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557B1 - 승화 전사법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승화 전사법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557B1
KR101607557B1 KR1020140063747A KR20140063747A KR101607557B1 KR 101607557 B1 KR101607557 B1 KR 101607557B1 KR 1020140063747 A KR1020140063747 A KR 1020140063747A KR 20140063747 A KR20140063747 A KR 20140063747A KR 101607557 B1 KR101607557 B1 KR 101607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ubstrate
ribbon
layer
glass
sublimation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6356A (ko
Inventor
강주성
Original Assignee
(주)넥스디스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스디스플레이 filed Critical (주)넥스디스플레이
Priority to KR1020140063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557B1/ko
Publication of KR20150136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2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 B41M5/03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by sublimation or volatilisation of pre-printed design, e.g. subl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4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glass or ceramic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리본시트의 일 면 상에 한 개 이상의 승화전사잉크 인쇄층으로 구성된 패턴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승화전사용 리본을 만드는 리본형성단계 및 상기 리본의 패턴영역을 유리기판의 일 면에 열-가압함으로써, 상기 유리기판의 일 면 상에 패턴영역을 승화전사하는 승화전사단계를 포함하는, 유리기판 상의 패턴 인쇄방법을 공개한다.

Description

승화 전사법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 방법{Method for fabricating mobile device case using thermal transfer printing}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인쇄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곡면형 유리로 만들어진 휴대폰 케이스에 인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전원제공부, 데이터 처리부, 백라이트 유닛, 화면 표시부, 통신부, 및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케이스는 휴대폰의 내부에 존재하는 전기장치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화면 표시부를 곡면형으로 제공하는 기술들이 공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스도 곡면형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케이스 중 화면 표시부를 덮고 있는 부분은 사용자가 화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그 나머지 부분은 반드시 투명한 재질이 아니어도 무방하며 다양한 심미감을 주기 위하여 여러 가지 패턴의 색이나 모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나머지 부분들은 금속성 재질 또는 불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컬러층이 형성된 유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케이스가 유리로 이루어진 경우 곡면형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곡면형(실린더 형 곡면)의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케이스 중 유리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의 표면에 컬러층 또는 패턴층을 형성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스크린 인쇄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스크린 인쇄 공정에서는, 인쇄되어야 하는 대상체인 유리의 표면 위에 원하는 이미지(image)대로 스텐실을 만들어서 배치하고 그 위에 잉크를 묻힘으로써, 구멍이 난 스텐실 부분에만 잉크가 묻도록 되어 있다. 이때, 인쇄 대상 유리의 인쇄면이 평판인 경우에는, 인쇄면 전체에 걸쳐 스텐실을 밀착시키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정교하게 인쇄할 수 있다. 그러나 인쇄 대상 유리의 인쇄면이 곡면인 경우에는, 인쇄면 전체에 걸쳐 스텐실을 정교하게 밀착시키기 어려우며, 그 결과 인쇄면과 스텐실 사이에 형성된 원하지 않는 틈에 잉크가 번져서 정교하게 인쇄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곡면형 유리 케이스에 원하는 패턴을 정교하게 인쇄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는 우선 리본시트(ribbon sheet) 상에 열전사용 잉크(ink for thermal transfer)를 원하는 모양으로 코팅한 후, 상기 리본시트의 열전사용 잉크 코팅면을 곡면형 유리의 인쇄면에 접촉시킨 후 상기 리본시트에 열과 압력을 가하면 상기 인쇄면에 열전사용 잉크가 전사된다. 이때, 고온의 롤러로 리본시트를 상기 인쇄면에 대하여 압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 후 곡면형 유리 케이스를 냉각하면 열전사용 잉크가 반영구적으로 인쇄면에 달라붙는다. 