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892B1 -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 조립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892B1
KR101613892B1 KR1020150058898A KR20150058898A KR101613892B1 KR 101613892 B1 KR101613892 B1 KR 101613892B1 KR 1020150058898 A KR1020150058898 A KR 1020150058898A KR 20150058898 A KR20150058898 A KR 20150058898A KR 101613892 B1 KR101613892 B1 KR 101613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cture frame
digital
photo frame
digital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영
윤정훈
Original Assignee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8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진액자와 그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액자 프레임으로 구성된 사진액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사진액자는 박막의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투명보호층(110)과; 상기 투명보호층에 밀착하여 결합되어 있고, 디지털 사진을 인쇄하여 고정시키고 있으며, 박막의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의 사진고정층(120)과; 박막의 플라스틱 필름을 5 매 내지 50 매 합지시켜서, 외부의 충격에 대해 내충격성을 보유하고 있는 내충격 몸체부(130);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액자 프레임은 상기 사진액자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고 유연한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 프레임체(210)와; 상기 사진액자의 외주면을 압박하면서 접해 있는 밀착면(220)과; 상기 액자 프레임의 전면 방향에 형성된 전방면(230)과; 상기 액자 프레임의 배면 방향으로 형성된 후방면(240)과; 상기 밀착면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면과 상기 후방면의 사이에 형성된 외주면(250);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 조립체{Digital Smart Picture Frame Assembly}
본 발명은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와 액자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고,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와 사진액자의 외주면을 감싸주면서,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의 충격흡수를 도와줌과 동시에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의 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액자 프레임을 포함한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진액자는 사람의 얼굴 또는 가족이나 단체 구성원들의 사진을 전시하고자 할 경우, 투명한 유리판으로 그 전면을 보호하고, 그 배면을 두꺼운 종이 또는 합판으로 형성한 배면판으로 받쳐준 다음, 이들을 사진틀에 의하여 세트화시켜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사진액자는 사진이나 각종 그림 등을 사진틀의 내부에 삽입시키고, 그 배면판에 걸고리를 형성하여 벽에 걸어두거나, 그 배면판에 받침대를 형성하여 책상이나 화장대 또는 전시용 가구의 전시대 위에 일정한 각도로 거치하여 장식용품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종래의 사진액자는 주로 투명한 유리판과, 그 안쪽에 삽입된 사진과, 그 뒤쪽에 위치하여 사진을 받쳐주는 배면판과, 이들을 사방으로 둘러싸고 이들을 서로 밀착시켜서 하나의 세트로 형성하도록 해주는 사진틀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사진액자는 다수의 구성부품들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들은 상기 사진틀에 의해 느슨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어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거나, 높은 곳에서 떨어뜨려진 경우, 사진액자는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일단 파손된 사진액자는 상기 사진틀이 깨지거나 균열이 발생되거나, 상기 유리판이 깨지거나 균열을 일으키게 됨으로써, 더 이상 매력적인 사진액자로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사진액자의 단점을 해소시켜주기 위하여, 사진액자의 외주면을 감싸주는 사진틀 내지 액자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액자 프레임은 사진액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매우 두껍고 견고한 나무재질 또는 합성목재 등으로 제작되거나, 금속띠 형상으로 가공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종래의 이러한 액자 프레임은 사진액자를 보호하는데 가장 중요한 포인트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그의 보호대상이 되는 사진액자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었고, 이를 별도로 분리하거나 해체할 수 없었다. 따라서, 액자 프레임을 일단 사진액자에 결합되어 사용되어진 경우, 그 액자 프레임은 사진액자와 일체화되어 있어서, 더 이상 분리하여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사진액자 및 액자 프레임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상호간에 조화감이나 통일감을 주지 못하였고, 이들이 서로 조화로운 미감을 제공하지 못하였으며, 한 번 사용되어지면, 다른 형태의 사진액자와 액자 프레임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없었으므로, 상호간의 조합을 통하여 새로운 미감을 창출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2732호 "액자용 지지대" (2015. 