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687B1 - 측방 출사 장치 - Google Patents

측방 출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687B1
KR101607687B1 KR1020157024452A KR20157024452A KR101607687B1 KR 101607687 B1 KR101607687 B1 KR 101607687B1 KR 1020157024452 A KR1020157024452 A KR 1020157024452A KR 20157024452 A KR20157024452 A KR 20157024452A KR 101607687 B1 KR101607687 B1 KR 101607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sm
rod lens
fused
fac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9025A (ko
Inventor
나오후미 마루야마
토시아키 후쿠다
Original Assignee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9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08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t the end of the fib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62Optical details of coupling light into, or out of, or between fibre ends, e.g. special fibre end shapes or associated optic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1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for radial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using light-conductive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6Optical cohere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4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introduction into the body, e.g. by cath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4Optical coupling means utilising prism or grating

Abstract

로드 렌즈와 프리즘과의 융착부에서의 결합효율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외경을 극히 가늘게 할 수 있고, 또한, 빔웨이스트까지의 거리도 길게 할 수 있는 측방 출사 장치를 제공한다. 광파이버(2)와, 당해 광파이버의 단부면에 일단부를 융착한 로드 렌즈(3)와, 당해 로드 렌즈의 타단부에 융착한 프리즘(4)을 가지는 측방 출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이 원기둥형의 외주의 일부를 절결하여 축선에 평행한 평면 형상의 출사면(4c)을 형성한 기본 형상을 이루며, 상기 로드 렌즈와 상기 프리즘과의 융착부에 있어서, 상기 로드 렌즈의 융착 단부면의 외경이 상기 프리즘의 융착 단부면의 최소 직경 이하이며, 상기 로드 렌즈의 상기 융착 단부면이 상기 프리즘의 상기 융착 단부면으로부터 튀어나오지 않고, 상기 로드 렌즈의 상기 융착 단부면의 중심(O1)과 상기 프리즘의 상기 융착 단부면의 원호 중심(O2)이 편심되어 있다.

Description

측방 출사 장치{LATERAL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광파이버 내를 전파해 온 광을 광파이버의 광축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는 측방으로 출사(出射)하는 측방 출사 장치로, 특히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의 광프로브로서 이용하는 데에 적합한 것에 관한 것이다.
OCT는, 환자의 혈관, 장 등의 기관에 광프로브를 삽입하고, 그 선단부로부터 측방으로 낮은 코히어런스 광을 출사하고, 피검체 내부의 각 부위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을 사용하여 피검체 내부의 정밀한 단층 화상을 얻는 광코히어런스 단층 화상화법이며, 그 기본 기술은 일본 공고특허공보 평6-35946호(특허문헌 1)에 개시되고, 광프로브의 구체적 구성은 WO2011/074051호 국제 공개 공보(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보 제4659137호(특허문헌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8, 9는 특허문헌 2에 나타나 있는 종래의 측방 출사 장치(11)(광프로브)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광파이버(2)의 일단부에 로드 렌즈(3)를 융착하고, 그 로드 렌즈(3)의 선단부면에 단면이 각형인 프리즘(41)을 융착한 것으로,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프리즘(41)은 로드 렌즈(3)에 내접하고 있다. 또한, 부호 2a는 광파이버의 피복이다.
특허문헌 2의 측방 출사 장치는, 프리즘(41)이 로드 렌즈(3)에 내접하기 때문에, 측방 출사 장치의 외경이 극히 가늘게 이루어져, 매우 가는 혈관 등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특징을 가진다. 측방 출사 장치의 외경은 250㎛ 이하가 바람직하다고 여겨지고 있지만, 예를 들면, 직경 200미크론의 로드 렌즈를 사용한 경우, 측방 출사 장치의 외경은 200㎛로, 바람직한 것이 된다.
