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24Y1 - 고주파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24Y1
KR200400924Y1 KR20-2005-0023968U KR20050023968U KR200400924Y1 KR 200400924 Y1 KR200400924 Y1 KR 200400924Y1 KR 20050023968 U KR20050023968 U KR 20050023968U KR 200400924 Y1 KR200400924 Y1 KR 200400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igh frequency
welding
clamp
induction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9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호
Original Assignee
조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승호 filed Critical 조승호
Priority to KR20-2005-00239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3/00Welding by high-frequency current heating
    • B23K13/01Welding by high-frequency current heating by induction heating
    • B23K13/02Seam welding
    • B23K13/025Seam welding f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을 상호 연결하여 용접하는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 유도가열기를 사용하여 관을 용접하는 용접장치에 있어서 고주파 유도가열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용접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고주파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를 고정시키는 제1클램프, 상기 제2파이프를 고정시키는 제2클램프 및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제2파이프의 단부를 가열하는 고주파 유도가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의 상호 용융, 결합이 가능하고, 가열 온도 측정이 가능한 용접장치를 제공하여 보다 우수한 성능의 용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고주파 용접장치 {High-frequency Welding Machine}
본 고안은 관을 상호 연결하여 용접하는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 유도가열기를 사용하여 관을 용접하는 용접장치에 있어서 고주파 유도가열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용접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고주파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등에 사용되는 냉장,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기 위한 관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알루미늄 파이프와 구리 파이프를 상호 접합시켜야만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가변저항을 이용해 고주파 유도가열기를 제어하였다.
이 때 가변저항만을 사용하여 고주파 유도가열기의 동작을 제어하므로, 파이프에 예열을 가하거나, 주변 온도의 하강에 따른 대응을 적절하게 수행하지 못하여, 용접의 품질이 나빠지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최상의 용접조건을 유지하고 용접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용접 불량률을 낮추기 위해, 고주파 유도가열기를 사용하여 가열할 때 파이프가 가열되는 온도에 따른 가열 시간과 용접 공정의 진행 여부를 결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으며, 이에 적합한 용접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용접하고자 하는 파이프를 수직으로 접합시키는 클램프 및 고주파 유도가열기를 포함하는 용접장치를 제공하여, 개선된 용접 공정을 갖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주파 유도가열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온도에 따라 용접 공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를 고정시키는 제1클램프, 상기 제2파이프를 고정시키는 제2클램프 및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제2파이프의 단부를 가열하는 고주파 유도가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주파 유도가열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 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온도감지 센서는 상기 제2클램프에 부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온도감지 센서는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주파 유도가열기의 온, 오프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제2파이프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고주파 용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클램프(10)와 제2클램프(20)는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각각 제1파이프(12)와 제2파이프(22)를 수용,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냉매가 흐르는 관은 보통 알루미늄 파이프와 구리 파이프가 결합되어 있다. 제1클램프(10)에는 구리 파이프가 수용, 고정되고, 제2클램프(20)에는 알루미늄 파이프가 수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파이프(12)는 구리 파이프, 제2파이프(22)는 알루미늄 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파이프(12)와 제2파이프(22)는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단부끼리 상호 결합, 용접되게 된다. 제1파이프(12)의 단부는 약간 안쪽으로 지름을 좁히여 모아지는 형상으로 하여, 제2파이프(22)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제1파이프(12)와 제2파이프(22)의 사이에는 고주파 유도가열기(30)가 구비되어, 제1파이프(12) 단부의 외면을 감쌀 수 있는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주파 유도가열기(30)는 용접, 접합을 위해 클램프(10, 20)가 서로 가까워 질 때 제거되어 방해가 되지 않도록,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온도감지 센서(40)는 제2클램프(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감지 센서(40)는 고주파유도 가열기(30)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고주파유도 가열기(30)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감지 센서(40)는 외부의 제어부(50)로 하여금 고주파유도 가열기(30)의 온도를 인지하도록 하며, 제어부(50)는 측정된 온도에 따라 가열을 더 할 것인지, 중단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가열이 완료되었다면, 클램프(10, 20)를 이동시켜 용접 공정을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여, 각 구성의 움직임을 제어하게 된다.
도 2, 3, 4는 본 고안의 고주파 용접장치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가열 전 상태, 도 3은 가열 공정, 도 4는 접합공정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클램프(10) 및 제2클램프(20)에는 각각 제1파이프(12) 및 제2파이프(22)가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제1클램프(10)에 고정된 제1파이프(12) 단부의 전면에 고주파 유도가열기(30)가 위치한다. 제2파이프(22)는 제2클램프(20)에 형성된 홈(또는 구멍; A 부분)의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클램프(10)가 일정 간격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1파이프(12)의 단부가 고주파 유도가열기(30)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한다. 이 때 고주파 유도가열기(30)는 온도를 상승시켜 가열하게 되고, 이 온도는 온도감지 센서(40)에 의해 측정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온도감지 센서(40)에 의해 입력된 온도 및 가열시간을 계산하여 제1파이프(12)가 용접에 적합하도록 충분히 가열되는 조건에 이르면, 제어부(50)는 다음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고주파 유도가열기(30)는 제어부(50)의 지시에 따라 제1파이프(12)의 단부에서 빼내어 제1클램프(10) 및 제2클램프(20) 사이에서 제거된다. 그 이후, 제1클램프(10)를 제2클램프(20)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파이프(12)의 단부가 제2파이프(22)의 안쪽으로 삽입되게 한다.
이 때 가열된 제1파이프(12)로 인해, 제2파이프(22)가 용융되면서 결합된다. 이러한 모든 공정은 제2클램프(20) 쪽에 구비하고 있는 온도감지 센서(40)의 온도 감지에 따라 진행되어, 정확한 용접이 가능하게 된다. 도면 상에는 온도감지 센서(40)가 제2클램프(20) 쪽에 구비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클램프(10) 쪽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은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의 상호 용융, 결합이 가능한 용접장치를 제공하여 보다 우수한 성능의 용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고주파 유도가열기(3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온도에 따라 용접 공정이 진행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고주파 용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고주파 용접장치의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고주파 용접장치가 제1파이프를 가열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고주파 용접장치가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용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1클램프 12 : 제1파이프
20 : 제2플램프 22 : 제2파이프
30 : 고주파 유도가열기 40 : 온도감지 센서