3. 9.);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고 제20-1987-1312호 "사진액자용 테" (1987. 4. 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315151호 "보강장식테를 구비한 유리액자" (2003. 5. 20.).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와 액자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고,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와 사진액자의 외주면을 감싸주면서,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의 충격흡수를 도와줌과 동시에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의 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액자 프레임을 포함한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물이나 사물의 영상을 나타내는 사진액자와 상기 사진액자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액자 프레임으로 구성된 사진액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사진액자는 0.05 밀리미터 내지 0.7 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지고 있고,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투명보호층과; 상기 투명보호층에 밀착하여 결합되어 있고, 0.05 밀리미터 내지 0.7 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그 표면에 디지털 사진을 인쇄하여 고정시키고 있는 사진고정층과; 0.05 밀리미터 내지 0.7 밀리미터 두께의 플라스틱 박막 필름을 5 매 내지 50 매 합지시켜서 구성되어 있고, 외부의 충격에 대해 내충격성을 보유하고 있는 내충격 몸체부; 를 포함하고 있는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액자 프레임은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고 유연한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 프레임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의 외주면을 압박하면서 접해 있는 밀착면과; 상기 액자 프레임의 전면 방향에 형성된 전방면과; 상기 액자 프레임의 배면 방향으로 형성된 후방면과; 상기 밀착면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면과 상기 후방면의 사이에 형성된 외주면;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와 사진액자 프레임을 서로 자유롭게 결합시키고 또한 자유롭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의 사진액자 프레임을 맞추어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생동감이 넘치고 다양한 미감을 제공하는 사진액자 조립체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사진액자 조립체는 그의 외주면에 유연한 실리콘 재질의 사진액자 프레임을 결합시킨 것이므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쉽게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진액자 조립체(300)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합한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의 개략적인 분해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합한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의 제조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1b의 X-X 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사진액자 조립체(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진액자 조립체(300)의 변형 예를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인물이나 사물의 영상을 나타내는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와,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액자 프레임(200)으로 구성된 사진액자 조립체(300)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진액자 조립체(300)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합한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의 개략적인 분해상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을 인쇄하여 만들어진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를 대상으로 하고,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는 다수의 박막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되, 다수의 박막 필름을 합지시켜서 단일의 시트형상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는 디지털 영상을 인쇄하여 제조된 것이므로 매우 선명하고 깔끔한 미감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외부에서 강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도, 그 충격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에 의해 그 자체적으로도 매우 신선하고 스마트한 미감을 제공하고 있지만, 유연성 액자 프레임을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의 외주면에 자유롭게 결합시키고 자유롭게 분리시키거나, 다른 유연성 액자 프레임을 교체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매우 다양하고 신선한 미감을 