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358B1 - 버블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버블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358B1
KR101609358B1 KR1020150121013A KR20150121013A KR101609358B1 KR 101609358 B1 KR101609358 B1 KR 101609358B1 KR 1020150121013 A KR1020150121013 A KR 1020150121013A KR 20150121013 A KR20150121013 A KR 20150121013A KR 101609358 B1 KR101609358 B1 KR 101609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using
hole
main body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원걸
임영인
김진한
임지영
정태영
김현식
안예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엔텍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엔텍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엔텍알앤디
Priority to KR1020150121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3/04099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B01F5/04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B01F2003/0487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블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본체를 통과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외부공기가 본체의 내측으로 흡입되도록 하여 본체의 내측으로 통과하는 물에 마이크로 버블이 생성되도록 하여 배출시킴으로써, 마이크로 버블이 포함되어 배출되는 물로 하·폐수공기공급증대, 수중부영양화저감, 해양적조저감, 샤워, 세척수, 농업용, 어업용 등 다양한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하천수 등에 설치하여 하천수로 유입되는 공기방울의 크기를 최소화시켜 하천수, 해양 양식장 등에 대한 정화기능 및 이로 인한 수질개선 효과를 구현할 있도록 한 버블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물이 유입되는 물공급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부에 설치되어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물공급부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물배출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공기와 물이 혼합되어 버블이 생성되도록 하는 제1버블생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블 발생장치{Bubble 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은 버블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본체를 통과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외부공기가 본체의 내측으로 흡입되도록 하여 본체의 내측으로 통과하는 물에 마이크로 버블이 생성되도록 하여 배출시킴으로써, 마이크로 버블이 포함되어 배출되는 물로 하·폐수공기공급증대, 수중부영양화저감, 해양적조저감, 샤워, 세척수, 농업용, 어업용 등 다양한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하천수 등에 설치하여 하천수로 유입되는 공기방울의 크기를 최소화시켜 하천수, 해양 양식장 등에 대한 정화기능 및 이로 인한 수질개선 효과를 구현할 있도록 한 버블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속에는 다량의 산소가 포함되어 수생식물이나 동물이 서식할 수 있는데, 만약 물속에 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물에 부영양화가 진행되므로, 물이 오염될 수 있다.
즉, 물속에 산소가 많이 포함될 경우, 물속에 포함된 유기물이 산소에 의해 산화, 분해되는 과정이 진행되어 호기성으로 청정한 물로 정화될 수 있는데 공기 중의 산소는 물속에 포화될 수 있는 용존 산소량은 그 한계가 있으므로 물에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유입되는 경우 협기성화 부패하여 자체 정화는 어려워진다.
이때, 물속에 포함된 산소의 양인 용존 산소량이 높은 물은 오존(과산화수소)과 같이 살균작용도 겸하여 물속에서 나쁜 세균의 발생과 부패 등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물속에 산소를 포함시켜 이용하는 종래의 기술은 수질 정화시설이나 양식장 및 세탁기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정화시설에서 산소 기포를 정화조의 내부에서 폭기하여 산소에 의해 오폐수의 분해를 활성화한다.
또한, 양식장에서는 어패류의 배설물이나 바닥면으로 침전된 사료를 분해하거나 배설물이나 사료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분해하며, 물에 살균작용을 하여 양식장 내의 물고기가 병균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세탁기에서 세탁수에 미세화된 마이크로 버블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살균하게 되는데, 세탁 과정이나 헹굼 과정에서 마이크로 버블이 세탁물에 접촉하며 마이크로 버블에 의해 옷감이 살균되게 된다.
최근에는 위와 같은 마이크로 버블의 활용분야가 더욱 다양화되어 피부의 모공 세정과 마시지 작용 등과 같은 피부 미용 분야뿐만 아니라 다이어트 효과와 같은 건강 분야로까지 마이크로 버블은 응용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욕조 등도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종래에는 가압펌프를 사용함이 일반적이다.
즉, 상기와 같은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물과 산소를 가압한 상태로 마이크로 버블 발생용 노즐이나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유입시켜야 마이크로 크기의 버블이 발생 될 수 있었다.
