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594B1 -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 - Google Patents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594B1
KR101649594B1 KR1020160036616A KR20160036616A KR101649594B1 KR 101649594 B1 KR101649594 B1 KR 101649594B1 KR 1020160036616 A KR1020160036616 A KR 1020160036616A KR 20160036616 A KR20160036616 A KR 20160036616A KR 101649594 B1 KR101649594 B1 KR 101649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rt
auxiliary
top plate
main
various fo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수
Original Assignee
김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수 filed Critical 김윤수
Priority to KR1020160036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5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4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 A47B1/05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the leaves being extensible by drawing-out
    • A47B2001/053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the leaves being extensible by drawing-out and liftable to the same height as the main table lea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47B2200/0042Height and inclination adjustable desktop, either separately or simultaneously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넓이가 가변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고 별도의 보조상을 추가로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입출되는 이동 손잡이부가 구비되어 이동에 편의성을 더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은 저면의 각 모서리 측에 다리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단이 개방된 형태의 제1 몸체부와 제1 몸체부의 개방된 상단에 안착되어 일부를 폐쇄시키고,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는 보조 상판과 저면의 일방 양 모서리 측에 보조 다리부가 구비되고, 상단에는 제1 몸체부의 개방된 상단 일부를 폐쇄시키는 주 상판이 구비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Various possible changes in the form of a large dining table}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시켜 사용 가능한 교자상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넓이가 가변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고 별도의 보조상을 추가로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입출되는 이동 손잡이부가 구비되어 이동에 편의성을 더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자상이라 함은 식사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상을 일컫는 것으로써, 종래의 교자상은 길이 80 내지 90㎝, 너비 60㎝, 높이 35㎝ 내외의 크기로 제작되었으나 근래에는 길이 120㎝, 너비 70㎝, 높이 35㎝ 내외의 크기로 제작되고 있으며, 상다리가 짧게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교자상은 길이 및 넓이가 정형화되어있어 식사 등에 참석하는 인원이 많거나 차례나 제사 등을 위해 넓은 상판 면적이 필요한 경우, 복수 개의 교자상을 붙여서 사용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교자상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구입 비용이 부담되고, 사용 후에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교자상에 관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9123호의 "다규격 교자상"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2086호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자상",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8729호의 "확장이 가능한 교자상"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5328호의 "길이의 확장이 가능한 교자상"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9123호의 "다규격 교자상"에는 하나의 상으로 그대로 사용하거나 보조상을 결합하여 여러 규격의 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교자상에 관한 고안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2086호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자상"에는 평상시나 보관시에는 주상의 하부에 보조상을 삽입한 상태에서 주상만으로 사용 및 보관이 가능하되 필요시에는 상기 보조상을 간단히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교자상에 관한 고안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8729호의 "확장이 가능한 교자상"에는 등분할된 판 부재와 그 판 부재를 대칭방향으로 등거리 이동시키는 랙/피니언장치 및 슬라이딩 수단과,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보조 판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해 간단한 동작만으로 면적을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교자상에 관한 고안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5328호의 "길이의 확장이 가능한 교자상"에는 상판 면의 면적이 확장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주상본체부의 저면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 보조상판이 유사 시에 주상본체부로부터 분리되어 주상판의 일측면과 단이 없는 수평을 이루도록 확장 설치됨에 따라 상의 길이를 확장시킬 수 있는 교자상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교자상의 확장이 긴 길이 방향으로만 가능하여 교자상이 놓이게 될 위치의 면적에 따른 유동적인 대처가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확장시 상판끼리의 높이가 맞지 않아 단턱이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교자상이 설치되고 상당량의 그릇 등이 상판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이동이 까다로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복수 개의 상을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으나 보관시에는 하나의 상을 보관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긴 길이 방향뿐만 아니라 짧은 길이 방향으로의 확장이 가능하여 다양한 상황에 유동적으로 대처 가능하고, 확장시에 단턱이 형성되지 않으며, 이동시에는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교자상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9123호(1999. 11. 0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2086호(2004. 02. 0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8729호(2004. 08. 1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5328호(2015. 05. 27)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써,
인원의 증가 또는 차려지는 음식의 종류 및 수에 따라 복수 개의 상이 필요한 경우에는 구입비용이 부담되고 사용 후의 보관이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였고;
교자상의 확장이 일 방향으로만 가능하여, 교자상이 놓이게 될 위치의 면적에 따른 유동적인 대처가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판의 확장시에는 상판끼리의 높이가 맞지 않아 단턱이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당량의 그릇 등이 상판 위에 안착되고, 음식이 차려진 상태의 상은 무게가 증가하여 이동이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저면의 각 모서리 측에 다리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단이 개방된 형태의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개방된 상단에 안착되어 일부를 폐쇄시키고,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는 보조 상판; 저면의 일방 양 모서리 측에 보조 다리부가 구비되고, 상단에는 상기 제1 몸체부의 개방된 상단 일부를 폐쇄시키는 주 상판이 구비되는 제2 몸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을 제시한다.
