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456B1 - 수지층의 밀착성이 향상된 수지 피복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지층의 밀착성이 향상된 수지 피복 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456B1
KR101615456B1 KR1020140187955A KR20140187955A KR101615456B1 KR 101615456 B1 KR101615456 B1 KR 101615456B1 KR 1020140187955 A KR1020140187955 A KR 1020140187955A KR 20140187955 A KR20140187955 A KR 20140187955A KR 101615456 B1 KR101615456 B1 KR 101615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resin
layer
plating layer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규
유혜진
김종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7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73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강판, 도금층, 및 수지층을 포함하며, 도금층이 강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은 요철이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요철이 형성된 구조는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0.1 ㎛ 이상인 수지 피복 강판 및 상기 수지 피복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접착층 혹은 버퍼층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도금층과 수지층 사이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수지층의 밀착성이 향상된 수지 피복 강판 및 그 제조방법{RESIN COATED STEEL SHEET HAVING IMPROVED ADHESION WITH RESIN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지 피복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적 발전과 더불어 보다 좋은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표면 외관이 미려하고 선영성이 우수한 제품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제품의 외관을 향상시키는 방법 중 하나는 강판의 표면에 수지 도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수지 도막을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색상과 질감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강판의 부식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수지 도막은 가공과정에서 탈리되는 문제적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도금층과 수지 도막 사이에 별도의 표면처리를 실시하거나, 접착층 내지 버퍼층과 같은 중간층을 형성하는 기술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면처리나 중간층을 형성하는 과정은, 공정 조건을 복잡하게 하고 제품 단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미국특허공개 제2014-0255724호
본 발명은, 접착층의 형성 없이도, 도금층과 수지층 사이의 밀착성이 우수한 수지 피복 강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에서,
소지 강판;
소지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도금층; 및
도금층이 소지 강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형성되며, 도금층과 접하는 수지층을 포함하며,
도금층이 강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은 요철이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요철이 형성된 구조는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0.1 내지 2 ㎛ 범위인 수지 피복 강판을 제공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소지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도금층 상에 에칭액을 가하여 도금층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0.1 내지 2 ㎛ 범위가 되도록 에칭을 실시하는 단계; 및 에칭이 완료된 도금층 상에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지 피복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피복 강판은, 도금층과 수지층 사이에 별도의 접착층 혹은 버퍼층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도금층과 수지층 사이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 피복 강판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 및 3은 각각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요철 구조가 형성된 도금층의 표면을 촬영한 전자현미경 사진들이다.
도 4 및 5는 각각 요철 구조가 형성되지 않은 도금층의 표면을 촬영한 전자현미경 사진들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 피복 강판은,
소지 강판;
소지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도금층; 및
도금층이 소지 강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형성되며, 도금층과 접하는 수지층을 포함하며,
도금층이 강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은 요철이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요철이 형성된 구조는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0.1 내지 2 ㎛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가로 10 cm 및 세로 10 cm의 단위 면적당 수치를 산출한 것이다. 상기 수지 피복 강판에서, 강판과 도금층, 그리고 도금층과 수지층 사이에는 별도의 버퍼층 내지 접착층 등의 중간층이 존재하지 않는 구조일 수 있다. 즉, 강판, 도금층 및 수지층은 서로 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금층은 강판 상에 형성되며, 강판과 접하는 면은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금층은 소지 강판 상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1 내지 100 g/m2의 도금 부착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금층은 아연 또는 아연합금, 용융아연 또는 합금 용융아연이 도금된 구조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금층이 수지층과 접하는 면은 굴곡이 있는 요철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금층이 수지층과 접하는 면은, 예를 들어,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0.15 ㎛ 이상, 0.5 ㎛ 이상, 혹은 1.5 ㎛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술 평균 거칠기(Ra)의 상한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2 ㎛ 이하, 1.5 ㎛ 이하, 1 ㎛ 이하, 혹은 0.5 ㎛ 이하 범위일 수 있다. 혹은,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도금층 평균 두께의 90% 이하, 혹은 70% 이하의 범위에서 제어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예로서, 상기 수지 피복 강판은, 도금층이 소지 강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은 요철이 형성된 구조이고, 가로 10 ㎛, 세로 10 ㎛의 단위 면적당, 요철 구조에 의해 형성된 홈부 중 하나 이상은 하기 수학식 1의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1]
Tm/Tt ≥ 1.3
상기 수학식 1에서,
Tm은 요철 구조에 의해 형성된 홈부의 수평면적 중 가장 넓은 수평 단면적을 의미하고,
Tt는 요철 구조에 의해 형성된 홈부를 위에서 관찰시 관측된 입구쪽 수평면적 중 가장 작은 수평 단면적을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되는, Tm/Tt 수치는, 1.5 이상, 2 이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 이하, 5 이하, 혹은 3 이하인 경우를 포함한다.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되는, Tm/Tt 수치는, 요철 구조 내부에 수지 조성물이 경화되면서 도금층과 수지층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는 경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Tm/Tt 수치가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도금층과 수지층의 밀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반대로 Tm/Tt 수치가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요철 구조 내에 수지 조성물의 침투가 충분하지 못하게 되고, 이를 통해 도금층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수지층의 두께는, 경화 도막을 기준으로, 2 ㎛ 내지 30 ㎛, 3 ㎛ 내지 20 ㎛, 혹은 5 ㎛ 내지 15 ㎛ 범위일 수 있다. 수지층이 너무 얇게 형성된 경우에는, 강판이 부식환경에 노출되었을 경우 충분한 내식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반대로 수지층이 지나치게 두껍게 형성되면 가공 과정에서 수지층의 탈락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을 형성하는 조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및 아크릴 수지 중 1 종 이상의 수지를 주수지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일 수 있다.
