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622Y1 - 보조 거울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거울 - Google Patents
보조 거울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거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43622Y1 KR200343622Y1 KR20-2003-0023614U KR20030023614U KR200343622Y1 KR 200343622 Y1 KR200343622 Y1 KR 200343622Y1 KR 20030023614 U KR20030023614 U KR 20030023614U KR 200343622 Y1 KR200343622 Y1 KR 20034362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rror
- multipurpose
- auxiliary
- housing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 거울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거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거울부와, 소정 부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거울부와 상기 결합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거울부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거울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주거울과, 상기 주거울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보조거울을 포함하는 다용도 거울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거울부와, 상기 거울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조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보조 거울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거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보조 거울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거울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거울은 다양한 종류 예를 들어 손거울, 세면대 거울, 화장대 거울, 탁상용 거울 등이 있으나, 각 거울에 따라서 대략 크기 및 용도가 정해져 있다. 손거울은 비교적 크기가 작아서 휴대하기가 간편하고 특정 부위에 접근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거울에 비춰볼 수 있는 면적에는 한계가 있다. 반면에, 세면대 거울, 화장대 거울 등은 일반적으로 고정되어 사용되지만, 거울에 비출 수 있는 면적이 커서 상반신 또는 전신을 비춰 볼 수 있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거울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거울은 대체적으로 크기 또는 설치에 따라서 사용 용도가 정해져 있다. 즉, 작은 손거울은 특정 부위를 정확하게 비춰볼 수 있지만, 전체 부위를 비춰보는 것은 한계가 있다. 반면에, 세면대 거울 등은 전체 부위를 비춰볼 수 있지만, 특정 부위를 비춰보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세면대 거울 등에서는 특정 부위를 정확하게 비춰보려면 해당 부위를 상기 세면대 거울에 가까이 접근시켜야 하므로 허리 등을 구부려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또한, 시력이 나쁜 사람이 세면대 거울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세면대 거울에 가까이 접근해야 하므로 불편하다.
또한, 종래의 거울은 어두운 곳에서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보조 거울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거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정형 거울과 휴대형 거울의 잇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다용도 거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크기가 큰 거울과 작은 거울의 잇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다용도 거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거울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측면도로서, 주거울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거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거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거울의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거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거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주거울 3 : 보조거울
5 : 조명수단 100 : 위치조절수단
110 : 거리조절부재 120 : 높이조절부재
130 : 거울부 200 : 결합부재
300 : 탁상용 거울 400 : 손거울
310, 410 : 발광부 320, 420 : 스위치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거울부와, 소정 부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거울부와 상기 결합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거울부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거울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고안은 주거울과, 상기 주거울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보조거울을 포함하는 다용도 거울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고안은 거울부와, 상기 거울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조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울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몸을 움직이지 않고도 필요한 부위를 거울에 정확히 비추어 볼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어두운 곳에서도 거울을 이용하기가 편리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거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거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일반적인 거울(1)(이하 "주거울"이라 함)의 소정 위치에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거울(3)(이하 편의상 "보조 거울"이라 함)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주거울(1)은 고정형이고 크기가 크며 상기 보조거울(3)은 탈부착형이며 상기 주거울(1)은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보조거울이 주거울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2b는 보조거울이 주거울에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보조거울(3)은 실제 필요 부위를 비춰 보는 경면을 가지며 소정 형상을 가지는 거울부(130)와, 일단이 상기 거울부(130)에 결합되며 타단은 주거울(1)의 소정 위치에 결합되는 위치조절수단(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주거울(1)에는 보조거울(3)의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부(1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거울부(130)가 주거울(1)에 밀착될 때 상기 거울부(130)이 상기 안착부(1a)에 수용되어 상기 거울부(130)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물론, 안착부(1a)의 형성 여부는 주거울(1)의 두께 등 기타의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위치조절수단(100)은 거울부(130)를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거리조절부재(110)과, 상기 거울부(130)을 실질적으로 수직방향(또는 상하 소정 각도 회전)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부재(1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조절부재(110)의 일예는 한 쌍의 링크(102, 104)의 집합이 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한 쌍의 링크(102, 104)는 힌지 결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거리조절부재(110)에 의하여 거울부(130)를 사용자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높이조절부재(120)는 거리조절부재(110)과 거울부(1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거울부(130)를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재 예를 들어 힌지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높이조절부재(120)에 의하여 거울부(130)를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상기거울부(130)의 높이를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 위치조절수단(100)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평 및/또는 수직방향으로 거울부(13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고 가능하다. 