계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 조립체(300)는 디지털 영상을 인쇄하여 만들어진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는 0.05 밀리미터 내지 0.7 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지고 있고,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투명보호층(1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투명보호층(110)는 단일의 박막 플라스틱 필름층으로 형성되어 있고, 투명한 필름층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투명보호층(110)는 그 안쪽에 존재하는 사진자료의 영상을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에 선명하고 밝은 모습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박막이라 함은 그 두께가 0.05 밀리미터 내지 0.7 밀리미터의 범위에 속하는 얇은 필름상의 시트를 말한다. 상기 박막 필름상의 시트가 0.05 밀리미터 이하의 두께를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디지털 인쇄가 곤란한 반면에, 0.7 밀리미터 이상의 두께를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얇은 필름상의 시트로서 적합한 성질을 누릴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는 상기 투명보호층(110)에 밀착하여 결합되어 있는 사진고정층(1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사진고정층(120)은 역시 0.05 밀리미터 내지 0.7 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진 박막의 플라스틱 필름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사진고정층(120)은 불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그 표면에 디지털 영상에 의한 사진자료를 인쇄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인쇄된 사진자료가 선명하게 그 영상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사진고정층(120)은 박막의 불투명 플라스틱 표면 위에 디지털 영상을 인쇄하여 외부에 나타나도록 해주고 있다. 상기 디지털 영상의 인쇄는 통상의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디지털 영상이 0.05 밀리미터 내지 0.7 밀리미터 두께의 박막 플라스틱 시트 위에 디지털 인쇄되어 있지만, 최종적으로 완성된 사진액자(100)는 전체적으로 5 밀리미터 내지 20 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진 일체형 플라스틱 몸체에 디지털 인쇄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는 다수의 플라스틱 박막 필름들이 합지되어 형성된 내충격 몸체부(1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내충격 몸체부(130)는 0.05 밀리미터 내지 0.7 밀리미터 두께를 가진 박막의 플라스틱 필름들을 취하고, 이들로부터 5 매 내지 50 매를 하나로 합지시켜서 구성되어 있다. 좀더 바람직하기로는 10 매 내지 40 매를 하나로 합지시키는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0 매 내지 30 매 정도를 하나로 합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내충격 몸체부(130)를 구성하는 각각의 박막 플라스틱 필름들의 합지 방식은 각각의 박막 플라스틱 필름들 사이에 접착제를 개입시켜 합지시키는 접착방법이나, 상기 각각의 박막 플라스틱 필름들을 서로 하나로 합쳐놓은 상태에서 고온으로 가압 가열하여 접합시키는 열용융방법이나, 또는 상기 접착제를 각각의 필름층에 개입시킨 상태에 가열 가압시켜 접합시키는 하이브리드방법으로 진행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통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내충격 몸체부(130)는 복수의 박막의 플라스틱 필름들을 취하여 이들을 합지시켜서 단일의 플라스틱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첫째, 현재의 디지털 인쇄방식에 의할 경우, 인쇄 대상이 되는 시트의 두께가 1.0 밀리미터 이상을 형성하고 있을 경우에는, 현실적으로 디지털 인쇄를 수행할 수 없으므로, 일단 박막의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에 디지털 인쇄를 행하고, 디지털 인쇄된 박막의 플라스틱 필름을 상기 내충격 몸체부(130)에 합지시키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내충격 몸체부(130)를 그대로 이용할 경우에는 그 표면에 디지털 인쇄를 수행할 수 없지만, 박막 필름에 디지털 인쇄하여 상기 박막의 사진고정층(120)을 형성한 다음, 이것을 상기 내충격 몸체부(130)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다수의 박막 필름들을 합지시킴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충분한 강도를 보유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단일의 두꺼운 플라스틱층을 이용하지 않고, 다수의 필름을 합지시켜서 단일의 두꺼운 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사진액자를 위에서 떨어뜨리거나, 외부에서 충격을 가할 경우에도, 본 발명의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가 깨지거나 균열을 일으키지 않도록 해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는 상기 내충격 몸체부(130)의 뒷면에 추가적으로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박막 시트(140)를 더욱 포함할 수 있고, 그 뒷면에 투명한 플라스틱 박막 시트(150)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박막 시트(140)는 최종적으로 인쇄된 박막 시트층으로 전환되어지고, 상기 투명한 플라스틱 박막 시트(150)는 최종적으로 배면의 투명 보호층으로 전환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는 그 뒷면에 사진액자의 디지털 사진에 관한 사항을 기록하여 둠으로써, 사진액자에 관한 추억을 영원히 생생하게 기억할 수 있고, 사진액자의 