또, 이런 종류의 측방 출사 장치는 출사면으로부터 빔웨이스트까지의 거리(초점 거리)를 어느 정도 길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로드 렌즈(3)와 프리즘(41)의 융착부에 있어서의 빔 직경을 크게 함으로써 유리해지지만,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빔(5)이 프리즘(41)의 외측으로 새어나오면, 결합효율이 나빠져, 측방 출사 장치의 성능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10, 11의 측방 출사 장치(12)는, 광파이버(2)의 일단부에 로드 렌즈(3)를 융착하고, 그 로드 렌즈(3)의 선단부면에 단면이 각형인 프리즘(42)을 융착한 것으로, 프리즘(42)을 로드 렌즈(3)에 외접시킨 것이다(도 11).
이 경우에는 로드 렌즈(3)와 프리즘(42)의 융착부에 있어서, 빔이 프리즘(41)의 외측으로 새어나오지는 않지만, 프리즘(42)의 최대 직경(즉 측방 출사 장치의 외경)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로드 렌즈(3)의 외경(d)을 200㎛로 하면, 프리즘(42)의 최대 직경(D)은 282㎛가 되어, 250㎛를 초과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도 12~14는 광파이버(2)의 일단부에 프리즘 렌즈(43)를 융착한 측방 출사 장치(13)이다. 프리즘 렌즈(43)는 원형 단면의 GRIN 렌즈(Graded Index 렌즈)의 선단부면을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43a)으로 하고, 후단부면을 광파이버에 접속하는 접속면으로 한 것이다. 이 측방 출사 장치는 외경을 극히 가늘게 할 수 있어, 결합효율도 양호하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측방 출사 장치(13)는, 빔의 출사면이 곡면이기 때문에, 주위의 매질이 공기나 물 등 렌즈 외주부와 크게 다른 물질인 경우, 출사빔의 형상은 매우 찌그러진 타원 형상을 이루는, 이른바 라인 빔이 된다. 또, 빔웨이스트 거리가 매우 짧다고 하는 문제를 가진다.
도 15, 16은, 특허문헌 3에 나타나 있는 종래의 측방 출사 장치(14)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광파이버(2)와, 광파이버(2)의 단부면에 일단부를 융착한 로드 렌즈(3)와, 로드 렌즈(3)의 타단부에 융착한 프리즘(44)을 가지는 것이다. 프리즘(44)은 원기둥형의 외주의 일부를 절결하여 축선에 평행한 평면 형상의 출사면(44c)을 형성한 기본 형상을 이루며, 그 선단부를 비스듬하게 절결한 선단부 경사면(44a)을 가지고, 광파이버(2)로부터 프리즘 내로 입사된 광이 그 선단부 경사면(44a)에서 반사되어, 상기 출사면(44c)으로부터 출사된다. 로드 렌즈(3)와 프리즘(44)은 로드 렌즈(3)의 중심(O1)과 프리즘(44)의 원호 중심(O2)이 일치하도록 융착된다.
이 측방 출사 장치(14)는, 출사면(44a)이 평면 형상이기 때문에, 빔 형상이 대략 원형으로 됨과 아울러, 빔웨이스트까지의 거리를 도 15, 16의 경우에 비하여 길게 할 수 있다.
도 15, 16은 로드 렌즈(3)의 외경과 프리즘(44)의 최대 직경(원호의 직경)이 동일한 경우이다. 이 경우, 측방 출사 장치의 외경을 극히 가늘게 할 수 있지만,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로드 렌즈(3)와 프리즘(44)의 융착부에 있어서, 빔(5)이 프리즘(44)의 외측으로 새어나와, 결합효율이 나빠져, 측방 출사 장치의 성능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빔(5)이 프리즘(44)의 외측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로드 렌즈의 외경(d)을 프리즘(44)의 최대 직경(D)보다 상당히 크게 해야 한다. 예를 들면, 로드 렌즈의 외경(d)을 200㎛, 출사면(44c)의 폭(W)을 200㎛로 하면, 프리즘(44)의 최대 직경(D)은 282㎛가 되어, 250㎛를 초과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 경우도 로드 렌즈의 중심(O1)과 프리즘(44)의 원호 중심(O2)은 일치하고 있다.