스크린 인쇄와 달리 열전사용 잉크는 열을 가해야만 유동성이 생기기 때문에 리본시트와 유리의 인쇄면 사이에 틈이 존재하더라도, 원하지 않는 부분에 잉크가 묻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유리기판 상의 패턴 인쇄방법은, 리본시트의 일 면 상에 한 개 이상의 승화전사잉크 인쇄층으로 구성된 패턴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승화전사용 리본을 만드는 리본형성단계; 및 상기 리본의 패턴영역을 유리기판의 일 면에 열-가압함으로써, 상기 유리기판의 일 면 상에 패턴영역을 승화전사하는 승화전사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리기판의 일 면은 실린더 형 곡면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본형성단계는, 상기 리본시트의 일 면 상에 형성된 상기 한 개 이상의 승화전사잉크 인쇄층 상에 바인더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화전사단계는, 상기 유리기판의 타 면 상에 상기 유리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그를 접촉하는 단계; 및 상기 리본시트의 타 면 상에서, 열가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리본을 상기 유리기판에 대하여 열-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그는, 상기 지그와 상기 유리기판의 타 면이 서로 접촉하는 영역이 상기 리본에 형성된 상기 패턴영역이 차지하는 영역과 서로 대응하도록 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본형성단계는, 상기 리본시트의 일 면 상에 형성된 상기 한 개 이상의 승화전사잉크 인쇄층 상에 호일층을 배치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호일층 상에 바인더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유리 케이스는, 유리기판; 상기 유리기판의 일 면 상에 형성된 바인더층; 및 상기 바인더층 상에 형성된 복수 개의 승화전사잉크 인쇄층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리기판의 상기 일 면은 실린더 형 곡면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승화전사잉크 인쇄층은 상기 유리기판으로부터 더 멀어질수록 더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인더층은 상기 복수 개의 승화전사잉크 인쇄층에 포함된 안료와 동일한 종류의 안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인더층과 상기 복수 개의 승화전사잉크 인쇄층 사이에 호일층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인더층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휴대폰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곡면형의 유리 케이스의 정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하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에서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불투명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유리 케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b에 나타낸 리본의 각 부분의 층상 구조를 더 자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b에 나타낸 리본시트에 제1 패턴영역을 형성하는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b에 나타낸 리본시트에 제3 패턴영역을 형성하는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유리 케이스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비교 실시예에 따른 유리 케이스의 제종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휴대폰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휴대폰(100)의 내부에는 휴대폰(100)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회로 및 장치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휴대폰(100)의 외관은 곡면형의 유리 케이스(1) 및 그 외의 케이스(95)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에서 곡면형의 유리 케이스(1)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곡면형의 유리 케이스(1)의 정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하측면도이다.
유리 케이스(1)는 휴대폰(100)의 표시부에서 방출하는 가시광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된 투명창(19)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창(19) 이외의 영역에는 무채색, 유채색, 또는 이러한 각종 색상 및 패턴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의 (a)에서는 패턴영역(11, 12, 13, 20)이 서로 다른 시각적 표현형상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제1 패턴영역(11)은 검은색, 제2 패턴영역(12)은 갈색, 제3 패턴영역(13)은 적갈색으로 표현될 수 있고, 제3 패턴영역에 포함된 호일층(20)은 금색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2의 (b)는 도 2의 (a)를 아래에서 바라본 그림으로써, 유리 케이스(1)가 실린더 형 곡면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에서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유리 케이스(1)는 유리기판(10) 및 유리기판(10)의 두 면 중 관찰자 측의 반대측 면에 형성된 불투명 패턴(11, 12, 13, 20) 층 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도 3의 유리 케이스(1)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불투명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유리 케이스(1)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유리 케이스(1)의 일 면에 불투명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불투명 패턴영역이 형성된 리본(71)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리본(71)은 리본시트(70) 및, 리본시트(70)의 일 면에 형성되어 있는 불투명 패턴(11, 12, 13, 20) 층들로 구성될 수 있다. 불투명 패턴(11, 12, 13, 20)은 모두 서로 다른 광투과성 및/또는 광반사성을 가지고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보았을 때에 서로 구분되는 영역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리본(71)을 A-A'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b에서, 불투명 패턴(11, 12, 13)은 열에 의해 녹을 수 있는 잉크, 예컨대 왁스 기반의 잉크(wax-based ink)를 여러 층으로 반복하여 인쇄함으로써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c는 도 4a에 나타낸 리본(71)의 일 면에 형성되어 있는 불투명 패턴 층들을 유리기판(10)의 하측면 상으로 전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유리기판(10)을 지그(20) 위에 고정한다. 그 다음, 리본(71)의 양 면 중 불투명 패턴 층들이 형성된 면을 유리기판(10)에 인접시킨다. 그 다음, 예컨대 롤러와 같은 열가압부재(63)를 이용하여 리본(71)을 유리기판(10)에 대하여 가압한다. 이때 열가압부재(63)로서 상술한 롤러를 사용하는 경우, 롤러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유리기판(10)의 전체 면에 대하여 리본(71)을 압착시킬 수 있다.