이러한, 가압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압펌프 및 가압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장치 또한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버블 자체를 발생시키거나, 발생된 마이크로 버블을 응용하는 제품은 큰 부피와 함께 무게를 갖게 되므로, 소형화와 경량화가 어려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878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169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238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가압수단 및 가압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장치가 없이 유입되어 본체부를 통과하는 압력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물과 공기가 혼합되면서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소형화와 경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감 및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물이 공급부재를 통하여 유입되어 본체부의 내측에 구비된 버블생성부의 내측으로 물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공기통로를 통하여 동시 다발적으로 유입되어 물과 혼합함으로써,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기장치 등이 필요 없음으로써, 물에 의한 감전의 위험이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장소의 공간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기장치 등이 필요 없음으로써, 버블 발생장치의 유지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물이 유입되는 물공급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부에 설치되어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물공급부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물배출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공기와 물이 혼합되어 버블이 생성되도록 하는 제1버블생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관통공과 연통되게 흡입공이 형성된 본체로 이루어지되, 이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의 일측 내주면에는 물공급부가 결합되는 제1나사공이 형성되고, 타측 내주면에는 물배출부가 결합 고정되는 제2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는 일측에 본체부의 본체에 형성된 제1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제1나사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공급공이 형성되며, 제1나사가 형성된 방향에는 제1결속홈이 형성된 공급부재로 이루어지되, 이 공급부재에 형성된 제1결속홈이 형성된 타측 공급공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물배출부는 일측에 본체부의 본체에 형성된 제2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제2나사가 형성된 방향에는 제2결속홈이 형성된 배출부재로 이루어지되, 이 배출부재에 형성된 제2결속홈의 타측 배출공에는 제2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버블생성부는 본체부의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위치되어 물공급부의 공급부재에 형성된 제1결속홈에 결속 고정되는 제1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물공급부에 결속된 제1하우징의 타측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2하우징이 구비되며, 상기 제2하우징과 물배출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3하우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하우징은 외경이 본체의 관통공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중앙부에는 제1유로가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공급부재의 제1결속홈에 결속되는 제1결속돌기가 형성되며, 타측부에는 제2결속돌기가 형성되며, 제2결속돌기에는 제1공기실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1공기실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제1공기유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2하우징은 외경이 제1하우징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제2유로가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제1하우징의 제2결속돌기가 결속되는 제3결속홈이 형성되며, 타측부에는 제3결속돌기가 형성되고, 제3결속돌기에는 제2공기실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2공기실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제2공기유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은 다수개가 구비되되, 일측에 형성된 제3결속돌기가 이웃하는 제2하우징의 제2결속홈이 결속되게 다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3하우징은 외경이 제1하우징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제3유로가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제2하우징의 제3결속돌기에 결속되는 제4결속홈이 형성되며, 타측부에는 물배출부의 배출부재에 형성된 제3결속홈에 결속되는 제3결속돌기가 형성되되, 제3하우징의 일측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본체의 관통공 내주면에 지지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의 제2결속돌기와 제2하우징의 제3결속홈 및 제2하우징의 제3결속돌기와 제3하우징의 제4결속홈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부의 공급부재에 형성된 공급공과, 제1버블생성부의 제1하우징의 제1유로와 제2하우징의 제2유로와 제3하우징의 제3유로 및 물배출부의 배출공은 순차적으로 직경이 점차 큰 직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배출부에는 제2버블생성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버블생성부는 물배출부의 배출부재 외주면에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설치판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판에 결합 고정되되, 일측이 개방되게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버블홀이 