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217B1 - 조명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217B1
KR101608217B1 KR1020150160219A KR20150160219A KR101608217B1 KR 101608217 B1 KR101608217 B1 KR 101608217B1 KR 1020150160219 A KR1020150160219 A KR 1020150160219A KR 20150160219 A KR20150160219 A KR 20150160219A KR 101608217 B1 KR101608217 B1 KR 101608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lluminating device
illumination
vehicle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기
정준화
조원범
문학룡
김용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60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0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H05B37/0218
    • H05B37/022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명시스템은 도로시설물의 도로 측 일면에 설치되어 도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의 진행방향 노면에 프로 빔 형태의 빛을 배광하는 제1조명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조명장치의 상부에 구비되어 운전자 방향으로 카운터 빔 형태의 빛을 배광하는 제2조명장치와, 상기 제1조명장치 및 상기 제2조명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1조명장치 및 상기 제2조명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슈퍼 커패시터(SUPER CAPACITOR)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조명장치와 연결되어 기상 여건에 따른 제1조명장치의 색 온도 조절 및 교통량 특성에 따른 상기 제1조명장치의 밝기를 디밍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Lighting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조명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인성, 경관성, 유지보수성, 안전성 향상 및 에너지 절감을 할 수 있는 조명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를 비롯한 도로의 주변에는 도로를 조명하는 폴 조명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폴 조명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시선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경관성에 영향을 미친다.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를 하기 위해는 고소작업차 등의 특수 장비가 요구되므로 유지보수 편리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이러한 폴 조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라인조명이 개발되었는데 도로시설물에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시선을 집중시킴과 동시에 경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로시설물에 설치됨에 따라 유지보수 시 고소작업차 등과 같은 특수 장비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유지보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라인조명은 시인성에 있어서 우천이나 안개 발생 시 색온도가 고정되어 최적화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독립적인 전력 사용이 불가능하고, 차량의 수가 급격히 줄어드는 심야시간대 또는 우천이나 안개 발생 시와 같은 상황에 맞춰 밝기를 조절하지 못해 소비 전력이 과다하게 발생하여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4418호(2012.09.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인성 및 경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유지보수 편리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황에 따라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조명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은 도로시설물의 도로 측 일면에 설치되어 도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의 진행방향 노면에 프로 빔 형태의 빛을 배광하는 제1조명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조명장치의 상부에 구비되어 운전자 방향으로 카운터 빔 형태의 빛을 배광하는 제2조명장치와, 상기 제1조명장치 및 상기 제2조명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1조명장치 및 상기 제2조명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슈퍼 커패시터(SUPER CAPACITOR)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조명장치와 연결되어 기상 여건에 따른 제1조명장치의 색 온도 조절 및 교통량 특성에 따른 상기 제1조명장치의 밝기를 디밍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조명장치는 빛을 발광하는 제1광원과, 상기 제1광원이 내부에 위치하고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상기 제1광원에서 발광 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반사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반사체에 의해 반사된 빛을 배광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와 상기 반사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의 하측 절반 면적을 가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반사체의 하측 내면에 의해 반사된 빛이 상기 렌즈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가림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조명장치는 빛을 발광하는 제2광원과, 상기 제2광원과 연동되어 측정된 시정거리에 따라 상기 제2광원의 발광 정도를 제어하는 시정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시정계는 상기 제2광원에서 발광한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에서 감지하는 빛을 통해 시정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의 연산 결과에 따라 상기 제2광원의 발광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조명장치와 