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243B1 - 척추수술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척추수술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243B1
KR101665243B1 KR1020150046929A KR20150046929A KR101665243B1 KR 101665243 B1 KR101665243 B1 KR 101665243B1 KR 1020150046929 A KR1020150046929 A KR 1020150046929A KR 20150046929 A KR20150046929 A KR 20150046929A KR 101665243 B1 KR101665243 B1 KR 101665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late
ridge
present
sp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칠
천권수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46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1Implants for expanding or repairing the vertebral arch or wedged between laminae or pedicle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59Cortical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시간을 단축시키고 재협착을 방지할 수 있는 척추수술용 브라켓을 위하여,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제2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플랜지 및 상기 제2플랜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릿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릿지를 연결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랜지와 상기 릿지를 연결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는 그 사이에 보호 공간을 형성하는 척추 수술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척추수술용 브라켓{Bracket for Spine Surgery}
본 발명은 척추수술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매년 많은 수의 사람들이 경추(cervical), 요추(lumbar), 흉관(thoracic)과 같은 척추 부위의 심한 손상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 특히, 상당한 수의 사람들에게 고통을 주는 퇴행성 척추 질환 중에서도, 퇴행성 척추 협착증(degenerative spine stenosis)이 대표적인 척추 질환이다.
경추, 퇴행성 척추 협착증, 척추체 후궁 성형술 및 종래의 척추궁 성형 플레이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경추는 극돌기(spinous process), 횡돌기(transverse process), 외측괴(latteral mass), 추공(foramen), 추체(body), 횡돌공, 극돌기와 횡돌기 사이를 연결하는 추궁판(lamina)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퇴행성 척추 협착증이란, 척수(spinal cord)와 신경근(nerve roots)을 포함하고 이들을 보호하는 척추관(spinal canal) 및 척추관이 위치하는 추공(foramen)을 추체(body) 및 추궁판(lamina)이 가압하여 환자에게 고통을 발생시키는 척추 질환이다. 즉, 퇴행성 척추 협착증은 추공이 좁아져 척추관이 압박되어 환자가 고통을 느끼게 되는 척추 질환이다.
이러한 퇴행성 척추 협착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추체 및 추궁판에 의해 척추관 및 척추관이 위치하는 추공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압해야 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치료법 중 대표적인 외과적인 치료법이, 추궁판 성형술, 척추 후궁 확장 수술(open door laminoplasty) 또는 척추궁 성형술이라고도 불리는 척추체 후궁 성형술(laminoplasty)이다.
척추체 후궁 성형술은 추공을 감싸고 추공의 경계를 한정하는 골질의 척추골 구조들(추체, 추궁판 등)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교환하여, 추공의 공간을 넓혀 추공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거하는 외과 수술이다. 이때, 공간 확보를 위해 수술 시에 추체 또는 추궁판의 일부를 절개하여 벌어진 공간을 골 이식편(bone graft)을 사용하여 메우고, 척추궁 성형 플레이트(laminoplasty plate)로 골 이식편을 고정한다.
그러나 광범위한 후궁 및 후관절 절제술 후에는 척추 불안정증이 올 수 있으며, 백조목 변형(swan neck deformity)의 위험이 높으며, 후궁절제술 이후에는 반흔에 의한 재협착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오랜 수술시간, 오랜 기술과정 습득 시간, 후궁성형술 시행 시 경첩부위 골절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술시간을 단축시키고 재협착을 방지할 수 있는 척추수술용 브라켓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에서 이격된 제2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플랜지 및 상기 제2플랜지의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릿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릿지를 연결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랜지와 상기 릿지를 연결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는 그 사이에 보호 공간을 형성하는 척추 수술용 브라켓이 제공된다.
