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786B1 - 회전류 발생기 - Google Patents

회전류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786B1
KR101654786B1 KR1020150183120A KR20150183120A KR101654786B1 KR 101654786 B1 KR101654786 B1 KR 101654786B1 KR 1020150183120 A KR1020150183120 A KR 1020150183120A KR 20150183120 A KR20150183120 A KR 20150183120A KR 101654786 B1 KR101654786 B1 KR 101654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older
flow path
base plate
current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무
Original Assignee
한국토요칼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요칼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토요칼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3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5/0057
    • B01F13/02
    • B01F3/04099
    • B01F3/0446
    • B01F3/04829

Landscapes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류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액체 중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와 외부의 기체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체를 혼합하여 회전류를 발생시키는 회전류 발생기로서, 입배출구가 구비된 원통형 유로의 내벽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홈, 상기 유로로 기체를 분사하기 위해 상기 유로의 입구측 내벽면에 개설된 복수의 기체분사구를 포함하는 유로몸체; 상기 기체분사구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기체공급수단으로부터 기체를 공급받는 밀폐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밀폐공간부 내의 기체가 상기 기체분사구를 통해 상기 유로로 분사됨에 따라 상기 유로 내의 액체와 혼합되어 회전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홀더; 상기 홀더와 이격된 상태로 홀더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판; 및 탄성변형에 의해 길이 방향 변화가 가능한 상태로 상기 홀더와 베이스판 사이를 결합하는 복수의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류 발생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회전류 발생기 {Circulation water generator}
본 발명은 회전류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이물질, 슬러지 등이 상존하는 오폐수조, 정화조 혹은 연못 등에 설치되어 오폐수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기체를 혼합하여 회전류를 발생시켜 오폐수를 정화하는 회전류 발생기로서, 별도의 세척 작업 없이 외부 공급 기체의 압력 제어를 하는 것만으로도 내외부에 유입 또는 점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류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 건축물을 신증축하면서 대소변기 등을 설치할 경우, 하수도법 규정에 따라 개인하수처리시설(이하, '정화조'라 통칭함)을 설치하게 되어 있는데, 주로 사용하는 방식은 부패탱크 방식이다.
부패탱크 방식의 정화조는 체류시간을 이용하여 혐기성 분해과정을 통해 유기물을 분해하는 것으로서, 혐기성 처리는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하수 등의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주로 분뇨처리에 많이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CH4, CO2, NH3, H2S 등의 가스는 악취가 심하여 두통과 구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일예로, 정화조 내의 오수에 다량의 공기를 분출시킴에 따라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시켜 오수의 혐기화를 방지하는 폭기수단이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폭기수단은 정화조 바닥의 일정위치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외부의 공기공급기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단순하게 폭기만 하는 구조이므로 정화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폭기수단은 정화조 내의 부유물이나 오니(슬러지) 등에 의해 공기분출구가 막히게 되어 주기적인 청소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5067호의 "회전류 발생기 및 회전류 발생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상기 선행기술은 액체와 공급되는 기체를 혼합하여 회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높은 정화효율을 가지고 부유물에 의해 공기분출구가 막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런데, 이러한 회전류 발생장치를 장시간 사용시 이물질, 슬러지 등이 회전류 발생기 내부에 유입 및 점착되어 정화효율이 점차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이물질 제거작업을 필요로 한다는 요구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5067호 (2011년02월09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6260호 (2013년05월15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물질, 슬러지 등이 상존하는 오폐수조, 정화조 혹은 연못 등에 설치되어 오폐수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기체를 혼합하여 회전류를 발생시켜 오폐수를 정화하는 회전류 