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666B1 -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 - Google Patents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666B1
KR101611666B1 KR1020130149013A KR20130149013A KR101611666B1 KR 101611666 B1 KR101611666 B1 KR 101611666B1 KR 1020130149013 A KR1020130149013 A KR 1020130149013A KR 20130149013 A KR20130149013 A KR 20130149013A KR 101611666 B1 KR101611666 B1 KR 101611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ssing table
length adjusting
table body
simple mirror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4373A (ko
Inventor
백지원
손주경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9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666B1/ko
Publication of KR20150064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05Mirror cabinets; Dressing-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for rotatably hanging or suppor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4Appliances for adjus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into a desired position, especially inclined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화장대 몸체; 상기 화장대 몸체의 전면에 부착된 전체 거울 중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간이 거울; 상기 화장대 몸체 내에 구비되어 상기 간이 거울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간이 거울 위치 이동부; 상기 화장대 몸체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 내부에 구비되는 수납함; 및 상기 화장대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함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수납함 위치 이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소엔 일반적인 화장대의 모습을 하고 있다가 사용자와의 거리와 원하는 각도로 조절이 되는 간이 거울의 사용으로 사용자들이 따로 간이 거울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대 몸체의 기울기로 인해 사용자들은 더 이상 불편한 자세를 할 필요 없이 편안하게 세심한 화장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임의의 화장품 비치공간을 두어 불편함도 최소화시켰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대 전체구조에 따라 옆면에 삽입되어있는 수납함은 사용자의 불필요한 행동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각도를 조절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고 편한대로 수납함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 {Djustable Wide Angle Dressing Table}
본 발명은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대 전체 거울에 설치하여 위, 아래 또는 전후로 움직이는 간이 거울의 기능과 다양한 각도로 조절되는 수납함의 기능이 부가된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에 관한 것이다.
예전엔 여성들의 대표적인 가구였던 화장대가 오늘날 남녀노소 누구나 미용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가구로 바뀌었다.
이러한, 화장대와 관련된 기술이 등록실용신안 제0143733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0312775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0143733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0312775호에 개시된 화장대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 제0143733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에서 삼면경화장대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의 삼면경 화장대는 정면경이 수립된 대함(2) 내에 좌우상횡측(3)(4)에 고정한 좌우 체인기어에 상체인(5)을 탄력성 있게 걸고 좌우 하횡축(6)(7)의 기어에 하체인(8)을 탄력성 있게 걸고 그보다 앞쪽 우측의 상하횡측(3)(6)에 체인기어를 각각 고정하여 동력체인(9)을 걸고 하횡측(6)에 웜기어(10)를 고정하여 모우터(11)의 웜(12)으로서 체인들을 연동시키고 상체인(5)의 아랫줄과 하체인(8)의 아랫줄의 좌단부 앞쪽의 접편(13)(14)을 각각 고정시키고 이에 종관(15)의 상하단부를 고착하고 그 중심공에 심간(16)을 유삽하여 빠지지 않게 하고 심간(16)을 위로 정면경(1)의 키만큼 연장하여 이에 우측면경(18)의 좌변연을 고착하였으며, 심간(16)의 하단에 레버(19)를 ㄴ자형으로 고착하고 그 보다 좌측 저반에 제동핀(30)을 수립하였으며, 상하체인(5)(8)의 우단부 뒤쪽에 상하접편(20)(21)을 고정하여 이에 종관(22)의 상하단부를 고착하고 심간(23)을 그 중심공에 유삽하여 빠지지 않게 하고 그 상단을 정면키 만큼 연장하여 그만한 키의 좌측면경(25)의 우변연을 이에 고착하며, 심간(23)의 하단에 레버(26)를 ㄴ자로 고착하고 그 우측에 제동핀(29)을 수립하였으며 중심지주(27)의 상단에 가이드(28)와 가이드벽(28')을 설치하여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삼면경화장대는 대함(2)이 화장대의 정면에 위치하여 상기 대함(2)을 잡아당겨 개방시킨 상태에서는 간섭에 의해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등록실용신안 제0312775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에서 다용도 화장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2의 다용도 화장대는, 테이블(10) 및 다수의 서랍(40)을 구비한 화장대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 일측에 인출가능하게 설치된 화장지 보관함(20)과; 상기 테이블(10) 소정 위치에 인출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한 휴지통 보관함(30)을 포함하며; 상기 화장지 보관함(20)이 설치된 테이블(10) 일측 상부면 상에는 화장지가 인출되는 슬롯형상의 인출공(2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다용도 화장대 역시 서랍이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전면에 구비되어 개방시 간섭에 의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기술에서 화장이나 용모를 단정히 하기 위해 화장대 앞에 서면 다른 작업은 무난하게 할 수 있지만 눈 화장 같은 세심한 작업이 필요한 단계에서는 사용자와 화장대 거울 간의 거리가 화장대 선반의 길이로 인해 거리가 멀어져 세심한 화장을 하기에 불편한 행동이 취해지거나 간이 거울을 따로 준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
