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467B1 - 3원계 리튬 이차 전지 양극 재료 원료액 조성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3원계 리튬 이차 전지 양극 재료 원료액 조성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467B1
KR101609467B1 KR1020140119001A KR20140119001A KR101609467B1 KR 101609467 B1 KR101609467 B1 KR 101609467B1 KR 1020140119001 A KR1020140119001 A KR 1020140119001A KR 20140119001 A KR20140119001 A KR 20140119001A KR 101609467 B1 KR101609467 B1 KR 101609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concentration
material liquid
nickel
cob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9449A (ko
Inventor
오일환
사르와르 사드
배소현
김지은
권우정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19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46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9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103Atomic absorption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021/3125Measuring the absorption by excited molec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상기 3원계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 재료 원료액의 분광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측정된 분광값에서 니켈과 코발트 각각의 고유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이용하여 상기 원료액에서 니켈과 코발트 각각의 농도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원료액 전체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S30 단계에서 산출된 전체 농도에서 상기 S20 단계의 니켈과 코발트 농도를 제하여 망간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원계 리튬 이차 전지 양극 재료 원료액 조성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3원계 리튬 이차 전지 양극 재료 원료액 조성 분석 방법{Composition Analysis Method for Cathode Material of Li Ion Rechargeable Battery}
본 발명은 3원계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 재료 원료액의 조성을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 전지는 충전시 리튬을 제공하는 양극물질과 리튬을 받아들이는 음극물질, 리튬이온 전달 매개체인 전해질, 양극과 음극을 분리시켜주는 분리막 및 기타 부품으로 이루어진 에너지 저장기기이다. 리튬 이차 전지의 안전성, 수명특성, 고온에서의 저장특성(storage characteristics)은 전지가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요소이다. 전지의 수명특성에 가장 영향을 주는 인자는 양극과 음극 활물질의 특성으로서, 최근 음극 활물질 분야에서는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양극 활물질의 경우 여전히 개선되어야 할 부분들이 많이 남아 있고, 특히 전지의 안전성과 고온 저장특성은 대부분 양극 활물질의 특성에 의해 좌우된다는 점에서 양극 활물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전지를 구성하는 기본 재료적 측면에서 다양한 조합이 이뤄져 왔다. 리튬이차전지의 구동전압, 성능 등 다양한 특성들은 구성요소 중 양극재에 의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리튬이차전지 분야에서 새로운 양극재를 개발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진행되어 왔다.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재로 LiCoO2, LiNiO2 및 LiMn2O4의 장점을 혼합한 3성분계 Li[NiMnCo]O2 양극재는 코발트를 부분 대체함으로써 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망간을 사용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니켈을 사용함으로써 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3성분계 양극재료는 각 구성 성분들의 함량에 따라 다른 특성과 구조를 지니고 있다. 니켈의 함량이 증가하면 전기 용량은 증가하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고, 코발트 함량이 증가하면 양이온 혼합이 감소하고, 망간 함량이 증가하면 양이온 혼합이 증가하여 용량은 저하되지만 구조적 안정성이 증가된다. 즉, 3성분계 Li[NiMnCo]O2 양극재는 니켈, 코발트, 망간의 함량을 정밀하게 조정하여야, 전기 용량을 증가시키면서 구조적으로 안정하여 높은 전압에서 구동하여도 양호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6-0108110호 (2006.10.17)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3-0018811호 (2013.05.13)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1995-0009227호 (1995.04.21)
본 발명의 목적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양극 재료를 제조시 원료액 중 3원계 금속의 정확한 조성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3원계 리튬 이차 전지 양극 재료 원료액 조성 분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상기 3원계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 재료 원료액의 분광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측정된 분광값에서 니켈과 코발트 각각의 고유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이용하여 상기 원료액에서 니켈과 코발트 각각의 농도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원료액 전체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산출된 전체 농도에서 상기 b) 단계의 니켈과 코발트 농도를 제하여 망간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원계 리튬 이차 전지 양극 재료 원료액 조성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분광 측정은 상기 원료액의 파장에 따른 광의 투과율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원료액의 비중을 측정하여 상기 원료액의 전체 농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망간 농도는,
