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387B1 - 에어 디퓨저 - Google Patents

에어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387B1
KR102499387B1 KR1020200107420A KR20200107420A KR102499387B1 KR 102499387 B1 KR102499387 B1 KR 102499387B1 KR 1020200107420 A KR1020200107420 A KR 1020200107420A KR 20200107420 A KR20200107420 A KR 20200107420A KR 102499387 B1 KR102499387 B1 KR 102499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air
protrusion
inlet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6433A (ko
Inventor
김보경
Original Assignee
김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경 filed Critical 김보경
Priority to KR1020200107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38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6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는, 일측에 에어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는 제1 삽입부를 구비하는 상부부재;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는 하부부재;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상측에 상기 상부부재가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하부부재가 결합되는 중심부재; 및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 디퓨저{An air diffuser}
본 발명은 에어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제조가 간편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에어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에어 디퓨저는 수조 또는 어항에 주로 직접적으로 산소를 공급하거나 간접적으로 물의 순환을 유도하여 수류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도1은 종래 에어 디퓨저를 도시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에어 디퓨저(1)는, 본체(2)와 다공성재질의 에어배출부(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2)의 상측에는 에어공급용 튜브(5)가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부(3)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배출부(4)는 상기 본체(2)로 유입된 에어를 외측으로 토출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주로 다공성 세라믹 또는 오픈셀 타입의 다공성 발포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배출부(4)는 상기 본체(2)의 외주면에 결합되거나 접합되어 상기 본체(2)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에어 디퓨저(1)는, 사용 중 상기 에어배출부(4)의 기공에 이물질이 점차적으로 점착되어 결국에는 막히는데, 이때 상기 에어배출부(4)를 간편하게 세척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 경우, 종래 에어 디퓨저(1)는 일정 기간 동안 사용 후에 폐기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조립 내지 분리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에어 디퓨저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립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제조가 간편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에어 디퓨저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에어 디퓨저는, 일측에 에어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는 제1 삽입부를 구비하는 상부부재;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는 하부부재;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상측에 상기 상부부재가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하부부재가 결합되는 중심부재; 및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산부가 마련되고, 상기 중심부재의 상측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나사산부가 형성하는 골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중심부재의 내주면의 일부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중심부재의 상측에 상기 중심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상부돌출부와, 상기 제1 상부돌출부와 마주하되 상기 제1 상부돌출부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제1 하부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제1 상부돌출부와 상기 제1 하부돌출부를 따라서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제2 나사산부가 마련되고, 상기 중심부재의 하측 내주면에는 상기 제2 나사산부가 형성하는 골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중심부재의 내주면의 일부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중심부재의 하측에 상기 중심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2 하부돌출부와, 상기 제2 하부돌출부와 마주하되 상기 제2 하부돌출부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상부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부재는 상기 제2 하부돌출부와 상기 제2 상부돌출부를 따라서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중심부재의 상면 원주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토출홈과, 상기 중심부재의 하면 원주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토출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면 원주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형성된 제3 토출홈과,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 원주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형성된 제4 토출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가 토출되는 제1 에어배출부를 갖는 상부토출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가 토출되는 제2 에어배출부를 갖는 하부토출부재;를 포함하여서,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상기 제1 에어배출부 및 상기 제2 에어배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토출부재 및 하부토출부재는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는 제1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측에 유입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하측으로 제1 삽입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거리가 이격되어 상기 제1 삽입부의 단부측을 향하여 제1 나사산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에어배출부는, 원주방향으로 에어의 유동을 허용하여 상기 제1 상부분출홈 및 상기 제1 하부분출홈으로 에어가 분출되도록 상기 상부토출부재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유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에어배출부는, 원주방향으로 에어의 유동을 허용하여 상기 제2 상부분출홈 및 상기 제2 하부분출홈으로 에어가 분출되도록 상기 하부토출부재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 유동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디퓨저는, 조립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제조가 간편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나사 방식으로 중심부재와 결합되므로 조립이 간편하고 각각의 구성을 분리하여 세척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가 형성되나, 중심부재에는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하여 암나사산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지 않으므로, 제조가 간편한 효과를 제공한다. 