연결되어 기상 여건에 따라 상기 제1조명장치의 색 온도를 조절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제1조명장치와 연결되어 교통량 특성에 따라 상기 제1조명장치의 밝기를 디밍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조명장치의 주변 기상을 감지하는 기상감지센서와, 상기 제2제어부와 연결되고 최초로 설치된 상기 제1조명장치보다 앞서 도로시설물에 설치되어 상기 제1조명장치를 지나갈 차량을 검지하는 차량검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와 도로시설물의 도로 측 일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조명장치의 조사각도를 조절하는 조사각도 조절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차량의 유무를 검지하는 단계; 차량이 검지 되었을 시, 검지 된 차량의 기준점 도착 예정 시간 및 차량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검지 된 차량 중 첫 번째 기준점 도착 예정 차량의 기준점 도착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 기준점 도착 시점부터 조명 수준 점등을 시작하는 단계; 및 차량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예정 시간에 현 조명 수준 종료 및 기본 조명 수준 점등을 시작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이 검지 되었을 시, 검지 된 차량의 기준점 도착 예정 시간 및 차량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조명 구간 종점부 최초 통과 예정 차량이 조명 구간 종점부를 통과 시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명 구간 종점부 최초 통과 예정 차량이 조명 구간 종점부를 통과 시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 존재할 시, 조명 구간 종점부 최초 통과 차량 이후 조명 구간 종부 통과 예정 차량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시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명 구간 종점부 최초 통과 차량 이후 조명 구간 종부 통과 예정 차량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시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의 존재할 시, 차량의 유무를 검지하는 단계와, 차량이 존재할 시 차량의 기준점 도착 예정 시간 및 차량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이 존재할 시 차량의 기준점 도착 예정 시간 및 차량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조명 구간 종점부 최초 통과 예정 차량이 조명 구간 종점부를 통과 시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조명 구간 종점부 최초 통과 차량 이후 조명 구간 종부 통과 예정 차량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시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의 존재하지 않을 시, 차량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최초 조명 소등 시점의 현 조명 수준 종료 및 기본 조명 수준 점등을 시작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조명 구간 종점부 최초 통과 예정 차량이 조명 구간 종점부를 통과 시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차량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예정 시간에 현 조명 수준 종료 및 기본 조명 수준 점등을 시작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조명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에 의하면, 시인성 및 경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유지보수 편리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황에 따라 조명의 밝기를 제어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이 도로시설물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제1조명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제1조명장치의 배광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조명시스템의 제1조명장치 및 제2조명장치의 배광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이 도로시설물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제1조명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은 케이스(100), 제1조명장치(200), 제2조명장치(300), 슈퍼 커패시터(400) 및 제어장치(500)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상기의 제1조명장치(200), 제2조명장치(300), 슈퍼 커패시터(400) 및 제어장치(500)가 내장되는 곳으로써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도로시설물(10)의 도로 측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로를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케이스(100)가 사각기둥형상인 것을 보였으나, 케이스(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조명장치(200)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20) 진행방향 노면에 프로 빔 형태의 빛을 배광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조명장치(200)는 제1광원(210), 반사체(220), 렌즈(230) 및 가림판(24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광원(210)은 빛을 발광하는 주체로써 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의 제1광원(210)은 반사체(22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반사체(220)는 내부에 구비되는 제1광원(210)에서 발광 된 빛을 반사하여 반사체(220)의 일면에 형성된 개구부(221)를 통해 반사된 빛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230)는 개구부(221)가 형성된 반사체(220)의 일면에 구비되어 반사체(220)에 의해 반사되어 방출된 빛을 노면에 배광 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렌즈(230)와 반사체(220) 사이 즉, 개구부(221)에 가림판(240)이 구비되는데 가림판(240)은 개구부(221)의 전체 면적 중 하측 절반 면적을 가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광원(210)에서 발광 된 빛 중 반사체(220)의 하측 내면에 의해 반사된 빛은 가림판(240)에 차단되어 렌즈(230)에 도달하지 못하고, 반대로 반사체(220)의 상측 내면에 의해 반사된 빛은 렌즈(230)에 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반사체(220)의 상측 내면에 의해 반사되어 상대적으로 렌즈(230)의 하측면에 도달한 빛만이 노면에 배광 될 수 있다. 