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919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919B1
KR101615919B1 KR1020150063917A KR20150063917A KR101615919B1 KR 101615919 B1 KR101615919 B1 KR 101615919B1 KR 1020150063917 A KR1020150063917 A KR 1020150063917A KR 20150063917 A KR20150063917 A KR 20150063917A KR 101615919 B1 KR101615919 B1 KR 101615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feeder
driving
reverse
thre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욱
최동원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3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919B1/ko
Priority to CN201610270950.5A priority patent/CN10610554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7/00Threshing apparatus
    • A01F7/02Threshing apparatus with rotating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콤바인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은, 예취부와 탈곡장치 및 이들 사이를 탈곡 처리물이 이송 가능하게 연결하는 피더를 포함하며, 상기 피더가 풍구 구동축의 출력단 측에 연동 연결된 탈곡통 구동부에서 취출된 정방향 동력으로 정방향 구동되고, 풍구 구동축의 입력단 측에서부터 취출되고 역방향 전동기구를 통해 전달되는 역방향 동력으로 역방향 구동됨으로써, 피더에 한꺼번에 많은 양의 탈곡 처리물이 유입되어 피더 케이스가 막힌 경우 피더를 역으로 구동시켜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예취부를 통해 예취된 작물의 줄기와 이삭을 동시에 탈곡부에 투입하여 탈곡하는 형식의 보통형 콤바인(전간 투입형 콤바인; Whole culm discharging type combine)에 관한 것이다.
주행하면서 작물을 베어내고 베어낸 작물에서 곡물과 검불을 선별 분리하여 선별된 곡물을 임시 저장하는 일련의 과정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농작업 차량을 콤바인(Combine)이라 한다. 콤바인은 통상, 예취부, 탈곡부, 짚 배출부 및 곡물탱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구조 및 기능적인 측면에서 자탈형 콤바인과 보통형 콤바인으로 구분된다.
자탈형 콤바인은 예취된 작물을 탈곡통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이송시키면서 탈곡부에 이삭만을 투입하여 탈곡하는 형식의 콤바인이며, 본 발명과 관련한 보통형 콤바인은 서양에서 주로 사용되는 대형 콤바인의 일종으로 예취부를 통해 예취된 작물의 줄기와 이삭을 동시에 탈곡부에 투입하여 탈곡하는 형식의 콤바인이다.
보통형 콤바인은 일본특허공개 제2010-239980호(특허문헌 1)와 일본특허공개 제2014-193115호(특허문헌 2)를 비롯해 다수의 공지 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직립된 작물을 베어내는 예취부와 예취 작물에 대한 실질적인 탈곡이 이루어지는 탈곡장치, 그리고 예취부를 통해 예취된 곡물을 상기 탈곡장치로 이송하는 피더(Feeder)를 포함한다.
피더는 상기 예취부와 탈곡장치에 걸쳐 설치되며 작물을 이송하는 이송체인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체인은 주행 기체 전방의 상기 예취부와 주행기체의 상기 탈곡장치를 연통 연결하는 피더 케이스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피더는 엔진이 출력하고 상기 탈곡장치를 구동하는 동력으로부터 취출된 동력으로 구동되며, 예취부가 상기 피더와 연동된다.