형성되어 개방부가 설치판에 결합 고정되는 버블생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버블생성부재의 외측에 구비되어 일측이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출부재의 일측부가 커버되게 설치판에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에는 드레인공이 형성된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제3버블생성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3버블생성부는 버블생성부재와 케이스의 사이에 구비되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부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원통기둥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가압수단 및 가압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장치가 없이 유입되어 본체부를 통과하는 압력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물과 공기가 혼합되면서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소형화와 경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감 및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물이 공급부재를 통하여 유입되어 본체부의 내측에 구비된 버블생성부의 내측으로 물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공기통로를 통하여 동시 다발적으로 유입되어 물과 혼합함으로써, 마이크로 버블의 발생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기장치 등이 필요 없음으로써, 물에 의한 감전의 위험이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장소의 공간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기장치 등이 필요 없음으로써, 버블 발생장치의 유지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를 보인 확대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버블생성부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장치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를 보인 확대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버블생성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장치(100)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물이 공급되는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본체부(110)로 유입되는 물공급부(210)와,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부에 설치되어 물과 버블이 혼합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물배출부(310)와, 상기 본체부(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물공급부(210)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공기를 혼합하여 버블이 생성되도록 하는 제1버블생성부(4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관통되는 관통공(114)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114)의 일측부에는 물공급부(210)가 나사결합되는 제1나사공(114a)이 형성되고, 관통공(114)의 타측부에는 물배출부(310)가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공(114b)이 형성된 본체(1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본체(112)의 외측부에는 관통공(114)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외부공기가 관통공(114)으로 유입되도록 흡입공(11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12)에 형성된 흡입공(116)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관통공(114)으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부(210)는 본체(112)의 제1나사공(114a)에 나사 결합 고정되는 공급부재(21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재(212)는 일측부에 단턱지게 형성되어 본체(112)의 관통공(114) 일측에 형성된 제1나사공(114a)에 나사 결합되는 제1나사(214)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공급공(21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급부재(212)에 형성된 공급공(216)의 일측부, 즉 본체(112)에 결합 고정된 타측부에는 입구가 넓게 형성되고, 본체(112)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제1경사면(216a)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공급부재(212)의 제1나사(214)가 형성된 방향의 측부에는 제1결속홈(21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재(212)의 공급공(216)으로 물이 공급되되, 공급되는 물은 넓게 형성된 제1경사면(216a)을 통과하여 좁게 형성된 공급공(216)을 통하여 본체(112) 방향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물의 공급속도가 상승하여 빠른 유속으로 물이 본체부(110) 방향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급부재(212)의 외측부에는 물을 공급하는 수단이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산(2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물배출부(310)는 본체(112)의 관통공(114)에 형성된 제2나사공(114b)에 나사 결합되는 배출부재(31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재(312)는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게 배출공(314)이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본체(112)의 관통공(114)에 형성된 제2나사공(114b)에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31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부재(312)에 형성된 배출공(314)은 본체(112)에 결합된 타측부의 직경은 넓게 형성하고, 본체(112) 방향으로 갈 수로 점차 좁아지도록 제2경사면(314a)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배출부재(312)의 제2나사(316)가 형성된 방향에는 제2결속홈(31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12)의 내측에 구비된 