따라서, 빛이 상하방향으로 분산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운전자의 시선을 분산시키지 않고 노면에 집중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제2조명장치(300)는 상기의 제1조명장치(200)와 마찬가지로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운전자 방향으로 카운터 빔 형태의 빛을 배광 할 수 있다. 제2조명장치(300)는 차량(20) 진행방향 전방에 사고가 발생하였거나 악천후에 의한 시야 확보가 어려운 경우 등과 같은 특수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시 사전에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주기 위한 경고등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조명장치(300)는 빛을 발광하는 제2광원(310) 및 제2광원(310)과 연동되는 시정계(3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시정계(320)는 상기의 제2광원(310)에서 발광한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321)와 수광부(321)에서 감지하는 빛을 통해 시정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부(322)와 연산부(322)의 연산 결과에 따라 제2광원(310)의 발광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323)를 구비할 수 있다. 시정계(32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악천후에 의한 시야 확보가 어려운 경우 자칫 제2광원(310)에서 발광 된 빛 또한 운전자의 시야에 용이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정된 시정거리에 따라 제2광원(310)의 발광 정도를 제어하여 제2광원(310)에서 발광 된 빛이 어떠한 상황에서도 운전자의 시야에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악천후에 대한 대응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제1조명장치(200)와 제2조명장치(300)는 슈퍼 커패시터(40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슈퍼 커패시터(400)란 커패시터(CAPACITOR: 콘덴서)의 성능 중 전기 용량의 성능을 중점적으로 강화한 것으로서 전기적으로 충전지와 같은 기능을 갖으며 전력을 모아서 필요에 따라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슈퍼 커패시터(400)는 도로시설물(10)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케이스(100)에 각각 구비되어 각각의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는 제1조명장치(200)와 제2조명장치(300)에 독립적인 전력 공급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시스템이 설치된 도로시설물(10)에 태양광 패널(30)을 구비하여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전력 공급을 함으로써 상시 전력을 사용하지 않게 되어 과다하게 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케이스(100)에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가 구비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시 사용되는 장치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장치(500)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1조명장치(200)와 연결되어 제1조명장치(200)의 색 온도 조절 및 밝기를 디밍제어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500)는 제1조명장치(200)와 연결되어 기상 여건에 따라 제1조명장치(200)의 색 온도를 조절하는 제1제어부(510)와 제1조명장치(200)와 연결되어 교통량 특성에 따라 제1조명장치(200)의 밝기를 디밍제어하는 제2제어부(5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제어부(510)에는 제1조명장치(200)가 설치되어 있는 도로 주변 기상을 감지하는 기상감지센서(600)가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제1조명장치(200)가 설치되어 있는 도로 주변 기상을 감지할 수 있다. 제1조명장치(200)는 기상감지센서(600)를 통해 감지된 기상 여건에 따라 색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상시에는 백색의 빛을 발광하고 안개가 발생하거나 폭우가 쏟아지는 경우에는 기상감지센서(600)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1제어부(510)에서 제1조명장치(200)에서 배광 되는 빛을 황색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상 여건에 따라 색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운전자가 상시 최적의 시인성을 확보하여 안전사고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2제어부(520)에는 제1조명장치(200)가 설치되어 있는 도로를 따라 제1조명장치(200)를 지나가는 차량(20)을 감지하는 차량검지센서(70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검지센서(700)는 차량(20) 진행방향을 따라 도로시설물(10)에 설치되어 있는 제1조명장치(200) 중에서 최초로 차량(20)이 지나가게 되는 제1조명장치(200)보다 앞서 도로시설물(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조명장치(200)는 차량검지센서(700)를 통해 감지된 차량(20)에 의해 밝기가 디밍제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20)의 속도가 느리거나 심야시간대와 같이 교통량이 적을 경우에는 최소한의 밝기로 배광 되도록 하여 전력 낭비를 최소화하고, 차량(20)의 속도가 빠르거나 낮시간대와 같이 교통량이 많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사고위험도가 높아지므로 평소보다 밝은 밝기로 배광 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야간에 디밍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조명 수준 결정을 위한 교통정보의 정의, 정보의 유효성 확보를 위한 교통정보 수집 위치, 교통 흐름 변화 특성에 따른 조명 수준 운영 전략, 조명 수준 변경 시 고려되어야 할 조명 수준 전환 시간 등의 결절이 필요하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속도가 빠를수록, 교통량이 많을수록 사고위험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조명 수준은 상기의 요소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20)의 속도와 교통량의 관계를 활용한 