열가압부재(63)는 리본(71)에 형성된 잉크에 열을 가하기 위한 열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열가압부재(63)는 리본(71)을 유리기판(10)에 대하여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잉크를 열전사하여 유리기판(10)의 하측면에 인쇄할 수 있다.
그리고 지그(20)에는 유리기판(10)의 상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면(66)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접촉면(66)을 제외한 다른 부분(67)은 유리기판(10)의 상측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지그(20)의 접촉면(66)은, 리본(71) 중 불투명 패턴이 층이 형성된 패턴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접촉면(66)을 리본(71)의 불투명 패턴 층 패턴영역(11, 12, 13, 20)에만 대응하여 제공함으로써, 열가압부재(63)가 제공하는 압력을 불투명 패턴 층이 차지하는 패턴영역(11, 12, 13, 20)에만 집중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접촉면(66)은 지그(20)의 일 측에서 돌출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4d는 열가압부재(70)가 리본(71)을 유리기판(10)의 하측면의 전 영역에 걸쳐서 열압착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e는 리본시트(70) 및 지그(20)를 불투명 패턴 층이 인쇄된 유리기판(10)으로부터 제거한 후의 유리 케이스(1)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유리 케이스(1)에는 리본시트(70)에 해당하는 층이 제거된 상태이기 때문에 유리 케이스(1)의 두께가 더 얇게될 수 있다.
도 5는 도 4b에 나타낸 리본(71)의 각 부분의 층상 구조를 더 자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 (b), (c)는 각각, 도 4b의 A1, A2, A3 부분을 더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제1 패턴영역(11)은, 제1 인쇄층(111), 제2 인쇄층(112), 제3 인쇄층(113), 및 제4 인쇄층(114), 및 바인더층(5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인쇄층(111), 제2 인쇄층(112), 제3 인쇄층(113), 및 제4 인쇄층(114)은 모두 동일한 안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각 인쇄층(111, 112, 113, 114)는 매우 얇기 때문에 각각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경우 사람이 특정 색으로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4개의 인쇄층(111, 112, 113, 114)이 서로 같은 위치에 반복하여 인쇄되면 사람이 그 색상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인쇄층(111, 112, 113, 114)을 덮는 바인더층(510)을 인쇄할 수 있다.
이때, 바인더층(510)은 4개의 인쇄층(111, 112, 113, 114)과 동일한 안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면 4개의 인쇄층(111, 112, 113, 114)이 표현하는 색상을 더 강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바인더층(510)은 투명한 층일 수도 있다.
제2 패턴영역(12)은, 제1 인쇄층(121), 제2 인쇄층(122), 제3 인쇄층(123), 및 제4 인쇄층(124), 및 바인더층(5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패턴영역(12)은 제1 패턴영역(11)과는 다른 색을 나타내는 안료로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 패턴영역(11)과 동일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제3 패턴영역(13)은, 제1 인쇄층(131), 제2 인쇄층(132), 제3 인쇄층(133), 제4 인쇄층(134), 호일층(foil layer)(20) 및 바인더층(6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패턴영역(13)에서는 한 개 이상의 인쇄층 위에 호일층(20)이 제공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는 도 5의 (c)에 도시한 것과 달리, 인쇄층 없이 호일층(20)이 직접 리본시트(70) 상에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호일층(20)은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제공되는 유동성 없는 얇은 시트 형상의 층일 수 있다. 예컨대 금박 또는 은박일 수 있다.