상기 보조 상판은 상기 주 상판의 하측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입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몸체부의 하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통로를 형성시키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입출되는 손잡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의 하측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 및 장착 가능한 보조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은,
주 상판이 보조 상판을 가리거나 개방하는 방식 및/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보조상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상판 전체의 넓이가 가변 될 수 있어 필요시에 복수 개의 상을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으나 보관은 용이한 효과가 발생하였고;
보조 상판은 주 상판의 하측에서 짧은 길이 방향으로 입출되고, 보조상은 긴 길이 방향으로 상판의 넓이를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른 유동적인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발생하였으며;
보조 상판의 위치가 상하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단턱의 형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하였으며;
복수 개의 다리부 각각에 휠이 구비된 상태에서 제1 몸체부의 하측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입출되는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기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이동 가능한 효과가 발생하였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의 형태가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의 보조 상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의 저면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의 손잡이부가 입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의 손잡이부를 사용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의 보조상이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이 최대로 확장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의 의자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의 의자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시켜 사용 가능한 교자상에 관한 것으로써,
저면의 각 모서리 측에 다리부(101)가 각각 구비되고, 상단이 개방된 형태의 제1 몸체부(100); 상기 제1 몸체부(100)의 개방된 상단에 안착되어 일부를 폐쇄시키고,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는 보조 상판(110); 저면의 일방 양 모서리 측에 보조 다리부(121)가 구비되고, 상단에는 상기 제1 몸체부(100)의 개방된 상단 일부를 폐쇄시키는 주 상판(122)이 구비되는 제2 몸체부(1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은 저면의 각 모서리 측에 다리부(101)가 각각 구비되고, 상단이 개방된 형태의 제1 몸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몸체부(100)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을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체결되는 중심이 되는 구성요소로써, 저면의 각 모서리 측에 다리부(101)가 각각 구비되는 점은 일반적인 상의 형태와 동일하나, 상단에 상판이 구비되는 일반적인 상의 형태와는 달리 상단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그릇 등을 안착시키는 상의 본연적인 역활은 단독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제1 몸체부(100)의 상단이 개방되어 있다 함은 일반적인 상의 형태에서 상단에 위치되는 평면의 상판을 제거하여 상판이 위치되어야 하는 부분이 비어있는 형태를 말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몸체부(100)의 상단에는 상기 교자상이 물건을 안착시킬 수 있는 상으로서의 역활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인 주 상판(122) 및 보조 상판(110)이 추가로 구비되어야 되며, 이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몸체부(100) 저면의 각 모서리 측에 각각 구비되는 다리부(101)는 상기 교자상을 지지하게 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다리부(101)의 저면에는 상기 교자상의 원활한 이동을 돕기 위한 구성요소인 휠이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휠에는 고정식 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휠의 회전을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교자상의 이동시에는 상기 고정식 브레이크를 조정하여 상기 휠의 회전을 허용하고, 상기 교자상을 일 지점에 고정시에는 상기 고정식 브레이크를 조정하여 상기 휠의 회전을 차단하는 방식이다.
