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189B1 - 마이크로버블 노즐 - Google Patents

마이크로버블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189B1
KR100807189B1 KR1020070039275A KR20070039275A KR100807189B1 KR 100807189 B1 KR100807189 B1 KR 100807189B1 KR 1020070039275 A KR1020070039275 A KR 1020070039275A KR 20070039275 A KR20070039275 A KR 20070039275A KR 100807189 B1 KR100807189 B1 KR 100807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icro
orifice
water
oxy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복섭
Original Assignee
노복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복섭 filed Critical 노복섭
Priority to KR1020070039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using pure oxygen or oxygen rich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마이크로 버블을 제공하는 마이크로버블 노즐이 개시된다. 개시된 마이크로버블 노즐은 개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개구 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끼움부가 형성되며, 끼움부의 반대 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의 끼움부의 걸림턱에 걸리게 안치되고, 복수개의 미세홀이 상면부에 형성되고 하부는 미세홀을 걸림턱에서 이격시켜 지지하는 미세홀 유입판을 구비하며, 미세홀 유입판의 상부에서 하우징의 끼움부에 안치되고, 미세홀을 막는 물체를 차단하는 거름망 및 거름망의 상면부에 배치되고, 물과 산소기포의 혼합물이 가압된 상태로 유입되는 오리피스 유입구가 형성된 오리피스 판을 포함함으로써 마이크로화된 산소버블을 제공한다.
마이크로 버블, 오리피스 유입구, 유입판, 유입공간 형성체, 벽판