하나에 예로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수지 피복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피복 강판의 제조방법은,
소지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도금층 상에 에칭액을 가하여 도금층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0.1 내지 2 ㎛ 범위가 되도록 에칭을 실시하는 단계; 및
에칭이 완료된 도금층 상에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소지 강판의 표면에는 도금층을 형성하게 된다. 소지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 가능하다. 상기 도금층은 소지 강판 상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1 내지 100 g/m2의 도금 부착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금층은 아연 또는 아연합금, 용융아연 또는 합금 용융아연이 도금된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에칭액은 염산 및 질산 중 1 종 이상의 산을 포함할 수 있다. 에칭액 내에 함유된 산의 농도는, 염산의 경우에는 0.5 내지 5% 혹은 1 내지 4% 범위일 수 있고, 질산의 경우에는 0.2 내지 4% 혹은 0.5 내지 2%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에칭액은 염산 혹은 질산을 사용하거나, 염산과 질산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그런 다음, 형성된 도금층의 표면에 산 용액을 포함하는 에칭액을 가하여 불규칙한 구조의 요철을 형성하게 된다. 에칭액을 가하여 에칭을 실시하는 단계는, 도금층 표면에 에칭액을 가하여 도금층 표면을 불규칙적으로 에칭하게 된다. 에칭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15 내지 40℃의 온도에서, 0.5 내지 20 V 조건에서, 1 분 내지 3 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건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혹은 상기 에칭 조건은,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 내지 10 V 조건에서, 5 분 내지 2 시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수지 조성물을 도금층 상에 도포하는 단계; 및 도포된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주성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열경화성 내지 광경화성 수지의 경화물을 모두 포함하며, 유기계 혹은 유-무기계 수지의 경화물일 수 있다. 혹은, 상기 수지 조성물은 주수지로 수성 및 유성 수지 중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왁스계나 에폭시계, 우레탄계에 기타 첨가물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도금층에 대한 에칭 이후에 1차로 수지층을 형성한 후 2차로 수지층을 다시 형성할 수도 있고, 1차 수지층만 형성하고 2차 수지층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며, 도포는 다양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바-코터, 롤 코터 혹은 커튼 코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을 강판에 도포하는 과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판에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수지층을 형성한다. 건조하는 과정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열풍 가열방식, 적외선 가열방식, 유도 가열방식 혹은, 자외선 조사 등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풍 가열방식은 160 내지 340℃ 온도에서 10 내지 50초 동안 건조를 행할 수 있다. 유도가열 방식은, 주파수 범위 5 내지 50 MHz, 전력 3 내지 15 KW에서 5 내지 20 초 동안 건조를 행할 수 있다. 혹은 강판에 도포된 수지 조성물을 열처리한 후, 물을 이용하여 냉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성 수지의 경우에는 80 내지 180℃ 범위에서 열처리한 후 수냉각 가능하며, 유성 수지의 경우에는 230 내지 240℃ 범위에서 열처리한 후, 수냉각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은 유기수지로서 우레탄수지 40%, 무기바인더로서 알루미나 50%, 방청 내식제로서 망간 인산염 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코터를 이용하여 부착량을 조절한 후 120~160℃에서 건조시킨다.