조명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추후에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케이스(100)와 케이스(100)가 설치되는 도로시설물(10)의 도로 측 일면 사이에는 제1조명장치(200)의 조사각도를 조절하는 조사각도 조절장치(8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로시설물(10)이 설치되는 도로는 직선형태뿐만 아니라 좌우로 휘어지는 형태 상하로 굴곡진 형태로도 구비되므로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도로시설물(10) 또한 도로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로시설물(10)에 설치되는 케이스(100)도 도로 형태에 맞춰 설치되는데 이로 인해 제1조명장치(200)에서 배광 되는 빛이 도로에 제대로 조사되지 못해 운전자의 시인성이 나빠지거나 반대차선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방지하기 위해 제1조명장치(200)의 조사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사각도 조절장치(800)가 구비되는 것이다. 조사각도 조절장치(800)가 구비됨에 따라 어떠한 형태의 도로라도 제1조명장치(200)에서 배광 된 빛을 도로에 용이하게 조사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명시스템이 구비됨에 따라 시인성, 경관성, 유지보수 편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에너지 소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제1조명장치(200) 및 제2조명장치(300)의 배광형태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제1조명장치의 배광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조명시스템의 제1조명장치 및 제2조명장치의 배광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은 도로시설물(10)의 도로 측 일면에 설치되어 도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케이스(100),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20) 진행방향 노면에 프로 빔 형태의 빛을 배광하는 제1조명장치(200),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1조명장치(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운전자 방향으로 카운터 빔 형태의 빛을 배광하는 제2조명장치(300), 제1조명장치(200) 및 제2조명장치(300)에 연결되어 제1조명장치(200) 및 제2조명장치(3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슈퍼 커패시터(400) 및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1조명장치(200)와 연결되어 기상 여건에 따른 제1조명장치(200)의 색 온도 조절 및 교통량 특성에 따른 제1조명장치(200)의 밝기를 디밍제어하는 제어장치(50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조명장치(20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로시설물(1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케이스(100) 내부에 각각 구비되어 차량(20) 진행방향 노면에 프로 빔 형태의 빛을 배광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에게 최소한의 눈부심 현상만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으며, 차량(20) 진행방향 전방의 시인성이 최적으로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시인성 불량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조명장치(300)는 제1조명장치(200)와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고 제1조명장치(2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운전자 방향으로 카운터 빔 형태의 빛을 배광할 수 있다. 이때, 제2조명장치(300)는 제1조명장치(200)와 다르게 다수개의 케이스(100)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아닌 일정 간격을 두고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제2조명장치(300)의 경우, 제1조명장치(200)와 같이 운전자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차량(20) 진행방향 전방에 사고가 발생하였거나 악천후에 의한 시야 확보가 어려운 경우 등과 같은 특수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시 사전에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주기 위한 경고등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더욱이, 제1조명장치(200)와 반대로 운전자방향으로 배광 되므로 지속적인 배광이 될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눈부심 현상을 일으키거나 혼란을 야기할 수 있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조명장치(300)는 일정간격을 두고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명시스템은 제1조명장치(200)가 차량(20) 진행방향 노면에 프로 빔 형태의 빛을 배광함으로써 운전자의 눈부심 최소화와 최적의 시인성 확보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제2조명장치(300)가 운전자 방향으로 카운터 빔 형태의 빛을 배광함으로써 차량(20) 진행방향 전방에 사고가 발생하였거나 악천후에 의한 시야 확보가 어려운 경우 등과 같은 특수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시 사전에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주어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차량(20)의 유무를 검지하는 단계(S110); 차량(20)이 검지 되었을 시, 검지 된 차량(20)의 기준점 도착 예정 시간 및 차량(20)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S120); 검지 된 차량(20) 중 첫 번째 기준점 도착 예정 차량(20)의 기준점 도착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S130); 기준점 도착 시점부터 조명 수준 점등을 시작하는 단계(S140); 및 차량(20)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예정 시간에 현 조명 수준 종료 및 기본 조명 수준 점등을 시작하는 단계(S15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차량(20)이 검지 되었을 시, 검지 된 차량(20)의 기준점 도착 예정 시간 및 차량(20)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S120)는 조명 구간 종점부 최초 통과 예정 차량(20)이 조명 구간 종점부를 통과 시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20)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조명 