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333B1 - 투시형 석션 디퓨져 - Google Patents

투시형 석션 디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333B1
KR101610333B1 KR1020140042028A KR20140042028A KR101610333B1 KR 101610333 B1 KR101610333 B1 KR 101610333B1 KR 1020140042028 A KR1020140042028 A KR 1020140042028A KR 20140042028 A KR20140042028 A KR 20140042028A KR 101610333 B1 KR101610333 B1 KR 101610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outside
suction
flow rat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6724A (ko
Inventor
최승균
Original Assignee
최승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균 filed Critical 최승균
Priority to KR1020140042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333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의 흡입구 내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도하고 유체의 흐름 속도를 감소시켜 임펠러를 보호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행하는 투시형 석션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석션 디퓨져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부에서 유체의 유량이나 유속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내부의 부식 정도나 불순물의 유입 등을 육안으로 파악할 수 없으므로 고장이 발생되거나 문제가 발생되었을 때 분해하여 점검을 해야 함으로써 사전 정비가 어렵고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몸체의 일측에 유체를 유입하는 흡입측 연결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측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에는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수단이 구비된 석션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투시수단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내부를 투시하는 투시부재와;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며 상기 투시부재를 통하여 외부에서 투시할 수 있도록 투시구멍이 형성되고, 투시구멍에는 외측면에 공구 결합 돌기를 가지는 안전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투시부재를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형 석션 디퓨져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품을 분해하지 않고 외부에서 유체의 유량이나 유속, 내부의 부식 정도나 불순물의 유입 등을 육안으로 파악하여 즉시 조치를 행할 수 있으므로 고장의 발생이 최소화되고 수명이 더욱 연장되며, 이로 인하여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편리하게 되고, 유지비가 절감된다.