발생기로서, 별도의 세척 작업 없이 외부 공급 기체의 압력 제어를 하는 것만으로도 내외부에 유입 또는 점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류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액체 중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와 외부의 기체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체를 혼합하여 회전류를 발생시키는 회전류 발생기로서, 입배출구가 구비된 원통형 유로의 내벽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홈, 상기 유로로 기체를 분사하기 위해 상기 유로의 입구측 내벽면에 개설된 복수의 기체분사구를 포함하는 유로몸체; 상기 기체분사구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기체공급수단으로부터 기체를 공급받는 밀폐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밀폐공간부 내의 기체가 상기 기체분사구를 통해 상기 유로로 분사됨에 따라 상기 유로 내의 액체와 혼합되어 회전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홀더; 상기 홀더와 이격된 상태로 홀더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판; 및 탄성변형에 의해 길이 방향 변화가 가능한 상태로 상기 홀더와 베이스판 사이를 결합하는 복수의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류 발생기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다리 각각은 홀더의 하부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타단이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지지다리에 포함된 각각의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스프링과 다른 값의 탄성계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에는 상하부를 관통하여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체결볼트가 각각 삽입되며, 상기 체결볼트 하단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상부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판의 상단에 하부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의 하부 및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충돌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돌부재는 지지다리의 길이 방향 변화시 상기 홀더에 충돌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오폐수조나 정화조 혹은 집수정, 호소, 연못 등의 내부의 오폐수를 순환시킴과 동시에 순환하는 오폐수와 공기를 효과적으로 혼합함에 따라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회전류 발생기의 청소를 위한 별도의 설비가 추가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공기가 공급 또는 분출되는 입배출구 등에 이물질 등이 끼어 작동 효율이 떨어짐에 따라 청소가 필요한 경우,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을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기적인 별도의 청소작업이 없이도 회전류 발생기를 지속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돌부재의 충돌에 의한 충돌력의 작용으로 인해 이물질을 더욱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류 발생기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부재를 간단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어 회전류 발생기의 설치 및 유지에 적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기의 수직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기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기의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기의 수직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몸체(100), 홀더(200), 베이스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길이 방향 변화가 가능한 상태로 상기 홀더(200)와 베이스판(300)을 결합하는 복수의 지지다리(31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기는 일예로, 정화조의 저면에 위치되어 액체(오수(汚水)) 중에 설치되며, 정화조 내의 액체와 외부의 기체공급수단(400), 예를 들어, 송풍기, 컴프레서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체를 혼합하여 회전류를 발생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몸체(100)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부(102)와 배출구(104)가 구비된 원통형 유로(110)를 형성하는 내벽면(112)이 구비된다.
상기 원통형 유로(110)의 내벽면(112)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나선형홈(120)이 축선(ax)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단면을 갖는 4개의 나선형홈(120)이 상기 축선(ax)을 기준으로 90°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나선형홈(120)의 내측면에는 미세돌기패턴(122)이 형성되거나 거칠기처리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원호형의 미세돌기패턴(122)이 나선형홈(120)의 형성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로몸체(110)의 내벽면(112)에도 네트형의 미세돌기패턴(140)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로몸체(100)의 유로(110) 입구측 내벽면(112)에는 상기 유로(110)로 기체를 분사하기 위해 복수의 기체분사구(130)가 개설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축선(ax)를 기준으로 45°간격으로 8개의 기체분사구(130)가 형성된다.
