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319B1 -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319B1
KR101608319B1 KR1020140016852A KR20140016852A KR101608319B1 KR 101608319 B1 KR101608319 B1 KR 101608319B1 KR 1020140016852 A KR1020140016852 A KR 1020140016852A KR 20140016852 A KR20140016852 A KR 20140016852A KR 101608319 B1 KR101608319 B1 KR 101608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question
questioner
list
interrog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6027A (ko
Inventor
전소영
조민지
최진호
김인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6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319B1/ko
Publication of KR20150096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를 개시한다.
강연장에서 청중이 휴대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청중이 단말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웹페이지로 접속하고, 단말기에서 측정된 센서 측정값을 기초로 질문을 신청하는 청중을 판단하며, 질문을 신청한 청중 중 선택된 질문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강연장에 구비된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Question Answering Service and Terminal Therefor}
본 실시예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강연, 발표 등을 마친 후 강의자와 청중 간에 질의응답 시간을 갖는다. IT 기술이 발달한 현대에도 대형 강연장에서 청중의 참여는 대부분 무선 마이크와 강연장 스피커의 연결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강연을 준비하는 입장에서 항상 무선 마이크를 복수 개 준비해야 하고, 질의응답을 시작한 후에 청중끼리 마이크를 넘겨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무선 전화를 사용하여 질의응답 시간을 갖는 경우, 강연자가 사전에 참여자의 전화번호를 알고 있어야 하며, 참여자는 사전에 대기하고 있어야 통화를 통해 질의응답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워키토키 형태의 음성 통신을 활용하여 강연자와 청중이 통신을 주고받을 수 있으나, 강연자와 청중이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설치해야하고, 애플리케이션마다 사용법이 달라 청중이 사용함에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청중이 발언권을 부여받는 형태의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2004-0102526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강연장에서 청중이 휴대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청중이 단말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웹페이지로 접속하고, 단말기에서 측정된 센서 측정값을 기초로 질문을 신청하는 청중을 판단하며, 질문을 신청한 청중 중 선택된 질문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강연장에 구비된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단말기를 이용하여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 설정된 웹페이지 접속정보로 접속하는 청중 단말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연결 처리부; 상기 청중 단말기로부터 질문 신청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질문 신청신호를 이용하여 질문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질문자 선별부; 및 상기 질문자 리스트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외부 음성 출력단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질의응답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단말기를 이용하여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웹페이지 접속정보로 접속하는 청중 단말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말연결 처리과정; 상기 청중 단말기로부터 질문 신청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과정; 상기 질문 신청신호를 이용하여 질문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질문자 리스트 생성과정; 및 상기 질문자 리스트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외부 음성 출력단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질의응답 제어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청중이 단말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웹페이지로 접속하고 접속된 단말기 중 선택된 질문자의 단말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함으로써, 마이크 및 관련 음향시설을 별도로 구매할 필요가 없어 강연을 준비하는 비용을 줄이고, 마이크를 전달하는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운로드형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웹페이지를 활용하여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OS(Operating System) 플랫폼에 구애받지 않고 질의응답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강연장에서 질의응답 서비스를 이용하여 질의응답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강연장에서 질의응답 서비스를 이용하여 질의응답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를 이용하여 질의응답을 수행하는 강의자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를 이용하여 질의응답을 수행하는 청중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강의자 단말기(110), 청중 단말기(120),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 측위 처리장치(140) 및 스피커(15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예컨대,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측위 처리장치(1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로만 질의응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강의자 단말기(110)는 실내(예: 강의장, 발표장, 공연장 등)에서 강의, 연설, 발표 등을 하기 위한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강의자 단말기(110)는 실내에 구비된 스피커(150)와 연결되어 강의자의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강의자 단말기(110)는 강의가 끝난 후 강의자의 조작 또는 입력을 통해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로 질의응답 서비스를 시작하는 질의응답 시작신호를 전송하고, 복수 개의 질문신청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강의자에게 질문을 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질문자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강의자 단말기(110)와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별도의 장치인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강의자가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청중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용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단말기(140)는 네트워크망을 경유하여 강의 단말기(110) 또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와 데이터, 영상, 음성 등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중 단말기(120)는 실내(예: 강의장, 발표장, 공연장 등)에 입장한 청중이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로서,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와 연동하여 강의자에게 질문을 수행할 수 있다.