상기 소지 강판은 도금층이 형성된 경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냉연강판과 열연강판 등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금층이 형성된 소지 강판의 예로는, 아연도금강판; 아연계 전기도금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도금강판; 도금층에 코발트, 몰리브덴, 텅스텐, 니켈, 티탄, 알루미늄, 망간, 철 마그네슘, 주석, 동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불순물 또는 이종금속을 함유한 도금강판; 인산염이 코팅된 아연도금강판; 도금층이 형성된 냉연강판; 및 도금층이 형성된 열연강판 등을 모두 포함한다. 그 외에도 상기 소지 강판은 스테린리스, 크롬프리강판을 포함하며, 판재 뿐만 아니라 선재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소지 강판을 구성하는 강종의 조성은 C: 0.002~0.1중량%, Si:0.03~1.5중량%, Mn: 0.07~2.5중량%, Al: 0.02~0.1중량%, P:0.005~0.02중량% 그 외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성분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지 강판으로는 냉연강판이나 열연강판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냉연강판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Fe-Ni 또는 Fe-Co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온의 열처리가 필요한데, 냉연강판의 경우에는 재결정을 위한 열처리과정에서 자연적으로 합금 도금층이 형성된다. 반면에, 열연강판의 경우 공정상 이미 재결정이 완료되어 있는 상태임에도 합금 도금층 형성을 위한 부가적인 열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냉연강판에 비해 경제적 손실 및 공정상 추가 부담이 예상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피복 강판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지피복 강판은 강판(10)의 표면에 아연 도금층(20)을 형성하고, 그 위에 수지층(30)을 형성한 구조이다.
도금층(20)은 화학적 에칭을 통해 강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불규칙한 요철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요철 구조는 전체적으로 불규칙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단위 면적당 하나 이상의 요철 구조는, 입구의 단면적(Tt)에 비해 요철 내부의 홈부에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적(Tm)을 가지는 경우를 포함한다.
요철 구조가 형성된 도금층(20) 상에는 수지 조성물이 도포되어 경화도막(30: 수지층)을 형성하게 된다. 도금층(20)에 형성된 입구의 단면적(Tt)에 비해 내부의 단면적(Tm)이 큰 요철 구조는, 요철 구조 내부에 수지 조성물이 침투하여 경화된 후에는, 수지층(30)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수지 조성물이 상기 요철 구조 내에 침투된 상태에서 경화되면, 요철 구조 내부의 수지 경화물의 단면적이 요철 구조의 입구보다 커지게 된다. 이를 통해 도금층(20)과 수지층(30) 사이의 밀착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도금층(20)과 수지층(30) 사이의 밀착력을 부여하기 위한 별도의 버퍼층 내지 접착층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5
에칭된 도금층을 갖는 강판 제조
도금용 조성 0.11Al% - 0.05Pb% - Zn으로 용융도금된 용융아연도금 강판에 대해서, 2% 염산과 1% 질산이 함유된 산 용액을 이용하여 에칭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처리 조건은 하기 표 1과 같으며, 강판 시편을 에칭액에 침적 처리한 후, 수세와 건조공정을 거쳐 에칭된 아연도금 강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No. 에칭 처리 조건
온도(℃) 처리시간(분)
실시예 1 20 10
실시예 2 20 20
실시예 3 30 30
실시예 4 30 50
실시예 5 30 60
에칭 결과, 도금층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0.2 ㎛ 이상인 것을 확인하였다. 도 2는 실시예 3에 따른 에칭된 도금층의 표면을 관찰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금층의 표면에 다수의 요철 구조가 형성되었고, 그러한 요철 구조에 의한 홈부를 관찰할 수 있다. 도 3은 도 2를 보다 확대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요철구조에 의해 형성된 홈부는, 에칭 용액의 침투로 인해서, 부분적으로 입구 보다 단면적이 넓은 내부 구조를 갖는 구조가 형성된다.