Description

마이크로버블 노즐{MICRO BUBBLE NOZZ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마이크로 노즐부를 나타낸 단면도에 따른 작용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102: 개구
105: 공간 106: 걸림턱
108: 끼움부 110: 배출구
120: 미세홀 유입판 122: 미세홀
130: 거름망 140: 오리피스 판
142: 오리피스 유입구 145: 고무 환형링
본 발명은 마이크로버블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산소 기포를 쪼개어 물에 혼합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버블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에는 다량의 산소가 포함되어 수생식물이나 동물이 서식할 수 있게 되는데, 수중에 산소가 결핍이 되면 물에 부영양화가 발생되어 물이 오염되기도 한다.
즉, 산소가 많이 포함되면 물속에 포함된 영양물이 산소에 의해 분해되어지므로 청정한 물로 정화될 수 있는데, 물에 포함될 수 있는 용존 산소량은 한계가 있으므로 물에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유입되는 경우 자체정화는 어려워진다.
또한, 용존 산소량이 높은 물은 과산화수소와 같은 살균작용도 하여 물속에서 나쁜 세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중에 산소를 포함시켜 이용한 기술은 정화시설이나 양식장 및 세탁기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정화시설에서는 산소 기포를 정화조의 내부에 폭기하여 산소에 의해 오폐수의 분해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양식장에서는 어폐류의 배설물이나 바닥면으로 가라앉은 사료를 분해하거나 배설물이나 사료에서 발생되는 요염물질을 분해하며, 물에 살균작용을 하여 물고기가 병균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세탁기에서는 세탁수에 미세화된 산소기포를 공급하여 옷감을 살균하게 되는데, 세탁과정이나 헹굼과정에서 마이크로화된 산소기포가 옷감에 접촉되어 산소기포에 의해 옷감이 살균된다.
상기와 같이, 산소가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기포화되고, 산소가 수중에 머물거나 용존산소로 수중에 포함됨으로서 수중에서 오염물질을 분해하거나 병원균의 살균을 할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크기의 산소기포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는 수중에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산소기포를 응용하는 기술만 기술되어 있고, 구체적으로 산소기포를 형성할 수 있는 실효적인 기술은 없었다고 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한 산소기포를 형성할 수 있는 마이크로버블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노즐의 구성은 개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개구 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끼움부가 형성되며, 끼움부의 반대 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의 끼움부의 걸림턱에 걸리게 안치되고, 복수개의 미세홀이 상면부에 형성되고 하부는 미세홀을 걸림턱에서 이격시켜 지지하는 미세홀 유입판을 구비하며, 미세홀 유입판의 상부에서 하우징의 끼움부에 안치되고, 미세홀을 막는 물체를 차단하는 거름망 및 거름망의 상면부에 배치되고, 물과 산소기포의 혼합물이 가압된 상태로 유입되는 오리피스 유입구가 형성된 오리피스 판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노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마이크로 노즐부를 나타낸 단면도에 따른 작용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노즐은 개구(102)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105)이 형성되며, 개구(102) 측에는 걸림턱(106)이 형성되어 끼움부(108)가 형성되며, 끼움부(108)의 반대 측에는 배출구(110)가 형성된 하우징(100)을 포함하고, 하우징(100)의 끼움부(108)의 걸림턱(106)에 걸리게 안치되고, 복수개의 미세홀(122)이 상면부에 형성되고 하부는 미세홀(122)을 걸림턱(106)에서 이격시켜 지지하는 미세홀 유입판(120)을 구비하며, 미세홀 유입 판(120)의 상부에서 하우징(100)의 끼움부(108)에 안치되고, 미세홀(122)을 막는 물체를 차단하는 거름망(130) 및 거름망(130)의 상면부에 배치되고, 물과 산소기포의 혼합물이 가압된 상태로 유입되는 오리피스 유입구(142)가 형성된 오리피스 판(140)을 포함함으로써 마이크로화된 산소버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102)가 형성된 부분의 외주부(103)에는 관로(150)의 결합을 가능하게 만드는 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102)가 형성된 반대 측의 내측면(104)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구(110)는 외주부에 서로 마주보게 두 개가 형성된다.
여기서, 하우징(100)의 개구(102)가 형성된 부분의 외주면은 관로(150)에 결합되고, 관로에서는 가압된 물(10)과 산소기포(20)의 혼합물이 공급되는데, 물과 산소기포의 혼합물은 오리피스 판(140)의 오리피스 유입구(142)를 통해 유입되어 거름망(130)을 거치면서 불순물이 걸러지고, 미세홀 유입판(120)의 미세홀(122)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물과 산소기포의 혼합물에 포함된 산소기포는 오리피스 판(140)을 통과하면서 압력 차이에 의해 더 작게 세분화될 수 있으며, 거름망(130)을 거치면서 더 작게 분화되고, 미세홀 유입판(120)의 미세홀(122)을 거치면서도 분화된다.
그리고, 물과 산소기포의 혼합물은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하우징(100)의 내측벽(104)에 부딪히게 되며, 산소기포는 내측벽(104)에서 터지면서 더 작은 기포로 세분화되고, 내측벽(104)에서 외곽으로 퍼지면서 유동되며, 하우징(100)의 내면부를 따라 유동하여 미세홀 유입판(120) 측으로 유동되고, 미세홀 유입판(120)을 통해 유입되고 있는 물과 산소기포의 혼합물에 의해 형성되는 유선의 외곽부에서 하우징(100)의 측벽부로 유동되며, 하우징(100)의 배출구(110)를 통해 유출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105)은 물과 산소기포의 혼합물이 가득 차게 되는 상태가 되어 압력이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공간(105)에서 하우징(100)의 측벽부에 부딪힌 산소기포는 하우징(100)의 공간(105)에서 난류유동을 거치다가 배출구(110)로 유출된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 판(140)의 오리피스 유입구(142)는 세 개로 형성되어 보다 많은 물과 산소기포의 유동을 허용할 수 있으며, 직경이 1.5mm 이하로 형성됨에 따라 물에 포함된 산소기포가 통과하면서 오리피스 유입구(142)의 직경보다 더 작게 압축된다.
즉, 물에 포함된 산소기포는 오리피스 유입구(142)를 통과하면서 압축됨으로써 하우징(100)의 내부로 들어가서 하우징(100)의 내측벽(104)에 부딪혀 용이하게 터지고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세분화된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 판(140)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끼움부(108)가 관로(150)에 결합되고, 관로(150)의 지지턱(152)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오리피스 판을 상기 하우징(100)의 끼움부(108) 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는 고무 환형링(145)이 구비된다.
여기서, 관로(150)에는 하우징(100)의 외주부(103)에 형성된 나선이 결합되는 나선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고무 환형링(145)이 지지될 수 있는 지지 턱(152)이 내주부에 형성되어 있다고 봐야 하며, 하우징(100)의 끼움부(108)가 관로에 결합되면서 고무 환형링(145)은 오리피스 판(140)의 상면부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버블 노즐은 물과 함께 산소 기포가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 유입구를 통과하고, 물과 산소기포가 오리피스 유입구에 대면하고 있는 내측벽에 부딪혀 산소기포가 미세하게 쪼개져 직경이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형성되고, 물과 함께 내부공간에서 순환되어 배출구로 배출됨으로써 미세한 산소기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개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 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의 반대 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끼움부의 걸림턱에 걸리게 안치되고, 복수개의 미세홀이 상면부에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미세홀을 상기 걸림턱에서 이격시켜 지지하는 미세홀 유입판;
    상기 미세홀 유입판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끼움부에 안치되고, 상기 미세홀을 막는 물체를 차단하는 거름망; 및
    상기 거름망의 상면부에 배치되고, 물과 산소기포의 혼합물이 가압된 상태로 유입되는 오리피스 유입구가 형성된 오리피스 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버블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가 형성된 부분의 외주부에는 관로의 결합을 가능하게 만드는 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가 형성된 반대 측의 내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는 외주부에 서로 마주보게 두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판의 오리피스 유입구는 세 개로 형성되고, 직경이 1.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 노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판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끼움부가 관로에 결합되고 관로의 내측벽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오리피스 판을 상기 하우징의 끼움부 측으로 밀착시키는 고무 환형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 노즐.
KR1020070039275A 2007-04-23 2007-04-23 마이크로버블 노즐 KR100807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275A KR100807189B1 (ko) 2007-04-23 2007-04-23 마이크로버블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275A KR100807189B1 (ko) 2007-04-23 2007-04-23 마이크로버블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7189B1 true KR100807189B1 (ko) 2008-02-28

