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800B1 - 공조 덕트 - Google Patents

공조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800B1
KR101607800B1 KR1020147026860A KR20147026860A KR101607800B1 KR 101607800 B1 KR101607800 B1 KR 101607800B1 KR 1020147026860 A KR1020147026860 A KR 1020147026860A KR 20147026860 A KR20147026860 A KR 20147026860A KR 101607800 B1 KR101607800 B1 KR 101607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duct
duct
presen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7907A (ko
Inventor
나오토 다니
Original Assignee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7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조부(protrusion)의 단부에 박육이 발생하기 어려운 공조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공조 덕트는 덕트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조부(2)를 갖는 공조 덕트(1)로서, 적어도 일부의 돌조부(2)의 단부(20)끼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조 덕트{Air-conditioning duct}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차량에 사용되는 공조 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한 기술문헌으로서, 덕트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돌조부를 갖는 공조 덕트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 제2011-93517호 공보 참조).
상기 특허문헌 1의 공조 덕트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덕트 표면에 복수의 돌조부(100)를 가져, 그 돌조부(100)의 형상을 규정함으로써 덕트 표면에서 발생하는 결로수의 적하를 억제하고 있다. 또한 덕트 내면의 기체의 유통을 방해하기 어렵게 하여 통풍 효율을 향상시키게 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1-93517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의 공조 덕트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덕트 표면에 복수의 돌조부(100)를 가지고 있는데, 그 돌조부(100)의 단부(101)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돌조부(100)는 덕트 본체를 형성하는 수지를 잡아 늘여 일체 형성하기 때문에, 단부(101)가 많이 존재하면 공조 덕트 성형시의 단부(101)에 있어서의 수지의 잡아 늘임 양이 많아지게 된다. 그 결과 돌조부(100)의 단부(101)가 형성되는 개소는 박육이 되어 결로가 발생하기 쉬워지게 된다. 또한 돌조부(100)의 단부(101)가 변형되기 쉽고 깨지기 쉬워지게 된다. 또한 공조 덕트의 성형시에 돌조부(100)의 단부(101)에 핀홀이 발생하기 쉬워지게 된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돌조부(100)의 단부(101)에 박육이 발생하기 어려운 공조 덕트가 필요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덕트 표면에 돌조부를 갖는 공조 덕트에 있어서 돌조부의 단부에 박육이 발생하기 어려운 공조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 덕트는,
덕트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조부(protrusion)를 갖는 공조 덕트로서,
적어도 일부의 상기 돌조부의 단부끼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돌조부의 단부에 박육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공조 덕트(1)의 X-X'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연결부(2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블로우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공조 덕트(1)의 성형방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공조 덕트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의 개요)
먼저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공조 덕트(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덕트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조부(2)(제1 돌조부(2A), 제2 돌조부(2B))를 갖는 공조 덕트(1)이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의 돌조부(2)의 단부(20)끼리를 연결한 연결부(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는 돌조부(2)의 단부(20)끼리를 연결한 연결부(21)를 갖기 때문에, 단부(20)에 있어서의 수지의 잡아 늘임 양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돌조부(2)의 단부(20)에 박육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조부(100)의 단부(101)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으면, 공조 덕트 성형시의 단부(101)에 있어서의 수지의 잡아 늘임 양이 많아지게 된다. 그 결과 돌조부(100)의 단부(101)가 형성되는 개소가 박육이 되어 결로가 발생하기 쉬워지게 된다. 또한 돌조부(100)의 단부(101)가 변형되기 쉽고 깨지기 쉬워지게 된다. 