즉, 중심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2개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수나사산과 체결될 수 있도록 하므로, 단순한 금형에 의해 생산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암나사산을 형성할 때모터를 이용한 소위 회전 코어 방식이 필요하지 않으며, 많은 수의 제품을 빠르고 간편하게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금형 비용을 포함하여 생산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 에어 디퓨저에 대한 도면,
도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분리사시도,
도4는 도3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
도5는 도4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6은 도2에 대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의 사시도,
도8은 도7의 분리사시도,
도9는 도7의 중심부재의 평면도,
도10은 도7의 요부에 대한 발췌 사시도,
도11은 도10을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12는 도7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의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분리사시도이도, 도4는 도3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5는 도4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6은 도2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의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의 분리사시도이고, 도9는 도7의 중심부재의 평면도이다. 도10은 도7의 요부에 대한 발췌 사시도이고, 도11은 도10을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12는 도7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100)는, 상부부재(10), 하부부재(20), 중심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부재(10)는, 제1 베이스부(11), 유입부(12), 및 제1 삽입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베이스부(11)재는 상기 중심부재(30)의 상면과 접촉하는 부재로서, 상기 유입부(12) 및 상기 제1 삽입부(1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1 베이스부(11)는 상기 유입부(12)와 제1 삽입부(13)의 사이에 마련되는 부분으로, 하면이 평탄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베이스부(11)의 상측으로 상기 유입부(12)가 돌출 형성되고, 하측으로 상기 제1 삽입부(1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 삽입부(13)는 중심부재(30)의 상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유입부(12)는 에어를 유입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베이스부(11)의 일측에 마련된다. 상기 유입부(12)는 중공의 관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입부(12)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테이퍼부(121)가 마련된다. 상기 테이퍼부(121)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져 외부에서 에어를 공급하는 튜브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제1 삽입부(13)는 상기 제1 베이스부(11)의 타측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 삽입부(13)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부(12)와 마찬가지로 중공의 관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삽입부(13)는 상기 유입부(12)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입부(12)와 제1 삽입부(13)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입부(12)와 상기 제1 삽입부(13)는 서로 연통되어 에어공급공(122)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삽입부(13)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산부(14)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부재(20)는, 제2 베이스부(21)와 제2 삽입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베이스부(21)는, 상기 제2 삽입부(22)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면이 평탄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삽입부(22)는 상기 제2 베이스부(21)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 삽입부(22)의 외주면에는 제2 나사산부(23)가 마련된다. 상기 제2 삽입부(22)는 중심부재(30)의 하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중심부재(30)는, 상기 상부부재(10)와 상기 하부부재(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중심부재(30)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상측에 상기 상부부재(10)가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하부부재(20)가 결합된다.
상기 중심부재(30)는 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부(31)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부재(10) 및 하부부재(20)를 체결하기 위한 제1 돌출부(32) 및 제2 돌출부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출부(31)는, 제1 토출홈(311)과 제2 토출홈(3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토출홈(311)은, 상기 중심부재(30)의 상면 원주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토출홈(311)은 상기 중심부재(30)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부재(10)가 상기 중심부재(30)의 상측에 체결되면, 상기 상부부재(10)의 제1 베이스부(11)의 하면은 상기 중심부재(30)의 상면과 접촉한다. 상기 제1 토출홈(311)을 상기 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밖으로 빠져나가는 미세한 틈을 형성하여 에어가 토출된다.
상기 제2 토출홈(312)은, 상기 중심부재(30)의 하면 원주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토출홈(312)은 상기 중심부재(30)의 하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부재(20)가 상기 중심부재(30)의 하측에 체결되면, 상기 하부부재(20)의 제2 베이스부(21)의 상면은 상기 중심부재(30)의 하면과 접촉한다.