상기 기체분사구(130)는 적어도 상기 각 나선형홈(120)의 하단부 측에 연통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나선형홈(120)에 각각 대응하도록 4개의 기체분사구(130)가 각 나선형홈(120)의 하단부 측에 연통형성되고, 나머지 4개의 기체분사구(130)는 유로몸체(100)의 내벽면(112)에 연통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유로몸체(100)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기체분사구(130)를 통해 분사되는 기체에 의해 오수가 입구부(102)로 유입된 후 원통형의 유로(110)를 따라 배출구(104)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기체분사구(130)로 분사되는 기체와 오수가 혼합됨과 동시에 상기 나선형홈(120)을 따라 흐르면서 와류(회전류)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홀더(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납작한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는 상기 유로몸체(100)의 하부가 관통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200h)이 형성되며, 홀더(200)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몸체(100)와 조립시 상기 기체분사구(130)의 외측을 감싸며 외부의 기체공급수단(400)으로부터 기체유입구(h1)를 통해 기체를 공급받는 밀폐공간부(21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로몸체(100)가 상기 홀더(200)의 관통홀(200h)에 관통하여 결합시, 상기 유로몸체(100)와 상기 홀더(200)의 맞닿는 부분에는 오링(O)을 개재해서 상기 밀폐공간부(210)로 오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체공급수단(400)에서 공급하는 기체는 밀폐공간부(210)로 공급된 후 상기 유로몸체(100)의 기체분사구(130)를 통해 상기 유로(110)로 분사됨에 따라 상기 유로(110) 내의 액체와 혼합되어 회전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홀더(200)는 상기 유로몸체(100)의 외부에서 상기 유로몸체(100)의 액체 배출 방향을 향하여 상기 밀폐공간부(210)와 연통되는 회전분사구(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200)의 밀폐공간부(210)에 대응하는 상면측에 회전분사구(220)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분사구(220)는 일예로, 유로몸체(100)의 내벽면(112)에 형성된 나선형홈(120)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기체공급수단(400)의 기체는 밀폐공간부(210)로 공급된 후 상기 회전분사구(220)를 통해 상기 유로몸체(100)의 외부로 분사됨에 따라 상기 유로몸체(100)의 배출구(104)로 배출되는 회전류의 회전력 및 상승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베이스판(300)은 상기 홀더(200)와 이격된 상태로 홀더(200)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판(300)은 상기 지지다리(310), 홀더(200) 및 유로몸체(100)를 견고히 받치는 받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류 발생기가 외부로부터의 기체의 공급이 원활히 유지되면서 회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다리(310), 홀더(200) 및 유로몸체(100)의 무게의 총합보다 무겁게 형성되거나 정화조 바닥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다리(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에 의해 길이 방향 변화가 가능한 상태로 상기 홀더(200)와 베이스판(300) 사이를 결합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중심으로 회전류 발생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체공급수단(400)에서 공급되는 기체는 기체공급관(500)을 거쳐 기체유입구(h1)를 통해 홀더(200)의 밀폐공간부(210)로 공급된다.
밀폐공간부(210)로 공급된 기체는 기체분사구(130)를 통해 분사되며,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회전분사구(220) 및/또는 액체유도구(230)를 통해 동시에 분사된다.
상기 기체분사구(130)로 분사되는 기체는, 유로몸체(100)의 유로(110)로 분사되어 유로(110) 내에 채워진 오수와 혼합되는데, 이때, 상기 기체분사구(130)로 분사되는 기체의 분사력에 의해 기체 및 오수가 유로몸체(100)의 내벽면(112)에 형성된 나선형홈(120)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때, 나선형홈(120)을 따라 회전하는 기체는 나선형홈(120)에 형성된 미세돌기패턴(122)에 의해 더욱 미세하게 분할되며, 이와 같이 미세하게 분할된 기체는 오수와의 혼합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뤄져 정화의 효율을 높인다. 또한, 유로몸체(100)의 내벽면(112)에 형성된 네트형의 미세돌기패턴(140)에 의해 유로를 흐르는 기체가 더욱 미세하게 분할되어 정화의 효율을 높인다.
한편, 기체와 혼합된 오수는 와류를 형성하면서 나선형홈(120)의 형성방향을 따라 상승하여 유로몸체(100)의 배출구(104)로 배출되며, 이에 따라 정화조 내의 오수는 유로몸체(100)의 입구부(102)로 유입되어 기체와 혼합된 후 배출구(104)로 배출되는 순환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오수의 정화가 이뤄진다.
상기 회전분사구(220)로 분사되는 기체는, 상기 유로몸체(100)의 외부에서 상기 유로(110)의 진행방향을 따라 와류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유로몸체(100)의 배출구(104)로 배출되는 기체와 오수가 혼합된 와류의 회전력 및 상승력을 증가시키게 되어, 정화조 내의 오수 정화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액체유도구(230)로 분사되는 기체는, 상기 베이스판(300)의 중앙부분을 향하여 분사된 후 상기 베이스판(300)의 표면에 부딪혀 상기 유로몸체(100)의 입구부(102)로 상승하게 되며, 이때, 상기 액체유도구(230)로 분사된 기체의 흐름에 따라 오수가 입구부(102)로 유입되는 것을 보조하게 된다.
