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036B1 -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036B1
KR101615036B1 KR1020140157789A KR20140157789A KR101615036B1 KR 101615036 B1 KR101615036 B1 KR 101615036B1 KR 1020140157789 A KR1020140157789 A KR 1020140157789A KR 20140157789 A KR20140157789 A KR 20140157789A KR 101615036 B1 KR101615036 B1 KR 101615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hub
fixing
jig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수
Original Assignee
박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범수 filed Critical 박범수
Priority to KR1020140157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3Connection of needle cannula to needle hub, or directly to syringe nozzle without a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9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using adhesive bond or gl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depth of inser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1/894Pinh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6With automatic needle inse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 B29L2031/7544Injection needles, syringes

Abstract

본 발명은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되, 이송트레이 상에 다수 개로 안착된 주삿바늘의 허브 상에 본딩 고정되는 바늘의 외면 양측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밀착 회전되는 구동롤러 및 연동롤러와, 바늘의 외면 첨단부를 촬상하는 촬상카메라가 구비됨으로써 안전주삿바늘은 물론이거니와, 나비주삿바늘 및 일반주삿바늘 등의 주삿바늘에 대하여서도 허브 상에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본딩처리되어 굳기 전 상태인 바늘에 대한 경사부를 일정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아울러 주삿바늘의 사용시 안전사고를 안정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주삿바늘의 바늘 방향이 일정방향으로 정렬되어 주삿바늘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는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어 허브의 상단 중앙에 바늘이 연결되도록 제조된 안전주삿바늘이 이송트레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향 돌출된 고정니플에 다수 개로 안착된 상태로 공급되어, 안전주삿바늘의 허브 상에 본딩 고정되는 바늘에 대한 경사부를 본딩처리된 부분이 굳기 전에 일정방향으로 조절하는 안전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 있어서, 설치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이송트레이의 고정니플이 삽입 안내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선단으로부터 후향 일정길이에 대하여 상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안전주삿바늘의 허브의 저면이 상기 경사면에 안내되도록 하여 상기 허브를 선택적으로 일정높이 상승시키는 승강지그; 상기 승강지그 일측이 연결되며, 수평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승강지그를 선택적으로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안전주삿바늘의 허브를 선택적으로 상승시키는 승강실린더; 상기 승강지그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승강지그에 의해 상승한 허브의 상단 중앙에 본딩 처리를 통하여 가 고정된 상기 안전주삿바늘의 바늘 외면을 일측에 연결된 고정실린더의 수평왕복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된 상, 하부의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고정홈에 안착고정시키며, 상기 고정홈에 안착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바늘 외면이 밀착되는 연동롤러가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고정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고정되는 고정지그; 상기 고정지그와 대향되어 상기 승강지그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연동롤러와 대향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연동롤러와 마주하여 상기 바늘의 외면이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허브 상에 가 고정된 바늘을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와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왕복대 일측이 연결되며, 수평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동롤러와 마주하여 상기 바늘의 외면이 맞물리도록 하는 왕복실린더; 및 상기 고정지그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동롤러와 구동롤러에 의해 외면이 맞물린 상기 바늘의 경사부를 촬상한 정보를 컨트롤러 측으로 전송시키며,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바늘의 경사부 방향이 일정방향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촬상카메라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direction of needle}
본 발명은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주삿바늘은 물론이거니와, 나비주삿바늘 및 일반주삿바늘 등의 주삿바늘에 대하여서도 허브 상에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본딩처리되어 굳기 전 상태인 바늘에 대한 경사부를 일정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삿바늘은 바늘에 대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주삿바늘, 나비주삿바늘 및 일반주삿바늘 등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주삿바늘에서 바늘에 대한 불량을 검사하는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는 종래에 다수의 주삿바늘이 삽입되어 이송되는 지그를 기울여 주삿바늘의 끝이 액체의 표면 쪽으로 향하게 한 후 반대쪽에서 공기를 불어넣어 액체 표면에 골이 형성되는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에 의하여 선별검사가 되었다.