상기 제2 토출홈(312)은, 상기 제1 토출홈(311)과 유사하게, 상기 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미세한 틈을 형성하게 되어, 상기 에어는 밖으로 토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출부(31)는 상기 중심부재(30)에 마련되는 제1,2 토출홈(311,312)로 이루어지나, 상기 토출홈(311,312)은 상부부재(10) 및 하부부재(20)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토출부(31)는 원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부재, 예컨대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상기 상부부재(10)와 상기 중심부재(30), 및 상기 하부부재(20)와 상기 중심부재(30)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2 토출홈(311,312)을 형성하지 않고도, 상기 부직포에 형성되는 미세한 구멍들에 의해 에어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32)는, 상기 중심부재(30)의 상측 내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부(14)가 형성하는 골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돌출부(32)는 상기 중심부재(30)의 내주면의 일부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돌출부(32)는 상기 중심부재(30)의 내주면에 일부 구간에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상부부재(10)를 상기 중심부재(30)에 체결하기 위해서 상기 제1 나사산부(14)가 회전될 때, 상기 제1 돌출부(32)는 상기 제1 나사산부(14)가 형성하는 골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상부부재(10)가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돌출부(32)는, 제1 상부돌출부(321)와 제1 하부돌출부(3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부돌출부(321)는, 상기 중심부재(30)의 상측에 상기 중심부재(30)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상부돌출부(321)는 상기 제1 나사산부(14)의 회전 곡률에 대응하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비스듬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 하부돌출부(322)는, 상기 제1 상부돌출부(321)와 마주하는 상기 중심부재(30)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제1 하부돌출부(322)는, 상기 제1 상부돌출부(321)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상부돌출부(321)와 상기 제1 하부돌출부(322)는 상기 제1 나사산부(14)에 끼워져 상기 상부부재(10)를 가이드하고, 상기 상부부재(10)는 상기 제1 상부돌출부(321)와 상기 제1 하부돌출부(322)를 따라서 나사 방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제1 나사산부(14)의 골은 상기 에어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나사산부(14)의 골을 따라서 제1 베이스부(11) 인근까지 유동한 에어는 상기 제1 토출홈(311)을 통해서 밖으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중심부재(30)의 내주면과 상기 제1 나사산부(14)의 최외측면 사이의 미세한 틈은, 상기 유로와 함께 에어가 제1 토출홈(311)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중심부재(30)의 하측 내주면에 상기 제2 나사산부(23)가 형성하는 골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중심부재(30)의 내주면의 일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중심부재(30)의 내주면에 일부 구간에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하부부재(20)를 상기 중심부재(30)에 체결하기 위해서 상기 제2 나사산부(23)가 회전될 때,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나사산부(23)가 형성하는 골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하부부재(20)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돌출부는, 제2 하부돌출부(331)와 제2 상부돌출부(33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하부돌출부(331)는, 상기 중심부재(30)의 하측에 상기 중심부재(30)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2 하부돌출부(331)는 상기 제2 나사산부(23)의 회전 곡률에 대응하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비스듬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나사산부(14)와 상기 제2 나사산부(23)의 나사산의 피치는 동일하므로, 상기 제2 하부돌출부(331) 및 제2 상부돌출부(332)의 형상은, 상기 제1 상부돌출부(321) 및 상기 제1 하부돌출부(322)와 동일하다.
상기 제2 상부돌출부(332)는, 상기 제2 하부돌출부(331)와 마주하는 상기 중심부재(30)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제2 상부돌출부(332)는, 상기 제2 하부돌출부(331)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부돌출부(331)와 상기 제2 상부돌출부(332)는 상기 제2 나사산부(23)에 끼워져 상기 하부부재(20)를 가이드하고, 상기 하부부재(20)는 상기 제2 하부돌출부(331)와 상기 제2 상부돌출부(332)를 따라서 나사 방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제2 나사산부(23)의 골은 상기 에어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나사산부(23)의 골을 따라서 제2 베이스부(21) 인근까지 유동한 에어는 상기 제2 토출홈(312)을 통해서 밖으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중심부재(30)의 내주면과 상기 제2 나사산부(23)의 최외측면 사이의 미세한 틈은, 상기 유로와 함께 에어가 제2 토출홈(312)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부재(10), 중심부재(30), 및 하부부재(20)의 외주면 둘레에는 나사 방식으로 체결시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홈(6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에어 디퓨저(100)의 작용 내지 효과를 설명한다.
상기 중심부재(30)의 상측에 상부부재(10)가 결합되고, 하측에 하부부재(20)가 결합된다. 상기 상부부재(10)의 제1 베이스부(11)는 상기 중심부재(30)의 상면과 접촉하고, 상기 하부부재(20)의 제2 베이스부(21)는 상기 중심부재(30)의 하면과 접촉한다. 상기 상부부재(10)의 제1 베이스부(11)의 하면이 상기 중심부재(30)와 접촉하면, 상기 제1 토출홈(311)의 상측을 상기 제1 베이스부(11)가 막아서 에어가 토출되는 구멍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 베이스부(21)의 상면이 상기 중심부재(30)의 하면과 접촉하면, 상기 제2 토출홈(312)의 하측을 상기 제2 베이스부(21)가 막아서 에어가 토출되는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부재(10)와 상기 하부부재(20)가 상기 중심부재(30)에 체결되면, 상기 제1 삽입부(13)의 단부와 상기 제2 삽입부(22)의 단부는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유입부(12)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튜브를 연결하고, 에어를 공급하면 상기 제1 삽입부(13)의 단부로부터 에어가 토출되고, 상기 토출부(31)를 통해 에어가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1 삽입부(13)의 단부로부터 토출된 에어는, 제1 나사산부(14) 및 제2 나나산부의 골을 통해 유동한다.