상기 기체분사구(130) 및 유로몸체(100)에 대한 상세한 구성과 회전류 발생기의 작동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 등록한 바 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5067호 (등록일자 2011년02월09일)를 통해 이해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다리(310) 각각은 홀더(200)의 하부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판(300)의 상부에 타단이 결합되는 스프링(305)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지지다리(310)를 갖도록 구성되므로 3개의 스프링(305a, 305b, 305c)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지지다리(310)는 일예로, 상기 스프링(305)의 일단이 상부 결합부재(304)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305)의 타단이 하부 결합부재(302)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다리(310)와 상기 홀더(200)의 하부측의 결합은 일예로, 체결볼트(B)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즉, 상기 홀더(200)에 상하부를 관통하여 복수의 체결공(h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h2)에는 체결볼트(B)가 각각 삽입되며, 상기 체결볼트(B)에 의해 지지다리(31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밀폐공간부(210)는 가공성을 고려할 때,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체결볼트(B)의 안정적 결합 및 체결볼트(B)의 몸체가 오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체결공(h2)이 밀폐공간부(210)와 겹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체결공(h2)은 상기 밀폐공간부(210)의 외측에 겹치지 않도록 홀더(200)의 측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 결합부재(304)의 상부측에는 상기 체결볼트(B)에 대응하는 암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볼트(B)와 상기 상부 결합부재(304)의 볼트결합에 의해 상기 스프링(305)의 일단이 상부 결합부재(304)를 통해 상기 홀더(200)의 하부측에 결합이 이뤄짐으로써 지지다리(310)가 상기 홀더(200)에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305)의 일단과 상부 결합부재(304)와의 결합은 접착, 용접, 이종사출 등에 의한 일체화된 고정결합일 수 있으며, 끼움, 걸림고정 등의 분리 가능한 조립결합일 수 있다.
상기 상부 결합부재(304)와 홀더(200)는 다른 예로, 상부 결합부재(304)가 홀더(200)에 형성된 체결홈(미도시)에 끼워짐으로써 결합이 이뤄질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305)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판(300)의 상단에 하부 결합부재(302)를 통해 결합된다. 일예로, 상기 스프링(305)의 타단과 하부 결합부재(302)와의 결합은 걸림고정에 의한 조립결합으로 이뤄지고, 상기 하부 결합부재(302)와 베이스판(300)의 상단과의 결합은 접착에 의한 고정결합으로 이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스프링(305)의 타단과 하부 결합부재(302)의 결합은 이종사출에 의한 고정결합으로, 상기 하부 결합부재(302)와 베이스판(300) 상단의 결합은 볼트 체결에 의한 조립결합- 부품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착탈 가능한 결합 -으로 이뤄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홀더(200)와 상부 결합부재(304) 및 하부 결합부재(302)와 베이스판(300) 사이의 결합은 분리, 교체가 가능한 조립결합으로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보관 및 유지, 보수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공지의 다양한 분리, 교체 가능한 조립결합으로 이뤄질 수 있으나, 일체화된 고정결합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다리(310)의 구성은 별도의 청소설비 없이도 용이하게 회전류 발생기의 청소작업이 이뤄지도록 한다.
일예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305)에 힘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기 지지다리(310)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베이스판(300)에 결합된 상기 홀더(200) 및 유로몸체(100)에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일정하게 기체를 공급(즉, 회전류를 발생)하게 된다.
이때,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이 짧은 시간(예, 수 초)에 급격하게 감소하거나 증가하게 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류 발생기에는 관성에 의한 반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지지다리(310)의 스프링(305)에 힘이 전달됨으로써 스프링(305)에 탄성변형이 발생한다.