Description

투시형 석션 디퓨져{Clairvoyant type suction diffusers}
본 발명은 투시형 석션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펌프의 흡입구 내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도하고 유체의 흐름 속도를 감소시켜 임펠러를 보호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행하는 투시형 석션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션 디퓨져는 펌프의 압력에 의해 유체를 강제적으로 순환하거나 공급하기 위하여 배관 내에 설치되어 와류의 발생을 저감하거나 큰 압력 변화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고 유체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종래에 이와 같은 석션 디퓨져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4707호로 제안되어 있으며,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몸체(10)의 일측에는 유체를 유입하는 흡입측 연결부(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입된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측 연결부(12)가 형성되며, 그 대향 측에는 플랜지판(13)이 결합되고, 그 내측에는 내부로 유입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14)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석션 디퓨져는 내부로 유입된 유체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것이 저감되고 큰 압력 변화에도 변형이 방지되며, 내부에 구비된 필터부재에 의해 유체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내부를 투시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유체의 유량이나 유속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내부의 부식 정도나 불순물의 유입 등을 육안으로 파악할 수 없으므로 고장이 나거나 문제가 발생되었을 때 분해하여 점검을 해야 함으로써 사전 정비가 어렵고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가 투시되도록 하여 내부의 유체 유량 및 유속을 파악함과 아울러 내부 부식 정도나 불순물의 유입 정도를 육안으로 파악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전 정비가 용이하고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는 투시형 석션 디퓨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투시형 석션 디퓨져는, 몸체의 일측에 유체를 유입하는 흡입측 연결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측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에는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수단이 구비된 석션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투시수단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내부를 투시하는 투시부재와;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며 상기 투시부재를 통하여 외부에서 투시할 수 있도록 투시구멍이 형성되고, 투시구멍에는 외측면에 공구 결합 돌기를 가지는 안전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투시부재를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품을 분해하지 않고 외부에서 육안으로 유체의 유량이나 유속을 파악할 수 있고, 또한 내부의 부식 정도나 불순물의 유입 등을 육안으로 파악하여 즉시 조치를 행할 수 있으므로 고장의 발생이 최소화되고 수명이 더욱 연장되며, 이로 인하여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편리하게 되고, 유지비가 절감되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석션 디퓨져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투시형 석션 디퓨져를 나타내는 전체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투시형 석션 디퓨져를 나타내는 전체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투시형 석션 디퓨져의 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투시형 석션 디퓨져에서 안전캡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투시형 석션 디퓨져에서 안전캡을 분리한 상태의 일부 확대 결합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투시형 석션 디퓨져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투시형 석션 디퓨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투시형 석션 디퓨져의 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원통 형상의 몸체(20)의 상측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측 연결부(21)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 일측에는 배출측 연결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측 연결부(22)의 대향 측에는 플랜지판(23)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20)의 내측에는 유입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필터링 하기 위한 공지의 필터부재 등이 구비된다.
상기 몸체(20)의 일측, 즉 상기 배출측 연결부(22) 및 플랜지판(23)과 직교하는 위치에는 외측에서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시수단(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시수단(30)은 몸통(20)의 일측에 개구 형성된 플랜지부(31a)를 가지는 개구부(31)와, 상기 플랜지부(31a)의 외측에 복수 개의 볼트(32) 및 너트(33)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재(3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4)는 중앙에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시구멍(3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투시구멍(34a)의 외측 내측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34)의 내측에는 상기 투시구멍(34a)과 대응하는 내부구멍(35a)을 가지는 체결부재(35)가 복수 개의 볼트(36)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데, 상기 고정부재(34)와 체결부재(35)의 사이에는 투시부재(37)가 개재되어 고정된다.
상기 투시부재(37)가 접촉하는 고정부재(34) 및 체결부재(35)에는 내부의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패킹(38a)(38b)이 개재되어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투시부재(37)는 고온, 고압에서 견딜 수 있도록 강화유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34)의 투시구멍(34a)에는 외측에서 안전캡(40)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안전캡(40)의 외주면에는 상기 투시구멍(34a)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나사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공구 등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구멍(34a)에 나사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공구 결합 돌기(4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전캡(40)의 가장자리 내측면에도 상기 투시부재(37)에 접촉될 때 실링을 행하도록 패킹(4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안전캡(40)은 외부충격에 의한 투시부재(37)의 파손을 방지하고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며, 필요시 몸체(20)로부터 안전캡(40)을 분리하면 투시부재(37)를 통하여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할 수 있으므로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유량이나 유속 등을 파악할 수 있고, 또한 내부의 부식 정도나 불순물의 유입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되며, 그 정도에 따라 장치를 정지하고 정비를 하거나 부품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점검이나 정비 등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안전캡(40)은 본 실시예에서 몸체(20)의 전면 측에 설치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몸체(20)의 배면 또는 전면 및 배면양측에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플랜지판(23)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투시형 석션 디퓨져는 몸체(20)의 흡입측 연결부(21)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가 배출측 연결부(22)를 통하여 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몸체(20)에 구비된 투시수단(30)의 안전캡(4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내부 온도나 압력 등에 의해 상기 투시수단(30)의 내부가 보호되며, 필요에 따라 내부를 투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안전캡(40)을 고정부재(34)로부터 분리하면 고정부재(34)의 나사구멍(34a)이 개방되어 몸체(20)의 내부를 투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안전캡(40)은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공구 결합 돌기(42)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상기 안전캡(40)이 고정부재(34)의 나사구멍(34a)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안전캡(40)이 고정부재(34)로부터 분리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시구멍(34a) 내에 위치된 투시부재(37)를 통하여 몸체(20)의 내부를 투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투시부재(32)를 통하여 몸체(20)의 내부를 투시하면 유체의 유량이나 유속을 파악할 수 있고, 또한 내부의 부식 상태나 이물질 등의 정도를 확인하여 플랜지판(23)을 분리하여 내부 부품을 교체하는 등의 정비를 적정 시기에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투시수단(30)을 몸체(20)의 전면 및 배면에 설치하면 내부를 투시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게 편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재(37)는 가장자리 양측의 고정부재(34) 및 체결부재(35)에 각각 결합된 패킹(38a)(38b)에 의해 실링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상기 안전캡(40)의 가장자리 내측면에도 패킹(43)이 결합되어 더욱 실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20: 몸체 21: 흡입측 연결부
22: 배출측 연결부 30: 투시수단
31: 개구부 31a: 플랜지부
34: 고정부재 34a: 투시구멍
35: 체결부재 37: 투시부재
40: 안전캡 42: 공구 결합 돌기

