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640A - 에어 디퓨저 - Google Patents

에어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640A
KR20190143640A KR1020180071373A KR20180071373A KR20190143640A KR 20190143640 A KR20190143640 A KR 20190143640A KR 1020180071373 A KR1020180071373 A KR 1020180071373A KR 20180071373 A KR20180071373 A KR 20180071373A KR 20190143640 A KR20190143640 A KR 20190143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xing member
air diffuser
diffuser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7681B1 (ko
Inventor
김보경
Original Assignee
김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경 filed Critical 김보경
Priority to KR1020180071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681B1/ko
Publication of KR20190143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에어 디퓨저는, 일측에 에어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상부부재;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를 토출시키는 에어토출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하부부재;를 포함하여서, 상기 에어는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고, 상기 삽입부를 경유하여 상기 에어토출부재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 디퓨저{An air diffuser}
본 발명은 에어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 및 유지관리가 간편하고, 구동 시 물에 가라앉아 있도록 하며, 기포 입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에어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에어 디퓨저는 수조 또는 어항에 주로 직접적으로 산소를 공급하거나 간접적으로 물의 순환을 유도하여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도1은 종래 에어 디퓨저를 도시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에어 디퓨저(1)는, 본체(2)와 다공성재질의 에어배출부(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2)의 상측에는 에어공급용 튜브(5)가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부(3)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배출부(4)는 상기 본체(2)로 유입된 에어를 외측으로 토출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주로 다공성 세라믹 또는 오픈셀 타입의 다공성 발포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배출부(4)는 상기 본체(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2)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에어 디퓨저(1)는, 사용 중 상기 에어배출부(4)의 기공에 이물질이 점차적으로 점착되어 결국에는 막히는데, 이때 상기 에어배출부(4)를 본체(2)로부터 분리할 수 없거나 물리적으로 간편하게 세척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 경우, 종래 에어 디퓨저(1)는 일정 기간 동안 사용 후에 폐기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에어배출부(4)가 발포 플라스틱 또는 단순한 홀이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구동 시 가라앉지 않기 때문에 물속으로 가라앉히기 위해서 별도의 부가장치를 결합하여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종래 에어 디퓨저(1)는 발생되는 기포의 기크를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4742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립 및 유지관리가 간편하고, 구동 시 물에 가라앉아 있도록 하며, 기포 입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에어 디퓨저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디퓨저는, 일측에 에어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상부부재;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를 토출시키는 에어토출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하부부재;를 포함하여서, 상기 에어는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고, 상기 삽입부를 경유하여 상기 에어토출부재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횡단면을 기준으로 할 때, 가상원이 이루는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수나사산부와, 상기 가상원의 원주와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상기 원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서 에어를 통기시키는 유로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토출부재는 상기 삽입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물보다 무거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나사산부는 상기 가상원의 일부 원호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부와, 상기 가상원의 중심으로 상기 제1 나사산부와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2 나사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제1,2 나사산부의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며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수나산부가 체결되는 암나사산부가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하측에 결합되며 하중을 하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무게중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측과 접촉하여 상기 고정부재가 상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의 유입부와 삽입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사이에는 상기 에어토출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1 홈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부재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2 홈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토출부재는 상기 삽입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에어를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스테인리스 재질 또는 황동 재질의 캡 너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를 수용한 상태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토출부재는 압축 가능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토출부재는 복수 개 마련되며, 각 에어토출부재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디퓨저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디퓨저는, 상부부재와 고정부재가 수용된 하부부재를 나사 결합하고, 이때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 에어 토출부를 배치하여 체결하므로, 간편하게 에어 디퓨저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디퓨저는, 물보다 무거운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는 동시에 에어 디퓨저가 물에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에어토출부재는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므로, 상기 에어토출부재의 청소 또는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상기 에어토출부재만을 청소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부재에 수용된 고정부재와 상기 상부부재가 나사 결합될 때,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부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부재의 유로형성부는 서로 이격되어 에어가 통기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을 간편하게 하면서, 에어를 상측으로 용이하게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디퓨저는, 에어토출부재가 압축 가능하고, 압축 정도에 따라서 상기 에어토출부재를 통해 토출되는 기포 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에어 디퓨저에 대한 도면,
도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분리사시도,
도4는 도3의 단면도,
도5는 도4의 A-A 선 단면도,
도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토출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의 사용상태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의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분리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단면도이고, 도5는 도4의 A-A 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100)는, 상부부재(10), 고정부재(20), 에어토출부재(30), 하부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부재(10)는 유입부(11)와 삽입부(12)를 구비한다.