이러한 탄성변형에 의해 지지다리(310)의 길이 방향 변화(도 3의 U 또는 D 방향으로의 순간적인 신장 또는 수축)가 일어나게 되며, 상기 홀더(200) 및 유로몸체(100)는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순간적으로 급격한 움직임이 발생한다. 이러한 급격한 움직임은 상기 홀더(200) 및/또는 유로몸체(100)의 내, 외부에 유입 혹은 점착된 이물질을 순간적으로 털어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생시키므로 홀더(200) 및/또는 유로몸체(100)로부터 상기 이물질의 탈락이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을 순간적으로 조절(on/off 또는 승압/감압)하는 것만으로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기의 청소가 이뤄질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기는 상기 복수의 지지다리(31)에 포함된 각각의 스프링(305a, 305b, 305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스프링(305)과 다른 값의 탄성계수를 갖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스프링 모두 서로 다른 값의 탄성계수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계수의 차이는 상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의 순간적인 변화시 각각의 지지다리(310)에 다른 정도의 탄성변형(길이 변형)을 이뤄지게 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압력 변화시 탄성계수가 높은 스프링은 더 적게 신장하고, 탄성계수가 낮은 스프링은 더 많이 신장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변형의 차이에 의해 회전류 발생기는 순간적으로 상하 방향 이외에 다양한 방향으로의 불균일한 움직임이 발생하게 되므로, 회전류 발생기의 내, 외부에 유입 혹은 점착된 이물질의 탈락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기의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기는, 상기 홀더(200)의 하부 및 상기 베이스판(300)의 상부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충돌부재(308)를 더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충돌부재(308)는 지지다리(310)의 길이 방향 변화시 상기 홀더(200)에 충돌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의 순간적인 변화에 따라 상기 스프링(305)에 탄성변형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홀더(200)의 하부 및 상기 베이스판(300)의 상부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충돌부재(308)는 순간적으로 타측에 충돌하게 되고, 상기 홀더(200)에서 베이스판(300)으로 또는 상기 베이스판(300)에서 홀더(200)로 충돌력이 전달되므로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류 발생기의 내, 외부에 삽입 혹은 점착된 이물질이 탈락하도록 돕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충돌부재(308)가 베이스판(300)의 상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이 경우 상기 지지다리(310)의 길이 즉 스프링(305)의 길이 변화에 따라 홀더(200)가 하측으로 움직일 때 충돌부재(308)가 홀더(200)의 하부면을 충돌하거나, 홀더(200)가 상측으로 움직였다가 탄성력에 의해 다시 하측으로 움직여 홀더(200)의 하부면을 충돌함으로써, 상기 홀더(200) 및 유로몸체(100)의 입배출구(102, 104), 기체분사구(220, 230) 등에 끼어있는 오수의 찌꺼기(이물질) 등이 털어지는 효과를 더욱 얻을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기는 정화조 내의 오수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정화조 내의 오수 이외에도 오폐수조나 집수정, 호소, 연못(예, 생태 연못) 등의 내부의 오수 및/또는 폐수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유로몸체 102:입구부
104:배출구 104a:확산부
110:유로 112:내벽면
120:나선형홈 122:미세돌기패턴
130:기체분사구 200:홀더
210:밀폐공간부 220:회전분사구
230:액체유도구 300:베이스판
302:하부 결합부재 304:상부 결합부재
305:스프링 308:충돌부재
310:지지다리 400:기체공급수단
500:기체공급관

Claims (5)

  1. 액체 중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와 외부의 기체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체를 혼합하여 회전류를 발생시키는 회전류 발생기로서,
    입배출구가 구비된 원통형 유로의 내벽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홈, 상기 유로로 기체를 분사하기 위해 상기 유로의 입구측 내벽면에 개설된 복수의 기체분사구를 포함하는 유로몸체;
    상기 기체분사구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기체공급수단으로부터 기체를 공급받는 밀폐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밀폐공간부 내의 기체가 상기 기체분사구를 통해 상기 유로로 분사됨에 따라 상기 유로 내의 액체와 혼합되어 회전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홀더;
    상기 홀더와 이격된 상태로 홀더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판; 및
    탄성변형에 의해 길이 방향 변화가 가능한 상태로 상기 홀더와 베이스판 사이를 결합하는 복수의 지지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다리 각각은 홀더의 하부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타단이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복수의 지지다리에 포함된 각각의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스프링과 다른 값의 탄성계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류 발생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상하부를 관통하여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체결볼트가 각각 삽입되며,
    상기 체결볼트 하단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상부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판의 상단에 하부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류 발생기.
