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142B1 -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142B1
KR101609142B1 KR1020140178418A KR20140178418A KR101609142B1 KR 101609142 B1 KR101609142 B1 KR 101609142B1 KR 1020140178418 A KR1020140178418 A KR 1020140178418A KR 20140178418 A KR20140178418 A KR 20140178418A KR 101609142 B1 KR101609142 B1 KR 101609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hole
steering shaft
bearing housing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술
김형진
김동의
이재원
채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to KR1020140178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84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16D3/843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nclosed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ling Devic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하부에 구비되는 스티어링 샤프트가 차량의 차체를 관통하여 설치될 때, 상기 차체에 고정되며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가 관통되는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에 결합되는 한 쌍의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 오목홈부가 형성된 한 쌍의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베어링하우징과 결합되는 관통홀을 갖되,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홈부와 결합된 한 쌍의 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형성된 오목홈부와 상기 씰부의 관통홀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부가 결합되며, 상기 씰부의 내부로 이물질의 투입 및 부식을 방지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룸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나 이물질 및 부식물을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Steering shaft fixed bearing structure}
본 발명은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의 스티어링 엔진룸으로부터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이물질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장치들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장치들 중에서 차량의 주행속도를 조절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 및 차량의 주행방향을 조절하는 조향장치인 스티어링 휠은 차량의 엔진룸과 실내 사이에 구비되는 대쉬판넬을 관통하여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것이다.
특히,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작동되는데,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돌리면 스티어링 휠 하부에 설치되는 스티어링 로워 샤프트가 스티어링 휠과 함께 회전하면서 차량의 방향을 바꾸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스티어링 샤프트는 차량의 실내와 엔진룸을 나누는 대쉬판넬 일측에 설치되는데, 스티어링 샤프트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을 해야하기 때문에 회전 가능하도록 대쉬판넬과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면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대쉬판넬은 차량의 엔진룸과 실내공간 사이에 구비되기 때문에 엔진룸의 소음 및 이물질이 대쉬판넬에 설치되는 스티어링 로워 샤프트의 틈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해서 스티어링 샤프트와 대쉬판넬 사이에 더스트커버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스티어링 샤프트의 내부에 물, 먼지 등의 이물질의 투입으로 인해 스티어링 샤프트의 부식 및 노이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더스트커버는 단일 2중 구조로서, 기본적인 조인트 방안에만 의존하여 2차적으로 타 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부식 및 노이즈에 대해 예방을 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엔진룸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나 이물질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밀폐기능을 수행한다 하더라도 단일부품으로 엔진룸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나 이물질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기 힘든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123459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07-0005394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베어링하우징에 형성된 오목홈부와 씰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부가 결합되며, 씰부의 내부로 이물질의 투입 및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엔진룸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나 이물질 및 부식물을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하부에 구비되는 스티어링 샤프트가 차량의 차체를 관통하여 설치될 때, 상기 차체에 고정되며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가 관통되는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에 결합되는 한 쌍의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 오목홈부가 형성된 한 쌍의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베어링하우징과 결합되는 관통홀을 갖되,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홈부와 결합된 한 쌍의 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형성된 오목홈부와 상기 씰부의 관통홀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부가 결합되며, 상기 씰부의 내부로 이물질의 투입 및 부식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씰부는, 상기 차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원추형 형상으로 상부로 돌출형성된 상부돌출부를 포함하는 이너씰(inner seal)과, 상기 차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 하측면에 결합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측면에 원추형 형상으로 하부로 돌출형성된 하부돌출부를 포함하는 아우터씰(outer seal)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하우징과 결합되는 관통홀은 상기 상부돌출부와 상기 하부돌출부에 배치되되, 상기 상부돌출부의 관통홀에는 이너베어링하우징이 끼워지고, 상기 하부돌출부의 관통홀에는 아우터베어링하우징이 끼워진다.
또한, 상기 상부돌출부에 형성된 관통홀의 중심축과 상기 하부돌출부에 형성된 관통홀의 중심축과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하며, 상기 중심축들은, 상기 차체의 면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져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중심축이 상기 차체의 면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는, 다수개의 결합홈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차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장착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씰을 감싸도록 상기 아우터씰의 외부면을 보호하는 아우터커버를 더 구비하여 상기 아우터씰의 내부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이너 베어링하우징과 아우터 베어링하우징은, 오목홈부의 직경보다 더 큰 결합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플랜지가 외측에 위치되도록 이너씰과 아우터씰의 관통홀에 대칭되게 결합되며, 상기 이너 베어링하우징의 결합플랜지 하측면은, 상기 이너씰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베어링하우징의 결합플랜지 상측면은, 상기 아우터씰의 하측면과 이격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커버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커버의 관통홀 중심축과 아우터 베어링하우징의 관통홀 중심축이 일치되며, 상기 아우터커버의 관통홀 내주면에는, 상기 아우터 베어링하우징의 결합플랜지가 끼움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베어링하우징은, 상기 아우터씰 및 아우터커버와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씰부는, 상기 아우터커버의 상부에 구비되는 몰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씰과 아우터씰은, 상기 몰드에 고정결합된다.