KR 0143733 Y1 KR 0312775 Y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납함이 화장대 몸체의 양측면에서 출몰되게 하면서 종축을 기점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화장대의 전체 거울에 부분적으로 간이 거울을 구비하여 세심한 화장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적 각도를 고려하여 간이 거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한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화장대 몸체; 상기 화장대 몸체의 전면에 부착된 전체 거울 중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간이 거울; 상기 화장대 몸체 내에 구비되어 상기 간이 거울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간이 거울 위치 이동부; 상기 화장대 몸체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 내부에 구비되는 수납함; 및 상기 화장대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함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수납함 위치 이동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를 통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간이 거울 위치 이동부는, 상기 화장대 몸체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선단에 고정된 상기 간이 거울의 전후 거리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조절되는 길이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수납함 위치 이동부는, 상기 화장대 몸체의 측면에서 출몰 거리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조절되는 길이 조절부재; 및 상기 길이 조절부재의 끝단에 고정되며, 그 상면에 수납함이 지지되는 선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수납함은 적어도 두개의 개별 공간을 갖는 상자로 구성되며, 상기 상자의 이웃면에 경첩이 구비되어 상기 상자가 종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수납함 위치 이동부의 길이 조절부재는 다단으로 구비되며, 이동시 바퀴에 의해 구름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소엔 일반적인 화장대의 모습을 하고 있다가 사용자와의 거리와 원하는 각도로 조절이 되는 간이 거울의 사용으로 사용자들이 따로 간이 거울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대 몸체의 기울기로 인해 사용자들은 더 이상 불편한 자세를 할 필요 없이 편안하게 세심한 화장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임의의 화장품 비치공간을 두어 불편함도 최소화시켰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대 전체구조에 따라 옆면에 삽입되어있는 수납함은 사용자의 불필요한 행동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각도를 조절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고 편한대로 수납함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의한 삼면경화장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에 의한 다용도 화장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에서 간이 거울 위치 이동부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에서 수납함의 회전 전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에서 수납함 위치 이동부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에서 수납함 위치 이동부의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에 대한 실시 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에서 간이 거울 위치 이동부의 작동 전후 상태가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에서 수납함의 회전 전후 상태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에서 수납함 위치 이동부의 작동 전후 상태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에서 수납함 위치 이동부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100)는 화장대 몸체(110), 전체 거울(120), 간이 거울(130), 간이 거울 위치 이동부(140), 수납함(150) 및 수납함 위치 이동부(160)를 포함한다.
화장대 몸체(110)는 전면 상단에 전체 거울(120)이 구비되고, 상기 전체 거울(120)의 하단에 화장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화장품 거치대(112)가 구비되며, 상기 화장품 거치대(112)의 하단에 경사면(114)이 형성되고 상기 화장품 거치대(112)의 하단 양측에 다리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화장품 거치대(112)는 기존 화장대가 화장품들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전체 거울(120) 바로 앞에 마련하여 자주 사용하는 화장품은 그 공간에 비치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경사면(114)은 설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서 사용자가 거울을 보기 위해 몸을 기울일 때 몸에 간섭하지 않게 하므로 좀 더 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였다.