일본 공고특허공보 평6-35946호 WO2011/074051호 국제 공개 공보 일본 특허공보 제4659137호
본 발명은, 로드 렌즈와 프리즘의 융착부에 있어서, 빔이 프리즘으로부터 새어나와 결합효율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경을 극히 가늘게(구체적으로는 250㎛ 이하로) 할 수 있고, 또한, 빔웨이스트까지의 거리도 길게(구체적으로는 3000미크론 이상으로) 할 수 있는 측방 출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은 광파이버와,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면에 일단부를 융착한 로드 렌즈와, 상기 로드 렌즈의 타단부에 융착한 프리즘을 가지고, 상기 프리즘이 원기둥형(圓柱形)의 외주의 일부를 절결하여 축선에 평행한 평면 형상의 출사면을 형성한 기본 형상을 이루며, 그 선단부를 비스듬하게 절결한 선단부 경사면을 가지고, 광파이버로부터 프리즘 내로 입사된 광이 상기 선단부 경사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측방 출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 렌즈와 프리즘의 융착부에 있어서, 로드 렌즈의 융착 단부면의 외경이 프리즘의 융착 단부면의 최소 직경 이하이며,
로드 렌즈의 융착 단부면이 프리즘의 융착 단부면으로부터 튀어나오지(protrude) 않고,
로드 렌즈의 융착 단부면의 중심과, 프리즘의 융착 단부면의 원호 중심이 편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출사 장치이다.
광파이버와 로드 렌즈, 로드 렌즈와 프리즘이 융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광로에 접착제층이 없어, 빔 품질의 편차, 박리에 의한 빔 품질의 열화, 프리즘의 탈락이 없다. 또, 종래 주지의 파이버 융착 장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로드 렌즈의 융착 단부면이 프리즘의 융착 단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오지 않기 때문에, 로드 렌즈와 프리즘의 융착부에 있어서, 빔이 프리즘의 외측으로 새어나와 결합효율이 나빠져, 측방 출사 장치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없다.
로드 렌즈의 융착 단부면의 중심과, 프리즘의 융착 단부면의 원호 중심이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프리즘의 최대 직경을 작게 할 수 있어, 프리즘 단면을 광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로서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프리즘의 최대 직경이 작아지는 것은 즉 측방 출사 장치의 외경이 작아지는 것이다.
광파이버는 대부분의 경우 단일 모드 파이버이지만, 편파(偏波) 유지 파이버, 멀티 모드 파이버, 더 나아가서는 이미지 전송용 번들 파이버여도 상관없다.
로드 렌즈는 융착하기 위하여 석영계 유리일 필요가 있으며, 코어가 굴절률 분포를 가지는 이른바 GI형 파이버나, 단면 전체가 굴절률 분포를 가지는 이른바 GRIN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로드 렌즈로서는, 일본 공개특허 2005-115097호공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다른 개구수를 가지는 2종의(또는 3종 이상의) GRIN 렌즈를 융착 접합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프리즘은 융착하기 위하여 석영계 유리일 필요가 있다. 프리즘은 원기둥의 외주의 일부를 절결하여 축선에 평행한 평면 형상의 출사면을 형성한 기본 형상(이른바 반원형
Figure 112015087097517-pct00001
(hog-backed)을 가지므로, 이것과 유사한 단면 형상의 연마된 모재(원기둥형 모재의 외주의 일부를 평면 형상으로 연마한 것)를 연신(파이버화)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 가늘고 긴 파이버 상태로 로드 렌즈에 용이하게 융착할 수 있다.