또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은 상기 제1 몸체부(100)의 개방된 상단에 안착되어 일부를 폐쇄시키고,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는 보조 상판(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상판(110)은 상기 교자상이 물건을 안착시킬 수 있는 상으로서의 역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제1 몸체부(100)의 상단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안착되어 상기 제1 몸체부(100)와 일체로써 일반적인 상의 형태를 구성하나 상기 제1 몸체부(100)의 개방된 부분을 모두 폐쇄 시키는 것이 아닌, 일부만을 폐쇄 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보조 상판(110)이 상기 제1 몸체부(100)의 상단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몸체부(100)의 상단에 안착되면, 고정되게 되어 앞뒤 및 좌우로의 이동이 제한되나,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의 이동은 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상판(11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방식은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상판(110)이 안착된 상기 제1 몸체부(100)의 상단 일부는 여전히 외부를 향해 개방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여전히 개방된 형태의 상기 제1 몸체부(100)의 상단 일부를 폐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은 저면의 일방 양 모서리 측에 보조 다리부(121)가 구비되고, 상단에는 상기 제1 몸체부(100)의 개방된 상단 일부를 폐쇄시키는 주 상판(122)이 구비되는 제2 몸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주 상판(122)이 상기 제1 몸체부(100)의 상단 일부를 폐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2 몸체부(120)가 상기 제1 몸체부(10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은 상기 제1 몸체부(100) 및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상호 간에 체결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상기 제1 몸체부(100)에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길이가 조절되는 제1 레일 부재(10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몸체부(120)에는 상기 제1 레일 부재(102)에 인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레일 부재(102)를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레일 부재(1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몸체부(120)는 상기 제2 레일 부재(123)가 상기 제1 레일 부재(102)에 인입됨으로써, 상기 제1 레일 부재(102)를 따라 양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주 상판(122)은 여전히 개방된 형태의 상기 제1 몸체부(100)의 상단 일부를 폐쇄 시키도록 위치되게 되며,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의 상단을 구성하는 상판 전체는 상기 보조 상판(110)의 넓이에 더하여 상기 주 상판(122)의 넓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다리부(121)는 상기 제2 몸체부(120) 저면의 일방 양 모서리 측에 구비되어 타측이 상기 제1 몸체부(100)에 체결됨으로써 지지되는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일측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보조 다리부(121)는 상기 제2 레일 부재(123)가 상기 제1 레일 부재(102)를 따라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2 몸체부(120)가 상기 제1 몸체부(100)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101)와 맞닿게 되어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이동 한계범위를 형성시키는 구성요소 중의 하나이다.
상기 보조 다리부(121)는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상기 제1 몸체부(100) 측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다리부(101)와 맞닿게 됨과 동시에 상기 다리부(101)와 일체로서 형성하는 면적이 증가하지 않도록 위치와 모양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보조 다리부(121)에 의해 상기 교자상의 하방으로 형성된 공간의 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교자상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조 다리부(121)의 저면에는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원활한 이동 또는 상기 교자상의 원활한 이동을 돕기 위한 구성요소인 휠이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휠에는 고정식 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휠의 회전을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몸체부(120) 또는 상기 교자상의 이동시에는 상기 고정식 브레이크를 조정하여 상기 휠의 회전을 허용하고, 상기 교자상을 일 지점에 고정시에는 상기 고정식 브레이크를 조정하여 상기 휠의 회전을 차단하는 방식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은 상기 제2 레일 부재(123)가 상기 제1 레일 부재(102)를 따라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2 몸체부(120)가 상기 제1 몸체부(100)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교자상의 상단에 위치되는 상판의 구성을 상기 주 상판(122)만으로 이룰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실현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은 상기 보조 상판(110)이 상기 주 상판(122)의 하측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입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상판(110)을 제외시키고 상기 주 상판(122)만으로 상기 교자상의 상단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상판(110)이 상기 주 상판(122)의 하측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입출되는 것은 상기 제2 레일 부재(123)가 상기 제1 레일 부재(102)에 인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레일 부재(102)를 따라 이동하는 방식에 의한다.