수지 조성물 제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CN 2295) 40 중량%,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UA-2205) 25 중량%,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17 중량%,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10 중량%, 광 개시제 (Darocur 1173) 7 중량%, 소포제(Airex 920) 0.3 중량%, 레벨링제 및 슬립제(Glide 410) 0.2 중량% 및 부착증진제 0.5 중량%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경화 도막 형성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강판의 에칭된 도금층 위에 롤코팅 방식으로 코팅한 다음 질소를 투입(O2 농도 50PPM 이하)한 후 자외선(2000mJ/cm2)을 조사하여 경화시켰다. 경화후 도막두께 5~20㎛로 조절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칭된 도금층이 형성된 강판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아래 조성의 수지 조성물을 도금층 상에 코팅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우레탄-아크릴 복합수지 및 실리콘 복합 우레탄 수지가 6: 4의 비율로 혼합된 수지를 주수지(30 중량%)로 사용하고, 에폭시계 실란 화합물 12중량%, 실리카 7 중량%, 감마 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12중량%, 트리메톡시비닐실란 화합물 36 중량% 및 기타 첨가제들을 일정량 혼합하여 고형분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용매인 물에 가하여 코팅 용액을 제조하되, 상기 고형분은 전체 용액에 대하여 15 중량%를 차지하도록 조절하였다. 제조된 코팅 용액을 도금층이 형성된 강판 표면에 bar코팅 방식으로 도포하고, 인덕션 히터를 이용하여 180℃로 가열한 뒤, 소부 건조하여 경화 도막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소지 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도금층에 대해 에칭을 실시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피복 강판을 제조하였다.
도 4는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도금층의 표면을 관찰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금층의 표면은 상대적으로 매끈한 평탄면을 형성하고 있다. 도 5는 도 4를 보다 확대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금층의 표면이 완전한 평면 구조를 형성하고 있지는 않으나, 내부의 면적이 입구보다 넓은 형태의 동공 구조는 관찰되지 않는다.
실험예 1: 수지층의 밀착성 평가
수지 피복 강판의 수지층에 대한 밀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시편을 대상으로, 수지층의 밀착력을 평가하였다. 이때, 상기 밀착력은 크로스-컷 테이프 테스트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피복된 수지층에 칼을 이용하여 1 mm 간격의 가로 10선과 세로 10선이 서로 교차되는 커팅한 후, 가로선과 세로선의 교차점에 테이프를 견고하게 붙이고, 빠르게 떼어낼 때의 시편 전체 면적에 대한 박리된 수지층의 면적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밀착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3에 따른 수지 피복 강판의 수지층은, 비교예와 비교하여, 2배 이상 향상된 밀착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지 피복 강판은, 별도의 접착층을 형성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밀착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10: 강판
20: 도금층
30: 수지층
Tt: 요철 구조에 의해 형성된 홈부의 입구 단면적
Tm: 요철 구조에 의해 형성된 홈부 내부의 가장 넓은 단면적

Claims (8)

  1. 냉연 강판을 포함하는 소지 강판;
    소지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도금층; 및
    도금층을 기준으로, 도금층이 소지 강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접합도록 형성되는 수지층을 포함하며,
    도금층은 아연 또는 아연을 함유하는 합금 도금층이며,
    도금층이 소지 강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은 요철이 형성된 구조이고,
    가로 10 ㎛, 세로 10 ㎛의 단위 면적당, 요철 구조에 의해 형성된 홈부 중 하나 이상은 하기 수학식 1의 관계를 만족하며,
    상기 요철이 형성된 구조는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0.1 내지 2 ㎛ 범위인 수지 피복 강판:
    [수학식 1]
    Tm/Tt ≥ 1.3
    상기 수학식 1에서,
    Tm은 요철 구조에 의해 형성된 홈부의 수평면적 중 가장 넓은 수평 단면적을 의미하고,
    Tt는 요철 구조에 의해 형성된 홈부를 위에서 관찰시 관측된 입구쪽 수평면적 중 가장 작은 수평 단면적을 의미한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층의 두께는, 경화 도막을 기준으로, 평균 2 내지 30 ㎛ 범위인 수지 피복 강판.
  4. 삭제
  5. 냉연 강판을 포함하는 소지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아연 또는 아연을 함유하는 합금을 포함하는 도금층 상에 에칭액을 가하여 도금층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0.1 내지 2 ㎛ 범위가 되도록 에칭을 실시하는 단계; 및
    에칭이 완료된 도금층 상에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도포된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수지 피복강판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에칭액은 염산 및 질산 중 1 종 이상의 산을 포함하는 산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피복 강판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에칭액을 가하여 에칭을 실시하는 단계는,
    15 내지 40℃의 온도에서, 0.5 내지 20 V 조건에서, 1 분 내지 3 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건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수지 피복 강판의 제조방법.