이때, 불량 주삿바늘로서 막힌 주삿바늘에서는 바람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액체 표면에 골이 형성되지 않을 것이므로,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한 후 액체 표면에 골이 형성되지 않는 주삿바늘만을 골라서 수거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불량 주삿바늘을 선별검사할 경우에는 주삿바늘마다 액체 표면에 골이 형성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골이 형성되지 않는 주삿바늘만 골라서 다른 것과 구별이 될 수 있도록 일일이 구부려야 하고, 구부려진 주삿바늘만 골라서 일일이 손으로 따로 수거하여야 하므로, 비능률적일 뿐만 아니라, 불량 주삿바늘을 확인하여 다른 것과 구별이 되도록 구부리는 사람과 구부려진 것만 골라서 수거하는 두 사람이 필요하므로 인건비가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상부에 주삿바늘의 끝에서 바람이 나오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설치하고, 이 감지장치에 부착된 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주삿바늘을 구부리는 장치를 감지장치의 하부에 설치하여 다수의 주삿바늘이 삽입되어 이송되는 공지의 지그가 감지장치의 하부의 작업 위치에 왔을 때, 종래와 같이 에어콤프레서로 각각의 주삿바늘에 공기를 보내고, 주삿바늘의 상부의 감지장치에 의하여 주삿바늘의 끝에서 바람이 나오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주삿바늘을 구부리는 장치로 구멍이 막힌 불량 주삿바늘만 자동적으로 구부리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는 구부려진 바늘만 제거하면 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주삿바늘에서의 바늘에 대한 불량을 선별검사 외에도 안전주삿바늘, 나비주삿바늘 및 일반주삿바늘 등의 주삿바늘 중, 특히 안전주삿바늘과 나비주삿바늘의 경우에는 주삿바늘을 이루는 허브에 바늘의 경사진 부분이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야 하나, 이러한 바늘의 경사진 방향에 대한 정렬을 위한 장치가 적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허브에 임시 고정된 상태, 즉 허브 상에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본딩처리되어 굳기 전 상태인 바늘에 대한 경사진 방향을 일정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4-0001904호 1994.02.16.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77161호 2014.06.23.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되, 이송트레이 상에 다수 개로 안착된 주삿바늘의 허브 상에 본딩 고정되는 바늘의 외면 양측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밀착 회전되는 구동롤러 및 연동롤러와, 바늘의 외면 첨단부를 촬상하는 촬상카메라가 구비됨으로써 안전주삿바늘은 물론이거니와, 나비주삿바늘 및 일반주삿바늘 등의 주삿바늘에 대하여서도 허브 상에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본딩처리되어 굳기 전 상태인 바늘에 대한 경사부를 일정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안전주삿바늘은 물론이거니와, 나비주삿바늘 및 일반주삿바늘 등의 주삿바늘에 대하여서도 허브 상에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본딩처리되어 굳기 전 상태인 바늘에 대한 경사부를 일정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삿바늘의 사용시 안전사고를 안정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주삿바늘의 바늘 방향이 일정방향으로 정렬되어 주삿바늘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는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어 허브의 상단 중앙에 바늘이 연결되도록 제조된 안전주삿바늘이 이송트레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향 돌출된 고정니플에 다수 개로 안착된 상태로 공급되어, 안전주삿바늘의 허브 상에 본딩 고정되는 바늘에 대한 경사부를 본딩처리된 부분이 굳기 전에 일정방향으로 조절하는 안전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 있어서, 설치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이송트레이의 고정니플이 삽입 안내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선단으로부터 후향 일정길이에 대하여 상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안전주삿바늘의 허브의 저면이 상기 경사면에 안내되도록 하여 상기 허브를 선택적으로 일정높이 상승시키는 승강지그; 상기 승강지그 일측이 연결되며, 수평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승강지그를 선택적으로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안전주삿바늘의 허브를 선택적으로 상승시키는 승강실린더; 상기 승강지그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승강지그에 의해 상승한 허브의 상단 중앙에 본딩 처리를 통하여 가 고정된 상기 안전주삿바늘의 바늘 외면을 일측에 연결된 고정실린더의 수평왕복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된 상, 하부의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고정홈에 안착고정시키며, 상기 고정홈에 안착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바늘 외면이 밀착되는 연동롤러가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고정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고정되는 고정지그; 상기 고정지그와 대향되어 상기 승강지그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연동롤러와 대향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연동롤러와 마주하여 상기 바늘의 외면이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허브 상에 가 고정된 바늘을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와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왕복대 