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1292A -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 - Google Patents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1292A
KR20040111292A KR1020040102227A KR20040102227A KR20040111292A KR 20040111292 A KR20040111292 A KR 20040111292A KR 1020040102227 A KR1020040102227 A KR 1020040102227A KR 20040102227 A KR20040102227 A KR 20040102227A KR 20040111292 A KR20040111292 A KR 20040111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ing paper
frame
work
painting
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관
Original Assignee
임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관 filed Critical 임관
Priority to KR1020040102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11292A/ko
Publication of KR20040111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29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38Frameless pictur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2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reinforcement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양화(한국화)용 액자의 표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화나 글씨 등의 작품이 그려진 화선지의 전면에 투명한 우레탄박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화선지의 전면에 유리판을 댈 필요가 없이 화선지로의 습기 침투와 이물질 부착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작품의 변형 및 변색을 방지하여 작품을 오랜 기간 변함 없이 보존,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아울러 유리판에 의한 반사의 염려가 없어 어느 각도에서건 작품을 용이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한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자의 배면판의 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1단계와,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배면판의 전면에 서화가 그려진 화선지를 부착하는 제2단계와, 상기 화선지의 전면에 우레탄박막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 { The mounting method of the frame for an oriental painting }
본 발명은 동양화(한국화)용 액자의 표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화나 글씨 등의 작품이 그려진 화선지의 전면에 투명한 우레탄박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화선지의 전면에 유리판을 댈 필요가 없이 화선지로의습기 침투와 이물질 부착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작품의 변형 및 변색을 방지하여 작품을 오랜 기간 변함 없이 보존,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아울러 유리판에 의한 반사의 염려가 없어 어느 각도에서건 작품을 용이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한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양화는 수묵이나 수간채색을 주로 하는 회화기법을 기초로 한 작품을 말하며 중국회화, 일본회화, 한국회화를 총칭하여 나타내거나 경우에 따라 한국화의 대용칭으로 혼용되기도 한다.
주로 먹을 사용하여 화선지나 비단에 산수나 사군자 등을 제재로 하여 그리게 되는데, 이러한 동양화는 병풍이나 액자 또는 족자를 만드는 표구를 하여 전시 또는 소장하게 되는 바, 특히 액자의 경우에는 종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액자틀(1)에 의해 가장자리부가 지지되는 장방형의 배면판(2)의 전면에 서화가 그려진 화선지(3)를 접착제(4)로 부착하고 상기 화선지(3)의 전면에 역시 상기 액자틀(1)에 의해 지지되는 유리판(5)을 대어 상기 유리판(5)이 상기 화선지(3)의 전면을 외부의 이물질 등과 차단토록 하는 방식으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서예 및 동양화용 용지로 널리 쓰이는 상기 화선지는 먹을 잘 빨아들이고 또 잘 번지며 내구성도 뛰어난 장점외에, 습기를 잘 빨아들여 용지가 쉽게 울게 되거나 누렇게 변색되기 쉽다는 단점을 함께 갖는데, 상술한 종래의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은 서화가 그려진 화선지에 별도의 처리를 함이 없이 이루어지므로 작품의 장시간 보관시 상기 화선지가 습기를 빨아들여 울게 되거나 변색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작품에 변형이나 변색을 가져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상기 유리판에 의해 빛의 반사가 이루어짐으로써, 작품의 측면부나 상하부에서 작품을 감상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회화나 글씨 등의 작품이 그려진 화선지에 습기 침투와 이물질 부착 방지를 위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작품의 변형과 변색을 방지하여 작품을 오랜 기간 변함 없이 보존, 감상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화선지의 전면에 유리판을 대지 않아도 되어 반사의 염려 없이 어느 각도에서건 작품을 용이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한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에 따른 액자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배면판 20. 접착제
30. 화선지 40. 우레탄박막층
100. 액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은, 액자의 배면판의 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1단계와,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배면판의 전면에 서화가 그려진 화선지를 부착하는 제2단계와, 상기 화선지의 전면에 투명한 우레탄박막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은 액자(100)의 배면판(10)의 전면에 접착제(20)를 도포하는 제1단계와, 상기 배면판(10)의 전면에 서화 등의 작품이 그려진 화선지(30)를 부착하는 제2단계와, 상기 화선지(30)의 전면에 우레탄을 도포, 건조하여 투명한 우레탄박막층(40)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의 제1단계는 액자(100) 배면판(10)의 전면에 접착제(20)를 도포하는 단계로서, 붓이나 롤러 등을 사용하여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의 접착제(20)를 상기 배면판(10)의 전면부 전체에 걸쳐 골고루 도포하게 된다.