상기 릿지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서 상기 보호 공간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랜지 및 상기 제2플랜지는 각각 결합공 및 상기 결합공보다 작은 융합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릿지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된 봉합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보호 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시간을 단축시키고 재협착을 방지할 수 있는 척추수술용 브라켓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브라켓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브라켓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브라켓은 제1플랜지(110), 제2플랜지(120), 릿지(200), 제1플레이트(310), 제2플레이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랜지(110) 및 제2플랜지(120)는 상호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플랜지(110) 및 제2플랜지(120)는 제1플랜지(110) 및 제2플랜지(120)의 길이방향(x방향)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제1플랜지(110) 및 제2플랜지(120)는 각각 뼈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플랜지(110) 및 제2플랜지(120)는 네모난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제1플랜지(110) 및 제2플랜지(120)의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뼈는 경추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플랜지(110) 및 제2플랜지(120)는 뼈에 결합되기 전에 상호 대략 평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플랜지(110) 및 제2플랜지(120)는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플랜지(110) 및 제2플랜지(120)는 상호 교차한 상태 또는 기울어진 상태일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플랜지(110) 및 제2플랜지(120)는 뼈, 보다 상세히 경추에 나사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플랜지(110) 및 제2플랜지(120)는 각각 결합공(111, 1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공(111)은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제1플랜지(110)의 전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결합공(121)은 다수개로서, 제2플랜지(120)의 전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결합공(111, 121)은 단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척추 수술용 브라켓은 경추의 크기, 결합 위치, 결합 강도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나사의 개수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플랜지(110) 및 제2플랜지(120)는 결합공(111, 121)보다 작은 융합공(112, 122)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융합공(112, 122)은 본 파우더, 뼈 융합 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융합공(112, 122)은 각각 제1플랜지(110) 및 제2플랜지(120)의 전체 면적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며, 결합공(111, 121)과 겹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공(111, 121)은 3ㅧ3으로 배치되고, 융합공(112, 122)은 결합공(111, 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융합공(112, 122)은 결합공(111, 121)보다 매우 작을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릿지(200)는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릿지(200)는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20)의 중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릿지(200)는 제1플랜지(110) 및 제2플랜지(120)의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릿지(200)는 폭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폭방향은 대략 y축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즉, 릿지(200)는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릿지(200)는 근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릿지(200)는 그 연장 방향(y 방향)을 따라 형성된 봉합공(201)을 포함할 수 있다. 봉합공(201)은 복수로 이루어지며, y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봉합사는 봉합공(201)와 근육을 꿰어, 척추 수술용 브라켓을 근육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릿지(200)는 본 실시예에서 후술할 보호 공간(33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릿지(200)는 z방향의 폭보다 y방향의 길이가 긴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릿지(200)는 제1플랜지(110) 및/또는 제2플랜지(120)에 대략 수직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에 따르면 릿지(200)는 대략 +z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릿지(200)는 제1플랜지(110) 및/또는 제2플랜지(120)에 기울어진 상태일 수 있으며, 특히 임플란트된 후에는 제1플랜지(110) 및/또는 제2플랜지(120)에 기울어진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릿지(200)는 후술할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에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결합되거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플레이트(310)는 제1플랜지(110)와 릿지(200)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플레이트(310)는 그 일단에 제1플랜지(110)와 결합되고, 그 타단에 릿지(2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310)는 얇은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제1플레이트(31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리브 또는 브라켓 형상일 수도 있다.
제2플레이트(320)는 제2플랜지(120)와 릿지(200)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2플레이트(320)는 그 일단에 제2플랜지(120)와 결합되고, 그 타단에 릿지(2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320)는 얇은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제2플레이트(32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리브 또는 브라켓 형상일 수도 있다.
제1플레이트(310)와 제2플레이트(320)는 그 사이에 보호 공간(33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릿지(200)는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20)에서 대략 제1플랜지(110)의 면에 수직한 방향(+z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플랜지(110) 및 제2플랜지(120)가 상호 이격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릿지(200)에 연결하는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는 그 사이에 보호 공간(33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는 그 사이에 보호 공간(330)을 형성하면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부러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보호 공간(330)의 외측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는 각각 보호 공간(330)의 외측을 향개 구부러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는 각각 외측을 향해 그 중간이 절곡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플레이트(310)가 구부러지고 제2플레이트(320)는 평평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는 아치형상을 이룰 수 있다. 즉,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는 만곡되어 원호를 이룰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310)만 만곡되고, 제2플레이트(320)는 평평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는 릿지(200)에 인접한 부분은 만곡되어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플랜지(110) 및 제2플랜지(120)에 인접한 부분은 평평할 수 있다. 물론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 중 어느 하나는 평평하고, 다른 하나는 만곡될 수도 있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는 평평하여 삼각형의 두 변을 이룰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는 어느 하나는 구부러지고, 다른 하나는 평평할 수 있다. 또는 제1플레이트(310) 제2플레이트(320)는 모두 구부러지거나, 모두 평평할 수도 있다.