또한, 상기 이너씰과 아우터씰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2중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너씰과 아우터씰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벨로우즈(bellows) 형상으로 으로 형성되어 외력으로부터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상기 이너씰은, 하측면에 외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돌출된 돌출핀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핀의 하부 외주면에 돌출된 결합턱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씰의 하측면과 아우터씰의 상측면이 마주하며 결합될 때는, 상기 돌출핀이 상기 아우터씰을 관통되며, 상기 결합턱에 의해 아우터씰이 지지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은, PA(polyamide), PE(polyethylene), PBT(PolybutyleneTerephthalate), POM(Polyoxymethylene),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씰부는, 열가소성수지재, EPDM,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몰드는, 알루미늄, 스틸, 고무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룸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나 이물질 및 부식물을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를 나타낸 결합도이다.
도 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d의 스티어링 샤프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의 단면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하부에 구비되는 스티어링 샤프트가 차량의 대쉬판넬을 관통하여 설치될 때, 대쉬판넬에 고정되어 관통되는 스티어링 샤프트를 고정하는 베어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를 나타낸 결합도이고, 도 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d의 스티어링 샤프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의 단면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는 베어링(110), 베어링하우징(120) 및 씰부를 포함한다.
베어링(110)은 스티어링 샤프트(200)에 결합된다.
이때, 베어링(110)은 PA(polyamide), PE(polyethylene), PBT(PolybutyleneTerephthalate), POM(Polyoxymethylene),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하우징(120)은 베어링(110)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 오목홈부(128)가 형성된다.
이때, 베어링하우징(1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씰부는, 베어링하우징(120)과 결합되는 관통홀(135)을 갖되, 관통홀(135)의 내주면에 돌기부(127)가 형성되며, 돌기부(127)가 베어링하우징(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홈부(128)와 결합된다.
이때, 씰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베어링하우징(120)에 형성된 오목홈부(128)와 씰부의 관통홀(135)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부(127)가 결합되며, 씰부의 내부로 이물질의 투입 및 부식을 방지한다.
또한, 씰부는, 열가소성수지재, EPDM,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씰부는 이너씰(130)(inner seal)과 아우터씰(140)(outer seal)을 포함한다.
이너씰(130)은 상부플레이트(132)와, 상부돌출부(134)를 포함한다.
상부플레이트(132)는 차체의 일측에 고정된다.
상부돌출부(134)는 상부플레이트(132)의 상측면에 원추형 형상으로 상부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부돌출부(134)에는 관통홀(135)이 형성되며, 관통홀(135)에 베어링하우징(120)이 결합된다.
또한, 이너씰(130)은, 상부플레이트(132)의 하측면에 외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돌출된 돌출핀(138)이 형성되며, 돌출핀(138)의 하부 외주면에 돌출된 결합턱(139)이 형성된다.
이너씰(130)의 상부플레이트(132) 하측면과 후술할 아우터씰(140)의 하부플레이트(142) 상측면이 마주하며 결합될 때는, 돌출핀(138)이 아우터씰(140)이 관통결합된다. 이때, 결합턱(139)에 의해 아우터씰(140)이 지지되어 결합된다.
아우터씰(140)은 하부플레이트(142)와, 하부돌출부(144)를 포함한다.
하부플레이트(142)는, 차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32) 하측면에 결합된다.
하부돌출부(144)는, 하부플레이트(142)의 하측면에 원추형 형상으로 하부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하부돌출부(144)에는 관통홀(135)이 형성되며, 관통홀(135)에 베어링하우징(120)이 결합된다.
즉, 베어링하우징(120)과 결합되는 관통홀(135)은 상부돌출부(134)와 하부돌출부(144)에 배치되어 형성되되, 상부돌출부(134)의 관통홀(135)에는 이너 베어링하우징(124)이 끼워지고, 하부돌출부(144)의 관통홀(135)에는 아우터 베어링하우징(126)이 끼워진다.
또한, 이너 베어링하우징(124)과 아우터 베어링하우징(126)은, 오목홈부(128)의 직경보다 더 큰 결합플랜지(122)가 형성되고, 결합플랜지(122)가 외측에 위치되도록 이너씰(130)과 아우터씰(140)의 관통홀(135)에 대칭되게 결합된다.