한꺼번에 많은 양의 작물이 피더를 통해 탈곡장치로 이송될 경우 피더 케이스가 막힐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더를 역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피더 막힘 등이 발생했을 때 운전자 조작을 통해 상기 피더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막힘 등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한 피더 역회전 기술이 특허문헌 1을 비롯해 다수의 공지 문헌을 통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피더 역회전 기술은,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특허문헌 1에는 '예취 입력축'으로 기재됨)을 구비하며,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로 분할된 전동축을 입력축의 일측과 타측에서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하고, 분할된 전동축과 상기 입력축 사이에 정방향 클러치와 역방향 클러치를 배치시킨 구성을 통해 구현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피더 역회전 기술은, 정회전 클러치가 동력접속 측에 작동되면, 동력이 상기 정회전 클러치를 통해 입력축 일측에 전달됨으로써 입력축이 정회전되고 예취된 작물이 피더를 통해 탈곡장치로 이송되며, 역회전 클러치 작동으로 동력이 역회전 클러치를 통해 입력축 타측에 전달되면, 피더가 역회전됨으로써 피더의 짚 막힘 등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등을 통해 개시된 종래 피더 역회전 기술은, 피더 정ㅇ역 구동을 위해 하나의 전동케이스(특허문헌 1의 도면부호 36) 내에 2개로 분할된 전동축(케이스 입력축과 예취 출력축)이 베벨기어기구를 통해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한 복잡한 구조의 전동장치의 적용으로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10-239980호(공개일 2010. 10. 28) 일본특허공개 제2014-193115호(공개일 2014. 10. 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통형 콤바인의 피더 정ㅇ역방향 구동을 위한 구조의 단순화와 제작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예취부;
엔진과 엔진 동력으로 구동되는 탈곡장치를 탑재한 주행기체;
상기 예취부를 통해 예취된 탈곡 처리물을 상기 탈곡장치에 공급하는 피더(Feeder);
상기 엔진이 출력한 동력이 상기 탈곡장치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풍구 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피더는 풍구 구동축의 출력단 측에 연동 연결된 탈곡통 구동부에서 취출된 정방향 동력으로 정방향 구동되고, 풍구 구동축의 입력단 측에서부터 취출되고 역방향 전동기구를 통해 전달되는 역방향 동력으로 역방향 구동되며,
상기 탈곡통 구동부에서 취출된 정방향 동력으로 피더가 정방향 구동되거나 풍구 구동축의 입력단 측에서 취출되고 상기 역방향 전동기구를 통해 입력되는 역방향 동력으로 피더가 역방향 구동되는 것을 택일적으로 단속하는 정방향 클러치와 역방향 클러치를 구비하는 콤바인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피더는 기체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예취 입력축을 구비하며, 상기 예취 입력축의 일측에 상기 탈곡통 구동부에서 취출된 정방향 동력이 입력되고, 타측에 상기 풍구 구동축 입력단 측에서 취출되고 역방향 전동기구를 통해 전달되는 역방향 동력이 입력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곡통 구동부는 상기 풍구 구동축의 출력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탈곡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탈곡 구동축에 상기 예취 입력축의 일측이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탈곡 구동축과 예취 입력축 사이에 두 축 사이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정방향 클러치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역방향 전동기구의 역방향 구동축에 상기 예취 입력축의 타측이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역방향 구동축과 예취 입력축 사이에 두 축 사이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역방향 클러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역방향 전동기구는 전동 벨트 또는 전동 체인과 전동 기어를 조합시킨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운전자 선택 조작에 따라 피더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는 구성을 구현함에 있어, 종래기술과 같이 복잡한 구조의 정ㅇ역회전 절환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변속부에서 동력을 취출하여 피더의 역방향 구동을 구현하는 구성을 이룸으로써, 피더 정ㅇ역방향 구동을 위한 구조의 단순화와 제작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에 적용된 피더의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동력 전달 계통도.
도 5는 피더의 택일적인 정ㅇ역구동을 단속하는 클러치 조작부의 개략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예취된 작물의 줄기와 이삭을 동시에 탈곡부에 투입하여 탈곡하는 형식의 보통형 콤바인(전간 투입형 콤바인)이며,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장치(1)를 구비한 주행기체(2)와, 주행기체(2)에 좌우로 병렬 배치된 구성을 이루도록 탑재되는 축류형 탈곡장치(3)과 곡물 저장용 곡물 탱크(4)를 포함한다.
곡물 탱크(4)의 전방에는 기체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기구가 구비된 운전석(5)이 배치된다. 탈곡장치(3)의 전측에 기체의 횡축심(P1)을 중심으로 상하 요동 자유롭게 예취 곡간 이송용 피더(Feeder, 6)가 연결되며, 상기 피더(6)의 전단에는 대략 주행기체(2) 가로 폭에 상당하는 예폭을 가지는 예취부(7)가 연결된다.
예취부(7)의 전단 상방에는 직립한 작물을 긁어 모아 예취 장치를 통해 예취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회전하는 회전 릴(8)이 장치된다. 예취부(7)는 상기 피더(6)의 탈곡장치(3)에 대한 상하 요동 조작에 의해 지면 부근에 인접하도록 하강한 하강 작업상태에서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승된 상승 비작업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다.