프리즘의 선단부 경사면의 출사면에 대한 경사 각도(도 3의 θ)는 통상 45°이고, 그 경우 광은 축선에 대하여 90°의 각도로 측방으로 출사된다. 선단부 경사면의 경사 각도(θ)를 변경함으로써, 광의 출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도 1). 선단부 경사면에는, 필요에 따라 미러 코트(Au 코트 등), 하프 미러 코트(유전 다층막 코트 등) 등의 코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리즘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석영계 유리로 이루어지는 원기둥형의 렌즈 모재를 제조한다. 이 렌즈 모재는 주지의 방법(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2005-115097호공보)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렌즈 모재의 외주의 일부를 연마하여, 축선에 평행한 평면의 연마면을 가지는 연마된 모재를 형성한다. 이 연마도 통상의 연마 장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연마된 렌즈 모재를 연신하여 프리즘 렌즈용 파이버를 형성한다. 연마된 렌즈 모재의 연신은 광파이버나 GRIN 렌즈를 연신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삭제
또 본 발명은 상기 로드 렌즈의 융착 단부면의 외경이 상기 프리즘의 융착 단부면의 최소 직경과 동일한 측방 출사 장치이다.
프리즘의 최소 직경은, 도 4의 D-L이다. 또한, D는 프리즘의 최대 직경(절결 전의 원기둥형의 직경), L은 절결량이다. 로드 렌즈의 융착 단부면의 외경을 프리즘의 융착 단부면의 최소 직경과 동일하게 함으로써(도 4), 프리즘 단면을 광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로서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삭제
또 본 발명은 상기 프리즘의 최대 직경이 광파이버 직경의 2배 이하인 측방 출사 장치이다.
프리즘의 최대 직경을 광파이버 직경의 2배 이하로 하면, 광파이버와 로드 렌즈의 외경이 근사하여, 융착 시의 표면장력에 의한 자기배열 효과에 의해 로드 렌즈와 광파이버의 축이 자동적으로 일치하므로, 광파이버와 로드 렌즈의 결합 손실이 극히 적어진다. 광파이버의 외경이 125㎛인 경우, 로드 렌즈의 외경은 124㎛~200㎛가 적당하다. 프리즘의 최대 직경은 250㎛ 이하가 적당하다.
삭제
또 본 발명은 상기 프리즘의 최선단부가 모따기 가공되어 있는 측방 출사 장치이다.
프리즘 최선단부를 모따기 가공함으로써, 측방 출사 장치를 시스로 씌우지 않고 직접 피검체 내부에 삽입했을 때에, 피검체가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모따기 가공은, 예를 들면, 프리즘 최선단부를 방전 가공이나 레이저 가공 등으로 곡면 형상으로 매끄럽게 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측방 출사 장치는, 로드 렌즈의 융착 단부면이 프리즘의 융착 단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오지 않기 때문에, 로드 렌즈와 프리즘의 융착부에 있어서, 빔이 프리즘의 외측으로 새어나와 결합효율이 나빠져, 측방 출사 장치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없다.
로드 렌즈의 융착 단부면의 중심과, 프리즘의 융착 단부면의 원호 중심이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프리즘의 최대 직경, 즉 측방 출사 장치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어, 프리즘 단면을 광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로서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측방 출사 장치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접착제층에 기인하는 빔 품질의 편차가 없어진다.
광파이버와 로드 렌즈, 로드 렌즈와 프리즘이 융착에 의해 일체적으로 접합되기 때문에, 접합부의 접착이 박리되어 빔 품질이 열화될 우려가 없으며, 프리즘이나 로드 렌즈가 탈락하여 피검체 내에 잔류할 우려도 없어져, 시스로 씌울 필요가 없다.
도 1은 실시형태의 측방 출사 장치(1)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프리즘(4)의 측면도(좌측) 및 정면도(우측)이다.
도 4는 융착부에 있어서의 로드 렌즈(3)와 프리즘(4)의 위치관계 설명도이다.
도 5는 융착부에 있어서의 로드 렌즈(3)와 프리즘(4)의 위치관계 설명도이다.
도 6은 프리즘(4)의 단면 형상의 설명도이다.