청중 단말기(120)는 문자 알림, 메신저 알림, 이메일 알림 등을 이용하여 획득한 초기 접속정보를 기초로 질의응답 서비스 웹(Web)에 접속한다. 한다. 여기서, 초기 접속정보는 HTML5 기반으로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주소일 수 있고, 청중 단말기(120) 내에 별도의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없이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그 어떤 형태의 접속정보로도 구현될 수 있다.
청중 단말기(120)는 질의응답 서비스 웹에 접속한 후 질문을 신청하기 위한 버튼입력, 제스쳐 등을 이용하여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로 질문 신청신호를 전송하고,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와 질의응답 서비스에 대한 연결이 수행되면,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질의 서비스를 수행한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강의자 단말기(110), 청중 단말기(120) 및 측위 처리장치(140) 등과 연결되어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말한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문자 알림, 메신저 알림, 이메일 알림 등을 이용하여 초기 접속정보를 청중 단말기(120)로 제공하고, 청중 단말기(120)가 초기 접속정보를 기초로 질의응답 서비스 웹(Web)에 접속되도록 한다. 여기서, 초기 접속정보는 HTML5 기반으로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주소인 것이 바람직하나, 별도의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없이 제공할 수 있다면 다른 형태의 접속정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청중 단말기(120)로부터 질문 신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질문 신청신호를 기초로 질문신청 단말기를 판단하여 질문자 리스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질문 신청신호는 청중 단말기(120)의 이동에 따른 센서 측정값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중 단말기(120)에 구비된 버튼의 입력에 따른 버튼 입력신호 또는 청중 단말기(120)의 버튼이 입력된 상태에서 청중 단말기(120)의 이동에 따른 하이브리드 신호(혼합 신호)일 수도 있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가 센서 측정값을 이용하여 질문신청 단말기를 판단하고, 판단된 질문신청 단말기를 기초로 질문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강의자 단말기(110)로부터 질의응답 시작신호가 입력되면, 청중 단말기(120)로부터 센서 측정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센서 측정값을 기초로 청중 단말기(120)의 질문신청 여부를 판단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센서 측정값에 포함된 지자기 센서값을 근거로 기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기울기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1 제스처가 인식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제1 제스처가 인식되면, 센서 측정값에 근거하여 제2 제스처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며, 제2 제스처가 인식되는 단말기를 질문신청 단말기로 판단한다. 여기서,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센서 측정값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값을 근거로 가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가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2 제스처가 인식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질문을 신청하는 것으로 확인된 질문신청 단말기에 대한 단말 식별정보, 단말 위치정보 등을 이용하여 질문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질문자 리스트는 질문신청 단말기에 대한 단말 식별정보를 이용한 목록 형태 또는 측위 처리장치(140)로부터 수신된 질문신청 단말기의 단말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맵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질문자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질문자 단말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질문자 단말기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질의응답을 수행한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강의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질문자 선택신호에 근거하여 랜덤 또는 개별 선택방식을 이용하여 질문자 단말기를 결정한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강의자 단말기(110)로부터 랜덤 선택방식에 대한 질문자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복수 개의 질문신청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질문자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랜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질문자 단말기로 결정한다. 여기서, 랜덤 알고리즘은 질문신청 목록과 같은 질문자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고, 실내 맵과 같은 질문자 리스트 중 하나의 질문자 위치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일 수도 있다.
또한,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강의자 단말기(110)로부터 개별 선택방식에 대한 질문자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복수 개의 질문신청 단말기 중 질문자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신청 단말기를 질문자 단말기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질문신청 목록과 같은 질문자 리스트 중 질문자 선택신호에 포함된 목록번호에 대응하는 질문신청 단말기를 질문자 단말기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실내 맵과 같은 질문자 리스트에서 질문자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하나의 질문자 위치에 존재하는 질문신청 단말기를 질문자 단말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강의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질문자 선택신호에 근거하여 결정된 질문자 단말기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실내에 구비된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질문자 단말기와 음성 패킷을 송수신(예: VoIP, WebRTC 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미도시) 또는 통신사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질문자 단말기와 음성호를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질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질문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강의자 단말기(110)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나, 유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스피커(150)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측위 처리장치(140)는 질문신청 단말기에 대한 단말 위치정보를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측위 처리장치(140)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에서 질문신청 단말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실내 맵으로 질문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경우, 질문신청 단말기로부터 통신 기지국(미도시), 실내에 구비된 AP 장치(미도시) 등에 대한 전파 환경정보를 획득하여 측정된 질문신청 단말기의 단말 위치정보를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로 전송한다.