곡물 탱크(4)에 저장된 곡물의 외부 배출을 위해 곡물 배출 장치(9)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예취부(7)에 의해 예취되고 피더(6)를 통해 탈곡장치(3)로 이송되어 탈곡 처리를 마친 곡물은 내부의 다른 이송장치를 통해 상기 곡물 탱크(4)로 이송된 뒤 임시 저장되고, 작업자의 상기 곡물 배출 장치(9) 조작에 따라 외부에 배출된다.
운전석(5)의 시트(10) 하방에 엔진(20)이 탑재되며, 기체 앞부분 하방에 미션 케이스(12)가 배치된다. 미션 케이스(12)의 일측부에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HST)로 구성되는 주변속 장치(22, 도 4 참조)가 구비되고, 주변속 장치(22)에서 변속된 엔진 동력이 미션 케이스(12) 내 부변속 장치(23, 도 4 참조)를 거쳐 좌우의 크롤러 주행장치(1)에 전달되도록 주행 전동계가 구성된다.
주변속 장치(22)는 운전석(5)의 사이드 패널(14)에 구비된 주변속 레버(15)의 수동 조작에 의해 변속이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엔진 출력축(20a)과 연결되는 가변 용량 유압펌프와 주행동력을 출력하는 정용량 유압모터로 구성되며, 주변속 레버(15)를 통해 가변 용량 유압펌프의 경사판 각도를 조절하여 정용량형 유압모터의 회전속도(주행속도)와 회전방향(전진/후진 전환)을 바꿀 수 있다.
예취부(7)는 각형 파이프나 단면이 L자형인 앵글 등을 연결해 구성되는 예취부 프레임(77)에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판(78)과 바닥면을 형성하는 이송 데크(79), 좌우측면을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측판(70,71)을 각각 연결하여 구성한 구조체로 구성되며, 이송 데크(79)의 전단을 따라 좌우의 측판(70,71) 사이에 헤어 클립퍼 타입(hair clipper type)의 예취 장치(72)가 배치된다.
베어 낸 작물을 상기 피더(6) 전단부 측으로 이송하는 회전형 이송 오거(73)가 상기 좌우 측판(70,71)에 걸쳐 설치된다. 이송 오거(73)는 대경의 오거 드럼(74)의 외주에 이 오거 드럼(74)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더(6)의 전단부를 향해서 예취된 작물이 모이도록 좌우 이송시키는 좌우 한 쌍의 스크류 날개(75)가 구비된다.
이송 오거(73) 중 피더(6)의 전단 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의 오거 드럼(74)의 외면에는 상기 이송 오거(73)의 회전에 따라 오거 드럼(74)로부터 출몰되는 막대형의 이송핀(76)이 둘레방향에 걸쳐 복수 구비된다. 이송핀(76)은 예취 후 상기 이송 오거(73)를 통해 피더(6)의 전단 입구까지 이송된 작물을 피더(6)의 입구(도시하지 않음)로 송입시키기 위해 기능한다.
피더(6)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에 적용된 피더의 측면 구성도이다.
앞서 첨부된 도 1, 2와 도 3을 참조하면, 피더(6)는 단면이 각형인 통형구조의 피더 케이스(67) 내부에 회전 순환형 구조의 피더 컨베이어를 장치시킨 구성을 이룬다.
피더 컨베이어는 구체적으로, 동력이 입력되는 예취 입력축(68)에 좌우 쌍을 이루도록 설치된 한 쌍의 구동 스프로켓(69)과, 예취 입력축(68) 반대편의 종동축(60)에 구비된 좌우 쌍을 이루는 한 쌍의 종동 바퀴(61)와, 구동 스프로켓(69)과 종동 바퀴(61)에 걸쳐 감겨진 한 쌍의 이송 체인(62) 및 일정 간격에 걸쳐 이송 체인(62)을 연결하는 가로 이송 부재(63)를 포함한다.
피더 케이스(67)의 바닥부(67B) 내면에는 안내부재(64)가 설치된다. 안내부재(64)는 피더(6) 정방향 구동 시 상기 이송 부재(63)와의 사이에 위치한 작물이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합성 수지재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이송 체인(62) 각각에 대응하여 작물 이동경로를 따라 길게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피더 컨베이어의 구동축인 예취 입력축(68)은 상기 탈곡장치(3)에 전달되는 엔진 동력 중 탈곡통 구동부(도 4 참조)로 전달되는 동력으로부터 취출된 정방향 동력으로 정방향 구동된다. 그리고 탈곡장치(3)에 입력되는 동력의 일부를 후술하게 될 역방향 전동기구(도 4참조)를 이용해 분기 취출한 역방향 동력으로 역방향 구동된다.
