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859B1 - 멀티학습 부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학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학습 부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학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859B1
KR101612859B1 KR1020150020333A KR20150020333A KR101612859B1 KR 101612859 B1 KR101612859 B1 KR 101612859B1 KR 1020150020333 A KR1020150020333 A KR 1020150020333A KR 20150020333 A KR20150020333 A KR 20150020333A KR 101612859 B1 KR101612859 B1 KR 101612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egg
learner
module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태
Original Assignee
김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태 filed Critical 김병태
Priority to KR1020150020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859B1/ko
Priority to CN201680009648.2A priority patent/CN107223262A/zh
Priority to JP2017560456A priority patent/JP2018510391A/ja
Priority to US15/550,020 priority patent/US20180240367A1/en
Priority to PCT/KR2016/001284 priority patent/WO201612988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3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zoolog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알의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는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알커넥터(111)가 장착된 케이스(110)와, 상기 알이 부하된 동물과 관련된 캐릭터를 육성 및 학습시키기 위한 멀티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알제어부(120)와, 실행된 멀티학습 프로그램 및 캐릭터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30) 및, 상기 멀티학습 프로그램을 조작하기 위한 학습자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수단(140)을 포함하는 가상부화알(100); 및 상기 가상부화알(100)이 배치될 수 있는 안착공간(210)이 마련되고, 상기 안착공간(210) 내에는 상기 알커넥터(111)와 신호연결되어 가상부화알(100)을 모듈에 접속시키는 제1모듈커넥터(220)가 장착되며, 일측에는 메인서버(400)에 접속된 학습자단말(500)과 신호연결되어 상기 가상부화알(100)의 멀티학습 프로그램과 메인서버(400)를 연동시키기 위한 제2모듈커넥터(230)가 장착된 커넥팅모듈(200);을 포함하는 멀티학습 부화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멀티학습 부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학습 시스템{Multi-Study Incubating Apparatus And, Multi-Study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학습 부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부화알을 이용하여 해당 알이 부화된 동물과 관련된 캐릭터를 생성하고 학습자와의 학습활동을 통해 해당 캐릭터를 육성하면서 부화학습을 포함한 교과학습, 외국어학습, 취미학습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학습을 체득할 수 있는 멀티학습 부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화기는, 인공적으로 부화알을 부화시키는 장치로서, 어미새가 부화알을 품는 것과 유사하게 습도, 온도 및 전란 등 부화알이 부화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들을 고려하여 부화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부화기는, 유치원 및 학교 등에서 유아 및 학생들이 부화알의 부화과정 및 부화학습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학습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부화알은 그 종류에 따라 산란되어 부화기에 안착된 후, 일정 부화기간(달걀의 경우 약 21일) 동안에는 외부적인 변화가 거의 없으며, 부화기간이 경과된 후에야 파각하기 위해 껍질이 깨지면서 비로소 외부적인 변화가 발생하게 되므로 어린 학생들과 같이 인내심이 부족한 경우에는 부화기간 동안 지루함을 느끼게되어 부화학습에 대한 흥미와 학습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현재의 부화상태가 전체의 부화과정에서 어느 과정에 속하며 언제 부화될 것인지 또는 현재의 내부적인 상태는 어떠한 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부화와 관련된 참고도서 및 인터넷 자료 등을 살펴봐야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부화기로 인공부화시키면서 부화알이 도중에 폐사하는 경우, 심리적, 정신적으로 안정적이지 못한 어린 학습자에게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
또한, 부화에 성공하더라도 부화된 동물을 지속적으로 관리하지 못해 쉽게 폐사될 수 있고, 부화된 동물의 울음소리나 변으로 인한 소음과 냄새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사육하지 못해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가치관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학습자에게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인식이 잘못 각인될 수 있었다.