일측이 연결되며, 수평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동롤러와 마주하여 상기 바늘의 외면이 맞물리도록 하는 왕복실린더; 및 상기 고정지그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동롤러와 구동롤러에 의해 외면이 맞물린 상기 바늘의 경사부를 촬상한 정보를 컨트롤러 측으로 전송시키며,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바늘의 경사부 방향이 일정방향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촬상카메라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지그는 개방된 상, 하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은 후방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산 형상으로 형성되며, 산 형상의 단부는 상기 바늘의 외면과 대응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주삿바늘은 상기 이송트레이의 고정니플에 안착되되, 상기 허브 일측에 연결편에 의해 선택적으로 일정각도 절첩되어 상기 바늘을 구속 보호하는 보호암이 상기 이송트레이의 고정니플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안착홈이 형성된 고정브래킷에 의해 안착고정됨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안전주삿바늘은 상기 연결편에 홀딩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보호암 일측에 홀딩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홀딩공에 상기 홀딩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되어, 상기 허브와 보호암이 상기 연결편을 통해 일정각도 절첩될 경우 상기 보호암의 내측에 구비된 구속리브를 통하여 상기 바늘이 구속 고정되는 구성으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안전주삿바늘은 선택적으로 주사기 일단에 삽입고정되어 사용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와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허브 상단 중앙에 본딩에 의해 연결 고정되며,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가지는 바늘 및 상기 허브의 외면 양측으로 상호 대향되어 돌출 형성되는 나비편으로 이루어진 나비주삿바늘로 적용되어, 상기 허브가 상기 이송트레이의 고정니플에 다수 개로 안착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안전주삿바늘은 선택적으로 주사기 일단에 삽입고정되어 사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와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허브 상단 중앙에 본딩에 의해 연결 고정되며,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가지는 바늘로 이루어진 일반주삿바늘로 적용되어, 상기 허브가 상기 이송트레이의 고정니플에 다수 개로 안착된 상태로 공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되, 이송트레이 상에 다수 개로 안착된 주삿바늘의 허브 상에 본딩 고정되는 바늘의 외면 양측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밀착 회전되는 구동롤러 및 연동롤러와, 바늘의 외면 첨단부를 촬상하는 촬상카메라가 구비됨으로써 안전주삿바늘은 물론이거니와, 나비주삿바늘 및 일반주삿바늘 등의 주삿바늘에 대하여서도 허브 상에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본딩처리되어 굳기 전 상태인 바늘에 대한 경사부를 일정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둘째, 안전주삿바늘은 물론이거니와, 나비주삿바늘 및 일반주삿바늘 등의 주삿바늘에 대하여서도 허브 상에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본딩처리되어 굳기 전 상태인 바늘에 대한 경사부를 일정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삿바늘의 사용시 안전사고를 안정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주삿바늘의 바늘 방향이 일정방향으로 정렬되어 주삿바늘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를 나타낸 평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를 나타낸 정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서 요부인 승강지그 및 고정지그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서 주삿바늘의 경사부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요부 구성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 의해 허브 상에 임시로 본딩처리된 바늘의 경사부 방향이 조절되도록 적용되는 안전주삿바늘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 의해 허브 상에 임시로 본딩처리된 바늘의 경사부 방향이 조절되도록 적용되는 나비주삿바늘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 의해 허브 상에 임시로 본딩처리된 바늘의 경사부 방향이 조절되도록 적용되는 일반주삿바늘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를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서 요부인 승강지그 및 고정지그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서 주삿바늘의 경사부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요부 구성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 의해 허브 상에 임시로 본딩처리된 바늘의 경사부 방향이 조절되도록 적용되는 안전주삿바늘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는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어 허브(11)의 상단 중앙에 바늘(13)이 연결되도록 제조된 안전주삿바늘(10)이 이송트레이(5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향 돌출된 고정니플(51)에 다수 개로 안착된 상태로 공급되어, 안전주삿바늘(10)의 허브(11) 상에 본딩 고정되는 바늘(13)에 대한 경사부(14)를 본딩처리된 부분이 굳기 전에 일정방향으로 조절하는 방향 조절 장치이다.