도 7은 프리즘(4)의 절결량(L)과 출사면 폭(W), 최소 직경(D-L)의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측방 출사 장치(11)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측방 출사 장치(11)의 융착부에 있어서의 로드 렌즈(3)와 프리즘(41)의 위치관계 설명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측방 출사 장치(12)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측방 출사 장치(12)의 융착부에 있어서의 로드 렌즈(3)와 프리즘(42)의 위치관계 설명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측방 출사 장치(13)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프리즘 렌즈(43)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측방 출사 장치(13)의 출사빔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측방 출사 장치(14)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측방 출사 장치(14)의 융착부에 있어서의 로드 렌즈(3)와 프리즘(44)의 위치관계 설명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측방 출사 장치(비교예)에 있어서의 로드 렌즈(3)와 프리즘(44)의 위치관계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측방 출사 장치(1)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프리즘(4)의 측면도(좌측) 및 정면도(우측)이다.
측방 출사 장치(1)는 광파이버(2), 로드 렌즈(3), 프리즘(4)으로 이루어진다.
광파이버(2)는 외경 125㎛의 단일 모드 광파이버이고, 선단부의 피복(2a)을 제거하고, 그 선단부면에 로드 렌즈(3)를 융착하고 있다.
로드 렌즈(3)는 석영계의 유리로 이루어지는 외경 200㎛, 개구수 NA=1.53의 GRIN 렌즈이며, 융착 시의 자기배열 효과에 의하여, 광파이버(2)와 로드 렌즈(3)의 축심은 자동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프리즘(4)은 석영 유리이고, 직경 250㎛의 원기둥의 외주의 일부를 50㎛ 절결하여, 최소 직경이 200㎛가 되도록 남기고, 축선에 평행한 평면 형상의 출사면(4c)(출사면의 폭 200㎛)을 형성한 기본 형상을 가진다.(도 4)
프리즘(4)은 직경 5~7mm 정도의 원기둥형 석영 유리의 모재의 외주의 일부를 도 3 우측의 단면 형상이 되도록 연마하여 연마된 모재를 작성하고, 이것을 약 1900℃의 온도에서 연신한 프리즘용 파이버를 절단하여, 경사 각도 θ로 경사 연마하여 선단부 경사면(4a)을 형성하고, 그 후 방전 가공에 의해 최선단부(4b)에 모따기를 실시하며, 또한 선단부 경사면(4a)에 Au 코트를 행한 것이다.
연마된 모재의 연마면은 모재의 축심과 평행한 평면으로 되어 있다.
광파이버를 연신하는 경우의 온도는 통상 2000℃이지만, 프리즘용 파이버를 연신할 때에는, 이것보다 낮은 1900℃ 정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가 높으면 연신한 프리즘용 파이버의 출사면(4c)이 둥그스름해질 우려가 있다. 연신 온도를 1900℃ 정도로 하면, 출사면(4c)의 곡률은 극히 작아져, 실질적으로 평면이 되어 실용상 문제없다.
측방 출사 장치(1)의 수중(水中)에 있어서의 출사빔의 빔웨이스트 거리 및 빔웨이스트 직경을 측정한 결과, 빔웨이스트 거리는 4665㎛, 빔웨이스트 직경은 83.2㎛로, 양호한 결과였다.
측방 출사 장치(1)의 융착부에 있어서의 로드 렌즈(3)와 프리즘(4)의 위치관계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로드 렌즈(3)의 외경(d)=200㎛, 프리즘(4)의 최대 직경(D)=250㎛에서 절결량(L)=50㎛ 절결하여 최소 직경(D-L)=200㎛로 하고, 출사면(4c)의 폭(W)=200㎛로 되어 있다.
따라서, 로드 렌즈(3)의 융착 단부면의 외경(d)이 프리즘(4)의 융착 단부면의 최소 직경(D-L)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로드 렌즈(3)의 중심(O1)과 프리즘(4)의 원호 중심(절결 전의 원의 중심)(O2)은 25㎛ 편심되어 있으며, 로드 렌즈(3)는 프리즘(4)에 내접하고 있다.
