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336B1 - 오리피스 링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오리피스 링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336B1
KR101611336B1 KR1020140020316A KR20140020316A KR101611336B1 KR 101611336 B1 KR101611336 B1 KR 101611336B1 KR 1020140020316 A KR1020140020316 A KR 1020140020316A KR 20140020316 A KR20140020316 A KR 20140020316A KR 101611336 B1 KR101611336 B1 KR 101611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tube
orifice ring
support
tube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8924A (ko
Inventor
김흥성
Original Assignee
하림 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림 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하림 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40020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336B1/ko
Publication of KR20150098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1/00Connecting or disconnecting metal parts or objects by metal-working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11/02Connecting or disconnecting metal parts or objects by metal-working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first expanding and then shrinking or vice versa, e.g. by using pressure fluids; by making force f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오리피스 링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 성형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금속재 관을 가열하고, 가열에 의해 확장된 금속재 관의 내부에 설치된 거치대에 오리피스 링을 거치하며, 금속재 관을 냉각시키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리피스 링을 관 내부에 고정설치함에 있어서, 오리피스 링의 용접에 의한 열변형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오리피스 링을 관 내부에 설치하는 과정에서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오리피스 링에 의한 정밀한 유량 측정 및 유량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오리피스 링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 성형 장치{Method for Installing Orifice-Ring, and Pipe Forming Device Used Therein}
본 발명은 오리피스 링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리피스 링을 관 내부에 고정설치함에 있어서 오리피스 링의 용접에 의한 열변형을 근원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오리피스 링을 이용한 정밀한 유량 측정 및 유량 제어가 가능토록 하는 오리피스 링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리피스 링(Orifice-Ring)은 유량계의 원형관 내부에 설치되어, 오리피스 링으로 통과되는 유량의 정밀한 측정에 사용되거나, 정밀한 유량의 공급이 요구되는 이송관의 내부에 설치된다.
한편, 종래에는 이와 같은 오리피스 링을 금속재의 원형관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서, 금속재 원형관을 중간에서 절단한 후에 오리피스 링을 절단면에 용접 설치하고 다시 절단된 원형관을 용접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리피스 링의 설치 방법에 의하면, 용접 과정에서 오리피스 링에 가해지는 열로 인해 오리피스 링이 변형됨으로써 유량의 정밀 측정 및 정밀 제어가 어렵게 될 뿐만 아니라, 원형관을 절단 후에 다시 용접하는 등의 설치 작업의 번거로움이 초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금속재 원형관의 절단 및 재용접에 따른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금속재 원형관을 절단하지 않고 오리피스 링을 금속재 원형관 내에 직접 삽입하여 용접 설치하는 방법 또한 시도되었으나, 이 경우에는 좁은 원형관 내에서의 오리피스 링에 대한 정밀한 용접 작업이 어렵게 되므로, 오리피스 링과 금속재 원형관 내면과의 접합 부위에 틈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이 발생된 틈으로 유체가 통과하게 됨으로써 오리피스 링을 통한 유량의 정밀 측정 및 정밀 제어가 어렵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리피스 링을 관 내부에 고정설치함에 있어서 오리피스 링의 용접에 의한 열변형을 근원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오리피스 링을 이용한 정밀한 유량 측정 및 유량 제어가 가능토록 하는 오리피스 링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 성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리피스 링 설치 방법은, (a) 금속재 관을 가열하는 단계; (b) 가열에 의해 확장된 상기 금속재 관의 내부에 설치된 거치대에 오리피스 링을 거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금속재 관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리피스 링의 외측면은 거친면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금속재 관을 발열체 내부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금속재 관을 상기 발열체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며 상기 금속재 관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리피스 링이 설치되는 관 성형 장치는, 금속재 관이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열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금속재 관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금속재 관의 하부에 삽입되며, 상기 금속재 관 내부에 설치되는 오리피스 링이 거치되는 거치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기 에너지는 고주파 전기 에너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에는 다양한 크기의 상기 금속재 관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심원을 형성하는 복수의 원형 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금속재 관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지지편이 상기 금속재 관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편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자성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용 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용 봉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용 봉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용 봉의 옆면에는 스크류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형 홈과 결합되는 고정홀이 구비된 고정판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는 회전수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용 봉의 상하 이동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리피스 링을 관 내부에 고정설치함에 있어서, 오리피스 링의 용접에 의한 열변형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오리피스 링을 관 내부에 설치하는 과정에서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오리피스 링에 의한 정밀한 유량 측정 및 유량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오리피스 링이 관 내부면과의 접합면에서 틈새없이 밀착 고정됨으로써, 오리피스 링에 의한 정밀한 유량 측정 및 유량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오리피스 링의 관 내부면과의 접합면에서의 정지 마찰력이 높아짐으로써, 고압의 유체에 대해서도 정밀한 유량 측정 및 유량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용접 작업 없이 오리피스 링을 관 내부에 정밀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오리피스 링의 설치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링이 설치되는 원형관 성형 장치의 구조 및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관 내 오리피스 링 설치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관 내 오리피스 링 설치 방법에서 원형관 내에 오리피스 링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링이 설치되는 원형관 성형 장치의 구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링이 설치되는 원형관 성형 장치의 지지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링이 설치되는 원형관 성형 장치의 구조 및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링이 설치되는 원형관 성형 장치(100)는 원형 발열체(110), 본체부(130), 지지대(150), 및 구동부(170)를 포함한다.