제3 패턴영역(13)에 포함된 호일층(20)이 사용자에게 인식되기 위해서는 바인더(610)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특징을 가져야 할 수 있다. 또는 그렇지 않더라도, 바인더(610)가 광학적으로 완전히 투명하지 않고, 미리 결정된 종류의 안료를 미리 결정된 양만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호일층(20)의 광학특성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독특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b에서는 제3 패턴영역(13)이 제공되었으나, 제3 패턴영역(13)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b에 나타낸 리본시트(70)에 제1 패턴영역(11)을 형성하는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단계(S11)에서 리본시트(70)를 제공하고, 단계(S12)에서 리본시트(70) 상에 제1 인쇄층(111)을 인쇄하고, 단계(S13)에서 제1 인쇄층(111) 상에 제2 인쇄층(112)를 인쇄하고, 단계(S14)에서 제2 인쇄층(112) 상에 제3 인쇄층(113)을 인쇄하고, 단계(S15)에서 제3 인쇄층(113) 상에 제4 인쇄층(114)을 인쇄하고, 단계(S16)에서 4개의 인쇄층(111, 112, 113, 114)을 덮도록 바인더층(510)을 인쇄할 수 있다.
이때, 리본시트(70)에 더 가까운 인쇄층일수록 더 넓게 인쇄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리본시트(70)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인쇄층의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안료가 리본시트(70) 상으로 흘러내릴 수 있기 때문에 정밀하게 인쇄가 불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b에 나타낸 리본시트(70)에 제3 패턴영역(13)을 형성하는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리본시트(70) 상에 제1 인쇄층(131), 제2 인쇄층(132), 제3 인쇄층(133), 및 제4 인쇄층(134)을 차례대로 인쇄할 수 있다(단계 S21~S24). 그 다음, 제4 인쇄층(134) 상에 호일층(foil layer)(20)을 배치할 수 있다(단계 S25). 그 다음, 단계(S26)에서 4개의 인쇄층(131, 132, 133, 134) 및 호일층(20)을 덮도록 바인더층(610)을 제공한다. 바인더층(610)은 투명 또는 일부 불투명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는 각 패턴영역이 4개의 인쇄층이 결합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1개 내지 임의의 N개의 인쇄층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각 패턴영역이 모두 동일한 개수의 인쇄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서로 다른 패턴영역은 서로 다른 개수의 인쇄층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유리 케이스(1)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특히 도 4b에 나타낸 영역(A1)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패턴영역(ex: 11)을 형성하는 두 개 이상의 인쇄층(ex: 111 ~114)은, 유리기판(10)과 패턴영역 사이의 인터페이스(88)을 기준으로, 유리기판(10) 바깥쪽 방향(D)으로 더 멀어질수록 더 넓은 폭을 차지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4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케이스(1)의 제조 공정상 발생하는 독특한 구조이다.
도 9는 비교 실시예에 따른 유리 케이스(101)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필름(170)의 일측면 상에 각종 패턴영역들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투명필름(170)의 타측면을 유리기판(10)에 접착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도 9의 (b)와 같은 단면을 갖는 유리 케이스(101)를 생산할 수 있다.
이때, 도 9의 (b)를 살펴보면, 도 8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케이스(1)의 단면과 비교하여 볼 때에, 필름(170)의 두께만큼 유리 케이스(101)의 두께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라 형성된 유리 케이스(1)가 더 얇게 제공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9의 (b)에 따르면, 특정 패턴영역(ex: 11)을 형성하는 두 개 이상의 인쇄층(ex: 111 ~114)은, 유리기판(10)과 패턴영역 사이의 인터페이스(88)를 기준으로, 유리기판(10) 바깥쪽 방향(D)으로 더 멀어질수록 더 좁은 폭을 차지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2)

  1. 리본시트의 일 면 상에 한 개 이상의 승화전사잉크 인쇄층으로 구성된 패턴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승화전사용 리본을 만드는 리본형성단계; 및
    상기 리본의 패턴영역을 유리기판의 일 면에 열-가압함으로써, 상기 유리기판의 일 면 상에 패턴영역을 승화전사하는 승화전사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리본형성단계는, 상기 리본시트의 일 면 상에 형성된 상기 한 개 이상의 승화전사잉크 인쇄층 상에 호일층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호일층 상에 바인더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기판 상의 패턴 인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기판의 일 면은 실린더 형 곡면으로 되어 있는, 유리기판 상의 패턴 인쇄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화전사단계는,
    상기 유리기판의 타 면 상에 상기 유리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그를 접촉하는 단계; 및
    상기 리본시트의 타 면 상에서, 열가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리본을 상기 유리기판에 대하여 열-가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리기판 상의 패턴 인쇄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지그와 상기 유리기판의 타 면이 서로 접촉하는 영역이 상기 리본에 형성된 상기 패턴영역이 차지하는 영역과 서로 대응하도록 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 상의 패턴 인쇄방법.