먼저, 상기 이송트레이(50) 상에 다수 개로 안착된 상태로 공급되는 주삿바늘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은 안전주삿바늘(10)로 적용된 것을 기준으로,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는 크게 분류하면, 승강지그(100), 승강실린더(200), 고정지그(300), 구동롤러(400), 왕복실린더(500) 및 촬상카메라(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승강지그(100)는 설치대(9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이송트레이(50)의 고정니플(51)이 삽입 안내되는 가이드 홈(110)이 형성되고 선단으로부터 후향 일정길이에 대하여 상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경사면(1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승강지그(100)에 의해 상기 안전주삿바늘(10)의 허브(11)의 저면이 상기 경사면(120)에 안내되도록 하여 상기 허브(11)를 선택적으로 일정높이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실린더(200)는 상기 승강지그(100) 일측이 연결되며, 수평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승강지그(100)를 선택적으로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안전주삿바늘(10)의 허브(11)를 선택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그(300)는 상기 승강지그(1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승강지그(100)에 의해 상승한 허브(11)의 상단 중앙에 본딩 처리를 통하여 가 고정된 상기 안전주삿바늘(10)의 바늘(13) 외면을 일측에 연결된 고정실린더(미도시)의 수평왕복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된 상, 하부의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고정홈(310)에 안착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지그(300)는 상기 고정홈(310)에 안착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바늘(13) 외면이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연동롤러(330)가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고정부재(320)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400)는 상기 고정지그(300)와 대향되어 상기 승강지그(100)의 상부 타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동롤러(400)는 상기 연동롤러(330)와 대향되어 구동모터(410)의 구동축(411)과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연동롤러(330)와 마주하여 상기 바늘(13)의 외면이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허브(11) 상에 가 고정된 바늘(13)을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왕복실린더(500)는 상기 구동롤러(400)와 구동모터(410)가 설치되는 왕복대 일측이 연결되며, 수평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400)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동롤러(330)와 마주하여 상기 바늘(13)의 외면이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촬상카메라(600)는 상기 고정지그(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동롤러(330)와 구동롤러(400)에 의해 외면이 맞물린 상기 바늘(13)의 경사부(14)를 촬상한 정보를 컨트롤러(미도시) 측으로 전송시키며, 상기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상기 바늘(13)의 경사부(14) 방향이 일정방향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서, 특히 상기 고정지그(300)는 개방된 상, 하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고정홈(310)이 함몰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310)은 후방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산 형상으로 형성되며, 산 형상의 단부는 상기 바늘의 외면과 대응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 적용되는 상기 안전주삿바늘(10)은 상기 이송트레이(50)의 고정니플(51)에 안착되되, 상기 허브(11) 일측에 연결편(15)에 의해 선택적으로 일정각도 절첩되어 상기 바늘(13)을 구속 보호하는 보호암(17)이 상기 이송트레이(50)의 고정니플(51)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안착홈이 형성된 고정브래킷(53)에 의해 안착고정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 안전주삿바늘(10)은 상기 연결편(15)에 홀딩공(16)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보호암(17) 일측에 홀딩돌기(18)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홀딩공(16)에 상기 홀딩돌기(18)가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되어, 상기 허브(11)와 보호암(17)이 상기 연결편(15)을 통해 일정각도 절첩될 경우 상기 보호암(17)의 내측에 구비된 구속리브(19)를 통하여 상기 바늘(13)이 구속 고정되는 구성으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 