이때, 상기 주 상판(122) 및 상기 보조 상판(110)은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보조 상판(110)이 상기 주 상판(122)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상기 보조 상판(110)이 상기 주 상판(122)의 하측으로 입출되기 위해서는 상기 보조 상판(110)의 높이를 조절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은 상기 제1 몸체부(100)의 상단에 안착된 상기 보조 상판(11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여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상기 제1 몸체부(100)는 양 말단에 각각 형성되는 단턱부(10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턱부(103)는 상기 보조 상판(110)이 상기 주 상판(122)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보조 상판(11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제1 몸체부(100)의 양 말단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조 상판(110)은 상기 단턱부(103)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보조 상판(110)이 위치되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상기 단턱부(103)의 상단에 안착 또는 이탈되는 높이 조절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 조절부(124)는 상기 보조 상판(110)이 상기 주 상판(122)과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턱부(103)의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보조 상판(110)이 상기 주 상판(122)의 하측으로 입출되기 위해 상기 주 상판(122)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형성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턱부(103)에서 이탈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단턱부(103)가 고정되고, 상기 보조 상판(110)의 앞뒤, 좌우로의 움직임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124)가 상기 단턱부(103)의 상단에 안착 또는 이탈되기 위해서는 상기 높이 조절부(124)에 지속적인 이동력을 제공하는 별도에 부재가 구비되어야 함이 타당하며, 이러한 구성요소로써, 상기 보조 상판(110)은 상기 높이 조절부(12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1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부재(125)는 일측이 상기 높이 조절부(124)의 측면에 맞닿게 되고, 타측은 상기 높이 조절부(124)와 일정 거리를 형성하며 위치되는 걸림부(126)와 이격된 상태로써, 상기 높이 조절부(124)가 상기 단턱부(103)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어떠한 작용도 발생시키지 않으나, 상기 높이 조절부(124)가 상기 걸림부(124)를 향해 이동하며 상기 단턱부(103)에서 이탈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 부재(125)도 이동하며 말단이 상기 걸림부(124)에 밀착되며 압축됨으로써 탄성력이 발생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높이 조절부(124)는 사용자가 직접 미는 방식에 의하여 이동되는 구성이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높이 조절부(124)를 미는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가하여 상기 보조 상판(11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 조절부(124)는 상기 단턱부(103)의 측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스프링 부재(125)는 탄성력을 유지하며 고정된다.