Claims (4)

  1.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를 고정시키는 제1클램프;
    상기 제2파이프를 고정시키는 제2클램프; 및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제2파이프의 단부를 가열하는 고주파 유도가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용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유도가열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 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용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 센서는 상기 제2클램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용접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 센서는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에 따라 상기 고주파 유도가열기의 온, 오프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제2파이프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용접장치.
KR20-2005-0023968U 2005-08-19 2005-08-19 고주파 용접장치 KR200400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968U KR200400924Y1 (ko) 2005-08-19 2005-08-19 고주파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968U KR200400924Y1 (ko) 2005-08-19 2005-08-19 고주파 용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4Y1 true KR200400924Y1 (ko) 2005-11-09

Family

ID=4370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968U KR200400924Y1 (ko) 2005-08-19 2005-08-19 고주파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2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959B1 (ko) * 2006-07-04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예열식 용접 방법 및 용접 장치
KR100829546B1 (ko) 2007-05-28 2008-05-14 웰메이트 주식회사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동 파이프 브레이징 장치
KR100905601B1 (ko) 2007-12-03 2009-07-02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온도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917498B1 (ko) * 2009-02-17 2009-09-16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관 용접 장치
CN107498172A (zh) * 2016-06-14 2017-12-22 无锡市华琳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导管焊接设备
KR102300741B1 (ko) * 2021-05-31 2021-09-13 피티케이(주) 수소생산을 위한 석유코크스 합성가스화 공정 중 롤벤딩 용접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959B1 (ko) * 2006-07-04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예열식 용접 방법 및 용접 장치
KR100829546B1 (ko) 2007-05-28 2008-05-14 웰메이트 주식회사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동 파이프 브레이징 장치
KR100905601B1 (ko) 2007-12-03 2009-07-02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온도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917498B1 (ko) * 2009-02-17 2009-09-16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관 용접 장치
CN107498172A (zh) * 2016-06-14 2017-12-22 无锡市华琳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导管焊接设备
KR102300741B1 (ko) * 2021-05-31 2021-09-13 피티케이(주) 수소생산을 위한 석유코크스 합성가스화 공정 중 롤벤딩 용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924Y1 (ko) 고주파 용접장치
US20140305586A1 (en) Hot wedge welding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on
JP4969689B2 (ja) 射出成形装置及び射出成形方法
US20140338814A1 (en) Vibration welders with high frequency vibration, position motion control, and delayed weld motion
WO2011125324A1 (ja) 熱交換器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US5948190A (en) Method of monitoring the bulge temperature when welding plastic materials together
CN104139226A (zh) 一种制冷系统的弯头焊接系统及方法
KR101428630B1 (ko) 플라스틱 부재의 열융착 시스템 및 방법
KR101997970B1 (ko) 금속 파이프 브레이징 접합장치 및 방법
US5902507A (en) Closed loop temperature control of induction brazing
JPH11309780A (ja) 熱可塑性材料物品の突合せ溶着装置及び突合せ溶着方法
JP6366020B2 (ja) ロウ付け方法
CN205403983U (zh) 一种用于大直径焊管中频处理的内部测温夹具
CN105234522B (zh) 具有夹持组件的焊枪
JP4345033B1 (ja) 高周波ろう付け装置および高周波ろう付け方法
CN105612021B (zh) 间接感测焊接紧固件位置的焊机
KR20070044250A (ko) 이종 금속관의 접합장치 및 접합방법
JP5686676B2 (ja) 四角形状中空金属製部材の拡散接合・加熱アプセット接合用高周波加熱装置
JP3470788B2 (ja) 樹脂製取付品の取付方法及び取付装置
JPH0577033A (ja) 熱交換器の半田付け方法
JP2003154448A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11075186A (ja) 積層型熱交換器、及び積層型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101871954B1 (ko) 알루미늄 재질의 연결 포터를 알루미늄 재질의 방열기 헤드 파이프에 용접하는 방법
JPH0985828A (ja) バット融着機とプラスチック管管端面の加熱方法
CN116516138A (zh) 管道接头中频感应加热焊后热处理装置及热处理温度场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