의해 허브 상에 임시로 본딩처리된 바늘의 경사부 방향이 조절되도록 적용되는 나비주삿바늘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나비주삿바늘(20)은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 적용되는 안전주삿바늘(10) 대신에 이송트레이(50) 상에 안착된 상태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안전주삿바늘은 선택적으로 주사기 일단에 삽입고정되어 사용되는 허브(21)와, 상기 허브(21)와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허브(21) 상단 중앙에 본딩에 의해 연결 고정되며,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가지는 바늘(23) 및 상기 허브(21)의 외면 양측으로 상호 대향되어 돌출 형성되는 나비편(25)으로 이루어진 나비주삿바늘(20)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나비주삿바늘(20)은 상기 허브(21)가 상기 이송트레이(50)의 고정니플(51)에 다수 개로 안착된 상태로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 의해 허브 상에 임시로 본딩처리된 바늘의 경사부 방향이 조절되도록 적용되는 일반주삿바늘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은 일반주삿바늘(30)은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 적용되는 안전주삿바늘(10) 대신에 이송트레이(50) 상에 안착된 상태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안전주삿바늘은 선택적으로 주사기 일단에 삽입고정되어 사용되는 허브(31) 및 상기 허브(31)와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허브(31) 상단 중앙에 본딩에 의해 연결 고정되며,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가지는 바늘(33)로 이루어진 일반주삿바늘(30)로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일반주삿바늘(30)은 상기 허브(31)가 상기 이송트레이(50)의 고정니플(51)에 다수 개로 안착된 상태로 공급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 의하면,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되, 이송트레이(50) 상에 다수 개로 안착된 주삿바늘의 허브 상에 본딩 고정되는 바늘의 외면 양측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밀착 회전되는 구동롤러(400) 및 연동롤러(330)와, 바늘의 외면 첨단부를 촬상하는 촬상카메라(600)가 구비됨으로써 안전주삿바늘(10)은 물론이거니와, 나비주삿바늘(20) 및 일반주삿바늘(30) 등의 주삿바늘에 대하여서도 허브(11, 21, 31) 상에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본딩처리되어 굳기 전 상태인 바늘(13, 23, 33)에 대한 경사부(14, 24, 34)를 일정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안전주삿바늘(10)은 물론이거니와, 나비주삿바늘(20) 및 일반주삿바늘(30) 등의 주삿바늘에 대하여서도 허브(11, 21, 31) 상에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본딩처리되어 굳기 전 상태인 바늘(13, 23, 33)에 대한 경사부(14, 24, 34)를 일정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삿바늘의 사용시 안전사고를 안정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주삿바늘의 바늘 방향이 일정방향으로 정렬되어 주삿바늘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승강지그 110: 가이드 홈
120: 경사면
200: 승강실린더
300: 고정지그 310: 고정홈
320: 고정부재 330: 연동롤러
400: 구동롤러
410: 구동모터 411: 구동축
500: 왕복실린더
600: 촬상카메라
900: 설치대
10: 안전주삿바늘 11: 허브
13: 바늘 14: 경사부
15: 연결편 16: 홀딩공
17: 보호암 18: 홀딩돌기
19: 구속리브
20: 나비주삿바늘 21: 허브
23: 바늘 24: 경사부
30: 일반주삿바늘 31: 허브
33: 바늘 34: 경사부
50: 이송트레이
51: 고정니플 53: 고정브래킷

Claims (6)

  1.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어 허브(11)의 상단 중앙에 바늘(13)이 연결되도록 제조된 안전주삿바늘(10)이 이송트레이(5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향 돌출된 고정니플(51)에 다수 개로 안착된 상태로 공급되어, 안전주삿바늘(10)의 허브(11) 상에 본딩 고정되는 바늘(13)에 대한 경사부(14)를 본딩처리된 부분이 굳기 전에 일정방향으로 조절하는 안전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에 있어서,
    설치대(9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이송트레이(50)의 고정니플(51)이 삽입 안내되는 가이드 홈(110)이 형성되고 선단으로부터 후향 일정길이에 대하여 상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경사면(120)이 형성되어, 상기 안전주삿바늘(10)의 허브(11)의 저면이 상기 경사면(120)에 안내되도록 하여 상기 허브(11)를 선택적으로 일정높이 상승시키는 승강지그(100);
    상기 승강지그(100) 일측이 연결되며, 수평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승강지그(100)를 선택적으로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안전주삿바늘(10)의 허브(11)를 선택적으로 상승시키는 승강실린더(200);
