤로 휘어질 때 힘이 로드(1)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절개홈(10b)이 로드(1) 길이방향 중심축에 수직인 면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후 이웃하는 위치에 전방절개홈(10a)이 형성되고, 전방절개홈(10a)의 이웃하는 위치에 후방절개홈(10b)이 형성되며, 후방절개홈(10b)의 이웃하는 위치에 전방절개홈(10a)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방절개홈(10a)와 후방절개홈(10b)가 두 개씩 형성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전방절개홈(10a)와 후방절개홈(10b)는 하나씩 형성될 수도 있고 그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로드(1)는 활모양으로 굽은 형상이며 전방절개홈(10a)은 볼록한 부분에 형성되고 후방절개홈(10b)은 오목한 부분에 형성되며, 후방절개홈(10b)의 두께는 전방절개홈(10a)의 두께보다 일정 비율 더 두껍게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접한 척추뼈(101, 102) 사이에 추간판(103)이 위치하며 척추경에 삽입된 나사못의 헤드(5a, 5b)에 다이나믹 로드(1)가 고정된 것을 볼 수 있다.
다이나믹 로드(1)는 활모양으로 굽은 형상으로 배쪽이 볼록하게 나와있고 등쪽은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또한, 후방절개홈(10b)의 두께가 전방절개홈(10a)의 두께보다 두 배 정도 더 두껍다. 즉, 후방절개홈(10b)의 절개부위가 전방절개홈(10a)보다 더 많이 절개되어 있다.
사람이 등을 구부릴 때보다 뒤로 젖힐 때 척추가 움직이는 정도, 즉 휘는 정도가 더 크다. 이것은 척추경 나사못에 결합된 로드(1)가 앞(배쪽)으로 휘어지는 정도보다 뒤(등쪽)로 휘어지는 정도가 더 크다는 의미이다. 그런데 로드(1)에 전방절개홈(10a) 및 후방절개홈(10b)이 없다면 추간관절(Facet Joint)의 움직임에 따라 로드(1)가 자연스럽게 휘어지지 못하게 되어 척추 관절에 무리가 가게 된다.
결국, 로드(1)가 앞쪽보다 뒤로 휘어지는 정도가 크므로 후방절개홈(10b)을 전방절개홈(10a) 보다 더 크게 절개함으로써 추간관절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휘어질 수 있다. 로드가 앞쪽으로 휘어지는 경우는 전방절개홈(10a)의 간격이 좁아지고 후방절개홈(10b)는 벌어질 것이며, 로드가 뒤쪽으로 휘어지는 경우는 후방절개홈(10b)의 간격이 좁아지고 전방절개홈(10a)의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다이나믹 로드(1)는 배쪽이 볼록하게 나와있고 등쪽이 오목하게 들어간 활모양의 형상이 되게 함으로써, 이러한 추간관절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로드(1)가 뒤(등쪽)로 쉽게 휘어질 수 있다. 로드(1)가 앞(배쪽)으로 휘어지는 정도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다이나믹 로드(1)가 앞 또는 뒤로 휘어질 때 전방절개홈(10a) 및 후방절개홈(10b)의 간격이 좁아져 맞닿게 됨으로써 더 이상의 휘어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위에서 본 일 실시 예의 경우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이나믹 로드(2)는 로드(2) 몸통부 중앙의 일측에서 로드(2)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30), 로드(2) 몸통부 타측에서 로드(2) 몸통부를 지나 돌출부(30)측으로 절개되어 척추 관절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절개홈(20a)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벌어지는 하나 이상의 전방절개홈(20a) 및 전방절개홈(20a)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돌출부(30)에서 로드(2) 몸통부 타측으로 전방절개홈(20a)과 반대방향으로 절개되어 척추 관절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전방절개홈(20a)과 반대로 절개홈(20b)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하나 이상의 후방절개홈(20b)이 형성된다.
전방절개홈(20a) 및 후방절개홈(20b)은 로드(2) 길이방향 중심축에 수직인 면에 대해 일정 각도 대각선 방향으로 절개된다. 대각선 방향으로 절개한 것은 이웃하는 척추의 상관절돌기와 하관절돌기가 접하는 면 부위의 각도와 동일하게 하여 추간관절의 움직임과 최대한 유사한 움직임을 주기 위해서이다.