더불어, 종래의 부화기는 부화과정과 관련된 부화학습만이 가능하였으며, 그 외기능은 부가되지 않아 활용도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4684호(2007.03.29), 부화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의 부화알을 이용하여 알이 부화된 동물과 관련된 캐릭터를 생성하고 해당 캐릭터가 생성된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카운트하여 해당 동물의 실제알이 부화되는 부화과정에 부합되게 상기 캐릭터가 육성되는 과정을 영상, 문자, 음성 또는 대화로 표시함으로써 부화과정이나 부화학습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면서도 부화알이나 부화된 동물이 폐사되거나 버려질 염려가 없는 멀티학습 부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부화학습을 포함하여 학습자에게 필요한 교과학습, 언어학습, 취미학습 및 문화활동 학습 등 다양한 멀티학습 컨텐츠를 제공하여 다방면의 교육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학습자에게 흥미있는 게임을 학습 컨텐츠와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어 교육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멀티학습 부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알의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는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알커넥터(111)가 장착된 케이스(110)와, 상기 알이 부하된 동물과 관련된 캐릭터를 육성 및 학습시키기 위한 멀티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알제어부(120)와, 실행된 멀티학습 프로그램 및 캐릭터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30) 및, 상기 멀티학습 프로그램을 조작하기 위한 학습자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수단(140)을 포함하는 가상부화알(100); 및 상기 가상부화알(100)이 배치될 수 있는 안착공간(210)이 마련되고, 상기 안착공간(210) 내에는 상기 알커넥터(111)와 신호연결되어 가상부화알(100)을 모듈에 접속시키는 제1모듈커넥터(220)가 장착되며, 일측에는 메인서버(400)에 접속된 학습자단말(500)과 신호연결되어 상기 가상부화알(100)의 멀티학습 프로그램과 메인서버(400)를 연동시키기 위한 제2모듈커넥터(230)가 장착된 커넥팅모듈(200);을 포함하는 멀티학습 부화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넥팅모듈(200)은, 복수 개의 제2모듈커넥터(230)가 장착되어 임의 하나의 제2모듈커넥터(230)를 이용하여 각 커넥팅모듈(200)간에 신호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제2모듈커넥터(230)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단말(500)에 신호연결되어, 상호 신호연결된 커넥팅모듈(200)에 안착된 각 가상부화알(100)이 동시에 상기 학습자단말(500)에 신호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학습 부화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알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알이 부화된 동물과 관련된 캐릭터를 육성 및 학습시키기 위한 멀티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상기 멀티학습 프로그램과 캐릭터 이미지를 화면출력하는 가상부화알(100) 및, 상기 가상부화알(100)이 안착되면서 신호연결되는 커넥팅모듈(200)을 포함하는 멀티학습 부화장치(300); 상기 멀티학습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각 멀티학습 부화장치(300)에게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멀티학습 컨텐츠 및, 각 학습자별 캐릭터 정보와 멀티학습 진행데이터가 각각 저장된 메인서버(400); 및 상기 멀티학습 부화장치(300)와 신호연결되고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메인서버(400)에 접속하여 각 학습자별 캐릭터 정보와 멀티학습 진행데이터를 업데이트하며, 학습진행 경과 또는 학습자의 요청에 따라 신규 멀티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학습자단말(500);을 포함하는 멀티학습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가상의 부화알(100)을 이용하여 알이 부화된 동물과 관련된 캐릭터를 생성하고 해당 캐릭터가 생성된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카운트하여 해당 동물의 실제알이 부화되는 부화과정에 부합되게 상기 캐릭터가 육성되는 과정을 영상, 문자, 음성 또는 대화로 표시함으로써 부화과정이나 부화학습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면서도 부화알이나 부화된 동물이 폐사되거나 버려질 염려가 없어 폐사나 유기에 따라 어린 학습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심리적, 정신적인 부정적인 요인이나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인식이 잘못 각인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부화학습을 포함하여 학습자에게 필요한 교과학습, 언어학습, 취미학습 및 문화활동 학습 등을 상기 캐릭터에게 교육시키는 중에 학습자가 체득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학습에 대한 교육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육성되는 캐릭터를 통해 상기 부화학습을 포함하여 교과학습, 외국어학습, 취미 및 문화생활 학습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학습을 체득할 수 있어 부화기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부화된 캐릭터는 학습자의 아바타로 메인서버에 등록하면 평생교육 프로그램, 문화생활 및 노인치매 예방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어 유아, 학생, 일반인 및 노인 등을 대상으로 학습교육이나 언어교육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셋째, 가상부화알(100)이 안착되면서 신호연결되는 커넥팅모듈(200)은, 복수 개의 제2모듈커넥터(230)가 장착되어 임의 하나의 제2모듈커넥터(230)를 이용하여 각 커넥팅모듈(200)간에 신호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제2모듈커넥터(230)를 이용하여 학습자단말(500)에 신호연결되어, 상호 신호연결된 커넥팅모듈(200)에 안착된 각 가상부화알(100)이 동시에 상기 학습자단말(500)에 신호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학습자의 가상부화알(100)을 학습자단말(500)에 연결하기 위해 번번히 교체할 필요없이 학습자단말(500)에 연결된 커넥팅모듈(200)의 측부에 다른 커넥팅모듈(200)을 장착하여 신호연결시키는 것으로 학습자단말(500)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의 편의가 증대된다.