사용자가 다시 상기 보조 상판(110)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보조 상판(110)을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스프링 부재(125)는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며, 상기 높이 조절부(124)가 상기 단턱부(103)의 상단에 위치되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은 상기 제1 몸체부(100)의 하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통로를 형성시키는 가이드부(131)와 상기 가이드부(131)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입출되는 손잡이부(130)를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130)는 상기 교자상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요소로써,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제1 몸체부(100)의 하측에 위치되고, 필요시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제1 몸체부(10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몸체부(100)의 하측에는 상기 손잡이부(130)를 지지하고, 상기 손잡이부(130)가 이동하는 통로로써 사용되는 가이드부(131)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131)를 따라 상기 제1 몸체부(100)의 일측으로 외부를 향해 돌출시킨 상기 손잡이부(130)를 잡고 밀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교자상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30)는 상기 제1 몸체부(100)에서 돌출됨과 동시에 일부분이 상방을 향해 접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양새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교자상을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의 상기 제1 몸체부(100)의 하측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 및 장착 가능한 보조상(140)이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상(140)은 접이식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상의 형태이며, 필요에 따라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몸체부(100)의 하측에 장착되거나 상기 제1 몸체부(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독립적 개체인 구성요소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상(140)은 필요에 따라 상기 주 상판(122) 및 상기 보조 상판(110)의 상단 넓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의 상단 넓이를 확장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별개의 개체로써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의 다른 일 실시예로써,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자상은 상기 다리부(101)의 길이를 통상의 교자상에 사용되는 다리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하거나 길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복수 개의 상기 다리부(101) 사이에는 상기 다리부(101) 각각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대(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101)의 길이가 통상의 교자상에 사용되는 다리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면, 상기 주 상판(122) 및 상기 보조 상판(110)의 높이가 높아짐이 자명하며, 이에 따라 상기 교자상에는 하나 이상의 의자부(160)가 추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자부(160)는 복수 개의 상기 다리부(101) 사이로 입출 가능하도록 크기와 모양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대(150)는 상기 의자부(160)가 상기 교자상의 내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의자부(16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의자부가 복수 개의 상기 다리부(101) 사이로 내입되면, 상기 의자부(160) 상판의 상부면은 상기 교자상 상판의 하부면에 밀착되고, 상기 의자부(160)의 다리부는 상기 다리부(101)에 각각 밀착됨으로써, 상기 교자상은 상기 의자부(160)가 복수 개의 상기 다리부(101) 사이에 내입된 상태로도 내입되기 전의 상태와 동일하게 사용 가능하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자부(160)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하나의 상기 의자부(160)는 다른 하나의 상기 의자부(160)에 겹쳐질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자상은 교자상으로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대 또는 가정용 식탁 등의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 가능하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자부는 크기를 축소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양 말단에 위치되는 각각의 다리부를 연결하는 단수의 축에 의해 등받이부와 안장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제1 몸체부 101 : 다리부
102 : 제1 레일 부재 103 : 단턱부
110 : 보조 상판 120 : 제2 몸체부
121 : 보조 다리부 122 : 주 상판
123 : 제2 레일 부재 124 : 높이 조절부
125 : 스프링 부재 126 : 걸림부
130 : 손잡이부 131 : 가이드부
140 : 보조상 150 : 지지대
160 : 의자부

Claims (6)

  1. 저면의 각 모서리 측에 다리부(101)가 각각 구비되고, 상단이 개방된 형태의 제1 몸체부(100);
    저면의 일방 양 모서리 측에 보조 다리부(121)가 구비되고, 상단에는 상기 제1 몸체부(100)의 개방된 상단 일부를 폐쇄시키는 주 상판(122)이 구비되는 제2 몸체부(120);
    상기 제1 몸체부(100)의 개방된 상단에 안착되어 일부를 폐쇄시키고,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주 상판(122)의 하측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입출 가능한 보조 상판(11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100)에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길이가 조절되는 제1 레일 부재(10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몸체부(120)에는,