이하, 측위 처리장치(140)가 질문신청 단말기에 대한 단말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측위 처리장치(140)는 질문신청 단말기로부터 주변에 위치한 기지국, 근거리 통신장치, AP 장치 등에 대한 전파 환경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파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전파 환경정보는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정보, AP 식별 정보(SSID), 신호세기 정보(RSSI), 신호전송 시간 정보, 무선랜 주파수 정보 및 위경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측위 처리장치(140)는 삼각 측량 방식 및 핑거 프린트(Finger Print) 방식 등을 이용하여 단말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측위 처리장치(140)는 질문신청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파 환경정보만을 이용하여 단말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질문신청 단말기로부터 가속도 정보, 자이로 정보, 지자계 정보 및 고도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추가로 수신하여 질문신청 단말기가 이동하는 이동 위치값을 산출하여 단말 위치정보에 결합함으로써, 정확하게 질문신청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위 처리장치(140)는 수신된 전파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식,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AoA(Angle of Arrival), ToA(Time of Arrival), ToF(Time of Flight), NFER(Near Field Electromagnetic Ranging) 등과 같이 측위가 가능한 방식이면 그 어떤 방식으로도 단말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측위 처리장치(140)는 질문신청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지 못하거나 오류가 발생한 경우, 측위 오류정보를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로 전송하여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가 단말 위치정보 없이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스피커(150)는 실내(예: 강의장, 발표장, 공연장 등)에 구비되어 음성, 소리, 음악 등의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150)는 강의자 단말기(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강의에 대한 음성 데이터, 질의응답 서비스에 대한 음성 데이터 등을 출력한다. 여기서, 스피커(150)는 강의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만을 출력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피커(150)가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와 직접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로부터 질의응답 서비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150)는 오디오만을 출력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결합된 질의응답 출력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질문자 단말기로부터 생성된 영상정보 및 음성 데이터를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로부터 수신하여 동시에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통신부(210), 단말연결 처리부(220), 질문자 선별부(222), 질문자 결정부(250), 질의응답 제어부(260) 및 음성 출력부(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질문자 선별부(222)는 동작인식 처리부(230) 및 질문자 리스트 생성부(24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강의자 단말기(110), 청중 단말기(120) 및 측위 처리장치(140) 등과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통신부(210)는 강의자 단말기(110)와 연결되어 질의응답 시작신호, 질문자 선택신호 등을 수신하거나, 청중 단말기(120)와 연결되어 초기 접속정보, 단말 식별정보, 음성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연결 처리부(220)는 청중 단말기(120)로 초기 접속정보를 제공하고, 초기 접속정보를 기초로 질의응답 서비스 웹(Web)에 접속된 청중 단말기(120)에 대한 청중 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단말연결 처리부(220)는 문자 알림, 메신저 알림, 이메일 알림 등을 이용하여 초기 접속정보를 청중 단말기(120)로 제공하여 청중 단말기(120)가 질의응답 서비스 웹(Web)에 접속되도록 한다. 여기서, 초기 접속정보는 HTML5 기반으로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주소일 수 있으나, 별도의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없이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그 어떤 형태의 접속정보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연결 처리부(220)는 청중의 편리한 접근을 위해 초기 접속정보에 포함된 웹주소를 단축주소(예컨대, 비틀리(bitly), 구글 단축주소(Google URL Shortener) 등을 이용하여 생성된 주소)로 변환하여 청중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연결 처리부(220)는 청중에게 초기 접속정보를 알리기 위해 문자 알림, 메신저 알림, 이메일 알림 등을 이용하면서, 실내에 구비된 전광판,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초기 접속정보가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연결 처리부(220)는 초기 접속정보를 기초로 질의응답 서비스 웹에 접속된 청중 단말기(120)에 대한 단말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접속된 청중 단말기(120)에 대한 청중 리스트를 생성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단말연결 처리부(220)는 질의응답 서비스 웹에 접속된 청중 단말기(120)로부터 단말기 번호, 입장 식별번호, 사원번호, 회원번호 등과 같은 단말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고, 복수 개의 청중 단말기(120)를 포함하는 청중 리스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청중 리스트는 실내(예: 강의장, 발표장, 공연장 등)에 입장한 청중에게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생성되는 리스트로서, 청중이 입장한 후 청중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단말 식별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생성되거나 기 저장된 정보(예: 회사 사원정보 등)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생성되는 리스트일 수 있다.