넷째, 학습자가 멀티학습 부화장치(300)를 통해 캐릭터를 교육시키면서 캐릭터와의 감성적인 교감을 형성할 수 있고, 캐릭터를 교육하거나 관리하는 정도에 따라 캐릭터의 육성되는 정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학습자로 하여금 캐릭터를 통한 학습교육에 집중하도록 하여 학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다섯째, 조작수단(140)을 통해 입력된 학습자입력신호 또는 음성입력 제어모듈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캐릭터와 대화하는 형식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에게 학습에 대한 지속적인 흥미와 관심을 유도할 수 있으며 캐릭터와의 감성적인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학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학습 부화장치가 학습자단말에 신호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부화알이 커넥팅모듈에 신호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부화알의 외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부화알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커넥팅모듈이 상호 신호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학습 시스템을 통해 구현되는 각종 기능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학습 시스템은, 가상부화알(100)을 이용하여 해당 알이 부화된 동물과 관련된 캐릭터를 생성하고 학습자와의 학습활동을 통해 해당 캐릭터를 육성하면서 부화학습을 포함한 교과학습, 외국어학습, 취미학습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학습을 체득할 수 있는 학습제공 시스템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학습 부화장치(300), 메인서버(400) 및 학습자단말(50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멀티학습 부화장치(300)는 가상부화알(100) 및 커넥팅모듈(20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상부화알(100)은 종래의 실제 부화알을 대신하는 가상의 부화알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알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알커넥터(111)가 장착된 케이스(110)와, 상기 알이 부하된 동물과 관련된 캐릭터를 육성 및 학습시키기 위한 멀티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알제어부(120)와, 실행된 멀티학습 프로그램 및 캐릭터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30) 및, 상기 멀티학습 프로그램을 조작하기 위한 학습자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수단(14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10)는 알의 형상을 갖되 반구형을 갖는 두 개의 부분케이스가 힌지(112)로 결합되어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개폐동작되며, 각 부분케이스의 내면에 디스플레이(130), 조작수단(140) 등이 장착될 수 있고, 각 부분케이스의 체결부위에는 닫혀진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150)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조작수단(140)은 학습자의 조작에 따라 학습자입력신호를 생성하여 멀티학습 프로그램을 조작하고 가상부화알(100)의 동작 및 설정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장치로서, 버튼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에서와 같이 터치패널로 이루어진 경우 버튼형태의 이미지를 표시하고 각 이미지의 터치동작을 선별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학습자입력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각종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보조 디스플레이로 이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알제어부(120)는 커스텀IC로 이루어지며, 상기 알커넥터(111)는 개인의 정보 및 교육체제 차단보안의 USB방식으로 구비되어 학습자의 캐릭터 및 학습정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는 학습자가 멀티학습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서 임의의 동물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동물에는 알을 통해 부화하는 조류, 파충류, 어류 및 곤충 등의 난생동물(Oviparous Animal)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알커넥터(111)는 후술되는 학습자단말(500)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USB 방식의 커넥터 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제어부(120)에는 메모리(121)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12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학습과 관련된 데이터 저장공간 이외에, 학습자가 임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별도로 마련되어 상기 가상부화알(100)을 휴대용 외장메모리처럼 이용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상부화알(100)에는 상기 제1모듈커넥터(220) 및 제2모듈커넥터(230)와 접속되어 각 커넥터를 통해 신호연결된 가상부화알(100) 및 학습자단말(500)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고 가상부화알(100)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접속부(170)와, 