상기 접착제(20)는 목재와 지류를 접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목공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초산비닐계의 것을 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의 제2단계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20)가 도포된 상기 배면판(10)의 전면부에 서화 등의 작품이 그려진 화선지(30)를 부착하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접착제(20)의 응고에 따른 상기 화선지(30)의 부착 완료 전에 상기 화선지(30)와 상기 배면판(10)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 부분적으로 미부착됨으로써 상기 화선지(30)가 뜨게 된다거나 구겨지지 않도록 상기 화선지(30)를 잘 펴주어 부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의 제3단계는 상기 화선지(30)의 전면에 투명한 우레탄박막층(40)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먼저, 상기 화선지(30) 전면상의 먼지나 이물질 등을 완전히 제거한 후, 분무기를 이용하여 액상의 우레탄을 분무함으로써 상기 화선지(30)의 전면부 전체에 걸쳐 액상의 우레탄을 골고루 도포하고, 이를 상온에서 건조 경화시킴에 의해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우레탄박막층(40)을 형성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화선지(30) 전면에의 상기 우레탄의 도포는 붓이나 롤러 등을 이용한 칠 작업에 의하는 것도 가능하나 작업의 편의성과 가급적 얇은 우레탄박막층(40)의 형성을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분무기를 이용한 분무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의 도포과정에서 상기 우레탄은 상기 화선지(30)의 표면부를 통해 일부 침투되면서 상기 화선지(30)의 전면부에 도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포된 우레탄은 상온에서 3시간 가량 건조시킴에 의해 경화되어 투명상의 우레탄박막층(40)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우레탄의 1차 도포 및 건조후, 2차 도포 및 건조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단계 이후에는 필요에 따라 사각형상의 액자틀(1)을 설치하는 등의 통상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우레탄은 강한 부착력으로 피도체를 외부로부터 완벽히 차단하고, 흡수율이 거의 없어 방수, 방습 효과가 큰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동양화용 액자는 피도체인 상기 화선지(30)의 전면부가 상기 우레탄박막층(40)에 의해 외부로부터 완전 차단되므로 상기 화선지(30)의 전면부에 외부로부터의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이 부착될염려가 없으며, 특히, 습기나 수분이 상기 화선지(30)에 흡수될 염려가 없어 장시간 비치시에도 상기 화선지(30) 및 상기 화선지(30)상에 그려진 서화 등의 작품에 변형이나 변색이 발생치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작품을 오랜 기간 처음 제작된 상태 그대로 변함 없이 보존, 감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우레탄박막층(40)은 그 두께가 100㎛ 내외가 되도록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처럼 상기 우레탄박막층(40)을 매우 얇게 형성함에 의해 상기 우레탄박막층(40)이 상기 화선지(30) 표면상의 미세굴곡 내지 거칠기와 거의 동일한 굴곡 내지 거칠기를 가지면서 도포됨으로써 상기 우레탄박막층(40)에 대해 빛에 의한 반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종래 상기 화선지(30) 전면에 유리판을 댄 방식과 달리 액자(100)의 측면이나 상하부 어느 각도에서라도 작품을 용이하게 감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편의상 본 발명의 명칭을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이라 칭하였으나 상기 본 발명의 명칭중 '동양화'는 한국화는 물론이거니와, 그림 없이 글씨만으로 된 서예 작품 등을 포함하는 개념임을 밝혀 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은, 회화나 글씨 등의 작품이 그려진 화선지의 전면에 투명한 우레탄박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화선지의 전면에 유리판을 댈 필요가 없이 화선지로의 습기 침투와 이물질 부착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작품의 변형 및 변색을 방지하여 작품을 오랜 기간 변함 없이 보존,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유리판에 의한 빛의 반사의 염려가 없어 어느 각도에서건 작품을 용이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부수적 효과도 갖는다.