도 17은 로드 렌즈(3)의 중심(O1)과 프리즘(4)의 원호 중심(O2)이 편심되지 않고 중첩되어 있는 비교예이다. 로드 렌즈(3)의 직경(d)=200㎛, 출사면(44c)의 폭(W)=200㎛로, 모두 도 4의 실시형태와 동일하지만, 프리즘(4)의 최대 직경(D)=282㎛로, 실시형태의 D=250㎛보다 32㎛ 크게 되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도 4의 측방 출사 장치에 있어서, 출사면(4c)에 있어서의 빔 직경을 측정한 결과, 로드 렌즈의 개구수 NA=1.53의 경우는 142㎛였다. 또, 개구수 NA=1.61의 로드 렌즈를 이용한 경우는 135㎛였다.
도 5는, 프리즘(4)은 도 4와 완전히 동일하며, 외경(d)=180㎛의 로드 렌즈를 사용한 경우의, 융착부에 있어서의 로드 렌즈(3)와 프리즘(4)의 위치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로드 렌즈(3)의 중심(O1)과 프리즘(4)의 원호 중심(절결 전의 원의 중심)(O2)은 25㎛ 편심되어 있으며, 로드 렌즈(3)는 프리즘(4)으로부터 튀어나오지 않고, 내측에 들어가 있다.
도 5의 측방 출사 장치에 있어서, 출사면(4c)에 있어서의 빔 직경을 측정한 결과, 로드 렌즈의 개구수 NA=1.53의 경우는 129㎛였다. 또, 개구수 NA=1.61의 로드 렌즈를 이용한 경우는 122㎛였다.
도 6은 프리즘(4)의 단면 형상의 설명도이다. 그 기본 형상은 직경(D)의 원형이고, 외주의 일부를 두께(L)의 활 모양(弓形)으로 절결하여, 폭(W)의 평면 형상 출사면(4c)을 형성하고 있다.
도 7은, D=250㎛의 경우의, 절결량(L)과, 출사면 폭(W) 및 최소 직경(D-L)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절결량(L)=50㎛의 경우, 출사면 폭(W)=200㎛, 최소 직경(D-L)=200㎛가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측방 출사 장치는, OCT의 광프로브로서 이용되는 것 외에, 레이저 다이오드와 단일 모드 파이버의 결합 등 광통신용 광파이버 모듈, 거리·변위 센서용 광프로브, 내시경용 광프로브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1 측방 출사 장치
11 측방 출사 장치
12 측방 출사 장치
13 측방 출사 장치
14 측방 출사 장치
2 광파이버
2a 피복
3 로드 렌즈
4 프리즘
4a 선단부 경사면
4b 최선단부
4c 출사면
41 프리즘
42 프리즘
43 프리즘 렌즈
44 프리즘
5 빔

Claims (8)

  1. 광파이버와, 상기 광파이버의 단부면에 일단부를 융착한 로드 렌즈와, 상기 로드 렌즈의 타단부에 융착한 프리즘을 가지고, 상기 프리즘이 원기둥형의 외주의 일부를 절결하여 축선에 평행한 평면 형상의 출사면을 형성한 기본 형상을 이루며, 그 선단부를 비스듬하게 절결한 선단부 경사면을 가지고, 광파이버로부터 프리즘 내로 입사된 광이 상기 선단부 경사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측방 출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 렌즈와 프리즘의 융착부에 있어서, 로드 렌즈의 융착 단부면의 외경이 프리즘의 융착 단부면의 최소 직경 이하이며,
    로드 렌즈의 융착 단부면이 프리즘의 융착 단부면으로부터 튀어나오지 않고,
    로드 렌즈의 융착 단부면의 중심과, 프리즘의 융착 단부면의 원호부의 중심이 편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출사 장치.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렌즈의 융착 단부면의 외경이 상기 프리즘의 융착 단부면의 최소 직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출사 장치.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의 최대 직경이 광파이버 직경의 2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출사 장치.
  4.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의 최선단부가 모따기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출사 장치.
  5. 청구항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의 최대 직경이 광파이버 직경의 2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출사 장치.
  6. 청구항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의 최선단부가 모따기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출사 장치.
  7. 청구항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의 최선단부가 모따기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출사 장치.
  8. 청구항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의 최선단부가 모따기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출사 장치.