구간 종점부 최초 통과 예정 차량(20)이 조명 구간 종점부를 통과 시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20)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21)는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20) 존재할 시, 조명 구간 종점부 최초 통과 차량(20) 이후 조명 구간 종부 통과 예정 차량(20)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시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20)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조명 구간 종점부 최초 통과 차량(20) 이후 조명 구간 종부 통과 예정 차량(20)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시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20)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22)는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20)의 존재할 시, 차량(20)의 유무를 검지하는 단계(S123), 차량(20)이 존재할 시 차량(20)의 기준점 도착 예정 시간 및 차량(20)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S124)를 구비하고, 이 이후에는 상기의 조명 구간 종점부 최초 통과 예정 차량(20)이 조명 구간 종점부를 통과 시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20)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21)가 진행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의 조명 구간 종점부 최초 통과 차량(20) 이후 조명 구간 종부 통과 예정 차량(20)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시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20)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22)는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20)의 존재하지 않을 시, 차량(20)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S125)를 구비하고, 이 이후에는 차량(20)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예정 시간에 현 조명 수준 종료 및 기본 조명 수준 점등을 시작하는 단계(S150)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조명 구간 종점부 최초 통과 예정 차량(20)이 조명 구간 종점부를 통과 시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20)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121)는 기준점과 조명구간 내 차량(20)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차량(20)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S125)와 상기 차량(20)의 조명 구간 종점부 통과 예정 시간에 현 조명 수준 종료 및 기본 조명 수준 점등을 시작하는 단계(S15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의 운영 방법은 상대적으로 교통량이 적은 24시~06시 사이에 적용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의 운영 방법은 교통량이 거의 없어 차량(20) 통행이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구간 및 시간대에 적용할 수 있다.
반대로 상대적으로 교통량이 많은 23~24시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조명 디밍제어 시 사용되는 기 정의된 요일별, 시간대별 교통량 및 속도 관계 테이블 등을 활용하여 운영할 수 있다. 상기의 운영 방법은 교통량이 많고 일정하여 특정 조명 수준을 장시간 유지하는 것이 효율적인 시간대에 적용하거나 또는 요일별, 시간대별로 교통량의 변화 패턴이 거의 일정하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조명 수준을 변화시켜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구간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교통량이 중간 정도인 구간 및 시간대에는 상기의 두 가지 운영 방법의 적용이 모두 가능하고 해당구간의 야간 시간대 교통 흐름 변화 특성에 따라 두 가지 운영 방법 중 한 가지 방법을 단독으로 활용하거나 시간대별로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여 운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교통량, 구간 및 시간대에 따라 조명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다양하게 적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을 낭비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조명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케이스 200: 제1조명장치
300: 제2조명장치 400: 슈퍼 커패시터
500: 제어장치 600: 기상감지센서
700: 차량검지센서 800: 조사각도 조절장치

Claims (13)

  1. 도로시설물의 도로 측 일면에 설치되어 도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의 진행방향 노면에 프로 빔 형태의 빛을 배광하는 제1조명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조명장치의 상부에 구비되어 운전자 방향으로 카운터 빔 형태의 빛을 배광하는 제2조명장치와,
    상기 제1조명장치 및 상기 제2조명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1조명장치 및 상기 제2조명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슈퍼 커패시터(SUPER CAPACITOR)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조명장치와 연결되어 기상 여건에 따른 제1조명장치의 색 온도 조절 및 교통량 특성에 따른 상기 제1조명장치의 밝기를 디밍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조명장치는 빛을 발광하는 제1광원과, 상기 제1광원이 내부에 위치하고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상기 제1광원에서 발광 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반사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반사체에 의해 반사된 빛을 배광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와 상기 반사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의 하측 절반 면적을 가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반사체의 하측 내면에 의해 반사된 빛이 상기 렌즈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가림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명장치는 빛을 발광하는 제2광원과,