  5. 액체 중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와 외부의 기체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체를 혼합하여 회전류를 발생시키는 회전류 발생기로서,
    입배출구가 구비된 원통형 유로의 내벽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홈, 상기 유로로 기체를 분사하기 위해 상기 유로의 입구측 내벽면에 개설된 복수의 기체분사구를 포함하는 유로몸체;
    상기 기체분사구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기체공급수단으로부터 기체를 공급받는 밀폐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밀폐공간부 내의 기체가 상기 기체분사구를 통해 상기 유로로 분사됨에 따라 상기 유로 내의 액체와 혼합되어 회전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홀더;
    상기 홀더와 이격된 상태로 홀더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판;
    탄성변형에 의해 길이 방향 변화가 가능한 상태로 상기 홀더와 베이스판 사이를 결합하는 복수의 지지다리; 및
    상기 홀더의 하부 및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충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충돌부재는 지지다리의 길이 방향 변화시 상기 홀더에 충돌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류 발생기.
KR1020150183120A 2015-12-21 2015-12-21 회전류 발생기 KR101654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120A KR101654786B1 (ko) 2015-12-21 2015-12-21 회전류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120A KR101654786B1 (ko) 2015-12-21 2015-12-21 회전류 발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786B1 true KR101654786B1 (ko) 2016-09-06

Family

ID=56946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120A KR101654786B1 (ko) 2015-12-21 2015-12-21 회전류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7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234B1 (ko) * 2017-11-17 2018-07-17 한국토요칼라 주식회사 미생물 담체 보관 기능을 구비한 회전류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회전류 발생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067B1 (ko) 2010-11-12 2011-02-16 한국토요칼라 주식회사 회전류 발생기 및 회전류 발생장치
KR101266260B1 (ko) 2013-04-11 2013-05-22 김상하 회전 혼화식 오존 수처리 장치
KR20130129509A (ko) * 2012-05-21 2013-11-29 정말분 농업용수 여과기의 이물질 자동 제거장치 및 이에 의한 이물질 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067B1 (ko) 2010-11-12 2011-02-16 한국토요칼라 주식회사 회전류 발생기 및 회전류 발생장치
KR20130129509A (ko) * 2012-05-21 2013-11-29 정말분 농업용수 여과기의 이물질 자동 제거장치 및 이에 의한 이물질 제거방법
KR101266260B1 (ko) 2013-04-11 2013-05-22 김상하 회전 혼화식 오존 수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234B1 (ko) * 2017-11-17 2018-07-17 한국토요칼라 주식회사 미생물 담체 보관 기능을 구비한 회전류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회전류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57752T3 (es) Método y dispositivo para producir líquido conteniendo finas burbujas de aire
KR101602657B1 (ko) 살균정화 샤워기
CN211368092U (zh) 微气泡喷头及具有该微气泡喷头的洗涤设备
JP2011152534A (ja) 気液混合循環流発生装置
KR101654786B1 (ko) 회전류 발생기
KR100884802B1 (ko) 미세기포 발생용 노즐
CN211395014U (zh) 微气泡喷头及具有该微气泡喷头的洗涤设备
KR20050110734A (ko)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
KR101127077B1 (ko) 마이크로 버블 디퓨져
KR20160000907A (ko) 이중 공기관을 구비한 마이크로 버블 디퓨져 및 폐수처리 시스템
KR200171311Y1 (ko) 기포 발생기를 이용한 회전와류식 수처리장치
KR20090002924A (ko) 재순환식 오존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순환식 오존수처리방법
KR20210062512A (ko) 플라즈마와 오존미세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KR102305014B1 (ko) 마이크로 버블 기능수 제조장치
KR102208338B1 (ko) 미세기포 발생 노즐
CN212357699U (zh) 微气泡喷头及具有该微气泡喷头的洗涤设备
KR101598010B1 (ko) 마이크로 버블 악취 제거장치
CN112853688B (zh) 微气泡处理剂盒组件及具有其的洗涤设备
EP3747534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nanobubbles
KR200245294Y1 (ko) 가압 부상조
KR101879234B1 (ko) 미생물 담체 보관 기능을 구비한 회전류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회전류 발생장치
KR101579557B1 (ko) 산소 용해장치
KR20170009246A (ko) 가스 용해 탱크 및 이를 이용한 폐수 처리 및 정수 처리 시스템
KR100757092B1 (ko) 미생물 반응교반기
KR101610651B1 (ko) 마이크로 버블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