Claims (1)

  1. 액자(100)의 배면판(10)의 전면에 접착제(20)를 도포하는 제1단계와, 접착제(20)가 도포된 상기 배면판(10)의 전면에 서화 등의 작품이 그려진 화선지(30)를 부착하는 제2단계와, 상기 화선지(30)의 전면에 우레탄을 도포, 건조하여 투명한 우레탄박막층(40)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
KR1020040102227A 2004-12-07 2004-12-07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 KR20040111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227A KR20040111292A (ko) 2004-12-07 2004-12-07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227A KR20040111292A (ko) 2004-12-07 2004-12-07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292A true KR20040111292A (ko) 2004-12-31

Family

ID=3738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227A KR20040111292A (ko) 2004-12-07 2004-12-07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112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002B1 (ko) * 2006-07-21 2008-01-04 임관 동양화 표구 방법
KR101613892B1 (ko) * 2015-04-27 2016-05-02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 조립체
KR101638493B1 (ko) * 2015-04-27 2016-07-25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디지털 스마트 사진 액자용 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002B1 (ko) * 2006-07-21 2008-01-04 임관 동양화 표구 방법
KR101613892B1 (ko) * 2015-04-27 2016-05-02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디지털 스마트 사진액자 조립체
KR101638493B1 (ko) * 2015-04-27 2016-07-25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디지털 스마트 사진 액자용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642B1 (ko) 도안 및 문자를 적용할 수 있는 층으로된 복합물
RU2007114056A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на издели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и изделие, получаемое этим способом
KR100792002B1 (ko) 동양화 표구 방법
KR20040111292A (ko) 동양화용 액자의 표구방법
CN210390359U (zh) 一种具有镜像增效功能的水透贴
WO2001036193A9 (en) Dry-erase lamina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20090100731A (ko) 장식용 시트지 및 그 시트지 제조방법과 그 시트지가부착된 유리패널
US1736597A (en) Transfer and method of protecting and decorating surfaces
KR100504219B1 (ko) 가구패널용 에지몰딩 스트립
JPH10309894A (ja) 金箔又は金粉を貼り付ける方法
JPS6220277Y2 (ko)
KR101283456B1 (ko) 한지를 포함하는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한지를 포함하는 패널.
KR20100008738A (ko) 무늬가 형성된 가구용 패널 제조 방법 및 그 가구용 패널
JP2003094566A (ja) 遊技機用化粧板
KR101035648B1 (ko) 명판 구조체 및 그의 제작방법
KR100772789B1 (ko) 가구용 패널 코팅방법과 그 코팅패널
KR200183370Y1 (ko) 장식구조를 갖는 실내 창문
KR200361070Y1 (ko) 표면에 페트필름층을 갖는 목재패널
KR200330833Y1 (ko) 보드로 이루어진 화지
JP3054587U (ja) ステンドグラス風装飾セット
CN2365092Y (zh) 一种玻璃复合画
KR200368883Y1 (ko) 접착매개층에 페트지의 건조가열접착층이 부착되게 한가구용 패널
JPH054305A (ja) 化粧板の製造方法
CN101117075A (zh) 一种图画的装裱方法
CN2354788Y (zh) 一种夹合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