    상기 승강지그(1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승강지그(100)에 의해 상승한 허브(11)의 상단 중앙에 본딩 처리를 통하여 가 고정된 상기 안전주삿바늘(10)의 바늘(13) 외면을 일측에 연결된 고정실린더의 수평왕복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된 상, 하부의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고정홈(310)에 안착고정시키며, 상기 고정홈(310)에 안착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바늘(13) 외면이 밀착되는 연동롤러(330)가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고정부재(320)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고정되는 고정지그(300);
    상기 고정지그(300)와 대향되어 상기 승강지그(100)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연동롤러(330)와 대향되어 구동모터(410)의 구동축(411)과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연동롤러(330)와 마주하여 상기 바늘(13)의 외면이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허브(11) 상에 가 고정된 바늘(13)을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구동롤러(400);
    상기 구동롤러(400)와 구동모터(410)가 설치되는 왕복대 일측이 연결되며, 수평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400)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동롤러(330)와 마주하여 상기 바늘(13)의 외면이 맞물리도록 하는 왕복실린더(500); 및
    상기 고정지그(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동롤러(330)와 구동롤러(400)에 의해 외면이 맞물린 상기 바늘(13)의 경사부(14)를 촬상한 정보를 컨트롤러 측으로 전송시키며,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바늘(13)의 경사부(14) 방향이 일정방향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촬상카메라(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300)는 개방된 상, 하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고정홈(310)이 함몰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310)은 후방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산 형상으로 형성되며, 산 형상의 단부는 상기 바늘의 외면과 대응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주삿바늘(10)은 상기 이송트레이(50)의 고정니플(51)에 안착되되, 상기 허브(11) 일측에 연결편(15)에 의해 선택적으로 일정각도 절첩되어 상기 바늘(13)을 구속 보호하는 보호암(17)이 상기 이송트레이(50)의 고정니플(51)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안착홈이 형성된 고정브래킷(53)에 의해 안착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주삿바늘(10)은 상기 연결편(15)에 홀딩공(16)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보호암(17) 일측에 홀딩돌기(18)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홀딩공(16)에 상기 홀딩돌기(18)가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되어, 상기 허브(11)와 보호암(17)이 상기 연결편(15)을 통해 일정각도 절첩될 경우 상기 보호암(17)의 내측에 구비된 구속리브(19)를 통하여 상기 바늘(13)이 구속 고정되는 구성으로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주삿바늘(10)은 선택적으로 주사기 일단에 삽입고정되어 사용되는 허브(21)와, 상기 허브(21)와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허브(21) 상단 중앙에 본딩에 의해 연결 고정되며,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가지는 바늘(23) 및 상기 허브(21)의 외면 양측으로 상호 대향되어 돌출 형성되는 나비편(25)으로 이루어진 나비주삿바늘(20)로 적용되어, 상기 허브(21)가 상기 이송트레이(50)의 고정니플(51)에 다수 개로 안착된 상태로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주삿바늘(10)은 선택적으로 주사기 일단에 삽입고정되어 사용되는 허브(31) 및 상기 허브(31)와 내부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허브(31) 상단 중앙에 본딩에 의해 연결 고정되며,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가지는 바늘(33)로 이루어진 일반주삿바늘(30)로 적용되어, 상기 허브(31)가 상기 이송트레이(50)의 고정니플(51)에 다수 개로 안착된 상태로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
KR1020140157789A 2014-11-13 2014-11-13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 KR101615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789A KR101615036B1 (ko) 2014-11-13 2014-11-13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789A KR101615036B1 (ko) 2014-11-13 2014-11-13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036B1 true KR101615036B1 (ko) 2016-04-22

Family