엔진(20)이 출력하고 탈곡장치에 전달되는 동력으로부터 취출된 정방향 동력이 예취 입력축(68)에 전달되어 한 쌍의 이송 체인(62)이 예취 입력축(68)과 같은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회전되며, 이로 인해 예취부(7)에서 공급된 작물이 피더 케이스(67) 내에서 상기 이송 부재(63)에 의해 상승 이동되어 상기 탈곡장치(3)에 공급될 수 있다.
엔진 동력이 피더에 정방향 동력으로 전달되거나 역방향 동력으로 전달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 도 4를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동력 전달 계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동력 전달 계통은 크게, 엔진(20)이 출력한 동력의 회전방향을 결정하고 기체 주행에 적합한 동력으로 변속시켜 기체 주행을 위한 동력으로 전달하는 주행 전동계와, 엔진(20) 동력을 상기 탈곡장치(3)와 피더(6), 그리고 예취부(7)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전달하는 작업 전동계로 구분될 수 있다.
주행 전동계는 변속부, 변속부와 엔진(20)을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하는 벨트전동기구(21)를 포함한다. 변속부는 벨트전동기구(21)를 통해 입력되는 엔진 동력의 회전방향과 무단 변속을 위한 상기 주변속 장치(22)와, 주변속 장치(22)에 의한 변속 동력을 전달받아 작업속도에 적합한 속도로 2차 변속 후 주행장치(1)에 전달하는 상기 부변속 장치(23)를 포함한다.
엔진(20)의 출력축(20a)에 주행 전동계를 구성하는 주변속 장치(22)의 입력축(22a)이 벨트전동기구(21)를 통해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엔진(20)이 출력한 동력 중 일부는 상기 벨트전동기구(21)을 통해 주변속 장치(22)에 전달되고, 주변속 장치(22)에서 회전방향과 1차 변속된 후 출력축(22b)을 통해 부변속 장치(23)에 입력된다.
주변속 장치(22)는 상기 부변속 장치(23)의 외형을 구성하는 미션 케이스(12, 도 1 참조) 측방에 일체형으로 조립된다. 주변속 장치(22)는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축(22a)을 펌프축으로서 구비한 가변 용량형 액시얼 플런저형의 유압펌프와, 유압펌프로부터의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액시얼 플런저형의 유압모터로 구성된 공지된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HST)일 수 있다.
부변속 장치(23)는 운전자의 변속레버 조작에 따라 다단의 2차 변속이 수행되는 수동 변속 구조로 이루어지며, 주변속 장치(22)를 통해 부변속 장치(23)에 입력된 회전방향과 1차 변속된 동력은 운전자의 변속레버 조작에 따라 선택된 변속단수에 맞는 2변속 후 주행기체(2) 주행을 위한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장치(1)에 전달된다.
작업 전동계는 엔진(20)의 출력축(20a)을 벨트전동기구(25)를 통해 탈곡장치(3) 측에 연결하고, 탈곡장치(3)에서 취출된 동력으로 상기 피더(6)가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피더(6) 측에 예취부(7)를 연동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탈곡장치(3)의 구동과 동시에 피더(6)와 예취부(7)가 함께 구동하여, 예취, 이송, 탈곡 등의 일련의 처리가 연속적으로 행해지도록 구성된다.
엔진(20)의 출력축(20a)이 벨트전동기구(25)를 통해 탈곡장치(3)의 풍구 구동축(winnowing fan drive shaft)(카운터축의 일례)(26)의 일측 단부(입력단에 해당됨)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풍구 구동축(26)의 타측 단부(출력단에 해당됨)는 다른 벨트전동기구(31)를 통해 탈곡장치(3)의 제1 스크류 컨베이어(32)와 제2 스크류 컨베이어(33)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풍구 구동축(26)의 타측 단부(출력단)는 또한, 또 다른 벨트전동기구(35)를 통해 탈곡통(3a)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탈곡통 구동부(34)에 연결된다. 탈곡통 구동부(34)는 전동 케이스(36)에 설치된 탈곡 구동축(37)을 포함하며, 상기 탈곡 구동축(37)에는 한 쌍의 베벨 기어와 같은 전동 기구를 통해 탈곡통(3a)을 회전시키는 탈곡 출력축(38)이 연결된다.