제1버블생성부(410)에서 물과 공기가 혼합되어 생성된 버블과 물이 배출되게 되고, 좁은 배출공(314)을 통과하여 제2경사면(314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물과 버블이 넓게 퍼진 상태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본체(112)에 결합 고정되는 공급부재(212)와 배출부재(312)의 결속부에는 누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O링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버블생성부(410)는 본체부(110)의 본체(112)에 형성된 관통공(114)에 설치되어 공급부재(212)에 결속되는 제1하우징(412)과, 제1하우징(412)의 일측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2하우징(430)과, 제2하우징(430)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는 배출부재(312)에 결합 고정되는 제3하우징(45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하우징(412)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경이 본체(112)의 관통공(114)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제1하우징(412)의 외측면과 관통공(114)의 내주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공급공(216)과 연통되는 제1유로(414)가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공급부재(212)의 제1결속홈(218)에 결속 고정되는 제1결속돌기(41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결속돌기(416)가 형성된 제1하우징(412)의 타측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2결속돌기(418)가 형성되고, 제2결속돌기(418)에는 원호 방향으로 함몰되게 제1공기실(420)이 형성되며, 제1하우징(412)의 외주면에는 제1공기실(420)과 연통되게 다수개의 제1공기유입공(4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12)의 흡입공(116)으로 흡입된 공기는 관통공(114)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이 관통공(114)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하우징(412)의 제1유로(414)를 통과하는 수압에 의해 제1공기유입공(422)을 통하여 제1공기실(420)로 유입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2하우징(430)은 제1하우징(412)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되, 내측에 제2유로(432)가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제1하우징(412)의 제2결속돌기(418)가 결속되는 제3결속홈(43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결속홈(434)이 형성된 제2하우징(430)의 타측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3결속돌기(436)가 형성되고, 제3결속돌기(436)에는 함몰되게 제2공기실(438)이 형성되며, 제2하우징(430)의 외주면에는 제2공기실(438)과 연통되게 다수개의 제2공기유입공(44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하우징(430)은 본체(112)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를 서로 연결되게 결합 고정시켜 설치하되, 제1하우징(412)에 결합 고정된 제2하우징(430)의 타측부에 형성된 제3결속돌기(436)에 이웃하는 제2하우징(430)의 제3결속홈(434)을 결속시키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제2하우징(430)을 서로 연결시켜 설치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3하우징(450)은 제2하우징(430)에 형성된 제3결속돌기(436)에 결속되는 제4결속홈(452)이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배출부재(312)에 형성된 제2결속홈(318)에 결속되는 제4결속돌기(454)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제3유로(45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하우징(450)의 외측부에는 본체(112)의 관통공(114) 내주면에 밀착되어 관통공(114)과 제1,2,3하우징(412)(430)(450)의 외주면 사이에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돌기(45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412)의 제2결속돌기(418)와 제2하우징(430)의 제3결속홈(434) 사이 및 제2하우징(430)의 제3결속돌기(436)와 제3하우징(450)의 제4결속홈(452)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공기가 제1,2,3유로(414)(432)(456)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12)의 관통공(114)으로 흡입된 공기는 제1,2하우징(412)(430)에 형성된 제1,2공기유입공(422)(440)을 통하여 제1,2공기실(420)(438)로 유입되고, 제1,2공기실(420)(438)로 유입된 공기는 제1,2,3하우징(412)(430)(450)의 결속된 위치의 이격 공간을 통하여 제1,2,3유로(414)(432)(456)로 흡입되어 물과 공기가 혼합이 이루어져 버블이 생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12)에 설치된 공급부재(212)의 공급공(216)과, 제1하우징(412)의 제1유로(414)와, 제2하우징(430)의 제2유로(432)와, 제3하우징(450)의 제3유로(456)의 직경은 공급공(216)부터 배출공(314)으로 갈 수로 순차적으로 직경이 큰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재(212)를 통하여 공급되어 제1하우징(412)과 제2하우징(430) 및 제3하우징(450)을 통하여 배출부재(312)의 배출공(314)으로 배출되는 물이 제1,2,3하우징(412)(430)(450)의 결합 위치에 형성된 이격 공간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용이하게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3하우징(412)(430)(450)에 형성된 제1,2,3유로(414)(432)(456) 각각의 길이(L)는 제1,2,3유로(414)(432)(456)의 직경(D)보다 5~7배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2,3하우징(412)(430)(450)의 제1,2,3유로(414)(432)(456) 길이(L)를 직경(D)의 5배 이하로 형성하게 되면 길이가 너무 짧게 되어 공기와 물이 혼합되는 구간이 너무 짧아 혼합이 제대로 버블이 생성되지 않게 되고, 길이가 직경의 7배보다 길게 되면 공기가 물에 혼합된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버블이 소실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장치(100)는 먼저, 가정, 업소, 공장 및 농장 등의 급수수단에 설치하여 