원형 발열체(110)는 내부에 설치되는 금속재 원형관(50)을 고주파 가열하는데 사용되는 고주파 가열용 코일로서, 본체부(130)로부터 고주파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본체부(130)에는 전원 버튼, 가열 온도 조절 버튼 등의 제어 패널이 구비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원형 발열체(110)에 고주파 교류 전류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지대(150)는 원형 발열체(110)의 내부에서 가열 및 팽창되는 금속재 원형관(5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지지대(150)의 하부에 설치된 구동부(170)는 지지대(150)를 상하로 규칙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금속재 원형관(50)의 외측면 전면에서의 원형 발열체(110)에 의한 균일한 가열 및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구동부(170)가 지지대(150)를 상하로 규칙적으로 이동시킴에 있어서는, 본체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는 구동 모터를 설치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공지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관 내 오리피스 링 설치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관 내 오리피스 링 설치 방법에서 원형관 내에 오리피스 링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관 내 오리피스 링 설치 방법의 실행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조자는 금속재 원형관(50)과 금속재 원형관(50) 내부에 고정시킬 오리피스 링(10)을 제작한다(S200).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금속재 원형관(50)은 다양한 유체가 이송되는 이송관으로서, 스틸, sus 등의 다양한 금속재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며, 오리피스 링(10)은 내마모성이 높은 다양한 종류의 특수강으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오리피스 링(10)의 외경은 금속재 원형관(50)의 내경보다 대략 1~2mm 정도 더 크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제조자는 이와 같이 제조된 오리피스 링(10)의 금속재 원형관(50)의 내부면와 접하게 되는 면인 오리피스 링(10)의 외측면(15)을 그루빙(Grooving)처리(이른 바, 거친면 처리)함으로써, 금속재 원형관(50) 내부면과 오리피스 링(10)의 외측면(15)과의 접합시의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S210).
한편, 오리피스 링(10)을 금속재 원형관(50)의 내부에 삽입하기 전에 제조자는 금속재 원형관(50)을 도 1에서와 같이 원형관 성형 장치(100)의 원형 발열체(110) 내부에 삽입하고, 원형 발열체(110) 내부에 삽입된 금속재 원형관(50)이 지지대(15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S230).
그 다음, 제조자는 본체부(130)에 구비된 제어 패널을 통해 구동부(170)가 지지대(150)를 규칙적으로 상하 이동시키도록 제어한 후, 본체부(130)에 구비된 전원 버튼을 통해 원형 발열체(110)에 고주파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한다(S250).
그에 따라, 금속재 원형관(50)은 원형 발열체(1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되며 고주파 방식으로 가열됨으로써, 금속재 원형관(50)의 관경은 도 3에서와 같이 확대된다.