풍구 구동축(26)은 엔진(20) 동력이 탈곡장치(3)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입력되도록 전달하는 전동축으로서 기능한다. 풍구 구동축(26)의 출력단 측에 연동 연결된 상기 탈곡통 구동부(34)에서 취출된 정방향 동력으로 피더(6)가 정방향 구동되며, 풍구 구동축(26)의 입력단 측에서부터 취출되고 역방향 전동기구(25)를 통해 전달되는 역방향 동력으로 피더(6)가 역방향 구동될 수 있다.
즉 엔진(20) 동력이 상기 탈곡장치(3)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풍구 구동축(26)의 출력단 측에 연동 연결된 탈곡통 구동부(34)로부터 상기 예취 입력축(68)의 정방향 회전을 위한 정방향 동력이 취출되고, 풍구 구동축(26)의 입력단 측에 상기 역방향 전동기구(25)를 연동 연결하여 예취 입력축(68)의 역방향 회전을 위한 역방향 동력이 취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예취 입력축(68)과 탈곡 구동축(37) 사이에는 두 축 사이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정방향 클러치(forward clutch, 40)가 설치된다. 정방향 클러치(40)가 클러치 접속 측에 조작되는 것에 의해 예취 입력축(68)에 탈곡 구동축(37)의 동력이 전달되고 피더(6)가 정방향 구동되며, 정방향 클러치(40)가 해제 측에 조작되면 탈곡 구동축(37)에서 예취 입력축(68)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정방향 클러치(40)의 반대편 예취 입력축(68)의 타측 단부는 역방향 전동기구(25)를 통해 상기 풍구 구동축(26)의 입력단 측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되, 역방향 전동기구(25)의 출력축에 해당하는 역방향 구동축(25a)과 예취 입력축(68)의 사이에 역방향 클러치(reverse clutch, 41)가 구비됨으로써 예취 입력축(68)에 역방향 동력이 단속적으로 입력된다.
역방향 클러치(reverse clutch, 41)가 클러치 접속 측에 조작되는 것에 의해 예취 입력축(68)에 풍구 구동축(26)의 입력단 측에서 취출된 역방향 동력이 전달되고 피더(6)가 역방향 구동되며, 역방향 클러치(41)가 해제 측에 조작되면 예취 입력축(68)과 역방향 구동축(25a) 간 동력접속 상태가 해제되어 역방향 동력은 예취 입력축(68)에 전달되지 않는다.
예취 입력축(68)의 타측 단부는 또한, 전동체인(44)을 통해 예취장치(76)의 구동축(45)과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축(45)과 상기한 이송 오거(73)의 구동축(46)이 전동 체인(47)에 의해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송 오거(73)의 구동축(46)은 다시 회전 릴(8)의 구동축(48)에 전동 체인(49)과 전동 벨트(50)를 이용한 연동기구에 의해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취 입력축(68)에 정방향 구동력이 전달되면, 피더(6)의 피더 컨베이어, 이송 오거(73), 예취 장치(72)와 회전 릴(8)이 통상의 전처리 작업이나 이송작업을 행하도록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되고, 역방향 구동력이 전달되면, 예취부(7)의 피더 컨베이어와 오거(73), 예취 장치(72)와 회전 릴(8)이 통상의 작업용 회전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구동된다.
정방향 클러치(40)와 역방향 클러치(41)는 택일적으로 연결 측에 조작된다. 예를 들어, 운전자 레버 조작에 따라 정방향 클러치(40)가 클러치 연결 측에 조작되면 역방향 클러치(41)는 클러치 해제 측에 조작되고, 반대로 역방향 클러치(41)가 클러치 연결 측에 조작되면 상기 정방향 클러치(40)는 클러치 해제 측에 조작된다.