즉, 상기 제1 나사산부(14) 및 상기 제2 나사산부(23)의 골은 상기 중심부재(30)의 내주면으로부터 함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에어가 유동하는 유로로서 제공된다. 물론, 상기 제1 나사상부 및 제2 나사산부(23)의 최외측면과 상기 중심부재(30)의 내주면과의 미세한 틈으로 에어가 유동한다.
이처럼,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져는, 상기 상부부재(10)와 하부부재(20)는 중심부재(30)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므로, 체결이 간편하고, 사용 중 세척 또는 교체 등을 이유로 각 구성을 분리하기 용이하다. 또한, 상기 중심부재(30)의 내측에는 제1,2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부재(10) 및 하부부재(20)를 가이드한다.
상기 중심부재(30)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부재(10)의 제1 나사산부(14) 및 상기 하부부재(20)의 제2 나사산부(23)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2 돌출부를 형성하므로 나사산을 가공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중심부재(30)의 성형 제조가 간편해진다.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해서 금형 과정에서 사용되는 소위 회전코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가 간편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져(200)는, 일측에 에어가 유입되는 유입부(12)가 형성되고, 타측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12)와 연통되는 제1 삽입부(13)를 구비하는 상부부재(10)와,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삽입부(22)를 구비하는 하부부재(20)와,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상측에 상기 상부부재(10)가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하부부재(20)가 결합되며 상기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부(31)를 갖는 중심부재(30)와, 상기 상부부재(10)와 상기 중심부재(3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가 토출되는 제1 에어배출부(41)를 갖는 상부토출부재(40)와, 상기 하부부재(20)와 상기 중심부재(3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가 토출되는 제2 에어배출부(51)를 갖는 하부토출부재(50)를 포함하여서, 상기 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상기 제1 에어배출부(41) 및 상기 제2 에어배출부(51)를 통해 토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200)는, 상부부재(10), 하부부재(20), 중심부재(30), 상부토출부재(40) 및 하부토출부재(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상부부재(10)와 중심부재(30) 사이에는 상부토출부재(40)가 더 구비되고, 중심부재(30)와 하부부재(20) 사이에는 하부토출부재(50)가 더 구비되는 점이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2의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 내지 작용을 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부부재(10) 및 하부부재(20)는, 도2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부재(10) 및 하부부재(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부부재(10)는, 도2의 상부부재(10)와 마찬가지로, 제1 베이스부(11), 유입부(12), 및 제1 삽입부(1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부(13)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산부(14)가 마련된다. 다만, 상기 제1 나사산부(14)는 상기 제1 베이스부(11)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거리가 이격되어 상기 제1 삽입부(13)의 단부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 나사산부(14)가 상기 제1 베이스부(11)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고 함은, 상기 제1 나사산부(14)가 상기 제1 베이스부(11)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시작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1 나사산부(14)가 시작되는 시작점으로부터 소정의 구간은 점진적으로 나사산의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부부재(20)는, 도2의 하부부재(20)와 마찬가지로, 제2 베이스부(21)와 제2 삽입부(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부(22)의 외주면에는 제2 나사산부(23)가 마련된다. 다만, 상기 제2 나사산부(23)는 상기 제2 베이스부(21)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거리가 이격되어 상기 제2 삽입부(22)의 단부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나사산부(23)가 상기 제2 베이스부(21)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고 함은, 상기 제2 나사산부(23)가 상기 제1 베이스부(11)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시작됨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나사산부(23)는, 상기 제1 나사산부(14)와 마찬가지로, 나사산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시작점으로부터 소정의 구간은 점진적으로 나사산의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중심부재(30)는, 그 상측에 상기 상부부재(10)가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하부부재(20)가 결합된다.