가상부화알(100)의 동작 및 설정상태 또는 멀티학습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각종 효과음이나 안내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60)가 구비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가상부화알(100)의 내부에는 통상의 모바일과 같이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장착되며, 알커넥터(111)를 통해 커넥팅모듈(200)이나 학습자단말(500)에 접속된 경우 각종 데이터신호와 함께 충전전압을 인가받아 충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팅모듈(200)은, 신호연결된 가상부화알(100)을 상기 학습자단말(500)에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팅 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상부화알(100)이 배치될 수 있는 안착공간(210)이 마련되고, 상기 안착공간(210) 내에는 상기 알커넥터(111)와 신호연결되어 가상부화알(100)에 모듈을 접속시키는 제1모듈커넥터(220)가 장착되며, 일측에는 메인서버(400)에 접속된 학습자단말(500)과 신호연결되어 상기 가상부화알(100)의 멀티학습 프로그램과 메인서버(400)를 연동시키기 위한 제2모듈커넥터(230)가 장착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팅모듈(200)은 복수 개의 제2모듈커넥터(230)가 장착되어 임의 하나의 제2모듈커넥터(230)를 이용하여 각 커넥팅모듈(200)간에 신호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제2모듈커넥터(230)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단말(500)에 신호연결되어, 상기 신호연결된 커넥팅모듈(200)에 안착된 각 가상부화알(100)이 동시에 학습자단말(500)에 신호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학습자의 가상부화알(100)을 학습자단말(500)에 연결하기 위해 번번히 교체할 필요없이 학습자단말(500)에 연결된 커넥팅모듈(200)의 측부에 다른 커넥팅모듈(200)을 장착하여 신호연결시키는 것으로 학습자단말(500)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의 편의가 증대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팅모듈(200)에는 각 제2모듈커넥터(230)와 근접된 위치에 점등상태로 다른 커넥팅모듈(200) 또는 학습자단말(500)과의 신호연결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260)가 장착되어 학습자가 각 단말간의 접속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커넥팅모듈(200)의 동작 및 설정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수단(250)이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커넥팅모듈(200)의 일측에는 각 단말간의 접속상태 또는 안착되면서 해당 커넥팅모듈(200)이나 신호연결된 가상부화알(100)의 동작 및 설정상태를 이미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24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커넥팅모듈(200)의 타측에는 아답터 등의 전원장치를 연결시키기 위한 아답터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서버(400)는 가상부화알(100)에 설치된 멀티학습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각 멀티학습 부화장치(300)에게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멀티학습 컨텐츠 및, 각 학습자별 캐릭터 정보와 멀티학습 진행데이터가 각각 저장된 서버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서버(400)는 회원등록절차를 통해 각 학습자를 대상으로 회원가입하여 학습자별로 개인정보를 구분관리할 수 있으며, 컨텐츠 비용결제 사항에 따라 각 학습자별로 차등되는 학습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상부화알(100)이 커넥팅모듈(200)과 학습자단말(500)을 통해 메인서버(400)에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가상부화알(100) 또는 커넥팅모듈(200)에 통신망(10)에 접속가능한 통신모듈이 장착된 경우 상기 학습자단말(500)을 거치지 않고 직접 통신망(10)을 통해 메인서버(400)에 접속함으로써 각종 멀티학습 컨텐츠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학습자단말(500)은 멀티학습 부화장치(300)를 메인서버(400)에 접속시키기 위한 통신수단으로서, 상기 멀티학습 부화장치(300)와 신호연결되고 통신망(10)을 통해 메인서버(400)에 접속하여 각 학습자별 캐릭터 정보와 멀티학습 진행데이터를 업데이트하며, 학습진행 경과 또는 학습자의 요청에 따라 신규 멀티학습 컨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학습자단말(500)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트북이나 데스크탑 등의 PC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밖에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이나 테블릿PC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학습자단말(500)에는 각종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510)와, 학습자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조작부(520), 음향출력을 위한 스피커(530) 등이 구비되며, 가상부화알(100)에서와 동일한 멀티학습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커넥팅모듈(200)을 통해 접속된 가상부화알(100)에 대한 캐릭터 및 멀티컨텐츠와 연동된 육성 및 학습에 대한 멀티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모듈(200)과 학습자단말(500)은 인터페이스 