한편, 척추 수술용 브라켓은 뼈에 결합되기 위하여, 제1플랜지(110) 및 제2플랜지(120)는 다양한 각도로 꺾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20)는 약간 경사진 상태로 뼈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플랜지(110)와 제1플레이트(310)는 힌지 결합할 수 있다. 물론 제2플랜지(120)와 제2플레이트(320)도 힌지 결합할 수 있다. 또는 제1플랜지(110)와 제1플레이트(310)의 연결부위(311)가 용이하게 꺾일 수 있다. 물론 제2플랜지(120)와 제2플레이트(320)의 연결부위(321)도 용이하게 꺾일 수 있다. 따라서 제1플레이트(310) 및/또는 제2플레이트(320)는 구부러지기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플랜지(110)와 제1플레이트(310)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제2플랜지(120)와 제2플레이트(320)도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플랜지(110) 및 제2플랜지(120)도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와 마찬가지로 구부러지기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릿지(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에서 돌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봉합공(201)은 평행한 두 개의 y방향 라인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플레이트(310)는 릿지(200)에서 제1플랜지(110)로 갈수록 얇아질 수 있다. 물론 제2플레이트(320)도 릿지(200)에서 제2플랜지(120)로 갈수록 얇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플레이트(310) 및 제2플레이트(320)는 외부 압력으로부터 보호 공간(330)을 충분히 유지하면서 뼈에 원활하게 결합하도록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20)의 연결 부분이 유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제1플랜지 120: 제2플랜지
200: 릿지 310: 제1플레이트
320: 제3플레이트 330: 보호 공간

Claims (6)

  1. 제1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에서 이격된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플랜지 및 상기 제2플랜지의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릿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릿지를 연결하는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랜지와 상기 릿지를 연결하는 제2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연결부위(311)는 꺾일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플랜지 및 상기 제2플랜지에는 각각 경추에 고정되는 나사가 관통하는 결합공과 뼈 융합을 위한 융합공이 상기 결합공과 겹치지 않게 상기 제1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는 그 사이에 보호 공간을 형성하는
    척추 수술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서 상기 보호 공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척추 수술용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꺾일 수 있게 연결하는 힌지를 더 포함하는 척추 수술용 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된 봉합공을 포함하는, 척추 수술용 브라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부러진, 척추 수술용 브라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보호 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척추 수술용 브라켓.
KR1020150046929A 2015-04-02 2015-04-02 척추수술용 브라켓 KR101665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29A KR101665243B1 (ko) 2015-04-02 2015-04-02 척추수술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29A KR101665243B1 (ko) 2015-04-02 2015-04-02 척추수술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243B1 true KR101665243B1 (ko) 2016-10-25

Family

ID=5744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929A KR101665243B1 (ko) 2015-04-02 2015-04-02 척추수술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2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9375A (zh) * 2017-10-26 2018-02-09 北京爱康宜诚医疗器材有限公司 脊柱后路装置
WO2018084598A1 (ko) * 2016-11-04 2018-05-11 서울대학교병원 척추 수술용 보호 플레이트의 제작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811B1 (ko) * 2010-08-18 2010-12-02 박윤관 척추의 후궁 성형 및 고정용 플레이트
US20110270397A1 (en) * 2009-01-06 2011-11-03 Jean-Marc Mac-Thiong Spinal cover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0397A1 (en) * 2009-01-06 2011-11-03 Jean-Marc Mac-Thiong Spinal covering device
KR100997811B1 (ko) * 2010-08-18 2010-12-02 박윤관 척추의 후궁 성형 및 고정용 플레이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598A1 (ko) * 2016-11-04 2018-05-11 서울대학교병원 척추 수술용 보호 플레이트의 제작방법
KR20180050458A (ko) * 2016-11-04 2018-05-15 서울대학교병원 척추 수술용 보호 플레이트의 제작방법
KR101882097B1 (ko) 2016-11-04 2018-07-2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 수술용 보호 플레이트의 제작방법
CN107669375A (zh) * 2017-10-26 2018-02-09 北京爱康宜诚医疗器材有限公司 脊柱后路装置
CN107669375B (zh) * 2017-10-26 2023-09-12 北京爱康宜诚医疗器材有限公司 脊柱后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22362B1 (en) Bone plates with dynamic elements
US1041333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inimally invasive posterior arch expansion
JP6089034B2 (ja) 椎弓形成プレート、システム及びデバイス並びにこれらに関連する方法
EP2077783B1 (en) Central rod connector and t-rod
JP6546729B2 (ja) 腰椎−仙骨スクリューの挿入および操作
JP2011517595A (ja) 棘状突起の安定化装置および方法
EP3222230A1 (en) Spacer for laminoplasty
US11457960B2 (en) Lateral spine stabilization devices and methods
TWI649064B (zh) 用於穩定骨節段手術之裝置及其延長組件
EP3157450B1 (en) Medial column fusion plates
EP2061388A2 (en) A bone plate for fixation to a patient's vertebrae
JP2020127838A (ja) 棘突起を治療する装置
KR101665243B1 (ko) 척추수술용 브라켓
WO2008029142A2 (en) A bone plate for fixation to a patient's vertebrae
KR101563615B1 (ko) 후궁성형술용 스페이서
US20120245638A1 (en) Sacral brace
JP2010115477A (ja) 椎間関節の安定手段
KR20240020446A (ko) 미세 침습용 인공뼈 및 이를 이용한 삽입방법
KR200297069Y1 (ko) 척추경 나사못
TW201912118A (zh) 用於穩定骨節段手術之裝置及其延長組件
ITVI20110084U1 (it) Dispositivo spaziatore interspinoso a flessibilita' controllata per interventi in chirurgia aperta
TWM444157U (zh) 一種椎體小關節面介面穩定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