제공업자 또는 기업체에 관한 광고물을 기재하여 둘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의 뒷면에는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홈 또는 받침대 결합홈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홈은 사진액자를 벽면 등에 걸어놓을 수 있는 반면에, 상기 받침대 결합홈은 별도의 받침대(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사진액자를 바닥면에 비스듬히 경사지게 놓여질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합한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의 제조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의 제조방법은 디지털 사진 자료를 취하고, 박막의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에 디지털 사진 자료를 디지털 인쇄하여 사진고정층(120)을 형성하는 사진고정부의 형성단계(S 2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사진고정부의 형성단계(S 21)는 고객 또는 사용자의 얼굴이나 가족이나 단체의 활동 장면 등을 디지털 영상으로 촬영한 다음, 그 디지털 영상을 사진자료로서 활용한다. 상기 디지털 영상은 고객 또는 사용자의 얼굴 사진이나 가족사진 또는 광고물 사진 등을 대상으로 하며, 디지털 자료로 확보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영상은 박막의 플라스틱 시트의 표면 위에 디지털 인쇄방식으로 프린팅되어진다. 상기 박막의 플라스틱 시트는 불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지털 영상이 프린팅되어지면, 상기 불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플라스틱 시트는 사진고정층(12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의 제조방법은 다수의 박막 플라스틱 필름들을 합지시켜서 내충격 몸체부(130)를 형성하는 내충격 몸체부의 형성단계(S 2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내충격 몸체부의 형성단계(S 22)는 0.05 밀리미터 내지 0.7 밀리미터 두께를 가진 박막을 플라스틱 필름들을 취하고, 그 중에서 5 매 내지 50 매를 선정하여 하나로 모아서 묶음체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묶음체를 형성하는 각각의 박막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접착제를 개입시킬 수 있고, 접착제를 개입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묶음체를 열용융 방식으로 고온 고압으로 가압시켜 박막의 필름들이 서로 접착되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은 90 ℃ 내지 150 ℃ 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의 제조방법은 투명한 재질의 박막 플라스틱 필름과 상기 사진고정층(120)과 상기 내충격 몸체부(130)를 순서대로 배열시키고, 외부에서 고온 고압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하나의 일체형 시트형상으로 만들어주는 단일층 액자 시트의 형성단계(S 2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단일층 액자 시트의 형성단계(S 23)는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그 두께가 0.05 밀리미터 내지 0.7 밀리미터의 범위에 속한 플라스틱 필름을 제1 순위로 배열시키고, 그 다음에 상기 사진고정층(120)을 제2 순위로 배열시키며, 그 다음에 상기 내충격 몸체부(130)를 제3 순위로 배열시켜서, 임시적인 합지시트를 형성한다.
상기 단일층 액자 시트의 형성단계(S 23)는 상기 임시적인 합지 시트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열 용융접착방식으로 외부에서 고온 고압으로 가열 및 가압시킴으로써, 일체화된 단일층의 시트형상을 만들어준다. 이때, 상기 제1 순위로 배열되어 있던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 필름은 투명보호층(11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의 제조방법은 전단계에서 얻은 상기 일체형 시트형상을 취하고, 최종적인 액자의 형태를 따라 절단하여 단일층으로 형성된 사진액자를 완성하게 되는 최종 액자 형태의 마무리 단계(S 2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최종 액자 형태의 마무리 단계(S 24)는 하나의 단일 시트 형상으로 존재하는 것을 NC 절단기와 같은 정밀 가공기계를 통하여 최종 액자의 형태로 절단하게 된다. 최종 액자의 형태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기타 다각형의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종 액자 형태의 마무리 단계(S 24)는 사진액자의 외곽 테두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단차 가공을 수행하거나 라운드 가공을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단차 가공을 하거나 라운드 가공을 진행할 경우, 다수의 박막 시트의 표면이 외부로 드러나게 되고, 다양한 색상의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단일층 액자 시트의 형성단계(S 23)에 있어서, 상기 내충격 몸체부(130)의 뒷면에 추가적으로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박막 시트(140) 및 그 뒷면에 투명한 플라스틱 박막 시트(150)를 더욱 포함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최종적인 사진액자(100)는 단일층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제반 단계들을 통하여 완성된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액자 프레임(200)을 포함하고 있다.
도 4는 도 1b의 X-X 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사진액자 조립체(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진액자 조립체(300)의 변형 예를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이다.