다시 말해, 이너 베어링하우징(124)의 결합플랜지(122) 하측면은, 이너씰(130)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아우터 베어링하우징(126)의 결합플랜지(122) 상측면은, 아우터씰(140)의 하측면과 이격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부돌출부(134)에 형성된 관통홀(135)의 중심축과 하부돌출부(144)에 형성된 관통홀(135)의 중심축과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한다.
그리고, 상술한 중심축들은, 차체의 면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져 형성됨으로 인해,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중심축이 차체의 면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부플레이트(132)와 하부플레이트(142)는, 다수개의 결합홈(136)이 관통형성되며, 결합홈(136)에 결합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차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장착된다.
이때, 결합부재는, 볼트, 너트 등과 같은 부재를 말한다.
또한, 씰부는 아우터커버(150)를 더 포함한다.
아우터커버(150)는 아우터씰(140)을 감싸도록 아우터씰(140)의 외부면을 보호한다. 또한, 아우터커버(150)는 이너씰(130)과 아우터씰(140)의 내부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한다.
또한, 아우터커버(150)는 관통홀(135)이 형성되며, 아우터커버(150)의 관통홀(135) 중심축과 아우터 베어링하우징(126)의 관통홀(135) 중심축이 일치된다.
그리고, 아우터커버(150)의 관통홀(135) 내주면에는, 아우터 베어링하우징(126)의 결합플랜지(122)가 끼움결합되는 삽입홈(137)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아우터 베어링하우징(126)은, 아우터씰(140) 및 아우터커버(150)와 일체로 결합된다.
씰부는, 아우터커버(150)의 상부에 구비되는 몰드(152)를 더 포함한다.
이때, 이너씰(130)과 아우터씰(140)은, 몰드(152)에 지지되어 고정결합된다.
또한, 몰드(152)는, 알루미늄, 스틸, 고무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너씰(130)과 아우터씰(14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2중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너씰(130)과 아우터씰(14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벨로우즈(bellows)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력으로부터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씰부는, 견고하며 외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차체에 결합됨에 따라 씰부의 내부로 이물질의 투입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베어링 120: 베어링하우징
122: 결합플랜지 124: 이너 베어링하우징
126: 아우터 베어링하우징 127: 돌기부
128: 오목홈부 130: 이너씰
132: 상부플레이트 134: 상부돌출부
135: 관통홀 136: 결합홈
137: 삽입홈 138: 돌출핀
139: 결합턱 140: 아우터씰
142: 하부플레이트 144: 하부돌출부
150: 아우터커버 152: 몰드
200: 스티어링샤프트

Claims (14)

  1.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하부에 구비되는 스티어링 샤프트가 차량의 차체를 관통하여 설치될 때, 상기 차체에 고정되며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가 관통되는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에 결합되는 한 쌍의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 오목홈부가 형성된 한 쌍의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베어링하우징과 결합되는 관통홀을 갖되,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홈부와 결합된 한 쌍의 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형성된 오목홈부와 상기 씰부의 관통홀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부가 결합되며,
    상기 씰부는,
    상기 차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원추형 형상으로 상부로 돌출형성된 상부돌출부를 포함하는 이너씰(inner seal)과,
    상기 차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 하측면에 결합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측면에 원추형 형상으로 하부로 돌출형성된 하부돌출부를 포함하는 아우터씰(outer seal)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하우징과 결합되는 관통홀은 상기 상부돌출부와 상기 하부돌출부에 배치되되, 상기 상부돌출부의 관통홀에는 이너베어링하우징이 끼워지고, 상기 하부돌출부의 관통홀에는 아우터베어링하우징이 끼워지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는,
    다수개의 결합홈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차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씰부는,
    상기 아우터씰을 감싸도록 상기 아우터씰의 외부면을 보호하는 아우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씰의 내부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며,
    상기 이너 베어링하우징과 아우터 베어링하우징은, 오목홈부의 직경보다 더 큰 결합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플랜지가 외측에 위치되도록 이너씰과 아우터씰의 관통홀에 대칭되게 결합되며,
    상기 이너 베어링하우징의 결합플랜지 하측면은, 상기 이너씰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베어링하우징의 결합플랜지 상측면은, 상기 아우터씰의 하측면과 이격되게 결합되며,
    상기 아우터커버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커버의 관통홀 중심축과 아우터 베어링하우징의 관통홀 중심축이 일치되며, 상기 아우터커버의 관통홀 내주면에는, 상기 아우터 베어링하우징의 결합플랜지가 끼움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베어링하우징은, 상기 아우터씰 및 아우터커버와 일체로 결합되며,
    엔진룸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나 이물질 및 부식물을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출부에 형성된 관통홀의 중심축과 상기 하부돌출부에 형성된 관통홀의 중심축과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하며,