또한 공조 덕트의 성형시에 돌조부(100)의 단부(101)에 핀홀이 발생하기 쉬워지게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조부(2)의 단부(20)끼리를 연결한 연결부(21)를 갖기 때문에, 공조 덕트(1) 성형시의 단부(20)에 있어서의 수지의 잡아 늘임 양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덕트 표면에 돌조부(2)를 갖는 공조 덕트(1)에 있어서 돌조부(2)의 단부(20)에 박육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결로를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돌조부(2)의 단부(20)를 변형되기 어렵고 깨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공조 덕트(1)의 성형시에 돌조부(2)의 단부(20)에 핀홀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아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조 덕트(1)의 구성예>
먼저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는 자동차의 운전석 측 사이드 벤트용 공조 덕트로, 발포 수지를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주로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수소 첨가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자 내에 에틸렌 단위 또는 프로필렌 단위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발포제로서는 물리 발포제 또는 화학 발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물리 발포제와 화학 발포제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리 발포제로서는 공기, 탄산가스, 질소가스, 물 등의 무기계 발포제, 또는 부탄, 펜탄, 헥산,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등의 유기계 발포제를 들 수 있다. 또한 화학 발포제로서는 중탄산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아조디카본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조 덕트(1)의 외주면에 돌조부(2)(제1 돌조부(2A), 제2 돌조부(2B))가 형성되어 있다. 돌조부(2)는 공조 덕트(1)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제1 돌조부(2A)와, 그 제1 돌조부(2A)에 대해 교차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제2 돌조부(2B)로 구성한다. 제1 돌조부(2A) 및 제2 돌조부(2B)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공조 덕트(1)의 본체 부분과 일체로 형성된다. 제1 돌조부(2A)는 공조 덕트(1) 내를 유통하는 기체의 유로방향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돌조부(2B)는 제1 돌조부(2A)와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는 제1 돌조부(2A)가 공조 덕트(1) 내를 유통하는 유체의 유로방향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조 덕트(1)의 내부를 유통시키는 유체의 유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는 공조 덕트(1)의 외주면에 돌조부(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덕트 표면에 발생한 결로수를 돌조부(2)의 오목 형상 영역에서 보유할 수 있다. 그 결과 덕트 표면에 발생한 결로수가 공조 덕트(1)의 아래쪽으로 적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오목 형상 영역은 제1 돌조부(2A)와 제2 돌조부(2B)로 둘러싸인 영역으로 구성하거나, 돌조부(2)의 단부(20)와 연결부(21)를 포함하여 둘러싸인 영역으로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는 돌조부(2)의 단부(20)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21)를 가지고 구성하기 때문에 오목 형상 영역의 수를 많게 할 수 있다.
<돌조부(2)의 단면 구성예>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서 공조 덕트(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조부(2)의 단면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공조 덕트(1)의 제2 돌조부(2B)의 X-X' 단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의 제2 돌조부(2B)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돌조부(2B)의 덕트 외측 표면으로부터의 높이를 Ha, 제2 돌조부(2B)의 길이방향 수직 단면에 있어서의 폭을 Wa, 덕트 벽부의 두께(육후)를 Ta로 한 경우에, 예를 들면 아래의 식을 만족시키도록 구성된다.
0.5 ㎜<Ha<5 ㎜
2×Ha<Wa<5×Ha
단 Wa는 제2 돌조부(2B)의 수직 단면(홈(3)이 뻗는 방향에 대해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제2 돌조부(2B)의 양쪽에 위치하는 평면 부분의 단부(p1, p2)의 간격이다.
Ha는 제2 돌조부(2B)의 정상부로부터 제2 돌조부(2B)의 양쪽에 위치하는 단부(p1, p2)를 잇는 직선까지의 거리이다.
또한 덕트 벽부의 두께(Ta)가 제2 돌조부(2B)의 덕트 외측 표면으로부터의 높이(Ha)보다도 작은 경우는 특히 제2 돌조부(2B)의 단부에 핀홀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제2 돌조부(2B) 단면의 외형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돌조부(2B)의 양쪽에 위치하는 평면 부분의 단부(p1, p2)로부터 제2 돌조부(2B)의 정점까지 완만한게 만곡한 형상이다. 그리고 제2 돌조부(2B)의 양쪽에 위치하는 평면 부분(B)과, 제2 돌조부(2B) 단면의 외형에 접하는 소정의 접선(A)이 이루는 각도(θa)(이것을 입상각도(θa)라 한다)는 45°보다도 커지도록 하고 있다(θa>45°). 또한 소정의 접선(A)은 제2 돌조부(2B) 단면의 외형에 접하는 접선 중 평면 부분(B)에 대해서 가장 기울기가 큰 접선이다.