한편, 제조자는 가열에 의해 확대되기 전의 금속재 원형관(50)의 내경보다 크게 제작된 오리피스 링(10)이 금속재 원형관(5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까지 금속재 원형관(50)의 관경이 확대되도록, 금속재 원형관(50)을 가열할 것이나, 금속재 원형관(50)의 관경이 대략 10% 정도 확대되도록 금속재 원형관(50)을 가열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에서와 같이 금속재 원형관(50)의 관경이 확대된 상태에서, 제조자는 금속재 원형관(50)의 가열을 중단한 후에, 자석 또는 집게 등을 이용하여 오리피스 링(10)을 파지한 다음, 오리피스 링(10)을 확대된 금속재 원형관(50)의 내부로 삽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지지대(150)의 상부에는, 금속재 원형관(50)의 내부에서 오리피스 링(10)이 고정설치되어야 하는 높이에서, 제조자에 의해 금속재 원형관(50)의 내부로 삽입된 오리피스 링(10)을 지지하는 거치대(155)가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에 따라, 도 3에서와 같이 제조자는 거치대(155) 위에 오리피스 링(10)을 거치해둠으로써 원형관(50) 내부에서의 오리피스 링(1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S270).
그 다음, 제조자는 도 3에서와 같이 오리피스 링(10)이 고정설치되어야 하는 높이에 오리피스 링(10)이 거치된 상태에서 금속재 원형관(50)의 자연 냉각을 대기한다(S290).
금속재 원형관(50)이 자연 냉각됨에 따라 금속재 원형관(50)은 원형관 성형 장치(100)에 의해 가열되기 이전인, 전술한 S200 단계에서의 최초 제조 상태의 크기로 관경이 복원되게 되며, 이와 같이 금속재 원형관(50)의 관경이 가열 이전의 상태로 점차적으로 줄어듦에 따라, 금속재의 수축력에 의해 도 4에서와 같이 오리피스 링(10)의 그루빙 처리된 외측면(15)은 금속재 원형관(50)의 내경에 밀착고정되게 된다.
한편, 전술한 S200 단계에서 제조된 오리피스 링(10)은 그 외경이 금속재 원형관(50)의 내경보다 대략 1~2mm 정도 더 크게 제작되었으므로, 금속재 원형관(50)의 수축에 따라 오리피스 링(10)은 금속재 원형관(50)의 내측면에 높은 결합력으로 밀착고정되게 된다.
아울러, 전술한 S210 단계에서 오리피스 링(10)의 외측면(15)은 그루빙 처리되었음으로 인해, 오리피스 링(10)의 외측면(15)과 금속재 원형관(50)의 내측면의 접합면에서의 마찰력은 증대되게 되고, 그에 따라 금속재 원형관(50)의 내부로 고압의 유체가 이동되는 경우에도 오리피스 링(10)은 금속재 원형관(50) 내부에서의 결합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링이 설치되는 원형관 성형 장치의 구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관 성형 장치의 구동부(170)는 구동용 봉(171), 구동 모터(172), 고정판(175), 하부판(176), 및 지지 프레임(177)을 포함한다.
구동용 봉(171)은 지지대(150)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며, 구동용 봉(171)의 하부에 설치된 구동 모터(172)에 의해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구동용 봉(171)의 옆면에는 스크류형 홈(173)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용 봉(171)을 고정시키는 고정판(175) 중앙에 형성된 고정홀(174)에는, 구동용 봉(171)에 구비된 일종의 나사골인 스크류형 홈(173)과 맞물려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동용 봉(171)이 구동 모터(172)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에 구동용 봉(171)은 고정홀(174)에서 나사 회전을 하며 상향 이동하게 되고, 구동 모터(172)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구동용 봉(171)은 하향 이동을 하게 된다.
한편, 구동용 봉(171)은 지지대(150)의 하부 중앙에 결합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동용 봉(171)이 회전을 하며 상하 이동을 함에 따라, 지지대(150)에 놓인 금속재 원형관(50) 또한 발열체(110) 내부에서 회전을 하며 상하 이동을 하게 된다.