  8. 삭제
KR1020140187955A 2014-12-24 2014-12-24 수지층의 밀착성이 향상된 수지 피복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15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955A KR101615456B1 (ko) 2014-12-24 2014-12-24 수지층의 밀착성이 향상된 수지 피복 강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955A KR101615456B1 (ko) 2014-12-24 2014-12-24 수지층의 밀착성이 향상된 수지 피복 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456B1 true KR101615456B1 (ko) 2016-04-25

Family

ID=5591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955A KR101615456B1 (ko) 2014-12-24 2014-12-24 수지층의 밀착성이 향상된 수지 피복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4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326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접착성이 우수한 코팅강판 및 이를 이용한 금속접합체, 그리고 이들의 제조방법
CN112368427A (zh) * 2018-07-06 2021-02-12 Posco公司 制造具有优异的耐蚀性和涂装性的经表面处理的锌-镍合金电镀钢板的方法
JP2022541375A (ja) * 2019-06-12 2022-09-26 オーシャニット ラボラトリーズ インク 耐食性多機能コーティングの作成方法及びその構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4524A (ja) 2002-07-03 2004-02-05 Mec Kk 金属樹脂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4524A (ja) 2002-07-03 2004-02-05 Mec Kk 金属樹脂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326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접착성이 우수한 코팅강판 및 이를 이용한 금속접합체, 그리고 이들의 제조방법
WO2019132294A1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접착성이 우수한 코팅강판 및 이를 이용한 금속접합체, 그리고 이들의 제조방법
KR102075224B1 (ko) * 2017-12-26 2020-02-07 주식회사 포스코 접착성이 우수한 코팅강판 및 이를 이용한 금속접합체, 그리고 이들의 제조방법
CN112368427A (zh) * 2018-07-06 2021-02-12 Posco公司 制造具有优异的耐蚀性和涂装性的经表面处理的锌-镍合金电镀钢板的方法
EP3819407A4 (en) * 2018-07-06 2021-08-25 Posco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URFACE TREATED ZINC-NICKEL ALLOY ELECTRO-PLAT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EXCELLENT COMBABILITY
US11396712B2 (en) 2018-07-06 2022-07-26 Posco Manufacturing method of surface-treated zinc-nickel alloy electropla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ivity and paintability
CN112368427B (zh) * 2018-07-06 2023-12-05 浦项股份有限公司 制造具有优异的耐蚀性和涂装性的经表面处理的锌-镍合金电镀钢板的方法
JP2022541375A (ja) * 2019-06-12 2022-09-26 オーシャニット ラボラトリーズ インク 耐食性多機能コーティングの作成方法及びその構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0290B2 (en) Steel sheet for hot press-forming, hot press-formed part, and method of producing hot press-formed part
JP2012233247A (ja) 熱間プレス用鋼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間プレス部材の製造方法
EP2808417A1 (en) Steel sheet for hot pressing,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and process for producing hot-pressed member using same
KR101734745B1 (ko)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Al계 합금 도금 강재
KR101615456B1 (ko) 수지층의 밀착성이 향상된 수지 피복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A2605487A1 (en) A method for hot-dip galvanizing
KR20210007034A (ko) 전기아연도금된 시트로부터 낮은 파형을 가지는 부품들을 제조하는 방법, 대응 부품 및 차량
CN105200441A (zh) 带氧化物层的热镀产品、其制造方法及其应用
CN110961454A (zh) 一种热成型用Al-Si镀层差厚钢板的制备方法
WO2014084371A1 (ja) 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2007002288A (ja) 塗装下地用めっき鋼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塗装鋼板
KR101372747B1 (ko) 가공성이 우수한 수지코팅 강판 및 이에 사용되는 수지조성물
JP2004323932A (ja) 塗装鋼板、及びその母材めっき鋼板、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20160083313A (ko) 단면 내식성이 우수한 도장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52603B1 (ko) 자기 세정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04195488A (zh) 高强度镀锌板及其制备工艺
KR101695553B1 (ko) 세라믹 입자 분사를 통해 가공성이 향상된 표면처리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H06128713A (ja) 耐食性と加工性に優れた塗装アルミメッキ鋼板の製造法
CN114829666A (zh) 加工性和耐蚀性优异的铝基合金镀覆钢板及其制造方法
CN106660321B (zh) 涂装钢板
KR101695551B1 (ko) 세라믹 입자 분사를 통해 가공성이 향상된 표면처리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9107B1 (ko) 도금성 및 도금밀착성이 우수한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6175810A (ja) 加工性と耐汚染性に優れた塗装金属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95552B1 (ko) 세라믹 입자 분사를 통해 표면 경도가 향상된 표면처리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TWI793917B (zh) 複合構件及具有伴隨作動而發熱之器件之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