    상기 제1 레일 부재(102)에 인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레일(102) 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레일 부재(1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100)는,
    양 말단에 각각 형성되는 단턱부(103);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 상판(110)은,
    상기 단턱부(103)의 상단에 안착 또는 이탈되는 높이 조절부(124);
    상기 높이 조절부(12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12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100)의 하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통로를 형성시키는 가이드부(131);
    상기 가이드부(131)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입출되는 손잡이부(13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100)의 하측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 및 장착 가능한 보조상(1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
KR1020160036616A 2016-03-28 2016-03-28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 KR101649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616A KR101649594B1 (ko) 2016-03-28 2016-03-28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616A KR101649594B1 (ko) 2016-03-28 2016-03-28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594B1 true KR101649594B1 (ko) 2016-08-19

Family

ID=56875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616A KR101649594B1 (ko) 2016-03-28 2016-03-28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5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3049A (zh) * 2020-12-17 2021-04-06 王炜 一种可方便折叠放置用学生课桌
CN114312125A (zh) * 2022-01-21 2022-04-12 湖南城建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外侧扩展组件的美术手绘板
CN115067679A (zh) * 2022-07-07 2022-09-20 太原理工大学 一种服装设计用可调节桌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461A (ja) * 1989-06-27 1991-02-06 Kawatetsu Techno Res Corp 吹付け石綿粗除去吸引ヘッド
KR19990039123A (ko) 1997-11-10 1999-06-05 윤종용 냉장고의 포장구조
KR200342086Y1 (ko) 2003-11-25 2004-02-14 전병균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자상
KR200358729Y1 (ko) 2004-05-19 2004-08-12 이근숙 확장이 가능한 교자상
KR20110060767A (ko) * 2009-11-30 2011-06-08 남승우 교자상
KR20120134775A (ko) * 2011-06-03 2012-12-12 이진오 길이의 확장이 가능한 교자상
KR20150054374A (ko) * 2013-11-12 2015-05-20 김태진 슬라이딩 방식의 확장형 테이블
KR101525328B1 (ko) 2013-12-24 2015-06-03 이진오 길이의 확장이 가능한 교자상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461A (ja) * 1989-06-27 1991-02-06 Kawatetsu Techno Res Corp 吹付け石綿粗除去吸引ヘッド
KR19990039123A (ko) 1997-11-10 1999-06-05 윤종용 냉장고의 포장구조
KR200342086Y1 (ko) 2003-11-25 2004-02-14 전병균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자상
KR200358729Y1 (ko) 2004-05-19 2004-08-12 이근숙 확장이 가능한 교자상
KR20110060767A (ko) * 2009-11-30 2011-06-08 남승우 교자상
KR20120134775A (ko) * 2011-06-03 2012-12-12 이진오 길이의 확장이 가능한 교자상
KR20150054374A (ko) * 2013-11-12 2015-05-20 김태진 슬라이딩 방식의 확장형 테이블
KR101525328B1 (ko) 2013-12-24 2015-06-03 이진오 길이의 확장이 가능한 교자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3049A (zh) * 2020-12-17 2021-04-06 王炜 一种可方便折叠放置用学生课桌
CN114312125A (zh) * 2022-01-21 2022-04-12 湖南城建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外侧扩展组件的美术手绘板
CN115067679A (zh) * 2022-07-07 2022-09-20 太原理工大学 一种服装设计用可调节桌
CN115067679B (zh) * 2022-07-07 2023-06-23 太原理工大学 一种服装设计用可调节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594B1 (ko) 다양한 형태로 변화 가능한 교자상
CA2383242C (en) Portable bath seat
CN105286378B (zh) 婴儿照顾装置
US20160135602A1 (en) Expandable Chair
KR101003299B1 (ko) 찻상 겸용 공부상
US9493960B2 (en) Cover assembly for a spa
US10980338B1 (en) Table with multipl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djustable table top sections
US20150084394A1 (en) Portable seat cushion with extending footrest
GB2404649A (en) A bathing device having a reclinable backrest for use by a disabled person
KR101365153B1 (ko) 의자로 변형되는 테이블
KR200394565Y1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JP3210034U (ja) 折り畳み式の移動型シャンプー台
KR100798467B1 (ko)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
KR101556408B1 (ko) 상하 위치조절형 좌대
KR101819106B1 (ko) 높이조절 개방형 테이블
CN212995542U (zh) 一种折叠式家庭看护椅扶手
KR20190054213A (ko) 레버를 이용한 이동식 의자 일체형 수납 책상
CN103767396A (zh) 一种折叠高餐椅
CN211408843U (zh) 一种可折叠蹲坐器
CN110141057B (zh) 方便移动的多元化家具
JP3171636U (ja) ステップ式定距離移動歩行補助器
EP3313237B1 (en) Work station
KR10175714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이동서랍
KR101691382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20170111952A (ko) 절첩식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