정방향 클러치(40)가 클러치 접속 측에 조작되는 것에 의해 예취 입력축(68)의 일측에 탈곡통 구동부(34)에서 취출된 동력이 입력되어 피더(6)가 정방향 구동되며, 역방향 클러치(41)가 접속 측에 조작되는 것에 의해 풍기 구동축(26)의 입력단 측에서 취출되고 역방향 전동기구(25)를 통해 전해지는 역방향 동력이 예취 입력축(68)의 타측으로 입력되어 피더(6)가 역방향 구동된다.
도 5는 피더의 택일적인 정ㅇ역구동을 단속하는 클러치 조작부를 개략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와 같이, 정방향 클러치(40)와 역방향 클러치(41)는 전동 벨트(V1)(V2)로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탈곡 구동축(37)과 예취 입력축(68) 및 역방향 구동축(25a)과 예취 입력축(68) 사이의 전동 벨트 중간에 위치 가변 가능하게 텐션 휠(40a)(41a)을 배치하고, 텐션 휠(40a)(41a)을 통해 전동 벨트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클러치 연결 또는 해제가 구현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클러치 레버를 조작하여 텐션 휠(40a 또는 41a)을 연결 위치(engage)에 조작하면, 텐션 휠이 전동 벨트(V1 또는 V2)를 가압하여 전동 벨트가 긴장됨으로써 클러치 연결 상태가 되며, 텐션 휠(40a 또는 41a)을 해제 위치(disengage)에 조작하면, 텐션 휠에 의한 전동 벨트(V1 또는 V2)의 가압이 해제되고 전동 벨트가 이완됨으로써 동력연결이 해제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택일적인 클러치 조작을 위해, 링크나 와이어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정방향 클러치(40)의 텐션 휠(40a)과 역방향 클러치(41)의 텐션 휠(41a)은 서로 상반된 위치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정방향 클러치(40)의 텐션 휠(40a)이 클러치 연결 위치에 조작되는 것에 연동하여 역방향 클러치(41)의 텐션 휠(41a)이 해제 위치에 조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동력 연결/해제를 위한 클러치 구조는 도 5에 예시된 텐션 휠의 위치 전환에 의한 동력전달 단속 방식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전동축 중간에 물림/이격 가능한 한 쌍의 도그 기어를 적용한 방식이나, 유압으로 마찰부재를 작동시켜 동력접속을 단속하는 공지된 유압 클러치 등 동력접속을 단속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클러치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운전자 선택 조작에 따라 피더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는 구성을 구현함에 있어, 종래기술과 같이 복잡한 구조의 정ㅇ역회전 절환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변속부에서 동력을 취출하여 피더의 역방향 구동을 구현하는 구성을 이룸으로써, 피더 정ㅇ역방향 구동을 위한 구조의 단순화와 제작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주행장치 2 : 주행기체
3 : 탈곡장치 4 : 곡물탱크
5 : 운전석 6 : 피더(Feeder)
7 : 예취부 8 : 회전 릴
20 : 엔진 22 : 주변속 장치
25 : 역방향 전동기구 25a : 역방향 구동축
26 : 풍구 구동축 37 : 탈곡 구동축
40 : 정방향 클러치 41 : 역방향 클러치
68 : 예취 입력축

Claims (5)

  1. 예취부;
    엔진과 엔진 동력으로 구동되는 탈곡장치를 탑재한 주행기체;
    상기 예취부를 통해 예취된 탈곡 처리물을 상기 탈곡장치에 공급하는 피더(Feeder);
    상기 엔진이 출력한 동력이 상기 탈곡장치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풍구 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피더는 풍구 구동축의 출력단 측에 연동 연결된 탈곡통 구동부에서 취출된 정방향 동력으로 정방향 구동되고, 풍구 구동축의 입력단 측에서부터 취출되고 역방향 전동기구를 통해 전달되는 역방향 동력으로 역방향 구동되며,
    상기 탈곡통 구동부에서 취출된 정방향 동력으로 피더가 정방향 구동되거나 풍구 구동축의 입력단 측에서 취출되고 상기 역방향 전동기구를 통해 입력되는 역방향 동력으로 피더가 역방향 구동되는 것을 택일적으로 단속하는 정방향 클러치와 역방향 클러치를 구비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는 기체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예취 입력축을 구비하며,
    상기 예취 입력축의 일측에 상기 탈곡통 구동부에서 취출된 정방향 동력이 입력되고, 타측에 상기 풍구 구동축 입력단 측에서 취출되고 역방향 전동기구를 통해 전달되는 역방향 동력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통 구동부는 상기 풍구 구동축의 출력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탈곡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탈곡 구동축에 상기 예취 입력축의 일측이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탈곡 구동축과 예취 입력축 사이에 두 축 사이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정방향 클러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전동기구의 역방향 구동축에 상기 예취 입력축의 타측이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역방향 구동축과 예취 입력축 사이에 두 축 사이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역방향 클러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전동기구는 전동 벨트 또는 전동 체인과 전동 기어를 조합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50063917A 2015-05-07 2015-05-07 콤바인 KR101615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917A KR101615919B1 (ko) 2015-05-07 2015-05-07 콤바인