한편, 구동 모터(172)는 구동용 봉(171)의 회전 속도인 회전수의 제어가 가능한 모터로서, 제조자는 구동 모터(172)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구동용 봉(171)의 회전 속도 및 그에 따른 구동용 봉(171)과 지지대(150)의 상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구동 모터(172)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제조자가 입력 패널(미도시)을 통해 구동 모터(172)의 회전수 및 구동 모터(172)의 회전 방향 전환 주기를 입력하면, 해당 구동 정보는 제어부에 저장되며, 제어부는 제조자가 입력한 구동 정보에 따라 구동 모터(172)를 제어함으로써, 구동용 봉(171)의 상하 이동 속도 및 상하 이동 방향의 전환 주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구동용 봉(171)의 고정판(175)과 하부판(176)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식별 장치(예를 들면, 태그 등)를 고정 설치하고, 하나의 지지 프레임(177) 상에서 제1 지점(이동 상한점)과 제2 지점(이동 하한점)에 각각 식별 장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 구동용 봉(171)의 상향 이동에 따라 제1 지점에 설치된 센서가 구동용 봉(171)에 부착된 식별 장치를 인식하는 경우에 감지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면, 제어부는 구동 모터(172)를 역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구동용 봉(171)이 하향 이동되도록 한다.
한편, 구동용 봉(171)이 하향 이동됨에 따라 제2 지점에 설치된 센서가 구동용 봉(171)에 부착된 식별 장치를 인식하는 경우에 감지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면, 제어부는 구동 모터(172)를 다시 순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구동용 봉(171)이 상향 이동되도록 한다.
즉, 제조자는 구동용 봉(171)에서의 식별 장치의 부착 높이, 지지 프레임(177) 상에서 센서가 설치되는 제1 지점과 제2 지점의 높이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금속재 원형관(50)의 다양한 높이 및 발열체(110)의 세로 폭의 크기에 부합되는 구동용 봉(171)의 상하 왕복 이동 폭(즉, 금속재 원형관(50)의 상하 왕복 이동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지지대(150)의 상부면에는 다양한 크기의 금속재 원형관(5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원형 홈(151)이 동심원을 형성하며 구비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와 같은 원형 홈(151)은 다양한 크기의 금속재 원형관(50)의 위치를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금속재 원형관(50)이 성형 과정에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또한 수행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링이 설치되는 원형관 성형 장치의 지지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성형을 위한 가열이 완료된 금속재 원형관(50)이 지지대(150) 상에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복수의 지지편을 지지대(150)의 상부면의 외곽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발열체(1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지지편은 금속재 원형관(50)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지지편의 하부에 판형 자석을 부착함으로써, 지지편이 금속재질의 지지대(150) 상에서 제조자가 필요로 하는 위치에 손쉽게 부착되고, 이후 제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오리피스 링, 50: 관,
100: 관 성형 장치, 110: 발열체,
130: 본체부, 150: 지지대,
151: 원형 홈, 155: 거치대,
170: 구동부, 171: 구동용 봉,
172: 구동 모터, 173: 스크류형 홈,
174: 고정홀, 175: 고정판,
176: 하부판, 177: 지지 프레임,
178: 고정 프레임.

Claims (18)

  1. (a) 금속재 관을 발열체 내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b) 금속재 관을 가열하는 단계;
    (c) 가열에 의해 확장된 상기 금속재 관의 내부에 설치된 거치대에 오리피스 링을 거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금속재 관을 냉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금속재 관을 상기 발열체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며 상기 금속재 관을 가열하는 것이고,
    상기 발열체의 하부에는 상기 금속재 관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금속재 관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금속재 관 내부에 설치되는 오리피스 링이 거치되는 상기 거치대가 설치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금속재 관의 내부에서의 상기 오리피스 링이 고정설치되어야 하는 임의의 높이에서 상기 오리피스 링을 지지하며,
    상기 발열체가 상기 금속재 관을 가열하는 동안 상기 지지대는 구동부에 의해 상하로 왕복 이동되고,
    상기 발열체가 상기 금속재 관을 가열하는 동안 상기 지지대는 수평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하로 왕복 이동되되, 상기 지지대가 상향 이동하는 경우의 수평 회전 방향과 상기 지지대가 하향 이동하는 경우의 수평 회전 방향은 반대 방향이며,
    상기 지지대에는 다양한 크기의 상기 금속재 관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심원을 형성하는 복수의 원형 홈이 구비되되, 상기 원형 홈은 상기 원형 홈에 삽입된 상기 금속재 관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오리피스 링 설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링의 외측면은 거친면 처리된 것인 오리피스 링 설치 방법.