간이 거울(130)은 전체 거울(120)의 상단 중심부를 원형 형태 등으로 절개하고 그 절개부에 후술할 간이 거울 위치 이동부(140)를 설치하여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간이 거울(130)은 원형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형상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간이 거울(130)은 좌우에 힌지에 의해 절첩되는 보조 거울(도면에 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렇게 상기 보조 거울이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의 좌우 모습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거울 위치 이동부(140)는 전체 거울(120)의 절개부를 통과한 상태로 화장대 몸체(110)내 상단 중심부에 설치되어 끝단에 구비된 간이 거울(130)의 각도 및 출몰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지지대(142) 및 길이 조절부재(144)를 세부적으로 포함한다.
지지대(142)는 전체 거울(120)의 상단 중심부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화장대 몸체(110)의 내부에 고정된다.
길이 조절부재(144)는 한 쌍의 지지대(142)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설정 각도만큼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며, 선단에 고정된 상기 간이 거울(130)의 전후 거리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길이 조절부재(144)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다단의 길이 조절바(144a, 144b, 144c)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단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즉, 길이 조절부재(144)는 안테나 방식을 통해 길이가 조절되되, 지지대(142)에 설치되는 제1 길이 조절바(144a)와, 상기 제1 길이 조절바(144a)의 내부를 따라 출몰하는 제2 길이 조절바(144b)와, 상기 제2 길이 조절바(144b)의 내부를 따라 출몰하며, 선단에 간이 거울(130)의 배면이 고정되는 제3 길이 조절바(144c)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길이 조절바(144a)의 선단에 내측 방향으로 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길이 조절바(144b)의 후단에 상기 제1 길이 조절바(144a)의 턱에 걸릴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되면서 선단에 제3 길이 조절바(144c)의 후단에 형성된 돌기에 걸릴 수 있도록 턱이 형성된다.
결국, 길이 조절부재(144)는 길이조절을 하기 위해서 큰 폭의 제1 길이 조절바(144a) 내부에 각각의 크기에 알맞게 접혀있던 두 개의 제2 길이 조절바(144b)와 제3 길이 조절바(144c)가 안테나가 뽑히는 것처럼 뽑히도록 하였는데, 폭이 작은 제3 길이 조절바(144c)부터 뽑히고 중간 제2 길이 조절바(144b)가 그 다음으로 뽑힌다. 폭이 다른 세 개의 구조물 중 큰 폭의 제1 길이 조절바(144a)가 양쪽 지지대(142)에 고정된 원형의 축에 의해 180°까지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였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빼내고 원하는 각도를 위해 위 아래로 조절이 가능한 간이 거울(130)을 구현하였다.
수납함(150)은 화장대 몸체(110)의 양측면에 상기 수납함(15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함(150)의 측면과 대응되는 사각형 홀을 형성하고,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수납함 위치 이동부(160)에 의해 출몰한다.
이때, 상기 수납함(150)은 전방으로 최대 이동시 화장대 몸체(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홀 내부에 위치되는 베이스(152)와 상기 베이스(152)에 이웃하면서 적어도 두 개의 개별 공간을 갖는 상자(154)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152)와 상기 상자(154)들의 이웃면(사용자 방향)에 종방향의 경첩(156)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상자(154)가 종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수납함(150)이 경첩(156)에 의해 사용자 방향으로 회전되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결국, 상기 수납함(150)은 화장대 옆면에 삽입되어 있으면서 전방으로 이동시 경첩(156)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맞춰 상자(154)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근접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수납함(150)은 화장대 몸체(110)의 양측면에 내설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일측면에만 내설되게 구비할 수 있다.
수납함 위치 이동부(160)는 화장대 몸체(1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함(150)의 위치를 이동시키며, 길이 조절부재(162) 및 선반(164)을 세부적으로 포함한다.
길이 조절부재(162)는 화장대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선반(164)의 상면에 위치되는 수납함(150)의 출몰 거리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조절된다. 이때, 상기 길이 조절부재(162)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다단으로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3단으로 구비됨을 예시한다.
