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115B1 - 호퍼장치 - Google Patents

호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115B1
KR101606115B1 KR1020150127264A KR20150127264A KR101606115B1 KR 101606115 B1 KR101606115 B1 KR 101606115B1 KR 1020150127264 A KR1020150127264 A KR 1020150127264A KR 20150127264 A KR20150127264 A KR 20150127264A KR 101606115 B1 KR101606115 B1 KR 101606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unit
transferred
discharge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웅
Original Assignee
권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웅 filed Critical 권순웅
Priority to KR1020150127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65D88/28Construction or shape of discharge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58Gates or closures having closure members sliding in the plane of the opening
    • B65D90/587Gates or closures having closure members sliding in the plane of the opening having a linea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방향으로 이송대상물질을 배출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공정이 이루어지는 호퍼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대상물질이 배출되는 양과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호퍼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호퍼장치는 이송대상물질이 수용되는 제1 챔버 및 제2 챔버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제1 챔버 및 제2 챔버에 각각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바디부에 수용된 상기 이송대상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제1 챔버 및 제2 챔버에는 상기 배출유닛에 의해 상기 이송대상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호퍼장치{Hopper equipment}
본 발명은 호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퍼에 저장된 이송대상물질이 호퍼의 일측 및 타측으로 배출되고, 배출되는 과정에서 이송대상물질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호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퍼는 기계장치의 일부이고 깔때기 현상을 한 것이다.
호퍼는 호퍼의 상부에서 분체 형상 입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송대상물질을 투입하게 된다. 투입하는 과정에서 이송대상물질이 호퍼의 내부에 일시 보류되고, 일시 보류된 이송대상물질이 호퍼의 하부에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대상물질이 투입되어 일시적으로 이송대상물질을 보류하여 외부로 이송대상물질을 전달하는 호퍼는 이미 많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종래기술의 일례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62402호에는 원추형 본체가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고, 본체의 상단에 인양용 와이어를 걸수있는 4개의 원형고리가 배
치되고, 본체의 하부에 콘크리트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배출구의 외주면에 개폐장치의 개폐부재가 출입할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배출구의 하부에 배치되는 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슈트의 내측단의 양측 사이드에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콘크리 배출구에서 절개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슈트의 외측단 양측 사이드에 원형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고리에 와이어의 양단이 묶인 상태에서, 와이어의 중간부분가 받침대에 장착된 후크에 걸림으로서, 슈트의 외측단이 와이어에 의해 지지된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일방향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신속한 공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또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슈트에 잔여 콘크리트가 응고되거나 타설되지 않고 정체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240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방향으로 이송대상물질을 배출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공정이 이루어지는 호퍼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대상물질이 배출되는 양과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호퍼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호퍼장치는 이송대상물질이 수용되는 제1 챔버 및 제2 챔버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제1 챔버 및 제2 챔버에 각각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바디부에 수용된 상기 이송대상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제1 챔버 및 제2 챔버에는 상기 배출유닛에 의해 상기 이송대상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챔버 및 제2 챔버를 나누는 파티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챔버 및 제2 챔버는 상기 파티션부에서 상기 배출유닛의 방향으로 상기 바디부가 점점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이송대상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이동부와, 상기 동력이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배출유닛을 구동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바디부에 수용된 상기 이송대상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의 구동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왕복이동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를 복원시키는 복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퍼장치에 의하면, 제1 챔버 및 제2 챔버를 포함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일측 및 타측으로 이송대상물질이 배출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보다 신속한 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대상물질의 배출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편의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호퍼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호퍼장치에 있어서, 바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호퍼장치에 있어서, 구동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호퍼장치에 있어서, 배출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 내지 도 4에 따른 구동유닛에 의해 구동되는 배출유닛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및,
도 6은 도 1에 따른 호퍼장치의 개략적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호퍼장치(10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장치(1000)는 바디부(1100)와, 구동유닛(1200) 및 배출유닛(1300)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100)와, 상기 구동유닛(1200) 및 상기 배출유닛(1300)은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호퍼장치에 있어서, 바디부(1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보다 상세한 설명으로 상기 바디부(1100)는 이송대상물질(1)이 수용되도록 제1 챔버(1110) 및 제2 챔버(1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1100)에는 상기 제1 챔버(1110) 및 상기 제2 챔버(1120)를 나누는 파티션부(1130)가 형성한다.