Family

ID=3938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275A KR100807189B1 (ko) 2007-04-23 2007-04-23 마이크로버블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18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987B1 (ko) 2009-01-14 2009-09-10 임찬호 폐수 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버블 디퓨져
KR100938899B1 (ko) 2009-08-14 2010-01-27 오엑스엔지니어링(주) 마이크로버블 노즐
KR101071220B1 (ko) 2011-04-05 2011-10-10 제이에이치그린 주식회사 에어제트 노즐
US9808810B2 (en) 2013-12-31 2017-11-07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Nozzle for dissolved air flotation system
WO2018225905A1 (ko) * 2017-06-07 2018-12-13 황재구 미세 버블 분사용 유체노즐
WO2019022303A1 (ko) * 2017-07-26 2019-01-31 황재구 미세 버블 발생장치
KR20200137116A (ko) 2019-05-29 2020-12-09 주식회사 일성 나노버블발생 분사노즐
KR102267248B1 (ko) 2020-06-10 2021-06-21 (주)신넥앤테크 소형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107A (ko) * 1999-05-06 2000-12-05 송재윤 가압분사식 기체용해수의 제조방법
KR20020039419A (ko) * 2000-11-21 2002-05-27 최건호 호기성 생물 정화처리를 위한 산소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107A (ko) * 1999-05-06 2000-12-05 송재윤 가압분사식 기체용해수의 제조방법
KR20020039419A (ko) * 2000-11-21 2002-05-27 최건호 호기성 생물 정화처리를 위한 산소공급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987B1 (ko) 2009-01-14 2009-09-10 임찬호 폐수 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버블 디퓨져
KR100938899B1 (ko) 2009-08-14 2010-01-27 오엑스엔지니어링(주) 마이크로버블 노즐
KR101071220B1 (ko) 2011-04-05 2011-10-10 제이에이치그린 주식회사 에어제트 노즐
US9808810B2 (en) 2013-12-31 2017-11-07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Nozzle for dissolved air flotation system
WO2018225905A1 (ko) * 2017-06-07 2018-12-13 황재구 미세 버블 분사용 유체노즐
WO2019022303A1 (ko) * 2017-07-26 2019-01-31 황재구 미세 버블 발생장치
KR20200137116A (ko) 2019-05-29 2020-12-09 주식회사 일성 나노버블발생 분사노즐
KR102267248B1 (ko) 2020-06-10 2021-06-21 (주)신넥앤테크 소형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189B1 (ko) 마이크로버블 노즐
KR100824714B1 (ko)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US9451759B2 (en) Liquid bubble separator of circulating water system
JP3765759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2009082903A (ja) マイクロバブル生成装置。
KR101609358B1 (ko) 버블 발생장치
KR101264149B1 (ko) 디퓨저 노즐
JP2011104534A (ja) 微細気泡生成器、該発生器に使用する気泡微細化材及び気液反応装置
JP2004267940A (ja) 気液混合反応方法及び気液混合反応装置
KR101824240B1 (ko) 미세기포 발생용 기체용해장치를 포함한 고밀도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0887293B1 (ko) 마이크로버블 노즐
CA2872601C (en) Aeration equipment
JP2007111689A (ja) 吐水口設置型気液混合装置。
JP2009101329A (ja) 液体処理装置
JP2008237996A (ja) 微細気泡発生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洗浄装置、シャワリング装置、生簀
AU2013353103B2 (en) Aeration nozzle, and blockage removal method for said aeration nozzle
KR200441338Y1 (ko) 미세 기포 발생 노즐장치
KR102502888B1 (ko) 분무효율이 향상된 oh 라디칼수 분사식 탈취장치
KR20090002924A (ko) 재순환식 오존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순환식 오존수처리방법
KR200395065Y1 (ko) 액체비료 속에 함유된 악취물질 제거장치
CN209985226U (zh) 一种臭氧水的即时混合装置
KR102305014B1 (ko) 마이크로 버블 기능수 제조장치
KR101751412B1 (ko) 미세 기포를 이용한 오존 용해장치
JP2004321009A (ja) 水耕栽培装置
JP5872344B2 (ja) 浄化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