Claims (5)

  1. 몸체의 일측에 유체를 유입하는 흡입측 연결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측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에는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수단이 구비된 석션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투시수단(30)은 몸체(2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31)와;
    상기 개구부(31)의 외측에 구비되어 내부를 투시하는 투시부재(37)와;
    상기 개구부(31)에 결합되며 상기 투시부재(37)를 통하여 외부에서 투시할 수 있도록 투시구멍(34a)이 형성되고, 투시구멍(34a)에는 외측면에 공구 결합 돌기(42)를 가지는 안전캡(4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부재(34)와;
    상기 고정부재(34)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투시부재(37)를 고정하는 체결부재(35);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형 석션 디퓨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수단(30)은 몸체(20)의 전면 및 배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형 석션 디퓨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4) 및 체결부재(35)에는 투시부재(37)와의 접촉하는 부분에 실링을 행하는 패킹(38a)(38b)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형 석션 디퓨져.
  4. 삭제
  5. 삭제
KR1020140042028A 2014-04-08 2014-04-08 투시형 석션 디퓨져 KR101610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028A KR101610333B1 (ko) 2014-04-08 2014-04-08 투시형 석션 디퓨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028A KR101610333B1 (ko) 2014-04-08 2014-04-08 투시형 석션 디퓨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724A KR20150116724A (ko) 2015-10-16
KR101610333B1 true KR101610333B1 (ko) 2016-04-07

Family

ID=54365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028A KR101610333B1 (ko) 2014-04-08 2014-04-08 투시형 석션 디퓨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3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638Y1 (ko) 2000-06-10 2001-02-15 김이수 내부 확인 투시창을 부착한 원심, 축류, 사류 펌프
KR100886245B1 (ko) 2007-09-19 2009-02-27 유근제 디퓨져 조립체
KR101234992B1 (ko) 2011-12-22 2013-02-20 강완배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양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638Y1 (ko) 2000-06-10 2001-02-15 김이수 내부 확인 투시창을 부착한 원심, 축류, 사류 펌프
KR100886245B1 (ko) 2007-09-19 2009-02-27 유근제 디퓨져 조립체
KR101234992B1 (ko) 2011-12-22 2013-02-20 강완배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양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724A (ko) 201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7061B2 (ja) フランジ接合構造
US8851099B2 (en) Pip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9816893B2 (en) Device for detecting fluid leakage
US11890570B2 (en) Filter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on and/or switching off such filter device
US7896021B2 (en) Quick change check valve system
US20160082676A1 (en) Tire repair solution can
KR101610333B1 (ko) 투시형 석션 디퓨져
JP2009063547A (ja) ガスメータ取付ユニット
JP2013527413A (ja) コントロールバルブの圧力ブリード検査ポート
KR101431732B1 (ko) 부스터펌프 연결용 단관
JP2008151269A (ja) 圧力容器の安全装置
US9719235B1 (en) Full-drain type vacuum breaker
JP5260263B2 (ja) フランジ接合構造
JP6389148B2 (ja) ポンプ
CN207446825U (zh) 一种仪表清洗装置以及适用于该装置的过滤装置
JP2012024667A (ja) ストレーナ
CN213576839U (zh) 一种液体窥视器
CN203362616U (zh) 摩托车水冷发动机的可视水泵盖
KR20130002578U (ko) 배관 압력 테스트용 막음공구
CN203661766U (zh) 一种控制阀过滤器
CN205982273U (zh) 滑油管路中水分传感器安装装置
US7806145B1 (en) Housing for a flow conditioner
KR20200113956A (ko) 가스용기용 밸브 어셈블리
CN208634468U (zh) 一种可清洗过滤阀门
JP2010281449A (ja) ガス配管システム、およびこのようなガス配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破壊板付き配管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