커넥터(540)를 통해 신호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공간(210)은 하부로 함몰된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면이 둥근 가상부화알(100)이 상부면에서 구르는 것을 방지하고 가상부화알(100)이 둥지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부화알(100)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학습자단말(500)는 유무선 통신방식의 통신망(10)을 통해 멀티학습 프로그램의 패치프로그램이 저장된 메인서버(400)와 신호연결되어 패치업되면서 부화학습을 포함한 다양한 멀티학습 내용에 대한 데이터를 업그레이드하거나 내용을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서버(400)를 중심으로 인터넷 상에 가상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형성하여 각 학습자들 간의 정보공유나 공감대에 대한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인서버(400)는 개발사나 교육기관 학원 등의 관리업체에서 운용하는 서버로서, 멀티학습 부화장치(300)나 학습자단말(500)로 통신망(10)을 통해 접속되면서 학습자에 의해 생성된 캐릭터 정보와 각종 학습현황 데이터가 등록되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캐릭터를 연결하여 디스플레이(130,510)와 연결가능한 TV에 직접연결되어 캐릭터가 육성되는 과정을 영상, 문자, 음성 또는 대화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메인서버(410)에는 방화벽과 같은 네트워크 상의 보안프로그램이 구동되어 등록된 학습자만이 해당 학습자의 캐릭터 정보 및 학습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개인정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스마트폰과는 안드로이드 시스템 또는 상기 멀티학습 프로그램과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상부화알(100)이나 학습자단말(500)과 신호연결되어 각종 캐릭터 육성 및 학습을 진행할 수 있으며, PC나 노트북, 애플의 아이맥과는 상기 내부에 설치된 멀티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신호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되고 있는 캐릭터 정보나 학습 정보 등의 내용은 가상부화알(100)과 신호연결된 프린터 등의 인쇄수단을 통해 출력되어 학습자가 출력물을 통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서버(400)는 기존에 저장된 다양한 학습정보 이외에 교육용 컨텐츠를 저장하거나, 온라인 게임 프로그램 저장하여 멀티학습 부화장치(300) 및 학습자단말(500)을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상부화알(200)은 멀티학습 부화장치(300) 또는 각 학습자단말(500) 간에 케이블을 통한 유선연결되어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상부화알(100)과 학습자단말(500)의 내부에 무선통신장치가 배치된 경우,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의 무선통신 수단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학습 시스템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학습자가 가상부화알(100)의 멀티학습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학습자가 임의의 가상부화알(100)을 학습자단말(500)과 신호연결된 커넥팅모듈(200)의 안착공간(210)에 안착시키면서 알커넥터(111)와 제1모듈커넥터(220)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이를 감지하여 멀티학습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초기화면을 디스플레이(130,510)에 표시한다.
학습자는 구동되는 멀티학습 프로그램에서 조작수단(140,520)을 통해 부화시키고자 하는 동물의 종류를 선택하면 선택된 동물과 관련된 캐릭터가 생성되고, 생성된 캐릭터정보는 가상부화알(100)의 메모리(121)에 저장된다.
상기 알제어부(120)는 캐릭터가 생성된 시점부터 해당 가상부화알(100)의 산란일을 인식하고 이후 타이밍을 체크하여 상기 가상부화알(100)의 부화진행 상태 및 부화예정 일시에 대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조작수단(140)을 통해 입력된 학습자입력신호에 따라 별도로 입력된 가상부화알(100)의 산란일 정보를 기초로 하여 가상부화알(100)의 부화진행 상태 및 부화예정 일시에 대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릭터는 상기 부화진행 상태 및 부화예정 일시에 따라 육성되는 상태가 달라질 수 있으며, 부화예정 일시가 도래하면 파각하여 해당 동물의 새끼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학습자에 의해 각종 학습이 진행되는 정도에 따라 새끼 형태의 캐릭터는 점차적으로 성장하게 된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진행 정도가 미진한 경우 상가 캐릭터는 현재 상태의 성장단계에서 이전 성장단계로 원복되거나 건장하지 못한 상태로 육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캐릭터에 대한 형상은 디지털 이미지로 생성된 가상의 캐릭터 형상을 가지거나, 선택된 실제 동물의 알 내부의 형상 또는 동물의 실제 형상일 수 있으며, 이는 디스플레이(130,510) 및 스피커(114,530)를 통해 정지영상, 동영상, 문자, 음성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는 상기 멀티학습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부화학습, 교과학습, 외국어학습, 취미 및 문화생활 학습 등과 같이 다양한 학습 카테고리 중 원하는 학습정보를 선택하여, 생성된 캐릭터를 통해 선택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가 학습을 가르치는 입장이 되어 학습과 관련된 정보들을 표시하면서 학습자가 학습을 체득할 수 있고, 학습자가 캐릭터를 가르치는 입장이 되어 본인이 알고있는 학습내용을 입력하는 방식을 통해 학습을 체득할 수 있다.