상기 유입부(11)는 상기 상부부재(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에어를 유입시키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유입부(11)는 관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입부(11)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테이퍼부(111)가 마련된다. 상기 테이퍼부(111)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져 외부에서 에어를 공급하는 튜브(20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입부(11)의 내경은 2.5mm 내지 3.5mm로 형성되고, 외경은 4.5mm 내지 5.5mm로 형성된다. 상기 내경 및 외경은, 상기 튜브(200)의 내경이 4m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을 고려한 것이며, 유연한 상기 튜브(200)가 상기 유입부(11)에 끼워질 때 상기 튜브(200)의 외경보다 상기 유입부(11)의 외경이 다소 크므로, 상기 튜브(200)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유입부(11)의 외경에 밀착되므로, 상기 튜브(200)는 견고하게 상기 유입부(11)에 결합된다. 물론, 상기 유입부(11)의 내외경은 상기 튜브(200)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2)는 상기 상부부재(10)의 타측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12)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부(11)와 마찬가지로 관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12)는 상기 유입부(11)와 연통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입부(11)와 삽입부(12)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입부(11)와 상기 삽입부(12)는 에어공급공(112)에 의해 서로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12)는 수나사산부(121)와 유로형성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수나산부(121)는, 상기 삽입부(12)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할 때, 가상원이 이루는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수나산부(121)는 제1 나사산부(1211)와 제2 나사산부(1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나사산부(1211)는 상기 가상원의 일부 원호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나사산부(1212)는 상기 가상원의 중심으로 상기 제1 나사산부(1211)와 마주하여 배치된다. 물론, 상기 수나산부(121)는 상기 제1,2 나사산부(1211,1212)와 같이 서로 대칭인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로형성부(122)는, 상기 유입부(11)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상기 삽입부(12)를 경유한 후에 에어토출부재(30)로 에어를 통기시키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유로형성부(122)는, 상기 가상원의 원주와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상기 원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2)가 고정부재(20)에 결합되면, 상기 유로형성부(122)와 상기 고정부재(20)의 내주면은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에어를 통기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로형성부(122)는 상기 제1,2 나사산부(1211,1212)의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유로형성부(122)는, 횡단면이 원형인 원기둥에서 외주면의 일부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부재(10)는 가압부(13)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부(13)는 상기 유입부(11)와 상기 삽입부(12) 사이에 마련된다. 상기 가압부(13)는 상기 에어토출부재(30)를 가압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삽입부(12)가 상기 고정부재(20)에 결합할 때, 상기 가압부(13)는 상기 에어토출부재(30)를 하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가압부(13)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1 홈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홈부(131)는 상기 상부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20)를 서로 나사결합시시키거나 분리할 때, 상기 상부부재(1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부재(1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0)는 상기 삽입부가(12)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20)는 체결부(21)와 무게중심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21)는 상기 삽입부(12)의 수나산부(121)가 체결될수 있도록 암나사산부가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무게중심부(22)는 상기 체결부(21)의 하측에 결합되며 하중을 하측으로 유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면, 상기 체결부(21)는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체결부(21)의 외주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20)는 물보다 무거운 재질, 예컨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게중심부(22)은 하측으로 볼록한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는데, 마치 무게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에어 디퓨저(100)가 물 속에 가라앉아 있을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20)는 스테인리스 재질 또는 황동 재질의 캡 너트로 이루어진다. 이들은 무게추 가능을 잘 수행하며, 비용적 측면에서 저렴하고, 녹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에어토출부재(30)는 상기 상부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에어를 토출시키기 위해서 마련된다. 즉, 에어는 상기 유입부(11)를 통해 유입되고, 상기 삽입부(12)를 경유하여 상기 에어토출부재(30)로 토출된다.