  6. 삭제
  7. 유리기판;
    상기 유리기판의 일 면 상에 형성된 바인더층;
    상기 바인더층 상에 형성된 복수 개의 승화전사잉크 인쇄층; 및
    상기 바인더층과 상기 복수 개의 승화전사잉크 인쇄층 사이에 포함되어 있는 호일층
    을 포함하는,
    유리 케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기판의 상기 일 면은 실린더 형 곡면으로 되어 있는, 유리 케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승화전사잉크 인쇄층은 상기 유리기판으로부터 더 멀어질수록 더 넓은 폭을 갖는, 유리 케이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층은 상기 복수 개의 승화전사잉크 인쇄층에 포함된 안료와 동일한 종류의 안료가 포함되어 있는, 유리 케이스.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층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케이스.
KR1020140063747A 2014-05-27 2014-05-27 승화 전사법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 방법 KR101607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747A KR101607557B1 (ko) 2014-05-27 2014-05-27 승화 전사법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747A KR101607557B1 (ko) 2014-05-27 2014-05-27 승화 전사법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356A KR20150136356A (ko) 2015-12-07
KR101607557B1 true KR101607557B1 (ko) 2016-03-30

Family

ID=5487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747A KR101607557B1 (ko) 2014-05-27 2014-05-27 승화 전사법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5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93131A (zh) * 2022-09-19 2023-01-13 伯恩精密(惠州)有限公司(Cn) 一种玻璃手机盖补边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1944A (ja) 2001-06-19 2003-01-08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シート、熱転写方法、及び印画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1944A (ja) 2001-06-19 2003-01-08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シート、熱転写方法、及び印画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356A (ko) 201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75168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electro-optic displays, and color filters for use therein
KR100951136B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압력 방식 터치스크린 패드
KR101668627B1 (ko) 터치 윈도우용 데코필름의 제조 방법
JP2013164857A (ja) デジタル・ディスプレイを有するカード
JP6612741B2 (ja) 印刷層が形成された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用カバーウィンドウ及び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用カバーウィンドウに印刷層を形成する方法
CN104050881B (zh) 窗构件和制造窗构件的方法
KR101692341B1 (ko) 터치 윈도우용 데코필름
CN110229631B (zh) 膜层结构及其制备方法、壳体机构和电子设备
JP6975491B2 (ja) 微細突起文様を有する接着減少層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CN110281682B (zh) 膜层结构及其制备方法、壳体机构和电子设备
TWI516126B (zh) 蓋板及其製作方法
KR101808175B1 (ko) 터치 윈도우용 데코필름의 제조 방법
KR101607557B1 (ko) 승화 전사법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 방법
KR102124991B1 (ko) 디스플레이패널용 시트
JP6554365B2 (ja) 外装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80043204A (ko) 인쇄용 블랭킷 및 인쇄 방법
KR100665169B1 (ko) 디지털 프린터를 이용한 인쇄물
KR20110004233A (ko) 개인휴대단말기용 터치스크린 패드 및 제조방법
JP5707176B2 (ja) 装飾透明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60731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글라스 윈도우 미세패턴 형성 방법 및 미세패턴 구조
JP4964276B2 (ja) 装飾体、装飾体の製造方法
TWI581143B (zh) Touch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212266871U (zh) 电子产品玻璃膜
JP6487860B2 (ja) 転写ラベル、転写ラベルの製造方法、粘着ラベル、粘着ラベルの製造方法、および被貼付物
EP1957291A2 (en) Low-temperature dec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