한편, 학습자는 상기 캐릭터와의 감성적인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데, 예를 들면, 학습자가 조작수단(140,510) 및 마이크를 통해 "안녕?"이라는 일상적인 인사에 해당하는 용어를 입력할 경우, 저장된 답변정보 중 상기 "안녕?"이라는 용어에 적절하게 대응되는 답변정보를 독출하여, "종석아~안녕?"이라는 용어가 디스플레이(130,510)에 표시되거나 스피커(114,530)를 통해 음성으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학습자가 "덥지 않니?"라는 부화환경 요소의 상태와 관련된 용어를 입력할 경우, 최적의 부화환경 정보를 기준으로 가상의 현재온도정보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낼 경우 "조금 더운 것 같아~시원하게 해줄래?" 등과 같이 현재의 부화환경 요소의 적절한 제어사항에 대해 안내하는 용어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학습자는 조작수단(140,520)을 통해 가상의 현재온도를 낮추는 학습자입력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학습자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의 현재온도는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제 부화알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여러가지 부화환경 요소에 대해 학습자가 적절하게 조치할 경우 캐릭터는 정상적인 성장속도로 육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생성된 캐릭터정보 및 진행되고 있는 학습정보는 가상부화알(100)의 메모리(121) 또는 학습자단말(50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멀티학습 부화장치(300)를 이용하여 통신망(10)을 통해 메인서버(400)에 접속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더불어, 학습자는 가상부화알(100)을 분리하여 휴대하면서 상기 멀티학습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학습자단말(500)에 가상부화알(100)을 연결시켜 현재까지 육성되고 있는 캐릭터를 독출하여 캐릭터를 육성하거나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학습 부화기(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가상의 부화알(100)을 이용하여 알이 부화된 동물과 관련된 캐릭터를 생성하고 해당 캐릭터가 생성된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카운트하여 해당 동물의 실제알이 부화되는 부화과정에 부합되게 상기 캐릭터가 육성되는 과정을 표시함으로써 부화과정이나 부화학습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면서도 부화알이나 부화된 동물이 폐사되거나 버려질 염려가 없어 폐사나 유기에 따라 어린 학습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심리적, 정신적인 부정적인 요인이나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인식이 잘못 각인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멀티학습 부화기(300)를 통해 캐릭터를 교육시키면서 캐릭터와의 감성적인 교감을 형성할 수 있고, 캐릭터를 교육하거나 관리하는 정도에 따라 캐릭터의 육성되는 정도가 달리지게 되므로, 학습자로 하여금 캐릭터를 통한 학습교육에 집중하도록 하여 학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조작수단(140,510)을 통해 입력된 학습자입력신호 또는 음성입력 제어모듈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캐릭터와 대화하는 형식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에게 학습에 대한 지속적인 흥미와 관심을 유도할 수 있으며 캐릭터와의 감성적인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가상부화알(100) 또는 학습자단말(500) 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는 학습자의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와, 상기 캐릭터의 음성, 멀티학습 부화장치(300)의 동작상태 및 효과음을 음향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부화알(100) 또는 학습자단말(500)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학습자 음성신호로부터 소정의 단어 및 문장정보를 추출하는 음성입력 제어모듈과, 상기 조작수단(140) 또는 음성입력 제어모듈에 의해 입력된 단어 및 문장에 대응하여 일상적인 인사말, 부화학습 정보, 교과학습 정보, 언어학습 정보, 취미학습 정보, 문화학습 정보 및 치매운동 등의 여러 데이터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대화형식으로 표시하기 위한 답변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부화알의 종류별 최적의 부화환경에 대한 정보가 구비되어 저장되고, 이와 함께 학습자의 이름, 나이, 학년, 성격 등과 같이 캐릭터와의 감성적인 대화를 나누기 위해 기본적으로 입력되는 학습자 기본 정보가 저장된다. 더불어, 각 부화알별로 부화진행 상태 및 부화예정 일시에 대한 정보, 조작수단(140)에 의해 각 부화알별로 부여된 별칭에 대한 정보 등이 부가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수단(140)을 통해 입력된 학습자입력신호 또는 음성입력 제어모듈(122)에서 추출된 데이터에 따라 대응되는 답변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1)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114)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학습자는 알의 부화과정과 관련된 부화학습 뿐만 아니라 학습자에게 필요한 교과학습, 언어학습, 취미학습 및 문화활동학습 등을 상기 캐릭터에게 교육시키는 중에 학습자가 체득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학습에 대한 교육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통신망 100...가상부화알
110...케이스 111...알커넥터
120...알제어부 130...디스플레이
140...조작수단 200...커넥팅모듈
210...안착공간 220...제1모듈커넥터
230...제2모듈커넥터 300...멀티학습 부화장치
400...메인서버 500...학습자단말

Claims (3)