상기 에어토출부재(30)는 상기 삽입부(12)가 관통하는 관통공(31)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토출부재(30)는 도넛 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공(31)은 중심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토출부재(30)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공성 재질로는 상기 삽입부(12)를 경유한 에어가 상기 에어토출부재(30)의 외측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에어를 통기시킬 수 있는 오픈셀 타입의 재질이면 족하다. 예컨대, 부직포, 다공성세라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토출부재(30)는 신축성이 있어서 압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양모 등 다양한 원사 재질로 제작된 압축 가능한 패브릭 소재의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부재(40)는 상기 고정부재(20)를 수용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하부부재(40)는 수용부(41)와 걸림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41)는 상기 고정부재(20)가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고정부(2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42)는 상기 고정부재(20)의 상측과 접촉하여 상기 고정부재(20)가 상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부재(40)는 내부에 고정부재(20)를 배치한 상태로 일체로 사출 형성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부재(40)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2 홈부(43)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홈부(43)는 상기 상부부재(10)와 상기 하부부재(40)를 서로 상대 회전하여 서로 결합시키거나 분리할 때, 상기 상부부재(1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부재(4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에어 디퓨저(100)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고정부재(20)는 상기 하부부재(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부재(40)는 상기 고정부재(20)는 내부에 배치한 상태로 일체로 사출 성형되므로, 상기 고정부재(20)는 상기 하부부재(40)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부재(10)와 상기 하부부재(40) 사이에 에어토출부재(30)를 배치시킨다. 상기 삽입부(12)는 상기 에터토출부(30)의 관통공(31)을 통과하여, 고정부재(20)의 체결부(21)에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은 조립 과정에 의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100)는 도2와 같은 모습으로 조립된다. 상기 상부부재(10)와 상기 하부부재(40)를 서로 상대회전시킬 때, 상기 상부부재(10) 및 상기 하부부재(40)는 상기 제1,2 홈(131,43)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100)는 어항 내지 수조 속에 배치하여 수중에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에어가 공급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튜브(200)는 유입부(11)에 결합된다. 상기 튜브(200)는 상기 유입부(11)의 테이퍼부(111)에 의해 용이하게 유입부(11)로 삽입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200)를 통해 공급된 에어는 상기 유입부(11) 및 상기 삽입부(12)를 경유하여, 상기 삽입부(12)의 하측으로 토출된다.
상기 체결부(21)의 내주면과 상기 삽입부(12) 사이에는 소정 간격(D)으로 이격된 공간이 존재한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형성부(122)는 상기 삽입부(12)의 수나사산부(121)의 곡률 반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가상원의 원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체결부(21)와 상기 삽입부(12)의 수사산부(121)가 체결될 때, 상기 체결부(21)와 상기 유로형성부(122)는 소정 간격(D)으로 이격된다.
상기 소정 간격(D)으로 이격된 공간으로 에어가 상측을 상승하여 상기 에어토출부재(30) 측으로 유동하고, 상기 에어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에어 토출부(30)를 통하여 외측으로 배기된다.
상기 에어토출부재(30)가 신축성이 있어서 압축 가능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상부부재(10)가 상기 고정부재(20)에 체결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에어토출부재(30)가 압축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에어토출부재(30)로부터 토출되는 에어 기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100)는, 상부부재(10)와 고정부재(20)가 수용된 하부부재(40)를 에어토출부재(30)를 사이에 두고 체결함으로써, 간편하게 에어 디퓨저(100)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다.