Mn 중량% = Total 중량% - Ni 중량% -Co 중량%,
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여기서, Mn은 상기 원료액 중 망간의 농도, Total은 상기 원료액의 전체 농도, Ni는 상기 원료액 중 니켈의 농도, Co는 상기 원료액 중 코발트의 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흡수성이 없는 +2가 망간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양극 재료 원료액의 3원계 금속의 정확한 조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이차 전지의 양극 재료의 조성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3원계 리튬 이차 전지 양극 소재 원료액의 분광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 는 3원계 리튬 이차 전지 양극 소재 원료액의 코발트에 대한 검정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3 은 3원계 리튬 이차 전지 양극 소재 원료액의 니켈에 대한 검정선을 나타낸 그래프,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 양극 소재 원료액의 조성 분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리튬 이차전지는 그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들 들어, 리튬 이온 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리튬 설퍼전지 등과 같은 리튬 2차 전지는 물론, 리튬 1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3원계 리튬 이차 전지는 대용량 전지에서도 안전성이 매우 우수한 니켈-코발트-망간계 활물질을 포함한다.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 활물질로는 LiCoO2, LiMn2O4, LiNi1-xCoxO2(0 < X < 1)등과 같이 리튬이 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리튬과 전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리티에이티드 인터칼레이션 화합물을 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양극 활물질을 적절히 혼합한 양극을 사용하면 상온 수명, 고온 수명 및 안정성이 모두 우수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중 니켈, 코발트, 망간을 함유하는 3원계 Li[NiMnCo]O2 양극재의 조성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3원계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코발트, 망간의 함량을 정밀하게 조정하여야, 전기 용량을 증가시키면서 구조적으로 안정하여 높은 전압에서 구동하여도 양호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3원계 리튬 이차 전지는 3원계 Li[NiMnCo]O2 를 양극재로 채택한다. Li[NiMnCo]O2 양극재 용액은 니켈, 코발트, 망간이온을 포함한다. Li[NiMnCo]O2 양극재 용액의 망간 이온은 +2가 이온이다. 니켈, 코발트, 망간의 함량을 정밀하게 조정하기 위해 니켈, 코발트, 망간의 농도를 정확하게 분석하여야 한다. 니켈과 코발트 성분은 농도에 따라 광 흡수도가 변화하여 광 흡수도(투과도)를 측정함으로써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망간의 경우 +7가 망간은 흡광을 하여 광 흡수도를 측정함으로써 농도 측정이 가능하나 +2가 망간은 흡광을 하지 않아 광 흡수도 측정을 통한 농도 측정이 불가능하여, 흡광도 측정법을 이용하여 농도를 검출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3원계 리튬 이온 전지의 양극 소재 원료액의 조성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상기 3원계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 재료 원료액의 분광을 측정한다(S10). 광흡수를 이용한 농도 측정을 위한 분광 측정은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995-0009277호 등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엥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코발트, 니켈, 망간이 혼합되어 있는 원료액에 대한 분광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니켈과 코발트 성분이 고유한 광파장에서 흡광도를 나타낸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켈은 400nm 부근에서 코발트는 520nm 부근에서 흡광봉우리를 나타낸다. 망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광 봉우리를 나타내지 않는다.
도 2 는 코발트의 고유 파장에서 기준 물질에 대한 측정을 통해 얻어진 코발트 검정선을 나타낸다. 코발트 검정선을 통해 코발트의 고유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면 코발트의 농도를 측정하게 된다.(S20)
농도(mg/ml) 흡광도
20 0.339
45 0.688
70 1.242
95 1.57
120 1.936
145 2.2292
도 2의 농도와 흡광도의 관계는 상기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S10 단계에서 520nm 부근의 흡광도가 2로 검출되면, 코발트의 농도는 도 2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123.7129(mg/ml)로 산출된다.
도 3 은 니켈의 고유 파장에서 기준 물질에 대한 측정을 통해 얻어진 니켈의 검정선을 나타낸다. 니켈 검정선을 통하여 니켈의 고유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면 니켈의 농도를 측정하게 된다(S20).
농도(mg/ml) 흡광도
20 0.37
50 0.919
80 1.442
110 2.201
140 2.509
170 2.796
도 3의 농도와 흡광도의 관계는 상기 표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S10 단계에서 400nm 부근의 흡광도가 1.97로 검출되면, 니켈의 농도는 도 3의 그래프를 참보하면 110.3531(mg/ml)로 산출된다.
그 다음, 원료액 전체 농도를 산출한다(S30). 즉, 원료액의 비중을 측정하여 원료액의 전체 농도를 산출한다. 양극재 원료액은 일반적으로 3원계 금속의 농도가 약 10 중량% 인데, 정확한 농도는 원료액의 비중을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그 다음 삼원계 금속 중 망간의 농도는 다음 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S40).
Mn(중량%) = Total(중량%) - Ni(중량%) - Co(중량%)
여기서, Mn은 상기 원료액 중 망간의 농도, Total은 상기 원료액의 전체 농도, Ni는 상기 원료액 중 니켈의 농도, Co는 상기 원료액 중 코발트의 농도를 나타낸다.