질문자 선별부(222)는 청중 단말기(120)로부터 질문 신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질문 신청신호를 기초로 질문신청 단말기를 판단하여 질문자 리스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질문 신청신호는 청중 단말기(120)의 이동에 따른 센서 측정값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중 단말기(120)에 구비된 버튼의 입력에 따른 버튼 입력신호 또는 청중 단말기(120)의 버튼이 입력된 상태에서 청중 단말기(120)의 이동에 따른 하이브리드 신호(혼합 신호)일 수도 있다.
이하, 질문자 선별부(222)가 센서 측정값을 이용하여 질문신청 단말기를 판단하고, 판단된 질문신청 단말기를 기초로 질문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작에 대해 구성요소 별로 설명하도록 한다.
동작인식 처리부(230)는 청중 단말기(120)로부터 센서 측정값을 획득하고, 센서 측정값을 기초로 청중 리스트 중 질문을 신청한 질문신청 단말기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인식 처리부(230)는 강의자 단말기(110)로부터 질의응답 시작신호가 입력되면, 센서 측정값에 포함된 지자기 센서값을 근거로 기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기울기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1 제스처가 인식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동작인식 처리부(230)는 제1 제스처가 인식되면, 센서 측정값에 근거하여 제2 제스처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며, 제2 제스처가 인식되는 단말기를 질문신청 단말기로 판단한다. 여기서, 동작인식 처리부(230)는 센서 측정값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값을 근거로 가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가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2 제스처가 인식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컨대, 동작인식 처리부(230)는 제1 제스처가 인식되고 청중 단말기(120)가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것으로 판단되면, 센서 측정값에 근거하여 제2 제스처의 인식하고 제2 제스처의 인식결과 청중 단말기(120)가 기 설정된 가속도 이상 움직인 것으로 인식되면 해당 청중 단말기(120)를 질문신청 단말기로 판단한다.
질문자 리스트 생성부(240)는 동작인식 처리부(230)에서 질문을 신청하는 것으로 확인된 질문신청 단말기를 질문자 리스트로 등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질문자 리스트 생성부(240)는 복수 개의 청중 단말기(120) 중 질문을 신청하는 질문신청 단말기에 대한 단말 식별정보, 단말 위치정보 등을 이용하여 질문자 리스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질문자 리스트는 질문신청 단말기에 대한 단말 식별정보를 이용한 목록 형태로 생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위 처리장치(140)로부터 수신된 질문신청 단말기의 단말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맵 형태로 생성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동작인식 처리부(230) 및 질문자 리스트 생성부(240)는 별도의 모듈인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중 단말기(120)의 움직임을 인지하여 질문자 단말기를 판단하고, 질문자 단말기를 기초로 질문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질문자 결정부(250)는 질문자 리스트 중 질의응답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질문자 단말기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질문자 결정부(250)는 강의자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질문자 선택신호를 기초로 질문자를 랜덤 또는 개별 선택방식을 이용하여 질문자 단말기를 결정한다.
질문자 결정부(250)가 랜덤 선택방식을 이용하여 질문자 단말기를 결정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자면, 질문자 결정부(250)는 질문자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 개의 질문신청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질문자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랜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질문자 단말기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랜덤 알고리즘은 질문신청 목록과 같은 질문자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고, 실내 맵과 같은 질문자 리스트 중 하나의 질문자 위치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일 수도 있다.
