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999B1 - 해양구조물 슬래밍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해양구조물 슬래밍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999B1
KR101607999B1 KR1020140077011A KR20140077011A KR101607999B1 KR 101607999 B1 KR101607999 B1 KR 101607999B1 KR 1020140077011 A KR1020140077011 A KR 1020140077011A KR 20140077011 A KR20140077011 A KR 20140077011A KR 101607999 B1 KR101607999 B1 KR 101607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slamming
offshore structure
deck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476A (ko
Inventor
정상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7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99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40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diminishing wave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해양구조물의 슬래밍 저감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밍 저감 장치는, 그물망 몸체와; 상기 그물망 몸체의 코너 부분에 마련되어, 해양구조물의 기둥에 고박하기 위한 고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양구조물 슬래밍 저감 장치{Slamming reduction device for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해양구조물 슬래밍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랑과 구조물의 상대운동에 의해 파랑이 구조물에 부딪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처럼 파랑에 의한 충격을 슬래밍(slamming)이라고 한다.
해상에 계류하고 있는 해양구조물의 경우 갑판(deck)과 해수면 사이의 간격(air gap)으로 인해 갑판의 하부에 슬래밍이 발생하여 갑판에 큰 유체충격력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는 해양구조물의 안정성 문제를 위협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에도 손상을 일으키게 된다.
기존에는 이러한 슬래밍 현상에 의한 구조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갑판 부위에 소정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및 이면 보강재를 두어 갑판을 보강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는 해양구조물의 하중이 증가하게 되어 선박 설계에 부가적인 부담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해양구조물 자체의 제조비용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040556호(슬래밍 하중 저감장치)에는 선체의 선미부 표면이나 선체의 외부로 돌출됨 없이 선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선체 저항을 증가시키지 않으며, 선체에 작용하는 슬래밍 하중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슬래밍 하중 저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선체 표면 혹은 내부에 설치되어야 하고, 다공성 판 구조물의 구멍을 통해 유입된 해수를 선체의 측면으로 유도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유도관이 내설되어야 하여 그 제작이 복잡한 한계가 있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040556호
본 발명은 갑판 하부에 간단하게 설치 가능한 그물망을 이용하여 슬래밍 충격 하중을 저감할 수 있는 해양구조물의 슬래밍 저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그물망 몸체와; 상기 그물망 몸체의 코너 부분에 마련되어, 해양구조물의 기둥에 고박하기 위한 고박부를 포함하는 슬래밍 저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그물망 몸체는 상기 기둥 주변을 감싸도록 코너 부분에 배치되는 제1 그물구역과, 상기 그물망 몸체의 중심 부분과 상기 코너 부분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제2 그물구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그물구역이 상기 제2 그물구역에 비해 메쉬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상기 그물망 몸체는 상기 코너 부분이 상기 기둥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커팅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슬래밍 저감 장치는 상기 해양구조물의 갑판의 하부와 수선면(waterplane) 사이에 고박될 수 있다.
상기 해양구조물은 반잠수식 시추선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갑판 하부에 간단하게 설치 가능한 그물망을 이용하여 슬래밍 충격 하중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밍 저감 장치가 설치된 해양구조물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 내려다본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밍 저감 장치가 설치된 해양구조물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 내려다본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는 해양구조물(1), 갑판(10), 기둥(20), 슬래밍 저감 장치(100), 그물망 몸체(110), 제1 그물구역(112), 제2 그물구역(114), 고박부(12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밍 저감 장치(100)는 해양구조물(1)의 갑판(10) 하부에 간단히 설치될 수 있으면서도 효과적으로 갑판 하부에 작용하는 슬래밍 충격 하중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밍 저감 장치(100)는 상승하는 파랑을 상쇄시키기 위해 메쉬(mesh)가 형성된 그물망 몸체(110)를 가질 수 있다.
그물망 몸체(110)는 갑판(10) 하부의 평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그 형상이 사각형 형상인 경우가 예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설치대상이 되는 해양구조물(1)의 갑판(10) 형상에 따라 그물망 몸체(1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슬래밍 저감 장치(100)가 설치되는 해양구조물(1)은 반잠수식 시추선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잠수식 시추선의 경우 일반적으로 수면 위쪽에 갑판(10)이 위치하게 되는데, 반잠수식 시추선 주위의 파고에 의한 요동의 마루 부분이 갑판(10) 하부를 가격하면서 반잠수식 시추선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래밍 저감 장치(100)는 반잠수식 시추선의 갑판(10) 하부 및 수선면(waterplane) 사이에서 기둥(20)에 고박되어 슬래밍의 충격 하중을 저감시켜 선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래밍 저감 장치(100)의 그물망 몸체(110)에는 기둥(20)에 고박이 가능하도록 코너 부분이 기둥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커팅되어 있을 수 있다.
코너 부분이 기둥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커팅되어 있어 갑판(10) 하부에 대하여 보다 넓은 면적을 커버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갑판(10) 하부를 향하는 파고에 의한 요동의 마루 부분에 의한 가격이 우선적으로 슬래밍 저감 장치(100)를 거치도록 하여 갑판(10) 하부에 가해지는 슬래밍의 충격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슬래밍 저감 장치(100)에는 기둥(20)에 고박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박부(120)가 기둥 형상에 상응하도록 커팅된 코너 부분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고박부(120)는 밧줄, 로프 혹은 밴드로 이루어져 있어 기둥(20) 둘레를 졸라 매거나 기둥(20)에 돌설된 래싱 아이(lashing eye) 혹은 래싱 링(lashing ring)에 묶여질 수 있다.
그물망 몸체(110)는 제1 그물구역(112)과 제2 그물구역(11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그물구역(112)은 기둥 형상에 상응하도록 커팅된 코너 부분을 감싸는 형상을 가진다.
제2 그물구역(114)은 그물망 몸체(110)에서 제1 그물구역(112) 이외의 구역으로, 슬래밍 저감 장치(100)가 설치된 경우 갑판(10) 하부의 중심 부분 및 기둥(2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제1 그물구역(112)은 메쉬의 크기가 소정 크기 이하인 구역이고, 제2 그물구역(114)은 메쉬의 크기가 소정 크기 이상인 구역이다. 즉, 제1 그물구역(112)이 제2 그물구역(114)에 비해 크기가 작은 메쉬로 이루어져 있어 그물코가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다.
파고에 의한 요동의 마루 부분이 직접 갑판(10) 하부를 직접 가격하기도 하지만, 반잠수식 시추선과 같은 경우 파랑이 기둥(20)을 따라 타고 올라와 기둥(20) 주위의 갑판(10)을 가격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여 갑판(10) 하부 중에서도 기둥(20) 주위에 가해지는 충격 하중이 크기에 이를 적절히 해소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둥(20) 주변부에 그물코가 촘촘히 형성된 제1 그물구역(112)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기둥(20)을 타고 올라오는 파랑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흐트러지게 함으로써 그 충격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해양구조물 10: 갑판
20: 기둥
100: 슬래밍 저감 장치 110: 그물망 몸체
120: 고박부 112: 제1 그물구역
114: 제2 그물구역