또한 도 2는 제2 돌조부(2B)의 단면 구성예를 나타내었지만 제1 돌조부(2A)의 단면 구성예나 연결부(21)의 단면 구성예도 도 2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조부(2)의 단부(20)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21)를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단부(20)에 있어서의 수지의 잡아 늘임 양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돌조부(2)의 단부(20)에 박육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조부(2)의 단부(20)에 연결부(21)가 없는 경우는 그 단부(20)는 수지가 많이 잡아 늘여지게 된다. 그 결과 돌조부(2)의 단부(20)는 박육이 되어 결로가 발생하기 쉬워지게 된다. 또한 돌조부(2)의 단부(20)가 변형되기 쉽고 깨지기 쉬워지게 된다. 또한 공조 덕트(1)의 성형시에 돌조부(2)의 단부(20)에 핀홀이 발생하기 쉬워지게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는 돌조부(2)의 단부(20)끼리를 연결한 연결부(21)를 갖기 때문에, 단부(20)에 있어서의 수지의 잡아 늘임 양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덕트 표면에 돌조부(2)를 갖는 공조 덕트(1)에 있어서 돌조부(2)의 단부(20)에 박육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결로를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돌조부(2)의 단부(20)를 변형되기 어렵고 깨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공조 덕트(1)의 성형시에 돌조부(2)의 단부(20)에 핀홀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1)의 구성예는 도 1이나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단부(20)를 둘러싸듯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모든 단부(20)에 있어서 박육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결로수를 보유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단 도 3(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의 단부(20)끼리를 연결하듯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도 연결부(21)로 연결한 단부(20)에 있어서는 박육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1)는 박육이 발생하기 쉬운 개소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공조 덕트(1) 벽부의 두께(육후)가 2 ㎜ 이하가 되는 개소에 연결부(2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2 ㎜ 이하가 되는 박육 부분은 특히 핀홀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공조 덕트(1) 벽부의 두께가 2 ㎜ 이하이고 또한 블로우비가 0.4 이상이 되는 개소에 연결부(2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로우비가 0.4 이상이 되면 발포 패리슨이 크게 잡아 늘여져 박육이 되고 그 박육 부분은 특히 핀홀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정의 개소에 있어서의 블로우비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소정의 개소를 통과하는 중공(中空) 연신방향 수직 단면에 있어서, 한쪽 파팅 라인(PL1)과 다른 쪽 파팅 라인(PL2)을 잇는 직선(A)의 길이(L1)에 대한 이 직선(A)으로부터 당해 소정의 개소까지의 거리(L2)(당해 소정의 개소와 당해 직선(A)을 이어, 당해 직선(A)에 대해 수직인 선분(B)의 길이(L2))의 비율(L2/L1)이다. 도 4의 경우는 굴곡부(R) 개소의 블로우비는 L2/L1=4/10=0.4가 된다.
또한 중공 연신방향이란 성형체에 있어서 중공부가 뻗는 방향이다. 즉 양단이 개구되는 덕트에 있어서는 이 방향은 덕트 내의 통기 경로와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는 블로우비가 0.4 이상이고 덕트 벽부의 두께가 2 ㎜ 이하인 개소(굴곡부(R) 주변)를 가지고 있어, 이 굴곡부(R) 주변에 돌조부(2)의 단부(20)가 형성되면 더욱 핀홀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는 굴곡부(R) 주변에 형성된 단부(20)끼리를 연결부(21)로 연결하고 있다. 이에 의해 굴곡부(R) 주변에서의 핀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공조 덕트(1)의 단면 구성예를 나타내고, 공조 덕트(1)의 내면 측에 돌출부(204)를 가지며, 공조 덕트(1)를 구성하는 벽부의 두께는 돌출부(20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개소보다도 돌출부(204)가 형성되어 있는 개소 쪽이 두껍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는 공조 덕트(1)의 내면 측에 돌출부(204)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조 덕트(1)의 강성(剛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205는 중공부로, 중공부(205)를 매개로 공기 등의 유체를 유통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의 성형방법예>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의 성형방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공조 덕트(1)를 블로우 성형하는 방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발포 혼합 수지를 압출기(도시하지 않음)로 혼련하여 다이 내 어큐뮬레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저류한다. 소정의 수지량이 저류된 후에 링형상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을 수평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눌러내린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압출 헤드(10)의 다이 슬릿으로부터 압출속도 700 ㎏/h 이상으로 원통 형상의 발포 패리슨(11)(발포 수지)을 분할 금형(12) 사이로 압출한다.
