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724B1 -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724B1
KR101606724B1 KR1020140172408A KR20140172408A KR101606724B1 KR 101606724 B1 KR101606724 B1 KR 101606724B1 KR 1020140172408 A KR1020140172408 A KR 1020140172408A KR 20140172408 A KR20140172408 A KR 20140172408A KR 101606724 B1 KR101606724 B1 KR 101606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width
roll
circuit pattern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흥인
서정식
박진희
김진희
강재현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아이 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아이 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아이 플렉스
Priority to KR102014017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the conductive material being removed chemically or electrolytically, e.g. by photo-etch proce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REA)

Abstract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이 개시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은 폴리이미드 층과 구리 층을 포함하고, 제1크기의 폭을 가지는 원자재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원자재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원자재 및 상기 관통홀 중 적어도 일부에 동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동도금층이 형성된 원자재에 감광성 물질을 코팅하는 단계; 회로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노광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감광성 물질이 코팅된 원자재에 상기 노광필름을 정합하여 상기 원자재를 노광하는 단계; 상기 노광된 원자재를 현상, 에칭 및 박리하여 상기 원자재에 상기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회로패턴이 형성된 원자재가 상기 제1크기보다 작은 제2크기의 폭 및 제3크기의 폭을 가지도록 상기 원자재를 분할하면서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ROLL-TO-ROLL MANUFACTURING METHOD OF PRINTED CIRCUIT BOARD}
본원은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Roll to Roll) 제조 공정 진행 중에 인쇄회로기판의 원자재를 분리하여 권취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은 전기적 절연체 위에 동박(Copper foil) 같은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도체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도체패턴 상에는 전원 및 증폭기 같이 전력의 공급원을 포함하는 능동소자(Active Component)와 저항기, 콘덴서, 코일 등의 수동소자(Passive Component) 및 음향 또는 영상소자 등이 각각 그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다른 소자를 지원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된 상태로 실장되어 있는 기구소자를 일컫는다.
인쇄회로기판은 일반적으로 베이스필름의 양측면에 동박층이 형성된 동적층판을 형성하고, 드릴작업 후, 그 외측면에 다시 동도금층을 형성한 후에 감광성물질을 라미네이팅하고, 노광, 현상 및 에칭공정으로 회로패턴을 형성하며, 그 외측면에 커버레이필름을 적층하여 표면처리를 하여 외곽가공을 통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790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공법은 원자재를 재단한 후 시트(Sheet)의 형태로 진행하는 시트 타입(Sheet Type) 공법과 원자재를 재단하지 않고 롤(Roll) 형태로 진행하는 롤투롤 타입(Roll to Roll Type) 공법이 있다.
롤투롤 타입의 제조 공법 진행시, 원자재를 재단하지 않고 롤투롤 제조 설비에 원자재를 투입하게 되는데, 원자재의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원자재를 취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250mm의 폭의 원자재 상태로 원자재를 투입하는 것이 필수적이었다. 또한, 롤투롤 제조 설비 자체의 설비적 한계로 인하여 250mm의 폭을 넘는 원자재의 가공 환경 역시 매우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롤투롤 타입의 제조 공법임에도 불구하고, 인쇄회로기판의 작업효율 향상, 생산성 향상 및 비용절감의 효과가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정확하게, 롤투롤 제조 공정에 있어,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는 원자재 상태로 드릴 공정, 동도금 공정, 노광 공정, 현상 공정, 에칭 공정, 박리 공정 등을 포함하는 전처리 공정을 진행한 후 원자재를 권취함에 있어서, 투입된 원자재를 투입 당시의 원자재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지는 복수의 원자재로 분할하면서 권취하여 종래의 롤투롤 제조 공정보다 생산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은 폴리이미드 층과 구리 층을 포함하고, 제1크기의 폭을 가지는 