상기 중심부재(30)의 상측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나사산부(14)가 형성하는 골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32)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돌출부(32)는 상기 중심부재(30)의 내주면의 일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돌출부(32)는 상기 중심부재(30)의 상측에 상기 중심부재(30)의 내주면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상부돌출부(321)와, 상기 제1 상부돌출부(321)와 마주하되 상기 제1 상부돌출부(321)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제1 하부돌출부(32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부재(10)는 상기 제1 상부돌출부(321)와 상기 제1 하부돌출부(322)를 따라서 나사 방식으로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상부돌출부(321)와 상기 제1 하부돌출부(322)는, 실질적으로 도2에 따른 중심부재(30)에 적용되는 제1 상부돌출부(321) 및 제1 하부돌출부(322)와 동일하다.
상기 중심부재(30)의 하측 내주면에는 상기 제2 나사산부(23)가 형성하는 골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중심부재(30)의 내주면의 일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중심부재(30)의 하측에 상기 중심부재(30)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2 하부돌출부(331)와 상기 제2 하부돌출부(331)와 마주하되 상기 제2 하부돌출부(331)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상부돌출부(332)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부재(20)는 상기 제2 하부돌출부(331)와 상기 제2 상부돌출부(332)를 따라서 나사 방식으로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하부돌출부(331)와 상기 제2 상부돌출부(332)는, 실질적으로 도2에 따른 중심부재(30)에 적용되는 제2 하부돌출부(331)와 제2 상부돌출부(332)과 동일한다.
상부토출부재(40)는, 상기 상부부재(10)와 중심부재(30)의 사이에 마련되는 에어를 토출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상부토출부재(4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에어를 토출시키기 위한 제1 에어배출부(4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에어배출부(41)는, 상기 상부토출부재(40)의 상면 및 하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제1 상부분출홈(411) 및 제1 하부분출홈(41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상부분출홈(411)은 상기 상부토출부재(40)의 상면 가장자리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부분출홈(512)은 상기 상부토출부재(40)의 하면 가장자리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상부부재(10)와 상기 중심부재(30)의 사이에 상기 상부토출부재(40)가 끼워지면, 상기 유입부(12)를 통해 들어온 에어는 상기 상부토출부재(40)의 제1 상부분출홈(411) 및 제2 하부분출홈(512)을 통해서 외부로 토출된다.
하부토출부재(50)는, 상기 하부부재(20)와 중심부재(30)의 사이에 마련되어 에어를 토출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하부토출부재(5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에어를 토출시키기 위한 제2 에어배출부(51)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에어배출부(51)는, 상기 하부토출부재(50)의 상면 및 하면에 원주방향을 다라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제2 상부분출홈(511) 및 제2 하부분출홈(51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2 상부분출홈(511)은 상기 하부토출부재(50)의 상면 가장자리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부분출홈(512)은 상기 하부토출부재(50)의 하면 가장자리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하부부재(20)와 상기 중심부재(30) 사이에 상기 상부토출부재(40)가 끼워지면, 상기 유입부(12)를 통해 들어온 에어는, 상기 제1 에어배출부(41)와 함께, 상기 하부토출부재(50)의 제2 상부분출홈(511) 및 제2 하부분출홈(512)을 통해서 외부로 토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에어배출부(41)는 제1 유동홈(4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에어배출부(51)는 제2 유동홈(51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유동홈(413)은, 원주 방향으로 에어의 유동을 허용하여 상기 제1 에어배출부(41)를 통해서 에어가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제1 유동홈(413)은 상기 상부토출부재(4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데, 그 바닥이 상기 제1 상부분출홈(411) 및 상기 제1 하부분출홈(412)의 바닥보다 더 낮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토출부재(40)의 상면 및 하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2 유동홈(513)은, 상기 제1 유동홈(413)과 마찬가지로 원주 방향으로 에어의 유동을 허용하여 상기 제2 에어배출부(51)를 통해서 에어가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제2 유동홈(513)은 상기 하부토출부재(5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데, 그 바닥이 상기 제2 상부분출홈(511) 및 상기 제2 하부분출홈(512)의 바닥보다 더 낮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토출부재(50)의 상면 및 하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부재(10), 상부토출부재(40), 중심부재(30), 하부토출부재(50), 및 하부부재(20)의 외주면 둘레에는 나사 방식으로 체결시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홈(6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토출부재(40) 및 하부토출부재(50)는 도2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31)가 다공성 부재로 변경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원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부재, 예컨대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상부토출부재(40)에 제1 에어배출부(41) 및 상기 하부토출부재(50)에 제2 에어배출부(51)를 형성하지 않고도, 상기 부직포에 형성되는 미세한 구멍들에 의해 에어가 토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200)의 작용은, 도2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100)의 작용과 유사하다. 다만, 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토출되는 부분이 다소 상이하다. 즉, 상기 에어는, 상기 상부토출부재(40)의 상면 및 하면에 마련되는 제1 상부분출홈(411) 및 제1 하부분출홈(412)과, 상기 하부토출부재(50)의 상면 및 하면에 마련되는 제2 상부분출홈(511) 및 제2 하부분출홈(512)을 통해 토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디퓨저(200)는, 도2의 실시예에 따른 효과를 그대로 제공할 수 있으며, 에어가 토출되는 부분이 도2의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100)보다 더 많으므로, 더 많은 양의 에어를 토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상부부재 11... 제1 베이스부