상기 액자 프레임(200)은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고 유연한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 프레임체(210)를 가지고 있다. 상기 프레임체(210)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서 매우 유연하고, 잡아당기면 늘어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연성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액자 프레임(200)은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의 외주면을 압박하면서 접해 있는 밀착면(2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밀착면(220)은 상기 프레임체(210)의 안쪽에 존재하게 되고,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결합되어지게 된다. 상기 밀착면(220)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의 외주면을 단차 가공하여 그에 적합하게 형성하거나,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의 외주면에 좀더 압박하여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밀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면(220)은 그의 단면상 중앙부위에서 약간 오목하게 형성되어지고 그의 양쪽 부위에서 약간 볼록하게 튀어나온 오목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액자 프레임(200)은 상기 프레임체(210)의 전면 방향에 형성된 전방면(23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방면(230)은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에 결합되어 있을 경우,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의 전방 사진영상이 존재하는 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면(230)에는 사진 액자에 적합한 줄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줄무늬는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의 사진 자료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줄무늬는 금색, 은색, 크롬색 등과 같은 금속색 띠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자 프레임(200)은 상기 프레임체(210)의 배면 방향으로 형성된 후방면(2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후방면(240)은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에 결합되어 있을 경우, 사진액자의 후방에 존재하게 된다. 그렇지만, 상기 액자 프레임(200)은 상기 프레임체(210)를 유연성 실리콘 재질로 형성한 것이므로, 쉽게 상기 사진액자(100)에서 분리하여 이탈시킬 수 있고, 이것을 반대 방향으로 뒤집어서 다시 상기 사진액자(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기 액자 프레임(200)을 처음과 반대방향으로 뒤집어서 결합시킬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100)의 전방으로 그 위치를 바꾸어 존재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후방면(240)은 경우에 따라 상기 전방면(230)과 같이 사진액자(100)의 전방에도 결합되어 존재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역시, 상기 후방면(240)에도 사진 액자에 적합한 줄무늬가 형성될 수 있고, 금색, 은색, 크롬색 등과 같은 금속색 띠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230)과 상기 후방면(240)에 서로 다른 줄무늬를 형성하게 될 경우, 하나의 액자 프레임(200)을 이용하여 2가지 이상의 전방면의 줄무늬 모양을 구현하게 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액자 프레임(200)은 상기 밀착면(220)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주면(25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외주면(250)은 상기 전방면(230)과 상기 후방면(24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진액자 조립체(300)는 상기 사진액자(100)의 외주면에 상기 액자 프레임(200)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액자 프레임(200)을 사진액자(100)로부터 분리하여 다른 액자 프레임을 교체하여 결합시키거나, 그 앞면과 뒷면을 바꾸어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 조립체(300) 및 그 결합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 사진액자, 110 : 투명보호층,
120 : 사진고정층, 130 : 내충격 몸체부,
140 : 불투명 플라스틱 박막 시트, 150 : 투명 플라스틱 박막 시트
200 : 액자 프레임, 210 : 프레임체,
220 : 밀착면, 230 : 전방면,
240 : 후방면, 250 : 외주면

Claims (2)

  1. 인물이나 사물의 영상을 나타내는 사진액자와 상기 사진액자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액자 프레임으로 구성된 사진액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사진액자는,
    0.05 밀리미터 내지 0.7 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지고 있고,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투명보호층(110)과;
    상기 투명보호층에 밀착하여 결합되어 있고, 0.05 밀리미터 내지 0.7 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그 표면에 디지털 사진을 인쇄하여 고정시키고 있는 사진고정층(120)과;
    0.05 밀리미터 내지 0.7 밀리미터 두께의 플라스틱 박막 필름을 5 매 내지 50 매 합지시켜서 구성되어 있고, 외부의 충격에 대해 내충격성을 보유하고 있는 내충격 몸체부(130);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액자 프레임은,
    상기 사진액자(100)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고 유연한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 프레임체(210)와;
    상기 사진액자의 외주면을 압박하면서 접해 있는 밀착면(220)과;
    상기 액자 프레임의 전면 방향에 형성된 전방면(230)과;
    상기 액자 프레임의 배면 방향으로 형성된 후방면(240)과;
    상기 밀착면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면과 상기 후방면의 사이에 형성된 외주면(250);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 조립체(3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액자는
    상기 내충격 몸체부(130)의 뒷면에 추가적으로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박막 시트(140)와; 투명한 플라스틱 박막 시트(150)를 더욱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박막 시트(140)는 인쇄된 박막 시트층으로 전환되어 형성되어지고, 상기 투명한 플라스틱 박막 시트(150)는 배면의 투명 보호층으로 전환되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 조립체(300).