원자재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원자재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원자재 및 상기 관통홀 중 적어도 일부에 동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동도금층이 형성된 원자재에 감광성 물질을 코팅하는 단계; 회로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노광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감광성 물질이 코팅된 원자재에 상기 노광필름을 정합하여 상기 원자재를 노광하는 단계; 상기 노광된 원자재를 현상, 에칭 및 박리하여 상기 원자재에 상기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회로패턴이 형성된 원자재가 상기 제1크기보다 작은 제2크기의 폭 및 제3크기의 폭을 가지도록 상기 원자재를 분할하면서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노광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는 제1회로패턴, 제2회로패턴 및 상기 제1회로패턴과 제2회로패턴 사이에 미리 설정된 크기의 폭을 가지는 분할 라인 패턴을 상기 노광필름에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로패턴은 상기 제2크기의 폭을 가지는 원자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2회로패턴은 상기 제3크기의 폭을 가지는 원자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노광필름에 인쇄되어 있는 회로패턴은 제1회로패턴, 제2회로패턴 및 미리 설정된 크기의 폭을 가지는 분할 라인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원자재를 현상, 에칭 및 박리하여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 라인 패턴에 대응하는 영역의 상기 원자재의 구리층을 제거하여 상기 원자재 상에 분할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원자재를 권취하는 단계는 상기 원자재에 형성된 분할 라인을 따라 상기 원자재를 분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은 상기 원자재를 현상, 에칭 및 박리하여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분할 라인 패턴에 대응하는 영역의 상기 원자재의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크기의 폭은 500 mm의 폭이고, 상기 제2크기의 폭 및 상기 제3크기의 폭은 각각 250mm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원자재의 구리층은 상기 폴리이미드 층의 상면과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광필름은 상기 원자재의 상면과 저면에 정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원자재를 노광하는 단계는 상기 원자재에 감광성 물질을 코팅 후 노광 진행에 앞서 노광기에서 정합인식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원자재의 상면과 저면에 위치한 노광필름 및 원자재의 에지(EDGE) 부분을 한번에 인식하여 상기 원자재와 상기 노광필름을 정합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원자재와 상기 노광필름을 정합시키는 것은 상기 인식된 상면 노광필름과 저면 노광필름을 정합시키고, 정합된 노광필름의 정합마크 중심값과 상기 원자재의 에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노광필름과 상기 원자재를 정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원자재를 권취하는 단계에서, 상기 원자재는 자재 분리 롤러(Roller)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롤투롤 제조 공정에 있어,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는 원자재 상태로 드릴 공정, 동도금 공정, 노광 공정, 현상 공정, 에칭 공정, 박리 공정 등을 포함하는 전처리 공정을 진행한 후 투입 당시의 원자재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지는 복수의 원자재로 투입 당시의 원자재를 분할하면서 권취함으로써, 롤투롤 제조 공정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방법의 프로세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광공정 및 에칭공정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광필름의 정합공정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방법의 프로세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S10에서 제1크기의 폭을 가지는 원자재를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설비에 투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크기의 폭은 약500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원자재는 베이스 필름(폴리이미드층)과 베이스필름의 상면과 저면에 형성된 동박층(구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멀티적층 기판(MLB, Multi-Layer Board)의 형태는 단지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본원이 반드시 상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를 들어, 원자재의 총 두께는 약 44um로 상당히 얇으며, 총 길이가 100m인 롤 상태로 권취되어 롤투롤 제조 설비에 투입될 수 있다.
단계 S11에서 롤투롤 제조 설비를 이용하여 상기 원자재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원자재의 각 층간의 필요한 회로의 도전을 위해 또는 부품 탑재를 위해 원자재에 다수의 홀(HOLE)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홀은 CNC (Computer Numerical Control) 드릴이나 레이저 드릴로 형성할 수 있다.