또한, 질문자 결정부(250)가 개별 선택방식을 이용하여 질문자 단말기를 결정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자면, 질문자 결정부(250)는 질문자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 개의 질문신청 단말기 중 질문자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신청 단말기를 질문자 단말기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질문자 결정부(250)는 질문신청 목록과 같은 질문자 리스트 중 질문자 선택신호에 포함된 목록번호에 대응하는 질문신청 단말기를 질문자 단말기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질문자 결정부(250)는 실내 맵과 같은 질문자 리스트에서 질문자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하나의 질문자 위치에 존재하는 질문신청 단말기를 질문자 단말기로 결정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제어부(260)는 질문자 단말기와 음성 패킷을 송수신하여 질의응답을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제어부(260)는 질문자 단말기로 음성 패킷의 송수신(예: VoIP, WebRTC 등)을 시도하고, 질문자 단말기로부터 음성 패킷 송수신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음성 패킷을 이용한 질의응답 서비스를 수행한다.
한편, 질의응답 제어부(260)는 질문자 단말기가 음성 패킷을 이용한 연결이 불가한 경우,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미도시) 또는 통신사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질문자 단말기와 음성호를 연결할 수도 있다.
음성 출력부(270)는 질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외부 음성 출력단을 이용하여 실내(예: 강의장, 발표장, 공연장 등)에 구비된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음성 출력부(270)는 음성 데이터를 강의자 단말기(110)로 전송하여 강의자 단말기(110)와 연결된 스피커(150)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피커(150)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여 음성 출력부(270)와 직접 연결된 경우, 스피커(150)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문자, 메신저, 이메일 및 근거리 통신 등의 방식으로 초기 접속정보인 웹페이지 접속정보를 청중 단말기(120)로 전송한다(S310).
청중 단말기(120)는 웹페이지 접속정보로 접속하고,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접속된 청중 단말기(120)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20).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웹페이지 접속정보로 접속된 청중 단말기(120)로부터 단말기 번호, 입장 식별번호, 사원번호 및 회원번호 등의 단말 식별정보를 획득한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강의자 단말기(110)로부터 질의응답 시작신호가 입력되면, 청중 단말기로부터 센서 측정값을 수신한다(S330).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수신된 센서 측정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면(S350), 그 단말기를 질문신청 단말기로 판단하고, 질문신청 단말기를 질문자 리스트에 등록한다(S360).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센서 측정값에 포함된 지자기 센서값을 근거로 기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기울기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1 제스처가 인식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제1 제스처가 인식되면, 센서 측정값에 근거하여 제2 제스처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며, 제2 제스처가 인식되는 단말기를 질문신청 단말기로 판단한다. 여기서,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센서 측정값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값을 근거로 가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가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2 제스처가 인식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단계 S360에서 생성된 질문자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질문자 단말기를 선택하고(S370),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질의응답을 수행한다(S380).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강의자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된 질문자 선택신호를 기초로 질문자를 랜덤 또는 개별 선택방식을 이용하여 질문자 단말기를 결정한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단계 S380에서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외부 음성 출력단을 이용하여 실내에 구비된 스피커(150)로 출력되도록 한다(S390)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강연장에서 질의응답 서비스를 이용하여 질의응답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시스템에서 강연장에 입장한 청중들 중 질문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질의응답하는 동작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① 강연장에 입장한 청중들은 각자 휴대한 청중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웹주소를 입력하고, 질의응답 서비스를 위한 질의응답 서비스 모바일웹(Web)에 접속한다.
② 청중들 중 질문을 신청하기 위한 질문신청자는 휴대한 질문신청 단말기(410)를 손에 휴대하여 손을 올리는 동작(Hands-Up)을 수행하고, 질문신청 단말기(410)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로 질문신청이 되도록 한다.
③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질문신청이 완료되면, 질문자 신청
질문자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질문자 리스트 중 질문자를 결정한다.