도7과 같이, 상기 고정부재(20)는 물 보다 무거운 재질로 형성되어 물속에 가라앉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디퓨저(100)를 수조 등에 사용하는 경우, 에어 디퓨저(100)가 물에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추가적으로 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100)는 총 무게가 4g 이상으로 형성되어 기포가 발새될 때에도 물속으로 가라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토출부재(30)는 상기 상부부재(10)와 하부부재(4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므로, 상기 에어토출부재(30)의 청소 또는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상기 에어토출부재(30)만을 청소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부재(40)에 수용된 고정부재(20)와 상기 상부부재(10)가 나사 결합될 때, 상기 고정부재(20)의 체결부(21)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부재(10)의 유로형성부(122)는 서로 이격되어 에어가 통기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상부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20)의 체결을 간편하게 하면서, 에어를 상측으로 용이하게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100)는, 상기 고정부재(20)는, 일명 캡너트라고 불리는 한쪽편이 막힌 형태의 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하부부재(40)를 사출 성형할 때, 캡너트를 포함하도록 하여 일체로 사출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사출 성형시 나사부에 형성되는 버(burr)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으며, 금형 제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디퓨저(100)에 채용되는 에어 토출부(30)의 변형례를 도시한다. 도6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한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 토출부(30)는 상기 삽입부(12)가 관통하는 관통공(31)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에어를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공(32)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 토출부(30)는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부재(10)와 하부부재(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부재(10)의 가압부(13)는 상기 에어토출부재(30)를 가압한다.
상기 에어 토출부(30)는 합성수지 재질, 예컨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질 수 있다. 에어 토출부(30)를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에어 토출부(30)는 주기적으로 세척하여 반영구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100)를 도시한다.
도8에 따른 에어 디퓨저는, 도4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100)와 비교하여 에어토출부재(30)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각 에어토출부재(30) 사이에는 스페이서(50)가 배치된 점이 상이하다. 도8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100)의 그 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도4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토출부재(30)는 복수개 마련되므로, 에어를 토출시키는 양은 에어토출부재(30)의 개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토출부재(30)의 수가 많으면 그만큼 에어 토출량이 증가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디퓨저(100)의 사용 환경에 맞게 에어토출부재(30)의 개수를 증감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50)는, 상기 상부부재(10)가 상기 고정부재(20)에 체결될 때, 상기 상부부재(10)와 하부부재(40) 사이에서 상기 에어토출부재(30)가 균일하게 압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스페이서(50)의 상하면은 각각 에어토출부재(30)와 면접촉하여 상기 에어토출부재(30)가 압축될 때 균일하게 압축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에어토출부재(30)로부터 토출되는 기포의 크기를 비교적 고르게 유지시킬 수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상부부재 11... 유입부
111... 테이퍼부 12... 삽입부
121... 수나산부 1211... 제1 나사산부
1212... 제2 나사산부 122... 유로형성부
13... 가압부 131... 제1 홈부
20... 고정부재 21... 체결부
22... 무게중심부 30... 에어토출부재
31... 관통공 32... 토출공
40... 하부부재 41... 수용부
42... 걸림부 43.. 제2 홈부
50... 스페이서 100... 에어 디퓨저
200... 튜브

Claims (14)

  1. 일측에 에어가 유입되는 유입부(11)가 형성되고, 타측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11)와 연통되는 삽입부(12)를 구비하는 상부부재(10);
    상기 삽입부(1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20);
    상기 상부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20)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를 토출시키는 에어토출부재(30); 및
    상기 고정부재(20)를 수용하는 하부부재(40);를 포함하여서,