즉, 원료액의 비중을 측정하여 원료액 전체 농도를 산출한 다음, 여기서 상기 S20 단계에서 산출한 코발트의 농도와 니켈의 농도를 제하여 망간의 농도를 산출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광흡수성이 없는 +2가 망간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양극 재료 원료액의 3원계 금속의 정확한 조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이차 전지의 양극 재료의 조성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3원계 리튬 이차 전지 양극 재료 원료액 조성 분석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3원계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 재료 원료액의 분광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측정된 분광값에서 니켈과 코발트 각각의 고유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이용하여 상기 원료액에서 니켈과 코발트 각각의 농도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원료액 전체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산출된 전체 농도에서 상기 b) 단계의 니켈과 코발트 농도를 제하여 망간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원계 리튬 이차 전지 양극 재료 원료액 조성 분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분광 측정은 상기 원료액의 파장에 따른 광의 투과율을 측정하는 3원계 리튬 이차 전지 양극 재료 원료액 조성 분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원료액의 비중을 측정하여 상기 원료액의 전체 농도를 산출하는 3원계 리튬 이차 전지 양극 재료 원료액 조성 분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망간 농도는,
    Mn 중량% = Total 중량% - Ni 중량% -Co 중량%
    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여기서, Mn은 상기 원료액 중 망간의 농도, Total은 상기 원료액의 전체 농도, Ni는 상기 원료액 중 니켈의 농도, Co는 상기 원료액 중 코발트의 농도인 3원계 리튬 이차 전지 양극 재료 원료액 조성 분석 방법.
KR1020140119001A 2014-09-05 2014-09-05 3원계 리튬 이차 전지 양극 재료 원료액 조성 분석 방법 KR101609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001A KR101609467B1 (ko) 2014-09-05 2014-09-05 3원계 리튬 이차 전지 양극 재료 원료액 조성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001A KR101609467B1 (ko) 2014-09-05 2014-09-05 3원계 리튬 이차 전지 양극 재료 원료액 조성 분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449A KR20160029449A (ko) 2016-03-15
KR101609467B1 true KR101609467B1 (ko) 2016-04-05

Family

ID=5554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001A KR101609467B1 (ko) 2014-09-05 2014-09-05 3원계 리튬 이차 전지 양극 재료 원료액 조성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4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0790A (zh) * 2019-09-18 2019-11-19 四川长虹格润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废旧锂电池中镍钴锰的检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1405A (ja) 1998-10-27 2000-05-12 Hitachi Ltd リチウム電池の残存容量測定方法とその測定装置
JP2010078381A (ja) 2008-09-24 2010-04-08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誘導結合プラズマ発光分光分析法による金属元素の高精度分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977B1 (en) 1993-09-23 1997-07-05 Korea Measurement System Co Concentration measuring method using photo absorption
KR100667951B1 (ko) 2005-04-12 2007-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JP5691458B2 (ja) 2010-03-31 2015-04-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及び非接触給電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1405A (ja) 1998-10-27 2000-05-12 Hitachi Ltd リチウム電池の残存容量測定方法とその測定装置
JP2010078381A (ja) 2008-09-24 2010-04-08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誘導結合プラズマ発光分光分析法による金属元素の高精度分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449A (ko)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Identifying rate limitation and a guide to design of fast‐charging Li‐ion battery
Burns et al. Studies of the effect of varying vinylene carbonate (VC) content in lithium ion cells on cycling performance and cell impedance
Xia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a family of sulfate electrolyte additives
KR100563047B1 (ko) 양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 2차 전지
KR101951067B1 (ko) 이차 전지의 제어 장치 및 soc 검출 방법
Ma et al. Combinations of LiPO2F2and other electrolyte additives in Li [Ni0. 5Mn0. 3Co0. 2] O2/graphite pouch cells
Mendoza-Hernandez et al. State of charge dependency of graphitized-carbon-based reactions in a lithium-ion secondary cell studied by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KR101822703B1 (ko) 비수 전해액 2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894131B1 (ko)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수명 평가 방법
Qiao et al. High‐Voltage Li‐Ion Full‐Cells with Ultralong Term Cycle Life at Elevated Temperature
Yaqub et al. Low temperature performance of graphite and LiNi 0.6 Co 0.2 Mn 0.2 O 2 electrodes in Li-ion batteries
Ma et al. Impact of a titanium-based surface coating applied to Li [Ni0. 5Mn0. 3Co0. 2] O2 on lithium-ion cell performance
CN107112501B (zh) 非水电解质二次电池、电池组装体及其制造方法
CN105572155A (zh) 用于确定锂离子电池电极的锂化的方法
Tang et al. Insights into solid-electrolyte interphase induced Li-ion degradation from in situ auger electron spectroscopy
Klein et al. Identical materials but different effects of film-forming electrolyte additives in Li ion batteries: performance of a benchmark system as the key
US11024898B2 (en) Lithium-ion battery high temperature aging process
KR101609467B1 (ko) 3원계 리튬 이차 전지 양극 재료 원료액 조성 분석 방법
US11462775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im et al. Effect of electrode design parameters on the rate performance of LiNi0. 6Co0. 2Mn0. 2O2 cathodes using pulse measurements
CN105789570A (zh) 锂离子二次电池和制造锂离子二次电池的方法
Chowdhury et al. Influence of state of charge window on the degradation of Tesla lithium-ion battery cells
Ye et al. Impact of salts and linear carbonates on the performance of layered oxide/hard carbon sodium-ion pouch cells with alkyl carbonate electrolytes
JP6249233B2 (ja) 非水系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5892200B2 (ja) 電極、電池、電極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