CN201610270950.5A CN106105547B (zh) 2015-05-07 2016-04-27 联合收割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917A KR101615919B1 (ko) 2015-05-07 2015-05-07 콤바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919B1 true KR101615919B1 (ko) 2016-04-28

Family

ID=55915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917A KR101615919B1 (ko) 2015-05-07 2015-05-07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5919B1 (ko)
CN (1) CN10610554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68328A (zh) * 2022-11-21 2023-01-06 甘肃农业大学 过桥结构及联合收割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0844B (zh) * 2019-12-11 2024-03-15 迪尔公司 收割机过桥反转操控装置以及收割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5738A (ja) * 2006-08-03 2008-02-2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
JP2008220325A (ja) * 2007-03-15 2008-09-25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0239980A (ja) 2010-08-06 2010-10-28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11036210A (ja) * 2009-08-17 2011-02-24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13128448A (ja) * 2011-12-21 2013-07-04 Kubota Corp 普通型コンバイン
JP2014193115A (ja) 2013-03-28 2014-10-09 Kubota Corp 普通型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3535B2 (ja) * 2007-04-20 2011-06-2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2009240211A (ja) * 2008-03-31 2009-10-22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前処理部への動力伝達装置
JP2012060968A (ja) * 2010-09-17 2012-03-29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5351922B2 (ja) * 2011-03-31 2013-11-27 株式会社クボタ 普通型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5738A (ja) * 2006-08-03 2008-02-2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
JP2008220325A (ja) * 2007-03-15 2008-09-25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1036210A (ja) * 2009-08-17 2011-02-24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10239980A (ja) 2010-08-06 2010-10-28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13128448A (ja) * 2011-12-21 2013-07-04 Kubota Corp 普通型コンバイン
JP2014193115A (ja) 2013-03-28 2014-10-09 Kubota Corp 普通型コンバイ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68328A (zh) * 2022-11-21 2023-01-06 甘肃农业大学 过桥结构及联合收割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05547B (zh) 2018-09-04
CN106105547A (zh)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5298B2 (en) Rotor feeder unit for agricultural machines
JP5936137B2 (ja) コンバイン
JP5916593B2 (ja) コンバイン
JP6666086B2 (ja) コンバイン
JP2009240211A (ja) コンバインの前処理部への動力伝達装置
KR101615919B1 (ko) 콤바인
KR101669332B1 (ko) 예취 및 탈곡장치의 회전수 조절이 가능한 풀피드형 콤바인의 동력전달장치
JP2007174972A5 (ko)
JP2007174972A (ja) 作業車輌
KR101615920B1 (ko) 콤바인
JP4241654B2 (ja)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US7036296B2 (en) Variable speed drive for oblique feeding drums
JP2008245610A (ja) コンバイン
KR101669331B1 (ko) 콤바인의 회전축 속도 조절장치
KR102180768B1 (ko) 링크기구를 이용한 일체형 정역회전 장치를 갖는 콤바인
KR101669333B1 (ko) 풀피드형 콤바인의 동력전달장치
JP2007174941A5 (ko)
JP2007174941A (ja) コンバイン
JP5902561B2 (ja) コンバイン
WO2015178100A1 (ja) コンバイン
JP5814862B2 (ja) コンバイン
JP2011000057A (ja) 走行車両
JPH0229885Y2 (ko)
CN109688797B (zh) 联合收割机
KR20170143301A (ko) 수확기의 트랜스미션 및 이를 포함하는 수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