급수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공급부재(212)로 유입되어 본체(112)의 내측에 설치된 제1버블생성부(410)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급부재(212)의 내측을 통과하는 물은 제1경사면(216a)을 통과하여 좁게 형성된 공급공(216)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고압으로 제1버블생성부(410)로 공급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공급부재(212)로부터 고압으로 공급된 물은 제1하우징(412)의 제1유로(414)와, 제2하우징(430)의 제2유로(432) 및 제3하우징(450)의 제3유로(456)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흡입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버블생성부(4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본체(112)의 흡입공(116)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본체(112)의 관통공(114) 내측으로 유입되고, 관통공(114)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2하우징(412)(430)에 형성된 제1,2공기유입공(422)(440)을 통하여 유입되어 제1,2하우징(412)(430)의 제1,2공기실(420)(438)로 유입되며, 제1,2공기실(420)(438)로 유입된 공기는 제1,2,3하우징(412)(430)(450)의 결속부에 형성된 이격 공간을 통하여 제1,2유로(414)(432)(456)로 유입되어 물과 공기가 혼합되어 버블이 생성된 상태에서 배출부재(312)의 배출공(314)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3하우징(412)(430)(450)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내측을 통과하는 물과 함께 혼합되어 배출공(314)을 통하여 배출될 때 배출공(314)의 후부에 형성된 제2경사면(314a)을 통하여 분사되는 과정에서 배출공(314)을 통과한 물과 공기가 넓게 펴지면서 분사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장치(100)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가압수단 및 가압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장치가 없이 유입되어 본체부(110)에 구비된 제1버블생성부(410)를 통과하는 압력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물과 공기가 혼합되면서 버블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소형화와 경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버블 발생장치(100)가 물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본체(112)에 형성된 흡입공(116)에 결속되는 별도의 공급관(미도시)의 일측을 결합 고정시키고, 타측부는 물의 밖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버블생성부(410)에서 버블이 생성되어 배출부재(412)로 배출되는 버블이 포함된 물이 충돌하여 미세한 마이크로 버블이 생성되도록 제2버블생성부(5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버블생성부(510)는 배출부재(412)의 외주면에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설치판(51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설치판(512)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버블생성부재(5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버블생성부재(520)는 배출부재(312)의 일측부가 내측에 위치되게 설치판(512)에 결합 고정되고, 설치판(512)에 결합 고정된 버블생성부재(520)의 타측부에 버블홀(52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부재(312)의 배출공(314)을 통하여 버블이 포함된 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배출되는 물과 버블은 버블생성부재(520)의 내주면 및 내부에 머무르는 물과 강하게 충돌하면서 더욱 미세한 마이크로 버블이 생성되어 버블홀(52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버블생성부(510)의 외측부에는 버블생성부재(520)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된 제3버블생성부(5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버블생성부(530)는 버블생성부재(520)의 외측에 구비되되, 버블생성부재(520)와 동일하게 일측이 개방되게 용기 형성으로 형성되어 설치판(512)의 일측부에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케이스(53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설치판(512)은 배출부재(412)와 일체 또는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되, 외측부에는 원호 방향으로 안착돌기(5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블생성부재(520)의 측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의 버블홀(522)이 더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케이스(531)의 일측에는 플랜지(532)가 형성되어 설치판(512)의 안착돌기(514)에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된다.
이때, 상기 설치판(512)에 결합 고정된 케이스(531) 타측부에는 드레인공(534)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531)의 내측부에 설치되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531)의 내측면과 버블생성부재(520)의 외측부에 결합 고정되고, 측면에 다수개의 통공(542)이 형성된 원통기둥(54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배출부재(312)의 배출공(314)을 통하여 버블이 포함된 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배출되는 물과 버블은 버블생성부재(520)의 내주면 및 내부에 머무르는 물과 강하게 충돌하면서 더욱 미세한 마이크로 버블이 생성되어 버블홀(522)을 통하여 케이스(531)의 내측과 원통기둥(540)의 내측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531)의 내측, 즉 버블생성부재(520)의 측부에 형성된 버블홀(52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케이스(530)의 내측으로 공급된 마이크로 버블은 다시 통공(542)을 통하여 원통기둥(54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케이스(530)에 형성된 드레인공(53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버블생성부재(520)의 타측부에 형성된 버블홀(524)을 통하여 배출되는 버블은 원통기둥(540)을 통과하여 드레인공(53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버블생성부(410)에서 1차 버블이 생성되어 배출부재(312)를 통하여 버블이 포함된 물이 배출되고, 이 배출된 물과 버블은 제2버블생성부(510)에서 미세한 마이크로 버블로 생성되어 더 많은 버블이 형성되어 제3버블생성부(530)러 배출되게 함으로써, 버블의 생성량이 다 많아지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버블 발생장치 110 ; 본체부