상기 제1 챔버(1110) 및 상기 제2 챔버(1120)의 상부에는 상기 이송대상물질(1)이 투입되는 개방부(S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챔버(1110) 및 상기 제2 챔버(1120)의 하부에는 상기 개방부(S1)로 투입된 상기 이송대상물질(1)이 도 1에 도시된 상기 배출유닛(1300)에 의해 배출되는 배출구(S2)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챔버(1110) 및 상기 제2 챔버(1120)는 상기 파티션부(1130)에서 상기 배출유닛(1300)의 방향으로 점점 좁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챔버(1110) 및 상기 제2 챔버(1120)가 점점 좁게 형성됨은 상기 이송대상물질(1)을 일시적으로 정체시켜 상기 이송대상물질(1)이 자중에 의해 배출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바디부(1100)는 상기 구동유닛(1200) 및 상기 배출유닛(1300)이 장착되는 플레이트(1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140)는 상기 제1 챔버(1110) 및 상기 제2 챔버(1120)의 하부에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배출구(S2)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S)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고, 그 위치와 형상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구동유닛(120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120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상기 제1 챔버(1110) 및 상기 제2 챔버(1120)의 하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송대상물질(1)을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동력부(1210)와, 상기 동력부(1210)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이동부(1220)와, 상기 동력이동부(1220)와 결합되어 상기 배출유닛(1300)을 구동시키는 동력전달부(123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한 설명으로 상기 동력부(1210)는 모터(1211)와, 상기 모터(1211)에 축(1212)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이동부(1220)는 상기 축(1212)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동력기어(1221)와, 상기 동력기어(1221)와 치합되는 제1 동력전달기어(1222)와, 상기 제1 동력전달기어(1222)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샤프트(1223)와, 상기 샤프트(1223)에 결합되는 제2 동력전달기어(1224)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1223)에는 상기 제1 동력전달기어(1222) 및 제2 동력전달기어(1224)가 결합된다. 상기 제1 동력전달기어(1222)와 상기 제2 동력전달기어(1224)는 위치만 상이할 뿐 같은 기어로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1223)가 회전되면 상기 제1 동력전달기어(1222)와 상기 제2 동력전달기어(1224)의 회전되는 방향과 회전되는 속도는 비례한다.
또한 상기 동력이동부(1220)는 상기 제1 동력전달기어(1222)와 상기 제2 동력전달기어(1224)에 각각 치합되어 회전하는 풀리(1225)와, 상기 풀리(1225)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제3 동력전달기어(1226)와, 상기 제3 동력전달기어(1226)의 일면에 형성된 제3 동력전달기어 축(1227)과, 상기 제3 동력전달기어 축(1227)에 편심되어 회전하고 상기 배출유닛(1300)의 왕복이동시키는 캠(1228)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이동부(1220)는 기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나, 유압 모터와 실린더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유닛(1200)은 유압 또는 공압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상기 배출유닛(1300)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1200)은 상기 동력부(1210)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동력부(1210)의 각각에 연결되는 제어부(1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40)는 상기 상기 모터(1211)의 회전량을 조절하고 그에 따라 상기 동력이동부(1220)의 회전량이 변화하여 상기 배출유닛(1300)의 복원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배출유닛(13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유닛(1300)은 도 2에 도시된 상기 캠(1228)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지지바(1310)와, 상기 지지바(1310)가 이동되어 상기 지지바(1310)가 원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복원부재(1320)를 포함한다. 상기 복원부재(1320)는 스프링으로 형성되거나, 유압 또는 공압 장치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바(1310)를 복원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3 내지 도 4에 따른 구동유닛(1200)에 의해 구동되는 배출유닛(1300)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a)는 상기 캠(1231)이 회전하여 상기 지지바(1310)을 밀어내게 된다.
도 3 내지 도 4에서 기술한 내용을 토대로 상기 구동유닛(1200)이 구동됨에 따라 상기 캠(1231)은 편심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캠(1231)의 편심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바(1310)에 형성된 지지면(1311)을 밀어 상기 지지바(1310)가 이동되고, 이동된 상기 지지바(1310)는 상기 복원부재(1320)에 의해 원위치된다.
이에 대한 복원되는 상기 지지바(1310)는 도 5의 (b)와 같이 구동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b)에서 상기 지지바(1310)는 상기 복원부재(1320)에 의해 상시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캠 축(1232)에 상기 지지면(1311)이 근접되도록 상기 캠(1231)이 이동됨에 따라 복원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1200)에 의해 상기 배출유닛(1300)이 왕복운동을 하게 됨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이송대상물질(1)이 외부로 배출된다.
도 6은 도 1에 따른 호퍼장치(1000)의 개략적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장치(1000)는 상기 바디부(1100)에 형성된 상기 개방부(S1)를 통해 상기 이송대상물질(1)이 투입된다. 또한 상기 호퍼장치(1000)는 상기 바디부(1100)에 결합된 상기 구동유닛(1200)이 구동함으로 인해 상기 배출유닛(1300)이 왕복운동되어 상기 이송대상물질(1)이 선택적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1 챔버(1110) 및 상기 제2 챔버(1120)의 방향으로 배출되고, 배출되는 양은 상기 구동유닛(1200)에 포함된 상기 모터(1211)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1110)에 결합된 상기 모터(1211)와, 상기 제2 챔버(1120)에 결합된 상기 모터(1211)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서로 다른 양의 상기 이송대상물질(1)을 상기 배출구(S2)를 통해 배출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1200)은 상기 제어부(1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40)에는 상기 이송대상물질(1)의 재료에 따라 배출되는 양을 달리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시스템이 장착될 수 있고, 시간에 따라 상기 이송대상물질(1)이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신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40)는 상기 이송대상물질(1)의 양을 입력된 수치에 따라 상기 제1 챔버(1110)의 배출구 및 상기 제2 챔버(1120)의 배출구에 서로 같거나 서로 상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S1:개방부 S2:배출구
1000:호퍼장치 1100:바디부
1110:제1 챔버 1120:제2 챔버
1130:파티션부 1140:플레이트
1200:구동유닛 1210:동력부
1211:모터 1212:모터 축
1220:동력이동부 1221:동력기어
1222:제1 동력전달기어 1223:샤프트
1224:제2 동력전달기어 1225:풀리
1226:제3 동력전달기어 1230:동력전달부
1231:캠 1232:캠 축
1240:제어부 1300:배출유닛
1310:지지바 1320:복원부재