단계 S12에서 롤투롤 제조 설비를 이용하여 관통홀이 형성된 원자재 및 관통홀 중 적어도 일부에 동도금층을 형성할 수 있다. 드릴 또는 레이저에 의해 가공된 홀 속의 도체층은 절연층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도통시켜 주기 위하여 무전해 동도금 공정 또는 다이렉트 플레이팅(셰도우, 블랙홀, DMSE 등)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2에서 원자재의 표면과 관통홀을 소정의 스크러버 또는 소프트 에칭장비 등을 사용하여 원자재의 표면과 관통홀의 잔유물을 제거할 수 있다.
단계 S13에서 롤투롤 제조 설비를 이용하여 동도금층이 형성된 원자재에 감광성 물질을 코팅할 수 있다. 동도금 처리된 원자재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원자재에 감광성 물질(Dry Film)을 가열된 롤러로 압착하여 밀착시켜 라미네이팅(Laminating)하여 원자재에 코팅할 수 있다.
단계 S14에서 회로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노광필름을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광필름은 PET(polyester)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4에서, 제1회로패턴, 제2회로패턴 및 제1회로패턴과 제2회로패턴 사이의 분할 라인 패턴을 포함하는 회로패턴을 노광필름에 프린팅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패턴 및 제2회로패턴은 동일한 회로 패턴일 수 있다. 상기 분할 라인 패턴은 미리 설정된 크기의 폭을 가지며, 예를 들어, 약 1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원자재의 폭이 500mm인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제1회로패턴 및 제2회로패턴은 각각 약250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노광필름에 제1회로패턴 및 제2회로패턴의 2개의 회로패턴이 인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노광필름에 인쇄될 수 있는 회로패턴의 수 및 분할 라인 패턴의 수(예를 들어, 회로패턴의 수 보다 1개 적은 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15에서 롤투롤 제조 설비를 이용하여 감광성 물질이 코팅된 원자재에 노광필름을 정합시키고, 원자재를 노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노광필름을 드라이필름이 코팅되어 있는 원자재의 상면과 저면에 부착시킨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노광필름에 인쇄되어 있는 회로패턴의 형상대로 드라이필름을 경화시킬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5에서 원자재에 감광성 물질을 코팅한 후 노광 진행에 앞서, 노광기의 정합인식 카메라가 상기 원자재의 상면과 저면에 위치한 노광필름 및 원자재의 에지(EDGE) 부분을 한번에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광기의 정합(Align) 과정을 통하여 노광 완료 후의 원자재의 도와 도 사이 (예를 들어, 시트(sheet)와 시트(sheet) 사이)의 틀어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 S16에서, 롤투롤 제조 설비를 이용하여 원자재를 현상, 에칭 및 박리하여 상기 원자재에 회로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단계 S16에서 노광을 거친 원자재를 현상액을 이용하여 현상하여 경화되지 않은 드라이 필름을 제거하고, 제거된 드라이 필름의 영역을 통해 에칭액 또는 에칭장비에 의해 동박층이 부식되어 회로패턴이 형성되고, 박리 공정을 거쳐 경화된 드라이 필름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자재에 노광필름에 인쇄되어 있던 형상대로 회로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자재에 제1회로패턴 및 제2회로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광필름의 분할 라인 패턴에 대응하는 영역의 원자재의 구리층이 제거되어 원자재 상에 폴리이미드 층의 분할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6에서 원자재를 롤투롤 제조 설비에 투입하기 이전에 상기 분할 라인 패턴에 대응하는 영역의 상기 원자재의 일부를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자재를 현상, 에칭, 박리 공정에 투입하기 이전에 상기 원자재에 원자재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도입부를 부착할 수 있으며, 상기 도입부와 함께 상기 분할 라인 패턴에 대응하는 영역의 상기 원자재의 일부를 절단할 수 있다.