다음으로 분할 금형(12)을 형체결하여 발포 패리슨(11)을 분할 금형(12) 사이에 끼워 넣고, 발포 패리슨(11) 내에 0.05~0.15 ㎫의 범위에서 에어(압력 유체)를 불어 넣어 도 1에 나타내는 공조 덕트(1)를 형성한다. 또한 분할 금형(12) 사이에 끼워 넣어 발포 패리슨(11)을 잘라낸 부분이 파팅 라인(PL)이 된다.
공조 덕트(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조부(2) 및 연결부(21)는 도 5에 나타내는 분할 금형(12)의 캐비티에 설치된 홈(12a)에서 형성되게 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포 패리슨(11) 내에 압력 유체를 불어 넣은 후에 발포 패리슨(11)을 분할 금형(12) 측으로부터 흡인(진공 흡인)하여, 발포 패리슨(11)을 홈(12a)을 따른 형상으로 성형해서 돌조부(2) 및 연결부(21)를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는 성형 후의 공조 덕트(1)의 발포 배율이 1.5배 이상이 되는 조건에서 성형함으로써, 분할 금형(12)을 따라 공조 덕트(1)의 외주면 측이 변형되는 영향을 공조 덕트(1)의 내주면 측이 받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공조 덕트(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홈(3)의 깊이를 보다 얕게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발포 배율이 1.5배 이상이면 공조 덕트(1)를 경량화할 수 있어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공조 덕트(1)의 평균 기포 직경이 200 ㎛를 초과하는 조건에서 성형한 경우는 기포가 저항이 되어 발포 수지가 분할 금형(12)의 홈(12a)에 들어 가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공조 덕트(1)의 평균 기포 직경이 200 ㎛ 이하가 되는 조건이 바람직하고, 특히 100 ㎛ 이하가 되는 조건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분할 금형(12) 홈(12a)의 내면에 블라스트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성형시에 있어서 홈(12a)의 내면과 발포 수지 사이에 끼이는 공기를 외부로 내보내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발포 수지를 홈(12a)에 들어가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분할 금형(12) 홈(12a)의 내면에 분할 금형(12)의 외부로 연통(連通)하는 연통 구멍을 개구시킨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구성의 경우는 성형시에 있어서 홈(12a)의 내면과 발포 패리슨(11) 사이에 끼이는 공기를 외부로 내보내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발포 패리슨(11)을 홈(12a)에 들어가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홈(12a)의 가장 깊은 위치에 분할 금형(12)의 외부로 연통하는 연통 구멍이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발포 패리슨(11)으로 개구가 폐색되기 어려워 보다 확실하게 공기를 외부로 내보낼 수 있다. 또한 분할 금형(12)의 홈(12a)을 따라 복수의 위치에서 연통 구멍이 개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돌조부(2) 및 연결부(21)의 전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의 작용·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의 돌조부(2)의 단부(20)끼리를 연결한 연결부(21)를 가지고 구성한다. 이에 의해 단부(20)에 있어서의 수지의 잡아 늘임 양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돌조부(2)의 단부(20)에 박육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로, 상기 실시형태에만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실시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공조 덕트(1)는 운전석 측 사이드 벤트용 공조 덕트를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는 조수석 측 사이드 벤트용 공조 덕트나 센터 벤트용 공조 덕트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디프로스터 취출구와 통풍 덕트의 취출구를 연통하는 공조 덕트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원통 형상의 발포 패리슨(11)을 사용하여 도 1에 나타내는 공조 덕트(1)를 성형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원통 형상의 발포 패리슨(11)이 아니라 2매의 시트 형상의 발포 수지 시트를 사용해도 전술한 실시형태의 공조 덕트(1)를 성형할 수 있다. 발포 수지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는 각각의 시트 두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공조 덕트(1) 벽부의 두께를 돌조부(2)의 형상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할 수 있다.