더욱이, 상기 길이 조절부재(162)가 3단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를들면 화장대 몸체(110)의 양측벽 내부에 각각 고정되는 제1 길이 조절부재(162a)와,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162a)의 내부를 따라 출몰하는 제2 길이 조절부재(162b)와 상기 제2 길이 조절부재(162b)의 내부를 따라 출몰하며 그 사이에 선반(164)이 설치되는 제3 길이 조절부재(162c)로 구성된다.
이때, 제1 길이 조절부재(162a)와 제2 길이 조절부재(162b) 및 제3 길이 조절부재(162c)는 단면형상이 대향된 "⊂" 자와 "⊃"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162a)의 사이 간격이 가장 넓고 상기 제3 길이 조절부재(162c)의 사이 간격이 가장 좁으며, 대향된 상기 제3 길이 조절부재(162c)의 사이에 선반(164)이 설치된다.
즉, 상기 길이 조절부재(162) 중 제1 길이 조절부재(162a)는 화장대 몸체(110)의 양측벽 내에 내장되어 움직이지 않고 나머지 두 개의 제2 길이 조절부재(162b)와 제3 길이 조절부재(162c)는 같이 비치된 바퀴(R)를 이용하여 구름 접촉에 의해 움직이기 쉽게 하였다.
이때, 실질적으로 이동하는 제2 길이 조절부재(162b)와 제3 길이 조절부재(162c)의 구조물을 두 개로 구성한 이유는 하나의 구조물만으로 선반(164)을 빼내면 수납함(150)을 받치는 힘이 적어 위태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선반(164)을 빼내면 제3 길이 조절부재(162c)가 먼저 나오기 시작하고 제2 길이 조절부재(162b)가 제3 길이 조절부재(162c)를 받쳐 튼튼하게 하였다.
더욱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화장대 몸체(110)의 전면에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상반신 길이를 검출한 후 상기 센서의 검출값을 통해 제어부에서 사용자의 상반신의 길이를 연산하고 해당 상반신 길이에 따라 간이 거울 위치 이동부(140)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어하여 간이 거울(130)의 상하 각도 및 출몰 거리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지지대(142)에는 구동모터 등이 설치되어 길이 조절부재(144)의 회전 각도를 제어 가능하고, 상기 길이 조절부재(144)는 동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 등이 적용되어 상기 실린더 등의 로드 전후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100)의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간이 거울(130)의 사용이 요구되면 간이 거울 위치 이동부(140)의 길이 조절부재(144)를 지지대(142)를 기점으로 상하 회전시켜 적정 각도로 위치시키며, 사용자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길이 조절부재(144)를 사용자 방향으로 잡아 당기거나 반대 방향으로 밀게 된다.
다음으로, 수납함(150)을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한 위치에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선반(164)을 잡아당기면 제일 작은 폭의 제3 길이 조절부재(162c)가 바퀴(R)로 인해 먼저 움직이기 시작하는데, 이 구조물이 제2 길이 조절부재(162b)에 닿게 되면 상기 제2 길이 조절부재(162b)에 달린 바퀴(R)로 인해 상기 제2 길이 조절부재(162b)도 같이 움직이기 시작하여 상기 선반(164)이 바깥으로 완전히 나올 수 있게 하였다. 선반(164)이 바깥으로 완전히 나옴으로써 수납함(150)의 모습도 완전히 같이 나오게 되어 상기 수납함(150)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눈 화장 등과 같은 세심한 작업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와 화장대 거울간의 거리가 화장대 선반의 길이로 인해 거리가 멀어져 세심한 화장을 하기에 불편한 행동이 취해지거나 간이 거울을 따로 준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 이를 위해 화장대의 전면 거울(120)에는 움직임이 가능한 부착형 간이 거울(130)과 평평했던 화장대 선반을 기울이고 화장대 몸체(110) 내부에 각도조절이 가능한 수납함(150)을 구비하는 화장대를 발명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화장대
110: 화장대 몸체
120: 전체 거울
130: 간이 거울
140: 간이 거울 위치 이동부
150: 수납함
160: 수납함 위치 이동부

Claims (5)

  1. 화장대 몸체;
    상기 화장대 몸체의 전면에 부착된 전체 거울 중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간이 거울;
    상기 화장대 몸체 내에 구비되어 상기 간이 거울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간이 거울 위치 이동부;
    상기 화장대 몸체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 내부에 구비되는 수납함; 및
    상기 화장대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함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수납함 위치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이 거울 위치 이동부는, 상기 화장대 몸체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대; 및상기 지지대에 180°각도조절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선단에 고정된 상기 간이 거울의 전후 거리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조절되는 길이 조절부재로 되고,