112 : 본체 114 : 관통공
114a : 제1나사공 114b : 제2나사공
116 : 흡입공 210 : 물공급부
212 : 공급부재 214 : 제1나사
216 : 공급공 216a : 제1경사면
218 : 제1결속홈 220 : 나사산
310 : 물배출부 312 : 배출부재
314 : 배출공 314a : 제2경사면
316 : 제2나사 318 : 제2결속홈
410 : 제1버블생성부 412, 430, 450 : 제1,2,3하우징
414, 432, 456 : 제1,2,3유로
416, 418, 436, 454 : 제1,2,3,4결속돌기
420, 438 : 제1,2공기실 422, 440 : 제1,2공기유입공
434, 452 : 제3,4결속홈 458 : 지지돌기
510 : 제2버블생성부 512 : 설치판
514 : 안착돌기 520 : 버블생성부재
522, 524 : 버블홀 530 : 제3버블생성부
531 : 케이스 532 : 고정돌기
534 : 드레인공 540 : 원통기둥
542 : 통공

Claims (15)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물이 유입되는 물공급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부에 설치되어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물공급부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물배출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공기와 물이 혼합되어 버블이 생성되도록 하는 제1버블생성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는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관통공과 연통되게 흡입공이 형성된 본체로 이루어지되, 이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의 일측 내주면에는 물공급부가 결합되는 제1나사공이 형성되고, 타측 내주면에는 물배출부가 결합 고정되는 제2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버블생성부는 본체부의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위치되어 물공급부의 공급부재에 형성된 제1결속홈에 결속 고정되는 제1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물공급부에 결속된 제1하우징의 타측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2하우징이 구비되며, 상기 제2하우징과 물배출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3하우징이 구비되며,
    상기 제2하우징은 다수개가 구비되되, 일측에 형성된 제3결속돌기가 이웃하는 제2하우징의 제2결속홈이 결속되게 다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물배출부에는 미세한 마이크로 버블이 생성되도록 제2버블생성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2버블생성부는 물배출부의 배출부재 외주면에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설치판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판에 결합 고정되되, 일측이 개방되게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버블홀이 형성되어 개방부가 설치판에 결합 고정되는 버블생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버블생성부재의 외측에 구비되어 일측이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출부재의 일측부가 커버되게 설치판에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에는 드레인공이 형성된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제3버블생성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3버블생성부는 버블생성부재와 케이스의 사이에 구비되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부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원통기둥이 구비되며,
    설치판의 외측부에는 원호 방향으로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안착돌기에 대응되도록 플랜지가 형성되어 설치판의 안착돌기에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관통공과 연통되게 흡입공이 형성된 본체로 이루어지되, 이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의 일측 내주면에는 물공급부가 결합되는 제1나사공이 형성되고, 타측 내주면에는 물배출부가 결합 고정되는 제2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발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일측에 본체부의 본체에 형성된 제1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제1나사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공급공이 형성되며, 제1나사가 형성된 방향에는 제1결속홈이 형성된 공급부재로 이루어지되, 이 공급부재에 형성된 제1결속홈이 형성된 타측 공급공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발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배출부는 일측에 본체부의 본체에 형성된 제2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제2나사가 형성된 방향에는 제2결속홈이 형성된 배출부재로 이루어지되, 이 배출부재에 형성된 제2결속홈의 타측 배출공에는 제2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발생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외경이 본체의 관통공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중앙부에는 제1유로가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공급부재의 제1결속홈에 결속되는 제1결속돌기가 형성되며, 타측부에는 제2결속돌기가 형성되며, 제2결속돌기에는 제1공기실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1공기실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제1공기유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발생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외경이 제1하우징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제2유로가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제1하우징의 제2결속돌기가 결속되는 제3결속홈이 형성되며, 타측부에는 제3결속돌기가 형성되고, 제3결속돌기에는 