KR1020157024452A 2013-03-27 2013-03-27 측방 출사 장치 KR101607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59100 WO2014155584A1 (ja) 2013-03-27 2013-03-27 側方出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025A KR20150119025A (ko) 2015-10-23
KR101607687B1 true KR101607687B1 (ko) 2016-03-30

Family

ID=50036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4452A KR101607687B1 (ko) 2013-03-27 2013-03-27 측방 출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83495B2 (ko)
EP (1) EP2963467B1 (ko)
JP (1) JP5387934B1 (ko)
KR (1) KR101607687B1 (ko)
CN (1) CN105051583B (ko)
WO (1) WO20141555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2612B4 (de) * 2014-02-13 2017-08-17 Olympus Winter & Ibe Gmbh Prismenhalteranordnung und Endoskop mit variabler Blickrichtung
US10631733B2 (en) * 2017-03-13 2020-04-28 Go!Foton Holdings, Inc. Lens combination for an optical probe and assembly thereof
CN108852285B (zh) * 2018-04-16 2020-10-23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基于频域oct的微血管造影方法
WO2021153109A1 (ja) * 2020-01-31 2021-08-05 株式会社フジクラ レーザプローブ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0465A (ja) 1999-03-29 2002-11-26 シメッド ライフ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単一モード光ファイバーカップリングシステム
WO2011074051A1 (ja) 2009-12-14 2011-06-23 東洋ガラス株式会社 側方出射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108087A1 (ja) * 2010-03-03 2011-09-09 東洋ガラス株式会社 側方出射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946B2 (ja) 1990-11-06 1994-05-11 直弘 丹野 光波反射像測定装置
JPH0635946A (ja) 1992-07-15 1994-02-10 Omron Corp 自動取引機
JP3787107B2 (ja) 2002-05-20 2006-06-21 ホシデン株式会社 双方向光通信用光学部品及び光送受信器
JP4037346B2 (ja) 2003-10-08 2008-01-23 東洋ガラス株式会社 光ファイバ結合部品
JPWO2008081653A1 (ja) * 2006-12-28 2010-04-30 テルモ株式会社 光プローブ
CN101032388A (zh) 2007-04-13 2007-09-12 清华大学 一种光学相干层析内窥成像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0465A (ja) 1999-03-29 2002-11-26 シメッド ライフ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単一モード光ファイバーカップリングシステム
WO2011074051A1 (ja) 2009-12-14 2011-06-23 東洋ガラス株式会社 側方出射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108087A1 (ja) * 2010-03-03 2011-09-09 東洋ガラス株式会社 側方出射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51583B (zh) 2016-10-26
JPWO2014155584A1 (ja) 2017-02-16
JP5387934B1 (ja) 2014-01-15
KR20150119025A (ko) 2015-10-23
EP2963467A1 (en) 2016-01-06
WO2014155584A1 (ja) 2014-10-02
EP2963467A4 (en) 2016-03-23
US9383495B2 (en) 2016-07-05
US20160018581A1 (en) 2016-01-21
EP2963467B1 (en) 2017-02-22
CN105051583A (zh)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9137B1 (ja) 側方出射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187915B2 (ja) 側方出射装置の製造方法
KR101607687B1 (ko) 측방 출사 장치
US9086538B2 (en) Method for fusion splicing optical fibers
US20140153864A1 (en) Low cost extended depth of field optical probes
WO2016205576A1 (en) Beam-shaping elements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probes
EP3130951B1 (en) Optical fiber assembly, optical coupling device, and optical fiber coupling device
US9122009B1 (en) Fiber optic termination
US20200310103A1 (en) Optical endoscope
US20120238821A1 (en) Optical connector and endoscope system
JP2001021751A (ja) 光分岐・結合器
JP2003322755A (ja) 光ファイバコリメータ
JP2003195098A (ja) 光結合器及びその調芯方法
JP2018031917A (ja) 光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31128A (ja) ファイバ形光結合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300893A (ja) 光ファイバコリメ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87172A (ja) 先球光ファイバ、コリメ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