④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결정된 질문자의 질문자 단말기(430)와 호를 연결하고, 연결된 호를 이용하여 수신된 질문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강연장에서 질의응답 서비스를 이용하여 질의응답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문신청 단말기(410)는 제1 질문자 화면(510)에서 입력된 발언권 신청을 기초로 질문을 신청한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질문을 신청한 하나 이상의 질문신청 단말기(410)의 참여자 목록을 강의자 단말기(110)로 전송하여 강의자 화면(520)이 출력되도록 한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강의자 화면(520) 내에서 입력된 선택신호에 근거하여 복수 개의 질문신청 단말기(410) 중 하나의 질문자 단말기(430)를 결정한다. 여기서,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질문자 단말기(430)에 구비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입력된 질문자의 질문음성 정보를 실내에 구비된 스피커(150)를 이용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를 이용하여 질의응답을 수행하는 강의자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a는 강의자 단말기(110)가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에 연결되어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으로서, 강의자의 조작 또는 입력을 기초로 클래스 정보 및 클래스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강의자는 제스처 모드(Gesture Mode)를 설정하여 수강자가 휴대한 단말기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질문을 등록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b는 강연장 내에 입장한 수강자에게 웹페이지 접속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으로서,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수강자에게 질문방 입장방법에 대한 설명 문구를 보여주고, 수강자는 단말기로 수신받은 메시지를 통하여 웹페이지 접속정보로 바로 접근할 수 있다. 여기서, 웹페이지 접속정보는 URL 주소를 단축주소(510, 예: 비틀리(bitly), 구글 단축주소(Google URL Shortener) 등을 이용하여 생성된 주소)로 변환하여 메시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웹페이지 접속정보로 접속한 수강자의 수를 표시하고, 강의자가 단말기를 통해 '시작' 버튼(520)에 대한 입력신호를 입력하면,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도 6c와 같은 화면을 제공한다.
도 6c는 수강자가 질문을 하기 위한 질문 방법에 대한 문구 및 강의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디바이스를 90도 가까이 세우고(제1 제스처), 손을 들어주세요(제2 제스처)"라는 안내 문구를 전송하고, 질문이 있는 단말기의 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랜덤연결 버튼(530) 및 선택연결 버튼(532)을 제공하여 강의자가 랜덤 또는 개별선택으로 질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강의자 단말기로부터 선택연결 버튼(532)에 대한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질문자 리스트를 제공하고, 질문자 리스트 중 강의자가 선택한 질문자의 단말기로 음성 데이터 송수신 연결을 시도한다.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질문자의 단말기와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강연장에 구비된 스피커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여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한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질의응답의 종료에 대한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질문자 단말기와의 연결을 종료한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를 이용하여 질의응답을 수행하는 청중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중 단말기(120)는 초기 페이지(610)로 접속하여 전화번호 입력하고, 전화번호 입력 후 질문하기 페이지(620)로 전환된다. 청중 단말기(120)는 강의자가 “시작” 버튼을 누르기 전까지 질의응답 서비스에 대한 안내문구를 표시한다.
강의자가 “시작” 버튼을 누른 후에는 화면에 질문유도 페이지(630)를 출력한다. 예컨대, 질문유도 페이지(630)에“Hand” 이미지를 출력하여 질문을 유도할 수 있다. 수강자가 질문의사가 있는 경우, 단말기를 손에 쥐고, 단말기를 90도 가까이 세운 뒤 5초 이내에 손을 들어 질문을 예약할 수 있다.
수강자가 질문을 예약한 경우, 대기 페이지(640)를 출력하며, 대기 중 질문 취소를 입력할 수도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페이지(640)에서 강의자가 응답하면 전화가 오는 화면(660)으로 전환된다. 한편, 강의자가 응답하여 HTML5 기반의 WebRTC로 연결되면 수강자가 팝업을 허용(650)한 후 전화가 오는 화면(660)으로 전환된다.