제2공기실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2공기실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제2공기유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발생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하우징은 외경이 제1하우징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제3유로가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제2하우징의 제3결속돌기에 결속되는 제4결속홈이 형성되며, 타측부에는 물배출부의 배출부재에 형성된 제3결속홈에 결속되는 제3결속돌기가 형성되되, 제3하우징의 일측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본체의 관통공 내주면에 지지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발생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제2결속돌기와 제2하우징의 제3결속홈 및 제2하우징의 제3결속돌기와 제3하우징의 제4결속홈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발생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의 공급부재에 형성된 공급공과, 제1버블생성부의 제1하우징의 제1유로와 제2하우징의 제2유로와 제3하우징의 제3유로 및 물배출부의 배출공은 순차적으로 직경이 점차 큰 직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발생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50121013A 2015-08-27 2015-08-27 버블 발생장치 KR101609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013A KR101609358B1 (ko) 2015-08-27 2015-08-27 버블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013A KR101609358B1 (ko) 2015-08-27 2015-08-27 버블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358B1 true KR101609358B1 (ko) 2016-04-06

Family

ID=55790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013A KR101609358B1 (ko) 2015-08-27 2015-08-27 버블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35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553B1 (ko) * 2016-09-09 2017-03-17 주식회사 한길테크 살균장치
CN109944030A (zh) * 2017-12-14 2019-06-28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注水装置以及洗衣机
KR20190143640A (ko) * 2018-06-21 2019-12-31 김보경 에어 디퓨저
KR102118842B1 (ko) * 2020-01-17 2020-06-03 우창수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CN112899991A (zh) * 2019-12-04 2021-06-0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微气泡处理剂盒组件及具有其的洗涤设备
KR20220026433A (ko) * 2020-08-25 2022-03-04 김보경 에어 디퓨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320B1 (ko) * 2010-08-31 2012-03-22 주식회사환경과생명 나노 기공 구조의 다공질 소결체 벤튜리 튜브를 이용한 다용도 나노 버블수 발생장치
KR101286480B1 (ko) * 2013-05-02 2013-07-17 주식회사 티앤씨테크 초미세기포 발생용 고효율 기체용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320B1 (ko) * 2010-08-31 2012-03-22 주식회사환경과생명 나노 기공 구조의 다공질 소결체 벤튜리 튜브를 이용한 다용도 나노 버블수 발생장치
KR101286480B1 (ko) * 2013-05-02 2013-07-17 주식회사 티앤씨테크 초미세기포 발생용 고효율 기체용해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553B1 (ko) * 2016-09-09 2017-03-17 주식회사 한길테크 살균장치
CN109944030A (zh) * 2017-12-14 2019-06-28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注水装置以及洗衣机
KR20190143640A (ko) * 2018-06-21 2019-12-31 김보경 에어 디퓨저
KR102117681B1 (ko) 2018-06-21 2020-06-01 김보경 에어 디퓨저
CN112899991A (zh) * 2019-12-04 2021-06-0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微气泡处理剂盒组件及具有其的洗涤设备
KR102118842B1 (ko) * 2020-01-17 2020-06-03 우창수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KR20220026433A (ko) * 2020-08-25 2022-03-04 김보경 에어 디퓨저
KR102499387B1 (ko) 2020-08-25 2023-02-13 김보경 에어 디퓨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358B1 (ko) 버블 발생장치
JP3765759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2017192931A (ja) 曝気装置
KR101602657B1 (ko) 살균정화 샤워기
JP2007075723A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KR101270696B1 (ko) 오존살균수 및 oh라디칼 발생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폐수 정화, 세정 또는 살균 설비
KR100824714B1 (ko)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KR101264149B1 (ko) 디퓨저 노즐
KR101824240B1 (ko) 미세기포 발생용 기체용해장치를 포함한 고밀도 미세기포 발생장치
WO2015111592A1 (ja) 閉鎖循環濾過養殖システム
KR100807189B1 (ko) 마이크로버블 노즐
JP2006247469A (ja) 汚水処理装置
JP2006198499A (ja) 水の殺菌方法および殺菌装置
KR200446903Y1 (ko) 마이크로 버블기가 장착된 버블 샤워기
JP2008149201A (ja) 空気溶解水発生装置
KR100887293B1 (ko) 마이크로버블 노즐
JP2004066012A (ja) 曝気装置
KR20010044325A (ko) 자외선과 오존을 이용한 고도산화처리에 의한 수처리장치
JP2008114098A (ja) マイクロバブル生成ノズル及びマイクロバブル生成設備
KR20100101513A (ko)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
KR101235184B1 (ko) 하이브리드 살균처리 시스템
KR101654786B1 (ko) 회전류 발생기
KR102305014B1 (ko) 마이크로 버블 기능수 제조장치
KR20210065209A (ko) 주방용 자화수 샤워 헤드 장치
KR20180136676A (ko) 양식용 수조의 순환 여과식 수질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