Claims (5)

  1. 그물망 몸체와;
    상기 그물망 몸체의 코너 부분에 마련되어, 해양구조물의 기둥에 고박하기 위한 고박부를 포함하되,
    상기 그물망 몸체는 상기 기둥 주변을 감싸도록 코너 부분에 배치되는 제1 그물구역과, 상기 그물망 몸체의 중심 부분과 상기 코너 부분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제2 그물구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그물구역이 상기 제2 그물구역에 비해 메쉬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슬래밍 저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 몸체는 상기 코너 부분이 상기 기둥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커팅된 구조의 슬래밍 저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밍 저감 장치는 상기 해양구조물의 갑판의 하부와 수선면(waterplane) 사이에 고박되는 슬래밍 저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구조물은 반잠수식 시추선인 슬래밍 저감 장치
KR1020140077011A 2014-06-24 2014-06-24 해양구조물 슬래밍 저감 장치 KR101607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011A KR101607999B1 (ko) 2014-06-24 2014-06-24 해양구조물 슬래밍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011A KR101607999B1 (ko) 2014-06-24 2014-06-24 해양구조물 슬래밍 저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76A KR20160000476A (ko) 2016-01-05
KR101607999B1 true KR101607999B1 (ko) 2016-04-01

Family

ID=55164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011A KR101607999B1 (ko) 2014-06-24 2014-06-24 해양구조물 슬래밍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9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464Y1 (ko) 2005-09-28 2006-02-01 강석수 잠수체험 및 해양스포츠용 고정식 해양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5529B2 (ja) 2005-12-22 2012-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その画像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464Y1 (ko) 2005-09-28 2006-02-01 강석수 잠수체험 및 해양스포츠용 고정식 해양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76A (ko)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361B1 (ko) 해양구조물의 운동 감소 장치
US7918174B2 (en) Anti-sloshing device in moon-pool
KR101601025B1 (ko) 운동 감쇠 기능을 갖는 해양 구조물용 플랫폼 및 이를 갖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KR20180104623A (ko) 움직임이 적은 반잠수체
KR101607999B1 (ko) 해양구조물 슬래밍 저감 장치
JP4983003B2 (ja) 可撓性ブイ
KR20170082823A (ko) 해양 구조물의 파랑 충격하중 저감 구조체
KR101487503B1 (ko) 슬래밍 충격완화 구조의 해양구조물
KR200475669Y1 (ko) 선박용 방파 구조물
KR101701907B1 (ko) 앵커링 시스템의 체인로커
KR20000025584A (ko) 선박의 문풀부 저항 저감 장치
KR101422469B1 (ko) 해양구조물용 완충장치
KR101732353B1 (ko) 문풀 내부 유동 감쇄구조체
KR20080005021U (ko)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문풀
KR20150089285A (ko) 쇄파 기능을 겸비한 트롤리 레일 서포트의 리세스 지지구조 및 그 지지구조를 갖는 트롤리 레일 서포트
KR20160037257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선수부의 불워크 구조
KR101762700B1 (ko) 시추선
KR101722449B1 (ko) 수중 터렛 무어링 시스템
KR20090040556A (ko) 슬래밍 하중 저감장치
JP6169143B2 (ja) 船首バルブ付き船舶
KR200484765Y1 (ko)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JPH0511118Y2 (ko)
KR200309053Y1 (ko) 선박용 그린워터 프로텍터
KR101491670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
CN201794979U (zh) 一种船用舱口盖导架减振阻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