12... 유입부 121... 테이퍼부
122... 에어공급공 13... 제1 삽입부
14... 제1 나사산부 20... 하부부재
21... 제2 베이스부 22... 제2 삽입부
23... 제2 나사산부 30... 중심부재
31... 토출부 311... 제1 토출홈
312... 제2 토출홈 32... 제1 돌출부
321... 제1 상부돌출부 322... 제1 하부돌출부
33... 제2 돌출부 331... 제2 하부돌출부
332.. 제2 상부돌출부 40... 상부토출부재
41... 제1 에어배출부 411... 제1 상부분출홈
412... 제1 하부분출홈 413... 제1 유동홈
50... 하부토출부재 51... 제2 에어배출부
511... 제2 상부분출홈 512... 제2 하부분출홈
513... 제2 유동홈 60... 미끄럼방지홈
100, 200... 에어 디퓨저

Claims (11)

  1. 일측에 에어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는 제1 삽입부를 구비하는 상부부재;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는 하부부재;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상측에 상기 상부부재가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하부부재가 결합되는 중심부재; 및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산부가 마련되고,
    상기 중심부재의 상측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나사산부가 형성하는 골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중심부재의 내주면의 일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중심부재의 상측에 상기 중심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상부돌출부와, 상기 제1 상부돌출부와 마주하되 상기 제1 상부돌출부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제1 하부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제1 상부돌출부와 상기 제1 하부돌출부를 따라서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4. 일측에 에어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는 제1 삽입부를 구비하는 상부부재;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는 하부부재;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상측에 상기 상부부재가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하부부재가 결합되는 중심부재; 및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제2 나사산부가 마련되고,
    상기 중심부재의 하측 내주면에는 상기 제2 나사산부가 형성하는 골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중심부재의 내주면의 일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중심부재의 하측에 상기 중심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2 하부돌출부와, 상기 제2 하부돌출부와 마주하되 상기 제2 하부돌출부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상부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부재는 상기 제2 하부돌출부와 상기 제2 상부돌출부를 따라서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6. 일측에 에어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는 제1 삽입부를 구비하는 상부부재;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는 하부부재;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상측에 상기 상부부재가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하부부재가 결합되는 중심부재; 및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중심부재의 상면 원주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토출홈과, 상기 중심부재의 하면 원주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토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7. 일측에 에어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는 제1 삽입부를 구비하는 상부부재;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는 하부부재;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상측에 상기 상부부재가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하부부재가 결합되는 중심부재; 및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면 원주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형성된 제3 토출홈과,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 원주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형성된 제4 토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8. 일측에 에어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는 제1 삽입부를 구비하는 상부부재;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하는 하부부재;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상측에 상기 상부부재가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하부부재가 결합되는 중심부재; 및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가 토출되는 제1 에어배출부를 갖는 상부토출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가 토출되는 제2 에어배출부를 갖는 하부토출부재;를 포함하여서,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상기 제1 에어배출부 및 상기 제2 에어배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토출부재 및 하부토출부재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는 제1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측에 유입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하측으로 제1 삽입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거리가 이격되어 상기 제1 삽입부의 단부측을 향하여 제1 나사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배출부는,
    상기 상부토출부재의 상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제1 상부분출홈;
    상기 상부토출부재의 하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제1 하부분출홈; 및
    원주방향으로 에어의 유동을 허용하여 상기 제1 상부분출홈 및 상기 제1 하부분출홈으로 에어가 분출되도록 상기 상부토출부재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유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에어배출부는,
    상기 하부토출부재의 상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제2 상부분출홈;
    상기 하부토출부재의 하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제2 하부분출홈; 및
    원주방향으로 에어의 유동을 허용하여 상기 제2 상부분출홈 및 상기 제2 하부분출홈으로 에어가 분출되도록 상기 하부토출부재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 유동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디퓨저.