또한, 전방절개홈(20a)과 후방절개홈(20b)은 로드(2) 중앙 일정 영역에서 일정 간격으로 교차되어 형성된다. 절개홈(20a, 20b)을 교차 형성함으로써 로드(2)가 앞 또는 뒤로 휘어질 때 힘이 로드(2)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로드(2)는 활모양으로 굽은 형상이며 전방절개홈(20a)은 볼록한 부분에 형성되고 후방절개홈(20b)은 오목한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30)에 형성되고, 후방절개홈(20b)의 두께는 전방절개홈(20a)의 두께보다 일정 비율 더 두껍게 형성된다. 전방절개홈(20a) 대비 후방절개홈(20b)이 더 크게 절개될수록 활모양의 로드(2)가 오목한 부분으로 더 많이 휘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a)타입의 로드(2)보다 (b)타입의 로드(2)가 후방절개홈(20b)이 더 크게 형성되고 전방절개홈(20a)의 개수도 하나 더 많은 세개가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사람마다 척추뼈 및 척추경의 크기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인접한 척추뼈(101, 102) 사이에 추간판(103)이 위치하며 척추경에 삽입된 나사못의 헤드(5a, 5b)에 위에서 본 (b)타입에 해당하는 다이나믹 로드(2)가 고정된 것을 볼 수 있다.
각 부분의 구체적인 기능은 위에서 본 일 실시 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만, 로드(2) 몸통부 중앙의 일측에서 로드(2)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30)가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후방절개홈(20b)는 돌출부(30)에 형성된다. 로드(2)의 몸통부 중앙에서 오목한 부분(등쪽 방향)에 일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30)를 구비함으로써 로드(2)가 추간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앞(배쪽) 또는 뒤(등쪽)로 휘어질 때 로드(2)가 기구적으로 더 튼튼하여 안정성이 있다.
또한, 다이나믹 로드(2)가 앞 또는 뒤로 휘어질 때 전방절개홈(20a) 및 후방절개홈(20b)의 간격이 좁아져 맞닿게 됨으로써 더 이상의 휘어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절개홈(20a, 20b) 부위의 접촉 면적이 넓어서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더 잘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출부(30)가 오목한 부분인 뒤쪽(등쪽)으로 형성되어 있어 최소 침습 시술로 나사못 헤드(5a, 5b)의 측면을 통하여 삽입하는 경우에도 돌출부(30)가 나사못 헤드(5a, 5b)에 걸리지 않아 효과적인 최소 침습 시술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추간관절(Facet Joint)이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 척추 관절의 움직임에 무리가 가지 않고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소 침습 수술 시 삽입 기구를 이용하여 척추경 나사못 헤드의 측면을 통과할 때 나사못 헤드에 걸리지 않으면서 시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되는 것임은 자명하다.
1, 2: 다이나믹 로드 5a, 5b: 나사못 헤드
10a, 20a: 전방절개홈 10b, 20b: 후방절개홈
30: 돌출부 101, 102: 척추뼈
103: 추간판

Claims (8)

  1. 최소침습 수술시 삽입기구를 이용하여 척추경 나사못 헤드의 측면을 통과할 때 나사못 헤드에 걸리지 않으면서 시술이 가능한 다이나믹 로드로서,
    로드 몸통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절개되어 척추 관절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절개홈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벌어지는 하나 이상의 전방절개홈 및
    상기 전방절개홈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로드 몸통부 타측에서 일측으로 상기 전방절개홈과 반대방향으로 절개되어 척추 관절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전방절개홈과 반대로 절개홈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하나 이상의 후방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절개홈 및 후방절개홈은 로드 길이방향 중심축에 수직인 면에 대해 일정 각도 대각선 방향으로 절개되어, 이웃하는 척추의 상관절돌기와 하관절돌기가 접하는 면 부위의 각도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추간관절(Facet Joint)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움직임을 주며,
    상기 로드는 활모양으로 굽은 형상이며 상기 전방절개홈은 인체의 배쪽을 향하는 볼록한 부분에 형성되고 후방절개홈은 등쪽을 향하는 오목한 부분에 형성되며, 후방절개홈의 두께는 전방절개홈의 두께보다 일정 비율 더 두껍게 형성되어, 로드가 인체의 배쪽인 전방보다 등쪽인 후방으로 더 큰 각도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로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절개홈과 후방절개홈은 로드 중앙 일정 영역에서 일정 간격으로 교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로드.