단계 S17에서 롤투롤 제조 설비를 이용하여 회로패턴이 형성된 원자재를 제1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폭을 가지는 복수의 원자재로 분할하면서 권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투롤 제조 설비의 자재 분리 롤러(Roller)에 의해 원자재에 형성된 분할 라인을 따라 제1크기의 폭을 가지는 원자재를 제2크기의 폭 및 제3크기의 폭을 가지는 복수의 원자재로 분할하면서 각각의 에어척(Air chuck)에 원자재를 감아 회수할 수 있다. 단계 S16에서 상기 제1크기의 원자재는 분할 라인을 따라 미리 일정 길이만큼 분리/절단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자재 분리 롤러의 힘에 의해 용이하게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크기의 폭이 500mm인 경우, 상기 제2크기 폭 및 제3크기의 폭은 각각 약 250mm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분리된 제2크기의 폭의 원자재에 제1회로패턴이 형성되고, 제3크기의 폭의 원자재에 제2회로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크기의 폭의 원자재가 동일한 크기의 제2크기 및 제3크기의 폭을 가지는 2개의 원자재로 분할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분할 후의 원자재의 수 또는 각 원자재의 폭의 크기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폭(약 500mm)을 가지는 원자재를 이용하여 전처리 공정(홀 드릴 공정, 동도금 공정, 노광 공정, 현상, 에칭, 박리 공정)을 수행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폭(약 250mm)을 가지는 복수의 원재자로 분리하면서 원자재를 권취하고, 복수로 권취된 원자재 각각에 대하여 후처리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생산성 및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1 공정 Cycle Time에서 약 250mm의 폭의 면적만 가공하던 종래의 공정에 비하여, 본원에 따르면 동일한 1 공정 Cycle Time에서 약 500mm의 폭의 면적을 가공할 수 있으므로, 한 대의 롤투롤 제조 설비로 2대의 설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광공정 및 에칭공정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광필름(200)에는 제1크기의 폭을 가지는 제1회로패턴(210), 제2크기의 폭을 가지는 제2회로패턴(220) 및 제1회로패턴(210)과 제2회로패턴(220) 사이의 분할 라인 패턴(230)을 포함하는 회로패턴(205)이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크기는 약250mm, 상기 제2크기는 약250mm이고, 상기 분할 라인 패턴(230)은 약 1mm의 크기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패턴(205)는 도와 도 사이의 찢어짐 방지를 위한 도 단위 재단 선의 보강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광 후의 원자재(240)의 회로패턴을 살펴보면, 제1회로패턴(210)과 제2회로패턴(220) 사이의 분할 라인 패턴(230)이 원자재(240)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에칭 후의 원자재(240)에는 분할 라인 패턴(230)을 따라 분할 라인 패턴(230)에 대응하는 원자재(240)의 구리층이 제거되어 원자재(240) 상에 분할 라인(25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할 라인(250)은 구리층이 제거되어 폴리이미드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광필름의 정합공정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재의 상면과 저면에 노광필름을 정합시켜 노광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노광 진행에 앞서, 노광기에서 정합인식 카메라가 원자재의 상면과 저면에 위치한 노광필름 및 원자재의 에지(EDGE)부분(예를 들어, Edge Align에 사용될 4개의 에지 영역)을 한번에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정합 인식 카메라에 의해 인식된 상면 노광필름과 저면 노광필름이 1차로 정합될 수 있도록 정합시키고, 정합된 노광필름의 정합마크 중심값과 원자재의 에지(EDGE)의 거리를 계산하여 2차적으로 노광필름과 원자재를 정합시킨 후, 노광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에칭, 박리 공정이 진행된 제1크기의 폭을 가지는 원자재(410)가 롤투롤 제조 설비에 의하여 권취 및 회수되고 있다. 롤투롤 제조 설비의 자재 분리 롤러(420)에 의하여 제1크기의 폭의 원자재(410)는 제1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폭의 원자재(430, 440)로 각각 분리되어 복수의 에어척(좌측 에어척:450, 우측 에어척: 미도시)에 의해 감겨 권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에어척에 의해 롤 형태로 감긴 복수의 원자재(430, 440)는 후처리 공정에 각각 투입될 수 있다.