    상기 제2광원과 연동되어 측정된 시정거리에 따라 상기 제2광원의 발광 정도를 제어하는 시정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정계는 상기 제2광원에서 발광한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에서 감지하는 빛을 통해 시정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의 연산 결과에 따라 상기 제2광원의 발광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조명장치와 연결되어 기상 여건에 따라 상기 제1조명장치의 색 온도를 조절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제1조명장치와 연결되어 교통량 특성에 따라 상기 제1조명장치의 밝기를 디밍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조명장치의 주변 기상을 감지하는 기상감지센서와,
    상기 제2제어부와 연결되고 최초로 설치된 상기 제1조명장치보다 앞서 도로시설물에 설치되어 상기 제1조명장치를 지나갈 차량을 검지하는 차량검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도로시설물의 도로 측 일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조명장치의 조사각도를 조절하는 조사각도 조절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160219A 2015-11-16 2015-11-16 조명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101608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219A KR101608217B1 (ko) 2015-11-16 2015-11-16 조명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219A KR101608217B1 (ko) 2015-11-16 2015-11-16 조명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217B1 true KR101608217B1 (ko) 2016-04-01

Family

ID=55799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219A KR101608217B1 (ko) 2015-11-16 2015-11-16 조명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2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1081A (zh) * 2019-01-14 2020-08-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车灯控制装置及其车灯控制电路与方法
KR102405882B1 (ko) 2021-07-09 2022-06-08 주식회사 누리온 스마트 도로 조명시스템
KR102485651B1 (ko) 2022-05-25 2023-01-06 주식회사 누리온 색온도 가변형 스마트 제어시스템
KR102592066B1 (ko) * 2023-03-29 2023-10-23 주식회사 나로텍 스마트 실외 조명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3803A (ja) * 2000-08-21 2002-02-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道路照明方法及び視線誘導型照明装置
KR100826612B1 (ko) 2007-01-17 2008-05-02 주식회사 화성조명 차도용 조명등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3803A (ja) * 2000-08-21 2002-02-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道路照明方法及び視線誘導型照明装置
KR100826612B1 (ko) 2007-01-17 2008-05-02 주식회사 화성조명 차도용 조명등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1081A (zh) * 2019-01-14 2020-08-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车灯控制装置及其车灯控制电路与方法
CN111511081B (zh) * 2019-01-14 2021-11-12 比亚迪半导体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车灯控制装置及其车灯控制电路与方法
KR102405882B1 (ko) 2021-07-09 2022-06-08 주식회사 누리온 스마트 도로 조명시스템
KR102485651B1 (ko) 2022-05-25 2023-01-06 주식회사 누리온 색온도 가변형 스마트 제어시스템
KR102592066B1 (ko) * 2023-03-29 2023-10-23 주식회사 나로텍 스마트 실외 조명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7555B2 (en) Adaptive external vehicle illumination system
KR101608217B1 (ko) 조명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EP2501989B1 (en) Street lighting device
GB2498644A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headlamp of a motor vehicle
TW201534504A (zh) 車輛前照燈
KR101423513B1 (ko) 터널용 조명 장치를 이용한 터널 조명 시스템
US10336244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asymmetrical, glare-free high-beam
KR101293555B1 (ko) 유도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94001B1 (ko) 터널내 온도에 의한 램프 색상 제어방법
US20150211716A1 (en) Lighting device,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selectively emitting light along or against traffic direction
KR20100128763A (ko) 안전 유도 기능을 갖는 차선 표시 장치
KR101764571B1 (ko) 안개등이 일체로 구성된 조명장치
KR101675308B1 (ko) 조명시스템
GB2594540A (en) Traffic signalling apparatus
US10328958B2 (en) Light Signal
KR101811624B1 (ko) 환경 대응형 등주식 가로등기구 및 그 배광제어방법
KR101393343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KR101092827B1 (ko) 후미등 점등 시스템
KR20200035684A (ko) 전방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의 전조등 자동 제어장치
JP4149246B2 (ja) 点灯制御装置
KR20170040912A (ko) 차속에 따른 led 헤드램프 조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80041506A (ko) 차선 인식률 향상 장치 및 방법
KR20220003387A (ko) 차량의 카메라 및 램프를 포함하는 통합 모듈
KR20240083408A (ko) 야간 시인성 확보를 위한 이동체용 야간 광학 시스템
KR20230078096A (ko) 지능형 후방 램프 시스템 및 지능형 후방 램프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