Claims (5)

  1. 이송대상물질이 수용되는 제1 챔버 및 제2 챔버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제1 챔버 및 제2 챔버에 각각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바디부에 수용된 상기 이송대상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제1 챔버 및 제2 챔버에는 상기 배출유닛에 의해 상기 이송대상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이송대상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이동부와, 상기 동력이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배출유닛을 구동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를 나누는 파티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파티션부에서 상기 배출유닛의 방향으로 상기 바디부가 상기 배출유닛의 방향으로 점점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바디부에 수용된 상기 이송대상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의 구동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장치.
  5. 이송대상물질이 수용되는 제1 챔버 및 제2 챔버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제1 챔버 및 제2 챔버에 각각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바디부에 수용된 상기 이송대상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제1 챔버 및 제2 챔버에는 상기 배출유닛에 의해 상기 이송대상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왕복이동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를 복원시키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장치.
KR1020150127264A 2015-09-08 2015-09-08 호퍼장치 KR101606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264A KR101606115B1 (ko) 2015-09-08 2015-09-08 호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264A KR101606115B1 (ko) 2015-09-08 2015-09-08 호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115B1 true KR101606115B1 (ko) 2016-03-24

Family

ID=5565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264A KR101606115B1 (ko) 2015-09-08 2015-09-08 호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1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0045A (zh) * 2021-12-28 2022-04-01 宝应县永丰米业有限公司 一种大米深加工的落料速度控制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0045A (zh) * 2021-12-28 2022-04-01 宝应县永丰米业有限公司 一种大米深加工的落料速度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35761C2 (ru) Смеситель, система для нанесения строите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нструкции из строите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2019511972A5 (ko)
US5740843A (en) Container filling device and method
KR101667178B1 (ko) 내부 회전 밸브를 갖는 진공 롤
US9352859B2 (en) Device and method for feeding charges of non-homogeneous infusion material to a packaging machine
JP2010500263A5 (ko)
KR101606115B1 (ko) 호퍼장치
CN104612026A (zh) 粉末撒布车
CN104386276A (zh) 定容定量供料装置
US3578778A (en) Packaging apparatus for filling individual containers
JP6402206B2 (ja) 流れ規制装置を備えたコンベア装置
JP2017043077A (ja) 骨材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生コンクリート製造装置並びに骨材搬送方法
JPH11321803A (ja) 粒子分配方法および粒子分配装置
JP2019531480A (ja) 粉末材料の一定の微量の分配および供給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03176310A (ja) 粉粒体の分包機
JP2004314983A (ja) 乾燥具材の袋詰め装置
US20170029218A1 (en) Dosing method and dosing device for particles of bulk material
CN209174326U (zh) 一种车载筛砂机
JPH05245821A (ja) 生コンクリートを型枠に均一に供給する方法並びに供給装置
JP3599299B2 (ja) ホッパ及び粉砕混合装置
US41868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lecting a stream of spreadable particles
JP2809898B2 (ja) 回転式分包機における粉粒体供給方法及び粉粒体供給制御装置
CN104929646B (zh) 一种布料装置及滑模体的布料平台
JPH11198901A (ja) 粉粒体の充填機
JP4259128B2 (ja) 移動盛込装置による原料の盛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