전술한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노광필름 205: 회로패턴
240: 원자재 250: 분할 라인
420: 자재 분리 롤러 450: 에어척

Claims (10)

  1.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에 있어서,
    폴리이미드 층과 구리 층을 포함하고, 제1크기의 폭을 가지며, 회로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연속하는 원자재를 롤투롤 제조설비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롤투롤 제조설비를 이용하여 상기 원자재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롤투롤 제조설비를 이용하여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원자재 및 상기 관통홀 중 적어도 일부에 동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동도금층이 형성된 원자재에 감광성 물질을 코팅하는 단계;
    제1회로패턴, 제2회로패턴 및 상기 제1회로패턴과 상기 제2회로패턴의 사이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크기의 폭을 가지는 분할 라인 패턴을 포함하는 회로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노광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감광성 물질이 코팅된 원자재에 상기 노광필름을 정합하여 상기 원자재를 노광하는 단계;
    상기 원자재에 원자재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도입부를 부착하고, 상기 도입부와 함께 상기 분할 라인 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의 상기 원자재의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도입부가 부착되고 일부가 절단된 노광된 원자재를 현상, 에칭 및 박리하여 상기 원자재에 상기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회로패턴이 형성된 원자재가 상기 제1크기보다 작은 제2크기의 폭 및 제3크기의 폭을 가지도록 상기 제2크기의 폭을 가지는 원자재와 상기 제3크기의 폭을 가지는 원자재 사이의 상기 절단된 영역에 자재 분리 롤러(Roller)를 투입하여 상기 원자재를 분할하면서 권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패턴은 상기 제2크기의 폭을 가지는 원자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2회로패턴은 상기 제3크기의 폭을 가지는 원자재에 형성되는 것인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재를 현상, 에칭 및 박리하여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 라인 패턴에 대응하는 영역의 상기 원자재의 구리층을 제거하여 상기 원자재 상에 분할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원자재를 권취하는 단계는 상기 원자재에 형성된 분할 라인을 따라 상기 원자재를 분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크기의 폭은 500 mm의 폭이고, 상기 제2크기의 폭 및 상기 제3크기의 폭은 각각 250mm인 것인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재의 구리층은 상기 폴리이미드 층의 상면과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광필름은 상기 원자재의 상면과 저면에 정합되는 것인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재를 노광하는 단계는 상기 원자재에 감광성 물질을 코팅 후 노광 진행에 앞서 노광기에서 정합인식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원자재의 상면과 저면에 위치한 노광필름 및 원자재의 에지(EDGE) 부분을 한번에 인식하여 상기 원자재와 상기 노광필름을 정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재와 상기 노광필름을 정합시키는 것은 상기 인식된 상면 노광필름과 저면 노광필름을 정합시키고, 정합된 노광필름의 정합마크 중심값과 상기 원자재의 에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노광필름과 상기 원자재를 정합시키는 것인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
  10. 삭제
KR1020140172408A 2014-12-03 2014-12-03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 KR101606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408A KR101606724B1 (ko) 2014-12-03 2014-12-03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408A KR101606724B1 (ko) 2014-12-03 2014-12-03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724B1 true KR101606724B1 (ko) 2016-03-28

Family

ID=57008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408A KR101606724B1 (ko) 2014-12-03 2014-12-03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7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614A (ko) 2018-11-29 2020-06-08 삼원액트 주식회사 회로 패턴 연속 제조 장치
KR102137278B1 (ko) * 2020-04-10 2020-07-23 김상봉 고속타발기 연동형 정밀 롤투롤 소재 연성회로기판 제조 방법