수강자는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질문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고, 음성 데이터는 강연장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수강자의 단말기는 통화 연결이 종료되면 수강자 화면은 다시 질문등록 화면(670)으로 전환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에 적용되어, 마이크 및 관련 음향시설을 별도로 구매할 필요가 없어 강연을 준비하는 비용을 줄이고, 마이크를 전달하는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OS(Operating System) 플랫폼에 구애받지 않고 질의응답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110: 강의자 단말기 120: 청중 단말기
130: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 140: 측위 처리장치
150: 스피커
210: 통신부 220: 단말연결 처리부
230: 동작인식 처리부 240: 질문자 리스트 생성부
250: 질문자 결정부 260: 질의응답 제어부
270: 음성 출력부

Claims (16)

  1. 단말기를 이용하여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별도의 프로그램과의 연동 없이, 웹페이지 접속정보를 기초로 질의응답 서비스 웹(Web)에 접속한 청중 단말기에 대한 청중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말연결 처리부;
    상기 청중 리스트 중 기 설정된 복수의 제스처가 순차적으로 인식된 질문신청 단말기로부터 센서 측정값을 포함하는 질문 신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질문신청 단말기의 단말 위치정보를 기 설정된 실내 맵에 적용하여 질문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질문자 선별부;
    랜덤 또는 개별 선택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질문자 리스트 중 하나의 단말 위치정보를 선택하여 질문자 단말기를 결정하는 질문자 결정부; 및
    상기 질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외부 음성 출력단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질의응답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자 선별부는,
    상기 센서 측정값에 근거하여 제1 제스처가 인식되면, 상기 센서 측정값에 근거하여 제2 제스처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2 제스처가 인식되는 단말기를 상기 질문신청 단말기로 판단하는 동작인식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단말기를 이용하여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별도의 프로그램과의 연동 없이, 웹페이지 접속정보를 기초로 질의응답 서비스 웹(Web)에 접속한 청중 단말기에 대한 청중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말연결 처리과정;
    상기 청중 리스트 중 기 설정된 복수의 제스처가 순차적으로 인식된 질문신청 단말기로부터 센서 측정값을 포함하는 질문 신청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과정;
    상기 질문신청 단말기의 단말 위치정보를 기 설정된 실내 맵에 적용하여 질문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질문자 리스트 생성과정; 및
    랜덤 또는 개별 선택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질문자 리스트 중 하나의 단말 위치정보를 선택하여 질문자 단말기를 결정하는 질문자 결정과정; 및
    상기 질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외부 음성 출력단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질의응답 제어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방법.
  16. 삭제
KR1020140016852A 2014-02-13 2014-02-13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 KR101608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852A KR101608319B1 (ko) 2014-02-13 2014-02-13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852A KR101608319B1 (ko) 2014-02-13 2014-02-13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027A KR20150096027A (ko) 2015-08-24
KR101608319B1 true KR101608319B1 (ko) 2016-04-04

Family

ID=54058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852A KR101608319B1 (ko) 2014-02-13 2014-02-13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3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8064A (ja) * 2001-06-01 2002-12-13 Seiko Epson Corp プレゼンテーション支援システム及びプレゼンテーション支援プログラム
JP2006185188A (ja) * 2004-12-27 2006-07-13 Fuji Xerox Co Ltd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083888A (ja) * 2010-10-08 2012-04-26 Business Breakthrough Inc 回答端末、回答方法、回答集計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8064A (ja) * 2001-06-01 2002-12-13 Seiko Epson Corp プレゼンテーション支援システム及びプレゼンテーション支援プログラム
JP2006185188A (ja) * 2004-12-27 2006-07-13 Fuji Xerox Co Ltd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083888A (ja) * 2010-10-08 2012-04-26 Business Breakthrough Inc 回答端末、回答方法、回答集計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027A (ko) 201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770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access
CN105308567B (zh) 基于类别的围栏
US20220163647A1 (en) Ranging method and device
CN105979312B (zh) 一种信息分享方法及装置
RU2017123011A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контролируемого доступа посетителей в здание
KR102085383B1 (ko) 그룹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1070709B1 (ko) 반경 내 채팅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US100025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JP2008271465A (ja) 携帯通信端末、位置特定システム、位置特定サーバ
KR101727459B1 (ko) 스마트 방문자 확인 방법 및 장치
WO2015139494A1 (zh) 一种数据处理方法、设备和视频会议系统
US20150193841A1 (en) Registration of Customers
CN104216982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9788349B2 (en) Multi-modality communication auto-activation
WO2017185655A1 (zh) 智能终端的控制方法和装置
KR101608319B1 (ko)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
JP606576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80652B2 (ja) 通訳支援システム
JP670188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108470A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상대방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WO2017202138A1 (zh) 基于搜索引擎的信息处理方法和装置
CN114550393A (zh) 门铃控制方法、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5699719A (zh) 交流系统
KR2016006940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086851A (ko) 음파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실시간 원격 데이터 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