    상기 에어는 상기 유입부(11)를 통해 유입되고, 상기 삽입부(12)를 경유하여 상기 에어토출부재(30)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2)는 횡단면을 기준으로 할 때, 가상원이 이루는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수나사산부와, 상기 가상원의 원주와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상기 원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서 에어를 통기시키는 유로형성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토출부재(30)는 상기 삽입부(12)가 관통하는 관통공(31)이 형성되고,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물보다 무거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2)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나사산부는 상기 가상원의 일부 원호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부(1211)와, 상기 가상원의 중심으로 상기 제1 나사산부(1211)와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2 나사산부(1212)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형성부(122)는 상기 제1,2 나사산부의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며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상기 수나산부(121)가 체결되는 암나사산부가 형성된 체결부(21)와, 상기 체결부(21)의 하측에 결합되며 하중을 하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무게중심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40)는 상기 고정부재(20)가 수용되는 수용부(41)와, 상기 고정부재(20)의 상측과 접촉하여 상기 고정부재(20)가 상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10)의 유입부(11)와 삽입부(12)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부(11)와 상기 삽입부(12)의 사이에는 상기 에어토출부재(30)를 가압하는 가압부(13)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13)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1 홈부(1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40)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2 홈부(4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토출부재(30)는 상기 삽입부(12)가 관통하는 관통공(31)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에어를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공(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스테인리스 재질 또는 황동 재질의 캡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40)는 상기 고정부재(20)를 수용한 상태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토출부재(30)는 압축 가능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토출부재(30)는 복수 개 마련되며, 각 에어토출부재(30) 사이에는 스페이서(5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KR1020180071373A 2018-06-21 2018-06-21 에어 디퓨저 KR102117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373A KR102117681B1 (ko) 2018-06-21 2018-06-21 에어 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373A KR102117681B1 (ko) 2018-06-21 2018-06-21 에어 디퓨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640A true KR20190143640A (ko) 2019-12-31
KR102117681B1 KR102117681B1 (ko) 2020-06-01

Family

ID=69051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373A KR102117681B1 (ko) 2018-06-21 2018-06-21 에어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6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387B1 (ko) * 2020-08-25 2023-02-13 김보경 에어 디퓨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557Y1 (ko) * 1985-11-06 1989-03-11 정동식 양어용 미세기포 분출기
KR200147081Y1 (ko) * 1996-09-02 1999-06-15 박용훈 수족관용 기포발생기
KR100647422B1 (ko) 2005-02-12 2006-11-24 이보름 수격방지용 에어돔을 구비한 공기방울 분산장치
KR200458298Y1 (ko) * 2009-10-15 2012-02-21 이광일 저압공기투입용 기포발생기
KR101123136B1 (ko) * 2010-10-06 2012-03-20 주식회사 지케이옥시 액체 중에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적합한 미세기포의 발생기
KR101609358B1 (ko) * 2015-08-27 2016-04-06 주식회사 그린엔텍알앤디 버블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557Y1 (ko) * 1985-11-06 1989-03-11 정동식 양어용 미세기포 분출기
KR200147081Y1 (ko) * 1996-09-02 1999-06-15 박용훈 수족관용 기포발생기
KR100647422B1 (ko) 2005-02-12 2006-11-24 이보름 수격방지용 에어돔을 구비한 공기방울 분산장치
KR200458298Y1 (ko) * 2009-10-15 2012-02-21 이광일 저압공기투입용 기포발생기
KR101123136B1 (ko) * 2010-10-06 2012-03-20 주식회사 지케이옥시 액체 중에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적합한 미세기포의 발생기
KR101609358B1 (ko) * 2015-08-27 2016-04-06 주식회사 그린엔텍알앤디 버블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681B1 (ko) 202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5714B2 (en) Ear bud or dome
EP2433877A1 (en) Container for eye drops
KR20190143640A (ko) 에어 디퓨저
CA2000236C (en) Aeration installation
KR101979318B1 (ko) 보호망이 결합된 디스크형 멤브레인 산기장치
US20060133886A1 (en) Shampooing brush
US3245540A (en) Sand filter distributor nozzle
RU2002135622A (ru) Водоструйный аэратор (струйный регулятор)
US20160000052A1 (en) Biochemical ball
EP3207979B1 (en) Fine bubble diffuse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2499387B1 (ko) 에어 디퓨저
KR101266507B1 (ko) 산기장치
KR101760980B1 (ko) 여과장치
KR20170025660A (ko) 견고한 결합과 유지가 가능한 멤브레인 산기관
JP3175355U (ja) 散気装置
KR200444043Y1 (ko) 점안제 케이스
KR102302223B1 (ko) 멤브레인 산기장치
KR200340528Y1 (ko) 중공사막 여과기의 결합 및 세정장치
CN215225373U (zh) 组装式海绵刷
KR101809814B1 (ko) 일회용 멤브레인 산기관
KR101336665B1 (ko) 정수기의 유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JP7175094B2 (ja) 水浄化エレメントおよび水浄化装置
KR20140132612A (ko) 중공사막 모듈
KR101558997B1 (ko) 에어 브리더
KR102404797B1 (ko) 미세 플라스틱 필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