WO2021066478A1 (ko) * 2019-10-02 2021-04-08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더블 어세스 방식의 fpcb 제조방법
CN112739048A (zh) * 2020-12-10 2021-04-30 厦门柔性电子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双面柔性电路板的卷式制作方法及其制作的柔性电路板
CN116347781A (zh) * 2023-05-05 2023-06-27 苏州东山精密制造股份有限公司 单面线路板、多层板及其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7396A (ja) * 1999-06-04 2000-12-15 Dainippon Printing Co Ltd 所望幅の感光性ドライフィルムレジスト原反ロールの作製装置、および所望幅の感光性ドライフィルムレジスト原反ロールの作製方法
KR20010102682A (ko) * 2000-05-04 2001-11-16 원종극, 원우연 양면 플렉시블 피씨비의 제조방법
KR100615947B1 (ko) * 2005-08-23 2006-08-28 주식회사 이생 단면 또는 양면 노출형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제조용원자재의 구조 및 보호필름의 박리 및 부착방법
JP2009111045A (ja) * 2007-10-29 2009-05-21 Toray Ind Inc フィルム回路基板およびその切断方法ならびにその方法を用いるフィルム回路基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7396A (ja) * 1999-06-04 2000-12-15 Dainippon Printing Co Ltd 所望幅の感光性ドライフィルムレジスト原反ロールの作製装置、および所望幅の感光性ドライフィルムレジスト原反ロールの作製方法
KR20010102682A (ko) * 2000-05-04 2001-11-16 원종극, 원우연 양면 플렉시블 피씨비의 제조방법
KR100615947B1 (ko) * 2005-08-23 2006-08-28 주식회사 이생 단면 또는 양면 노출형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제조용원자재의 구조 및 보호필름의 박리 및 부착방법
JP2009111045A (ja) * 2007-10-29 2009-05-21 Toray Ind Inc フィルム回路基板およびその切断方法ならびにその方法を用いるフィルム回路基板の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614A (ko) 2018-11-29 2020-06-08 삼원액트 주식회사 회로 패턴 연속 제조 장치
WO2021066478A1 (ko) * 2019-10-02 2021-04-08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더블 어세스 방식의 fpcb 제조방법
KR102137278B1 (ko) * 2020-04-10 2020-07-23 김상봉 고속타발기 연동형 정밀 롤투롤 소재 연성회로기판 제조 방법
CN112739048A (zh) * 2020-12-10 2021-04-30 厦门柔性电子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双面柔性电路板的卷式制作方法及其制作的柔性电路板
CN116347781A (zh) * 2023-05-05 2023-06-27 苏州东山精密制造股份有限公司 单面线路板、多层板及其制作方法
CN116347781B (zh) * 2023-05-05 2023-09-12 苏州东山精密制造股份有限公司 单面线路板、多层板及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724B1 (ko)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
US800168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KR20060084664A (ko)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EP2810543B1 (en) Method of making a flexible circuit
US2012007971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
CN105430877B (zh) 柔性电路板、终端及柔性电路板的制备方法
CN106817841B (zh) 软硬结合线路板及其制作方法
KR20130022911A (ko)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KR100481955B1 (ko) 양면구조의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롤투롤 제조 방법
CN105282985A (zh) 电路板单面局部镀金方法及其电路板
JP2002190674A (ja) 多層フレキシブル配線板の製造方法
KR100913675B1 (ko) 인쇄회로기판에서의 광도파로 형성방법
KR101254623B1 (ko) 캐패시터를 갖는 연성회로기판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연성회로기판
KR20180058626A (ko) 평판 케이블 제조 방법
KR20110110664A (ko) 양면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EP2165583A1 (en) Automated direct emulsion process for making printed circuits and multilayer printed circuits
US826853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
JPH09186202A (ja) Tabテープの製造方法およびtabテープ用積層体
US20180317325A1 (en)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78754B1 (ko) 박판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KR102656671B1 (ko) 다층 회로 기판의 제조장치 및 다층 회로 기판의 제조방법
KR101687392B1 (ko) 피나클 금형을 이용한 fpcb용 회로패턴 제조 방법
KR101690692B1 (ko) Fpcb 제조방법
CN114390786A (zh) 一种柔性电路板及其制作方法及柔性电路板
JP2021163893A (ja) 回路配線基板および配線パターン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