  1. 알의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는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알커넥터(111)가 장착된 케이스(110)와, 상기 알이 부하된 동물과 관련된 캐릭터를 육성 및 학습시키기 위한 멀티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알제어부(120)와, 실행된 멀티학습 프로그램 및 캐릭터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30) 및, 상기 멀티학습 프로그램을 조작하기 위한 학습자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수단(140)을 포함하는 가상부화알(100); 및 상기 가상부화알(100)이 배치될 수 있는 안착공간(210)이 마련되고, 상기 안착공간(210) 내에는 상기 알커넥터(111)와 신호연결되어 가상부화알(100)을 모듈에 접속시키는 제1모듈커넥터(220)가 장착되며, 일측에는 메인서버(400)에 접속된 학습자단말(500)과 신호연결되어 상기 가상부화알(100)의 멀티학습 프로그램과 메인서버(400)를 연동시키기 위한 제2모듈커넥터(230)가 장착된 커넥팅모듈(200);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모듈(200)은, 복수 개의 제2모듈커넥터(230)가 장착되어 임의 하나의 제2모듈커넥터(230)를 이용하여 각 커넥팅모듈(200)간에 신호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제2모듈커넥터(230)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단말(500)에 신호연결되어, 상호 신호연결된 커넥팅모듈(200)에 안착된 각 가상부화알(100)이 동시에 상기 학습자단말(500)에 신호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멀티학습 부화장치.
  2. 삭제
  3. 알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알이 부화된 동물과 관련된 캐릭터를 육성 및 학습시키기 위한 멀티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상기 멀티학습 프로그램과 캐릭터 이미지를 화면출력하는 가상부화알(100) 및, 상기 가상부화알(100)이 안착되면서 신호연결되는 커넥팅모듈(200)을 포함하는 멀티학습 부화장치(300); 상기 멀티학습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각 멀티학습 부화장치(300)에게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멀티학습 컨텐츠 및, 각 학습자별 캐릭터 정보와 멀티학습 진행데이터가 각각 저장된 메인서버(400); 및 상기 멀티학습 부화장치(300)와 신호연결되고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메인서버(400)에 접속하여 각 학습자별 캐릭터 정보와 멀티학습 진행데이터를 업데이트하며, 학습진행 경과 또는 학습자의 요청에 따라 신규 멀티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학습자단말(500);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모듈(200)은, 복수 개의 제2모듈커넥터(230)가 장착되어 임의 하나의 제2모듈커넥터(230)를 이용하여 각 커넥팅모듈(200)간에 신호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제2모듈커넥터(230)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단말(500)에 신호연결되어, 상호 신호연결된 커넥팅모듈(200)에 안착된 각 가상부화알(100)이 동시에 상기 학습자단말(500)에 신호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멀티학습 시스템.
KR1020150020333A 2015-02-10 2015-02-10 멀티학습 부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학습 시스템 KR101612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333A KR101612859B1 (ko) 2015-02-10 2015-02-10 멀티학습 부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학습 시스템
CN201680009648.2A CN107223262A (zh) 2015-02-10 2016-02-05 多功能学习孵化装置及包括其的多功能学习系统
JP2017560456A JP2018510391A (ja) 2015-02-10 2016-02-05 マルチ学習孵化装置及びこれを含むマルチ学習システム
US15/550,020 US20180240367A1 (en) 2015-02-10 2016-02-05 Multi-learning incubating device and multi-learning system including same
PCT/KR2016/001284 WO2016129885A1 (ko) 2015-02-10 2016-02-05 멀티학습 부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학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333A KR101612859B1 (ko) 2015-02-10 2015-02-10 멀티학습 부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학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859B1 true KR101612859B1 (ko) 2016-04-15

Family

ID=5580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333A KR101612859B1 (ko) 2015-02-10 2015-02-10 멀티학습 부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학습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240367A1 (ko)
JP (1) JP2018510391A (ko)
KR (1) KR101612859B1 (ko)
CN (1) CN107223262A (ko)
WO (1) WO201612988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6251B2 (ja) * 1998-03-02 2008-02-13 株式会社バンダイ ゲーム機
KR101312022B1 (ko) 2011-09-05 2013-09-27 박경희 학습용 부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2255A (ja) * 1997-04-01 1998-10-13 Ee D K:Kk 通信機能を備えた携帯ゲーム機及びその通信方法
JP2000116940A (ja) * 1998-10-15 2000-04-25 Seta Corp 双方向通信型ゲームシステム
KR100306209B1 (ko) * 1998-11-25 2002-09-17 이광형 상대다마고치의애완동물을관리할수있는듀얼다마고치