    상기 수납함 위치 이동부는, 상기 화장대 몸체의 측면에서 출몰 거리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조절되는 길이 조절부재; 및 상기 길이 조절부재의 끝단에 고정되며, 그 상면에 수납함이 지지되는 선반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은 적어도 두개의 개별 공간을 갖는 상자로 구성되며, 상기 상자의 이웃면에 경첩을 설치하여 상지와 상자가 연결되게 하여 상기 연결된 상자가 각각의 경첩에서 종방향으로 회전되는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 위치 이동부의 길이 조절부재는 그 단면이 "ㄷ"형상을 갖는 제1,제2,제3 길이조절부재에 의해 다단으로 구비되며, 이동시 제1,제2,제3 길이조절부재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구름 접촉하는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
KR1020130149013A 2013-12-03 2013-12-03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 KR101611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013A KR101611666B1 (ko) 2013-12-03 2013-12-03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013A KR101611666B1 (ko) 2013-12-03 2013-12-03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373A KR20150064373A (ko) 2015-06-11
KR101611666B1 true KR101611666B1 (ko) 2016-04-11

Family

ID=53502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013A KR101611666B1 (ko) 2013-12-03 2013-12-03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6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2976B (zh) * 2020-06-03 2021-12-07 德清凌凯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电容式传感的梳妆台用化妆品防摔装置
CN111839008A (zh) * 2020-07-21 2020-10-30 湖州永威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整木家居的具有多角度观察功能的梳妆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622Y1 (ko) * 2003-07-22 2004-03-04 안석문 보조 거울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거울
KR200349789Y1 (ko) * 2004-02-12 2004-05-12 남동희 가구용 슬라이드 다단레일
JP2004351089A (ja) * 2003-05-30 2004-12-16 Hiroshi Muneno 鏡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1089A (ja) * 2003-05-30 2004-12-16 Hiroshi Muneno 鏡台
KR200343622Y1 (ko) * 2003-07-22 2004-03-04 안석문 보조 거울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거울
KR200349789Y1 (ko) * 2004-02-12 2004-05-12 남동희 가구용 슬라이드 다단레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373A (ko)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2589B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a crib
ES2565230T3 (es) Mueble de asiento y herraje para el mismo
KR101611666B1 (ko)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
IT201600083713A1 (it) Seggiolone
KR101649594B1 (ko)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
ES2603285T3 (es) Aparato de cocción con puerta retráctil y corredera de guía regulable en la altura
KR101570793B1 (ko) 거울이 구비된 서랍장
KR200472055Y1 (ko) 낚시용 의자의 다리구조
JP2007014685A (ja) 歩行器
US871022A (en) Reclining-chair.
KR100798467B1 (ko)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
JP3149869U (ja) 移動式流し台
US20210361067A1 (en) Convertible Article of Furniture
KR101423870B1 (ko) 침대 및 테이블을 겸용하는 다용도 가구
ITTV20130069A1 (it) Mobile con letto incorporato
EP3078300B1 (en) Adjustable lounger
KR200476051Y1 (ko) 옷걸이가 구비되는 의자
KR101717625B1 (ko) 창틀 거치 건조대
KR102161678B1 (ko) 유아용 의자
JP6809716B2 (ja) 多機能家具
KR101791239B1 (ko) 가변식 가구
JP2006204701A (ja) 椅子
KR200292584Y1 (ko) 접이식 침대
CN102824039B (zh) 一种座椅
KR20160025427A (ko) 가변형 소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