KR1020200107420A 2020-08-25 2020-08-25 에어 디퓨저 KR102499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420A KR102499387B1 (ko) 2020-08-25 2020-08-25 에어 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420A KR102499387B1 (ko) 2020-08-25 2020-08-25 에어 디퓨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433A KR20220026433A (ko) 2022-03-04
KR102499387B1 true KR102499387B1 (ko) 2023-02-13

Family

ID=80814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420A KR102499387B1 (ko) 2020-08-25 2020-08-25 에어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414B1 (ko) 2023-01-19 2023-08-25 (주) 지원에어텍 바닥형 공조 시스템의 에어 디퓨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081Y1 (ko) 1996-09-02 1999-06-15 박용훈 수족관용 기포발생기
KR200458298Y1 (ko) 2009-10-15 2012-02-21 이광일 저압공기투입용 기포발생기
KR101123136B1 (ko) 2010-10-06 2012-03-20 주식회사 지케이옥시 액체 중에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적합한 미세기포의 발생기
KR101609358B1 (ko) 2015-08-27 2016-04-06 주식회사 그린엔텍알앤디 버블 발생장치
KR102117681B1 (ko) * 2018-06-21 2020-06-01 김보경 에어 디퓨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557Y1 (ko) * 1985-11-06 1989-03-11 정동식 양어용 미세기포 분출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081Y1 (ko) 1996-09-02 1999-06-15 박용훈 수족관용 기포발생기
KR200458298Y1 (ko) 2009-10-15 2012-02-21 이광일 저압공기투입용 기포발생기
KR101123136B1 (ko) 2010-10-06 2012-03-20 주식회사 지케이옥시 액체 중에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적합한 미세기포의 발생기
KR101609358B1 (ko) 2015-08-27 2016-04-06 주식회사 그린엔텍알앤디 버블 발생장치
KR102117681B1 (ko) * 2018-06-21 2020-06-01 김보경 에어 디퓨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433A (ko)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9387B1 (ko) 에어 디퓨저
US11491498B2 (en) Shower jet outlet device and shower device equipped therewith
JPWO2008035593A1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US2665946A (en) Spray nozzle
CN104039428B (zh) 用于膜分离装置的密封板
US20100276519A1 (en) Water spray plate and water saving shower using the same
BR112018067303B1 (pt) Elemento de filtro tendo uma forma oca e para remover poeira e um líquido misturado em ar comprimido
US20230285878A1 (en) Candle Filter Support and Plate Assembly for Polymer Melts
WO2017037912A1 (ja) 中空糸膜の製造方法及び中空糸膜紡糸用ノズル
KR102019622B1 (ko) 유량 균등분배를 위한 이중배관
KR102117681B1 (ko) 에어 디퓨저
JP2020532664A (ja) 繊維形成用ノズルプレート
KR100720043B1 (ko) 플렉시블 평막형 멤브레인 모듈
JP6110486B2 (ja) 加圧液体処理モジュール用エアレーションディフューザ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336665B1 (ko) 정수기의 유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JP7091015B2 (ja) 炭酸水注出バルブ
KR102045496B1 (ko) 중공사막 모듈
WO2019150798A1 (ja) シャワー装置
JP4085660B2 (ja) プラスチック製微量点滴芯および点滴芯を装着した点滴筒
US20160339164A1 (en) Oxygenator comprising a hollow-fibre film bundle
JP6437978B2 (ja) スプレイノズル及び非円形のスプレイ円錐を発生させる方法
US8162870B2 (en) Blood filter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790043A (en) False bottom for mash-tuns.
KR20180109958A (ko) 필터 소자용 지지 케이지, 필터 소자, 및 필터 소자 용도
US3537651A (en) Device for aerating water under pressure,particularly for household water supp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