JP3064556U (ja) * 1999-06-03 2000-01-21 株式会社アトラス 携帯ゲ―ム機の設置台
US6231346B1 (en) * 1999-12-06 2001-05-15 Snubelgrass Interactive Ltd. Interactive hatching egg
KR20010083295A (ko) * 2000-02-10 2001-09-01 우태숙 말 사육 휴대용 게임기 및 그 사용방법
JP2002032009A (ja) * 2000-07-14 2002-01-31 Sharp Corp 仮想キャラクタ育成サーバ、仮想キャラクタ育成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2004236862A (ja) * 2003-02-06 2004-08-26 Sente Creations:Kk アクセサリー玩具
JP4025685B2 (ja) * 2003-05-23 2007-12-26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CN2728579Y (zh) * 2004-10-08 2005-09-28 董芝顺 能模拟动物生蛋和孵卵动作的电动玩具
KR20060040229A (ko) * 2004-11-04 2006-05-10 이상엽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창업보육 시스템
KR200376422Y1 (ko) * 2004-11-17 2005-03-10 (주)오토일렉스 자동 제어가 용이한 교육용 부화기
JP4825015B2 (ja) * 2006-02-01 2011-11-30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仮想生命体キャラクタ育成装置
CN202516293U (zh) * 2012-01-14 2012-11-07 李慈 智能学习娃娃玩具及其电路系统
US9675895B2 (en) * 2013-03-13 2017-06-13 Hasbro, Inc. Three way multidirectional interactive toy
CN103971303A (zh) * 2013-12-27 2014-08-06 四川农业大学 一种校企共建的反馈型孵化培养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6251B2 (ja) * 1998-03-02 2008-02-13 株式会社バンダイ ゲーム機
KR101312022B1 (ko) 2011-09-05 2013-09-27 박경희 학습용 부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40367A1 (en) 2018-08-23
WO2016129885A1 (ko) 2016-08-18
JP2018510391A (ja) 2018-04-12
CN107223262A (zh) 2017-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sher Starting from the child: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foundation stage
CN101833877B (zh) 一种学前儿童的启迪教育方法
Dacholfany Leadership style in character education at the Darussalam Gontor Islamic Boarding
Conyne Group work leadership: An introduction for helpers
Sylva et al. Integrative report on a culture-sensitive quality & curriculum framework
Edwards-Groves et al. " Well, that Was an Intellectual Dialogue!": How a Whole-School Focus on Improvement Shifts the Substantive Nature of Classroom Talk.
Harun The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ESL student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Rubini et al.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In Javanese Muslim Families
Stetson et al. Pre-service teacher training at the museum school
KR101760740B1 (ko) 멀티학습 부화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학습 시스템
Puig et al. Design of a socioscientific issue unit with the use of modeling: The case of bees
KR101612859B1 (ko) 멀티학습 부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학습 시스템
KR101542693B1 (ko) 멀티학습 부화기
Conrad Intentions, operations, beliefs, & dispositions of teachers at culturally diverse schools: Examining the intricacies and complexities of great teachers
Khan Outdoor as learning environment for children at a primary school of Bangladesh
Bergeson Reading specialists use verbal protocols as a formative assessment tool
Patton et al. The Integration of Spiritualit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Higher Education.
Johnson 4D's of Spiritual Growth: The Local Church’s Role in Spiritual Growth and Discipleship
McKay It's never too late to nurture a love of reading
Frith et al. The Student's Guide to Peer Mentoring: Get More from Your University Experience
Chappell Equine-facilitated life coaching for youth leadership
Edenfield Performing Identities of the Auditory-Verbal Deaf Students in the Classrooms: A Teacher's Performative Memoir
Anderson A Correlational Study of Culturally Responsive Christian School Leadership and Its Impact on Culturally Marginalized Students
Strannik Developing Spiritually Healthy Leaders for the Vineyard Churches in Russia
Kumar ACADEMIC LANGUAGE HANDBOOK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AND THEIR FAMIL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