KR1020150058898A 2015-04-27 2015-04-27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 조립체 KR101613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898A KR101613892B1 (ko) 2015-04-27 2015-04-27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898A KR101613892B1 (ko) 2015-04-27 2015-04-27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892B1 true KR101613892B1 (ko) 2016-05-02

Family

ID=56021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898A KR101613892B1 (ko) 2015-04-27 2015-04-27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8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010A (ko) * 2017-09-19 2019-03-27 전윤식 아크릴 액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아크릴 액자
KR20210142436A (ko) 2020-05-18 2021-11-25 주일규 Led 액자.
KR20220159739A (ko) 2021-05-26 2022-12-05 이광재 장식용 이미지 고착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636U (ja) * 1992-09-10 1994-04-12 帝人化成株式会社 フォトスタンド類
JP2002136403A (ja) * 2000-10-31 2002-05-14 Kazuyoshi Nishikawa 葬祭用遺影写真額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
KR20040111292A (ko) * 2004-12-07 2004-12-31 임관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
KR100954785B1 (ko) * 2009-05-11 2010-04-28 김상운 사진의 교환이 가능한 블록액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636U (ja) * 1992-09-10 1994-04-12 帝人化成株式会社 フォトスタンド類
JP2002136403A (ja) * 2000-10-31 2002-05-14 Kazuyoshi Nishikawa 葬祭用遺影写真額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
KR20040111292A (ko) * 2004-12-07 2004-12-31 임관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
KR100954785B1 (ko) * 2009-05-11 2010-04-28 김상운 사진의 교환이 가능한 블록액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010A (ko) * 2017-09-19 2019-03-27 전윤식 아크릴 액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아크릴 액자
KR101991476B1 (ko) 2017-09-19 2019-09-30 전윤식 아크릴 액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아크릴 액자
KR20210142436A (ko) 2020-05-18 2021-11-25 주일규 Led 액자.
KR20220159739A (ko) 2021-05-26 2022-12-05 이광재 장식용 이미지 고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892B1 (ko)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 조립체
EP0431053B1 (en) Laminated frame assembly and method for using
ES2676500T3 (es) Tapa y asiento de inodoro de un compuesto laminar
US20090304993A1 (en) Multiple Reflection Panel
KR101517051B1 (ko) 안전거울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90047971A (ko) 플랙시블 데코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3.4.차원 형상으,복곡률 구조의 윈도우 및 백카바 글라스 유닛
KR101613891B1 (ko) 디지털 스마트 사진 액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324789Y1 (ko) 에어층을 갖는 입체 스티커
JP5062868B2 (ja) 押花装飾額
JPH088927B2 (ja) メガネ
RU197280U1 (ru) Рамка для фотографий
CN209928844U (zh) 一种双层保护的显示屏
JP2009143214A (ja) ラインストーン等の装飾品のための額
US2182515A (en) Mount for photographic prints or the like
US20200222823A1 (en) Face, head, or body costume reflection mirror cling
CN210347973U (zh) 一种专用摄像头凸起镜头膜保护膜
CN107479632B (zh) 显示屏的盖板结构
KR101175056B1 (ko) 강화액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 액자
JP3121053U (ja) 展示用シート
CN211776931U (zh) 一种复合型材料门板
JP2001018598A (ja) 写真等の装飾スタンド
KR20100051016A (ko) 액자 및 그 제조방법
US20040261938A1 (en) Process for making a 3D picture frame
KR200394002Y1 (ko) 헝겊 액자
KR20160149338A (ko) 고급질감을 제공하는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