1 공조 덕트
2 돌조부(protrusion)
2A 제1 돌조부
2B 제2 돌조부
20 단부
21 연결부
3 홈
R 굴곡부
PL 파팅 라인
10 압출 헤드
11 발포 패리슨
12 분할 금형
12a 홈

Claims (4)

  1. 복수의 측면으로 구성된 덕트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조부(protrusion)를 상기 측면마다 가지며, 발포 수지로 형성된 공조 덕트로서,
    적어도 일부의 상기 돌조부의 단부끼리가, 그 돌조부가 설치된 측면 내이며, 벽부의 두께가 2 mm 이하이고 또한 블로우비가 0.4 이상이 되는 개소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덕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모든 상기 돌조부의 단부끼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덕트.
KR1020147026860A 2012-04-25 2013-03-21 공조 덕트 KR101607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99743 2012-04-25
JP2012099743A JP6253874B2 (ja) 2012-04-25 2012-04-25 空調ダクト
PCT/JP2013/058092 WO2013161460A1 (ja) 2012-04-25 2013-03-21 空調ダク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907A KR20140127907A (ko) 2014-11-04
KR101607800B1 true KR101607800B1 (ko) 2016-03-30

Family

ID=4948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860A KR101607800B1 (ko) 2012-04-25 2013-03-21 공조 덕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53874B2 (ko)
KR (1) KR101607800B1 (ko)
WO (1) WO201316146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160A (ja) * 2000-01-19 2001-07-27 Inoac Corp リブ付きダ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93517A (ja) 2009-09-30 2011-05-12 Kyoraku Co Ltd 空調ダクトの製造方法、及び空調ダクト
JP2011116120A (ja) * 2009-10-31 2011-06-16 Kyoraku Co Ltd 発泡成形体の成形方法及び発泡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0214U (ko) * 1980-11-21 1982-06-03
JPH07257149A (ja) * 1994-03-23 1995-10-09 Toyota Motor Corp 車両用空調ダクト構造
JP2001241744A (ja) * 2000-03-01 2001-09-07 Tamura Kantou:Kk リブダクト及びその製法
JP2011156944A (ja) * 2010-01-29 2011-08-18 Toyota Motor Corp 車両用空調ダクト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160A (ja) * 2000-01-19 2001-07-27 Inoac Corp リブ付きダ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93517A (ja) 2009-09-30 2011-05-12 Kyoraku Co Ltd 空調ダクトの製造方法、及び空調ダクト
JP2011116120A (ja) * 2009-10-31 2011-06-16 Kyoraku Co Ltd 発泡成形体の成形方法及び発泡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907A (ko) 2014-11-04
JP2013226906A (ja) 2013-11-07
WO2013161460A1 (ja) 2013-10-31
JP6253874B2 (ja)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440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limate control duct, and climate control duct
JP6429009B2 (ja) ブロー成形方法及びブロー成形装置
CN103596744B (zh) 与风管一体化的架空地板材料的制造方法
JP5982870B2 (ja) 発泡ダクト
KR101607800B1 (ko) 공조 덕트
JP4842580B2 (ja) 熱可塑性樹脂中空発泡ブロー成形体
JP6667090B2 (ja) 管状体
JP6777853B2 (ja) 成形品の製造方法
US11241807B2 (en) Molded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JP2017080962A (ja) 二重構造体の製造方法
JP6795761B2 (ja) 構造体
KR20130098912A (ko) 발포 덕트
JP4776879B2 (ja) 発泡ダクトの成形方法
JP6202603B2 (ja) 空調用ダクト
JP6152621B2 (ja) 車両用ダクトおよび車両用ダクトの製造方法
JP3161748U (ja) 衝撃吸収体
JP6217364B2 (ja) ダクト
JP2006069426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メンバ及びその製造方法
JP6194083B2 (ja) 発泡ダクト
JP6643698B2 (ja) 樹脂部品の製造方法
JP2013099883A (ja) 発泡成形体の成形方法及び発泡成形体
JP2019060523A (ja) 発泡ダクト及びその成形方法
JP2020179585A (ja) 成形体
JP2014108580A (ja) ブロー成形金型、ブロー成形方法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8179357A (ja) 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