  3. 삭제
  4. 삭제
  5. 금속재 관이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체;
    상기 발열체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본체부;
    상기 발열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금속재 관을 지지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금속재 관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금속재 관 내부에 설치되는 오리피스 링이 거치되는 거치대가 설치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금속재 관의 내부에서의 상기 오리피스 링이 고정설치되어야 하는 임의의 높이에서 상기 오리피스 링을 지지하며,
    상기 발열체가 상기 금속재 관을 가열하는 동안 상기 지지대를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가 상기 금속재 관을 가열하는 동안 상기 지지대는 수평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하로 왕복 이동되되, 상기 지지대가 상향 이동하는 경우의 수평 회전 방향과 상기 지지대가 하향 이동하는 경우의 수평 회전 방향은 반대 방향이며,
    상기 지지대에는 다양한 크기의 상기 금속재 관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심원을 형성하는 복수의 원형 홈이 구비되되, 상기 원형 홈은 상기 원형 홈에 삽입된 상기 금속재 관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오리피스 링이 설치되는 관 성형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에너지는 고주파 전기 에너지인 것인 오리피스 링이 설치되는 관 성형 장치.
  10. 삭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금속재 관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지지편이 상기 금속재 관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인 관 성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자성 결합되는 것인 관 성형 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용 봉을 포함하는 것인 관 성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용 봉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용 봉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는 관 성형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용 봉의 옆면에는 스크류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형 홈과 결합되는 고정홀이 구비된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관 성형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회전수의 조절이 가능한 것인 관 성형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용 봉의 상하 이동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관 성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용 봉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관 성형 장치.
KR1020140020316A 2014-02-21 2014-02-21 오리피스 링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 성형 장치 KR101611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316A KR101611336B1 (ko) 2014-02-21 2014-02-21 오리피스 링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 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316A KR101611336B1 (ko) 2014-02-21 2014-02-21 오리피스 링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 성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924A KR20150098924A (ko) 2015-08-31
KR101611336B1 true KR101611336B1 (ko) 2016-04-12

Family

ID=54060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316A KR101611336B1 (ko) 2014-02-21 2014-02-21 오리피스 링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3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5937A (ja) 1998-06-19 2000-01-11 Nippon Seiko Kk 環状部品の嵌合方法および環状部品の嵌合装置
JP2003309990A (ja) 2002-04-15 2003-10-31 Koganei Corp 電動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装置
JP2008117811A (ja) 2006-10-31 2008-05-22 Sunx Ltd 真空吸着テーブ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5937A (ja) 1998-06-19 2000-01-11 Nippon Seiko Kk 環状部品の嵌合方法および環状部品の嵌合装置
JP2003309990A (ja) 2002-04-15 2003-10-31 Koganei Corp 電動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装置
JP2008117811A (ja) 2006-10-31 2008-05-22 Sunx Ltd 真空吸着テ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924A (ko) 201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70470B (zh) 用于形成车窗组件的方法和装置
CN105150524B (zh) 振动焊接系统
WO2017158635A1 (ja) 管の拡径方法および成形装置
JP5385040B2 (ja) 導光板製造装置、導光板の製造方法、及び導光板
CN103272956A (zh) 软管端部加热扩口机、集成装置及加热扩口方法
KR101611336B1 (ko) 오리피스 링 설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 성형 장치
CN105871135A (zh) 电动机转子的热套工装
EP3205437A1 (en) Electrical bonding method and electrical bonding device
KR200400924Y1 (ko) 고주파 용접장치
CN105980074A (zh) 旋压成型方法
JP6840410B2 (ja) 締結方法及び締結装置
EP358402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elded article from different metals, and welding device
KR101297140B1 (ko) 자동용접장치
JP2012109040A (ja) 高周波誘導加熱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8819265A (zh) 螺母热熔安装设备和螺母热熔安装方法
JP6776350B2 (ja) 分析を行うための装置
KR20080010271A (ko) 가스 홈을 갖춘 냉각몰드
CN207824329U (zh) 一种超声波水表反射片安装系统
JP5413356B2 (ja) 高周波誘導加熱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5045387B2 (ja) リフロー半田付け装置
KR101031233B1 (ko) 산업용 pc 커버의 절곡방법
KR101532950B1 (ko) 패널과 패드 접착용 가열장치
CN205416346U (zh) 一种高频热合机
CN203871220U (zh) 一种热敏开关的温度校正装置
JP6275657B2 (ja) 転写荷重の変更が容易な熱転写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