  5. 최소침습 수술시 삽입기구를 이용하여 척추경 나사못 헤드의 측면을 통과할 때 나사못 헤드에 걸리지 않으면서 시술이 가능한 다이나믹 로드로서,
    로드 몸통부 중앙의 일측에서 로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
    로드 몸통부 타측에서 로드 몸통부를 지나 상기 돌출부측으로 절개되어 척추 관절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절개홈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벌어지는 하나 이상의 전방절개홈 및
    상기 전방절개홈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서 로드 몸통부 타측으로 상기 전방절개홈과 반대방향으로 절개되어 척추 관절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전방절개홈과 반대로 절개홈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하나 이상의 후방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절개홈 및 후방절개홈은 로드 길이방향 중심축에 수직인 면에 대해 일정 각도 대각선 방향으로 절개되어, 이웃하는 척추의 상관절돌기와 하관절돌기가 접하는 면 부위의 각도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추간관절(Facet Joint)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움직임을 주며,
    상기 로드는 활모양으로 굽은 형상이며 상기 전방절개홈은 인체의 배쪽을 향하는 볼록한 부분에 형성되고 후방절개홈은 등쪽을 향하는 오목한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에 형성되며, 후방절개홈의 두께는 전방절개홈의 두께보다 일정 비율 더 두껍게 형성되어, 로드가 인체의 배쪽인 전방보다 등쪽인 후방으로 더 큰 각도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로드.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절개홈과 후방절개홈은 로드 중앙 일정 영역에서 일정 간격으로 교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로드.
KR1020140103760A 2014-08-11 2014-08-11 다이나믹 로드 KR101616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760A KR101616124B1 (ko) 2014-08-11 2014-08-11 다이나믹 로드
PCT/KR2015/007847 WO2016024739A1 (ko) 2014-08-11 2015-07-28 다이나믹 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760A KR101616124B1 (ko) 2014-08-11 2014-08-11 다이나믹 로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256A KR20160019256A (ko) 2016-02-19
KR101616124B1 true KR101616124B1 (ko) 2016-04-28

Family

ID=55304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760A KR101616124B1 (ko) 2014-08-11 2014-08-11 다이나믹 로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6124B1 (ko)
WO (1) WO201602473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2024A (ja) * 2004-11-17 2006-06-08 Biedermann Motech Gmbh 骨または椎骨のための安定化装置において用いられる可撓性要素および安定化装置
KR100797755B1 (ko) * 2006-11-28 2008-01-23 (주)메디쎄이 척추경 나사못 연결로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006Y1 (ko) * 2003-09-29 2004-01-07 김은숙 척추경나사못 연결용 탄성로드
KR100604992B1 (ko) * 2004-10-01 2006-07-28 유앤아이 주식회사 척추 고정 장치의 로드
US20070088359A1 (en) * 2005-02-07 2007-04-19 Woods Richard W Universal dynamic spine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JP5435943B2 (ja) * 2005-06-22 2014-03-05 スティーブン リットランド 動的固定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2024A (ja) * 2004-11-17 2006-06-08 Biedermann Motech Gmbh 骨または椎骨のための安定化装置において用いられる可撓性要素および安定化装置
KR100797755B1 (ko) * 2006-11-28 2008-01-23 (주)메디쎄이 척추경 나사못 연결로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4739A1 (ko) 2016-02-18
KR20160019256A (ko) 2016-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68022A1 (en) Device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Spondylotic Disease
JP5441997B2 (ja) 拡張可能な椎骨間インプラント
JP6685519B2 (ja) 椎間ケ−ジ
CN101094627B (zh) 全椎间盘置换的方法和装置
US9474624B1 (en) Intervertebral fusion cage
US20210267583A1 (en) Orthopedic Surgical System Including Surgical Access Systems, Distraction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JP2007507265A (ja) 椎間移植片
KR101651591B1 (ko) 후궁성형술용 스페이서
JP2008509735A (ja) 置換用小関節面結合部及びその方法
JP2010521244A (ja) 3点接触の椎骨間インプラント要素
US8246656B2 (en) Crossover spinous process implant
JP2010518886A (ja) 脊柱安定化装置の要素
KR101563615B1 (ko) 후궁성형술용 스페이서
KR101616124B1 (ko) 다이나믹 로드
KR101502061B1 (ko) 팽창형 융합 케이지
KR101674491B1 (ko) 최소 침습 수술용 케이지 장치
KR20200013889A (ko) 확장형 추간체 유합 보형재
US20140180291A1 (en) Surgical rasp
KR101665243B1 (ko) 척추수술용 브라켓
KR20210020748A (ko) 척추용 케이지
TWI721609B (zh) 脊椎植入裝置、包含其的脊椎植入組件及其製造方法
KR102362366B1 (ko) 환자 맞춤형 후궁성형술용 후궁 절단부 벌림 유지장치
KR20230172142A (ko) 3d 프린팅을 이용한 환자맞춤형 로드 및 이를 포함한 척추경 고정장치
JP2010115477A (ja) 椎間関節の安定手段
KR102190433B1 (ko) 휜다리 교정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