    상기 중심축들은, 상기 차체의 면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져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중심축이 상기 차체의 면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씰부는, 상기 아우터커버의 상부에 구비되는 몰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씰과 아우터씰은, 상기 몰드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씰과 아우터씰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2중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씰과 아우터씰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벨로우즈(bellows) 형상으로 으로 형성되어 외력으로부터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씰은, 하측면에 외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돌출된 돌출핀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핀의 하부 외주면에 돌출된 결합턱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씰의 하측면과 아우터씰의 상측면이 마주하며 결합될 때는, 상기 돌출핀이 상기 아우터씰을 관통되며, 상기 결합턱에 의해 아우터씰이 지지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PA(polyamide), PE(polyethylene), PBT(PolybutyleneTerephthalate), POM(Polyoxymethylene),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씰부는,
    열가소성수지재, EPDM,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알루미늄, 스틸, 고무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
KR1020140178418A 2014-12-11 2014-12-11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 KR101609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418A KR101609142B1 (ko) 2014-12-11 2014-12-11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418A KR101609142B1 (ko) 2014-12-11 2014-12-11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142B1 true KR101609142B1 (ko) 2016-04-06

Family

ID=5579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418A KR101609142B1 (ko) 2014-12-11 2014-12-11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1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724B1 (ko) * 2016-10-10 2018-01-16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용 스티어링 샤프트의 소음 및 진동 차단구조
KR101819143B1 (ko) * 2016-12-13 2018-02-28 주식회사 디엠씨 베어링이 구비된 일체형 더스트 커버
KR20180082178A (ko) * 2017-01-10 2018-07-18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용 알루미늄 유조인트
KR20180102292A (ko) * 2017-03-07 2018-09-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
JP2020199991A (ja) * 2019-06-13 2020-12-17 日本精工株式会社 ダストカバー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724B1 (ko) * 2016-10-10 2018-01-16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용 스티어링 샤프트의 소음 및 진동 차단구조
KR101819143B1 (ko) * 2016-12-13 2018-02-28 주식회사 디엠씨 베어링이 구비된 일체형 더스트 커버
WO2018110764A1 (ko) *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디엠씨 베어링이 구비된 일체형 더스트 커버
CN110023658A (zh) * 2016-12-13 2019-07-16 Dmc 股份有限公司 具有轴承的一体式防尘罩
US20200055537A1 (en) * 2016-12-13 2020-02-20 Dmc, Inc Integral type dust cover with bearings
US10882547B2 (en) 2016-12-13 2021-01-05 Dmc, Inc Integral type dust cover with bearings
KR20180082178A (ko) * 2017-01-10 2018-07-18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용 알루미늄 유조인트
KR102651814B1 (ko) * 2017-01-10 2024-03-27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용 알루미늄 유조인트
KR20180102292A (ko) * 2017-03-07 2018-09-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
KR102322369B1 (ko) * 2017-03-07 2021-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
JP2020199991A (ja) * 2019-06-13 2020-12-17 日本精工株式会社 ダストカバー
JP7222315B2 (ja) 2019-06-13 2023-02-15 日本精工株式会社 ダストカバ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142B1 (ko) 스티어링 샤프트 고정 베어링 구조
US9108671B2 (en) Seal assembly
US8469399B2 (en) Interlocking seal
KR101819143B1 (ko) 베어링이 구비된 일체형 더스트 커버
US20160146253A1 (en) Seal for strut bearing
EP3106687B1 (en) Dust cover for ball joint
KR20160131014A (ko) 휠 베어링 유닛
KR101371937B1 (ko) 랙-피니언 타입 조향장치
US9409547B2 (en) Sensor
JP6376426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
US8651527B1 (en) Double wall dome seal for a vehicle
US10414427B2 (en) Steering column and bearing assembly
KR10146877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로워 샤프트의 소음 및 진동 차단구조
JP6891685B2 (ja) コラムホールカバー
US10393212B2 (en) Antivibration device
JP4373918B2 (ja) ワイパ機構の固定装置
JP6119965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用ダストカバー
KR101845789B1 (ko) 이음 저감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엔진마운트
KR10174199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샤프트의 소음 및 진동 차단구조
KR101624831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
JP6558537B2 (ja) シール構造
JP2019019859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7267593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そのダストカバー
KR102551673B1 (ko) 차량용 튜브 홀더
KR20170111357A (ko) 볼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