예들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조절수단(100)으로 플렉시블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플렉시블 스프링의 끝단에 높이조절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지만, 플렉시블 스프링 그 자체로 상하 운동 또는 어느 정도의 회전 운동이 가능하므로 회전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미경 등에 사용되는 텔리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이용하여 위치조절수단(100)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직경이 다른 다수의 원통형 부재를 조합하여 위치조절수단(100)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에는 원통형 부재의 선단에 높이조절부재(12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거울부(130)의 형상 특히 거울부의 경면(鏡面)은 평면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필요에 따라 특정 부위를 보다 정확히 확대 또는 축소하여 볼 수 있도록 오목형 또는 볼록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거울부(130)를 평면형, 오목형 및 볼록형 거울의 최소한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거울부(130)에는 전등과 같은 조명수단(5)이 설치되어 특정 부위를 비춰 보려 할 때 보다 나은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은 세면대 거울, 화장대 거울 등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차량의 내부 즉 운전석 및 조수석에 설치된 거울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보조거울이 주거울에 고정 결합된 것을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거울(3)을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각종 거울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위치조절수단(100)의 일측에 결합부재(200)를 설치하고, 상기 결합부재(200)를 이용하여 각종 거울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00)를 가진 보조 거울(3)을 다른 거울에 부착되는 방식은 여러가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접착제,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결합부재(200)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탈부착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결합부재(200) 자체를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을 이용하고, 상기 결합부재(200)의 일면(주거울에 부착될 면)에 오목부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결합하는 방식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일반적인 거울에 조명수단 만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탁상용 거울(300), 손거울(400) 등에 조명수단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수단은 전등과 같은 발광부(310, 410) 및 사상기 발광부(310, 41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스위치부(320, 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부(310, 410) 및 스위치부(320, 420)의 설치 위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한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물론 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따른 보조 거울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거울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고안에 의하면, 주거울이 크고 보조거울이 작은 경우에, 주거울을 이용하여 전신을 비춰보고 보조거울을 이용하여 소정 부위를 정확하게 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보조거울을 이동하여 입속의 이물질을 정확하게 볼 수 있으며, 화장하는 경우에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조명수단을 이용하여 시야를 밝게 주어 어두운 곳에서도 거울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조명수단이 없은 어두운 곳에서는 거울이 잘 보이지 않고 또한 미간을 찌푸리게 되는데, 본 고안에 따르면 어두운 곳에서도 거울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거울이 있는 공간의 전등 전체를 켜는 대신에 거울에 설치된 조명수단 만을 동작시키면 되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셋째, 오목형 보조거울 등을 이용하는 본 고안에 따르면, 소정 부위를 확대하여 볼 수 있으므로 좀 더 세밀한 관찰을 요하는 경우에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6)
- 주거울과;상기 주거울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거울부 및 상기 거울부를 상기 주거울에 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위치조절수단을 가지는 보조거울을 포함하는 다용도 거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거울은 상기 주거울은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울.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거울부를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거리조절부재와, 상기 거울부를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절부재는 힌지결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의 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거리조절부재와 상기 거울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거울을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결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플렉시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텔리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울.
- 제4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거울은 평면형, 오목형 및 볼록형 거울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울.
- 제4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거울에는 상기 보조거울의 거울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울.
- 제4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부에는 조명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울.
- 제4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의 일측에는결합부재가 설치되여, 상기 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보조거울을 상기 주거울에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거울.
- 거울부와;소정 부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와;상기 거울부와 상기 결합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거울부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거울.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거울부를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거리조절부재와, 상기 거울부를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거울.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3614U KR200343622Y1 (ko) | 2003-07-22 | 2003-07-22 | 보조 거울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거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3614U KR200343622Y1 (ko) | 2003-07-22 | 2003-07-22 | 보조 거울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거울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40362U Division KR200346912Y1 (ko) | 2003-12-27 | 2003-12-27 | 보조 거울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거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43622Y1 true KR200343622Y1 (ko) | 2004-03-04 |
Family
ID=49425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3614U KR200343622Y1 (ko) | 2003-07-22 | 2003-07-22 | 보조 거울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거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43622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1666B1 (ko) * | 2013-12-03 | 2016-04-11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 |
CN112220379A (zh) * | 2020-10-30 | 2021-01-15 |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 一种带有可调节镜面的组合式浴室化妆柜 |
-
2003
- 2003-07-22 KR KR20-2003-0023614U patent/KR20034362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1666B1 (ko) * | 2013-12-03 | 2016-04-11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장대 |
CN112220379A (zh) * | 2020-10-30 | 2021-01-15 |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 一种带有可调节镜面的组合式浴室化妆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881963B2 (ja) | 頭部装着式拡大鏡 | |
JP3114446U (ja) | 携帯型多目的ランプ | |
US20080068850A1 (en) | Sliding vanity door with integral lens | |
KR100905912B1 (ko) | 휴대용 전등 | |
JP2009512155A (ja) | 携帯用電灯 | |
KR200343622Y1 (ko) | 보조 거울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거울 | |
KR200346912Y1 (ko) | 보조 거울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거울 | |
KR20160047168A (ko) |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 조립체 | |
KR100682095B1 (ko) | 휴대용 전등 | |
KR20100044306A (ko) | 다기능 독서대 | |
EP0983889A3 (en) | Visor with pivoting vanity mirror assembly | |
CN217057224U (zh) | 一种采用弹性结构与旋转轴灵活配合的扳动灯头 | |
JPH11321307A (ja) | 回動式バニティーミラーアッセンブリ付きバイザ | |
JP2001018718A (ja) | バックミラー | |
RU2712466C2 (ru) | Солнцезащитный узел для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
US20080055892A1 (en) | Utility Light | |
CN212036459U (zh) | 化妆镜 | |
CN211853619U (zh) | 一种多功能落地灯 | |
GB2375504A (en) | Keyboard illumination device releasably attached to an upper edge of a laptop computer | |
CN220369787U (zh) | 一种镜子和洗漱柜 | |
CN216431322U (zh) | 一种工作灯 | |
CN219214676U (zh) | 车辆的遮阳板组件和具有其的车辆 | |
JP3225475U (ja) | センサーライト | |
CN210248865U (zh) | 一种角度可调节的灯镜 | |
CN220017056U (zh) | 一种便携式手提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6 |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1222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