ID=5591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789A KR101615036B1 (ko) 2014-11-13 2014-11-13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03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304B1 (ko) * 2016-05-12 2017-02-22 백우인 주사바늘 정렬 장치
CN109011030A (zh) * 2018-08-08 2018-12-18 长沙理工大学 自动注射仪器针头的位置检测矫正方法及装置
CN109702479A (zh) * 2019-01-30 2019-05-03 采纳科技股份有限公司 注射针自动组装系统的上针设备
CN110082262A (zh) * 2019-04-16 2019-08-02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自动针入度仪及其对针方法
CN112964636A (zh) * 2021-02-01 2021-06-15 深圳至汉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弹簧针检测方法和检测设备
KR20210075342A (ko) * 2019-12-13 2021-06-23 유정열 주사 바늘 정렬 장치
KR102367091B1 (ko) * 2021-07-27 2022-02-23 서광호 주사기의 침관 정렬 장치
WO2022065582A1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아티큐 신체 자동 침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46029B1 (ko) * 2023-02-17 2023-06-22 주식회사 성우에프에이 주사기 이중바늘 정렬 및 검사장치
CN110082262B (zh) * 2019-04-16 2024-05-10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自动针入度仪及其对针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9341B2 (ja) 2009-07-03 2011-09-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ープ貼り付け装置およびテープ貼り付け方法
KR101173957B1 (ko) 2011-09-09 2012-08-16 (주)코맥 주사바늘 조립용 지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9341B2 (ja) 2009-07-03 2011-09-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ープ貼り付け装置およびテープ貼り付け方法
KR101173957B1 (ko) 2011-09-09 2012-08-16 (주)코맥 주사바늘 조립용 지그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304B1 (ko) * 2016-05-12 2017-02-22 백우인 주사바늘 정렬 장치
CN109011030A (zh) * 2018-08-08 2018-12-18 长沙理工大学 自动注射仪器针头的位置检测矫正方法及装置
CN109702479A (zh) * 2019-01-30 2019-05-03 采纳科技股份有限公司 注射针自动组装系统的上针设备
CN109702479B (zh) * 2019-01-30 2024-04-16 采纳科技股份有限公司 注射针自动组装系统的上针设备
CN110082262A (zh) * 2019-04-16 2019-08-02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自动针入度仪及其对针方法
CN110082262B (zh) * 2019-04-16 2024-05-10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自动针入度仪及其对针方法
KR20210075342A (ko) * 2019-12-13 2021-06-23 유정열 주사 바늘 정렬 장치
KR102303260B1 (ko) * 2019-12-13 2021-09-15 유정열 주사 바늘 정렬 장치
WO2022065582A1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아티큐 신체 자동 침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2964636A (zh) * 2021-02-01 2021-06-15 深圳至汉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弹簧针检测方法和检测设备
KR102367091B1 (ko) * 2021-07-27 2022-02-23 서광호 주사기의 침관 정렬 장치
KR102546029B1 (ko) * 2023-02-17 2023-06-22 주식회사 성우에프에이 주사기 이중바늘 정렬 및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036B1 (ko) 주삿바늘의 방향 조절 장치
US10201900B2 (en) Control device, robot, and robot system
CN101794721B (zh) 半导体晶圆的定位装置
EP3328181B1 (en) Component mounting machine and component mounting system
CN107926150B (zh) 元件安装装置
CN109311136A (zh) 用于自动更换磨削件的更换站
JP6159800B2 (ja) フィーダ調整装置
CN106457552B (zh) 手持工具系统和驱动方法
JP2016055389A (ja) 物品搬送システム
JP2009507650A (ja) 交換装置
KR101497684B1 (ko) 불량 주삿바늘의 선별검사장치
US10285314B2 (en) Component mounter
CN106120168B (zh) 一种送扣机中纽扣的角度调节装置
JP6543111B2 (ja) ねじ締め装置
US20180192558A1 (en) Component mounting machine
CN102753003A (zh) 图像处理方法及图像处理装置
JP6138407B2 (ja) 医療用マニピュレータシステム
JP2024015380A (ja) 吸着位置調整装置
JP2006505417A (ja) 案内装置
JP6593452B2 (ja) レーザ加工機、及びワークの加工方法
CN106664823A (zh) 作业头单元、安装装置及作业头单元的控制方法
KR102017900B1 (ko) 워크 연마 장치
KR101910341B1 (ko) 스마트 툴 셋
JP7147249B2 (ja) 搬送装置
CN108691100B (zh) 缝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