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505B1 - 차량 시팅용 위치 조절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 시팅용 위치 조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505B1
KR101605505B1 KR1020147024965A KR20147024965A KR101605505B1 KR 101605505 B1 KR101605505 B1 KR 101605505B1 KR 1020147024965 A KR1020147024965 A KR 1020147024965A KR 20147024965 A KR20147024965 A KR 20147024965A KR 101605505 B1 KR101605505 B1 KR 101605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ed portion
window
latch
longitudinal end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1476A (ko
Inventor
알렉산더 아이. 바린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40121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37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 B60N2/085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about a transversal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636Detents
    • Y10T74/20714Lever carried rack

Abstract

차량 시팅 시스템은, 레일에 대한 차량 시트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레일 내에서 각각의 윈도우들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치형부(40)들을 갖는 래치(32)를 포함한다. 래치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분리된 제 1 치형부(50) 및 제 2 치형부(58)를 포함한다. 제 1 치형부는 제 1 윈도우의 길이 방향 단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내부면을 포함하는 한편, 제 1 치형부는 제 1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제 1 윈도우에 맞물림되며, 제 2 치형부는 제 2 윈도우의 길이 방향 단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내부면을 포함하는 한편, 제 2 치형부는 제 1 길이 방향에 대항하는 제 2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제 2 윈도우에 맞물림된다.

Description

차량 시팅용 위치 조절 조립체 {POSITION ADJUSTMENT ASSEMBLY FOR VEHICLE SEATING}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차량 시팅용 위치 조절 조립체"인 2012년 2월 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일련번호 61/595,498호로부터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 시팅, 그리고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장(vehicle interior)에 대한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위치 조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 시팅은, 전형적으로 운전자 또는 승객을 지지하기 위해서 시트 보텀(seat bottom) 및 시트 백(seat back)을 포함한다. 소정의 시팅 구성들에서, 시트 보텀 및 시트 백 양자 모두는 강성 샤시, 쿠션들, 및 패브릭 커버링을 포함한다. 쿠션들은 강성 샤시에 커플링되며, 패브릭 커버링은 조립체를 중심으로 배치된다. 시트 보텀의 강성 샤시는 승객의 체중(즉, 수직 부하)을 지탱하도록 기능하며, 차량의 플로어에 시트를 커플링한다. 소정의 구성들에서, 시트 보텀 샤시는 트랙을 따라 차량 시팅의 길이방향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캐리지에 커플링된다. 게다가, 시트 백 샤시는 승객이 시트 백을 소망하는 위치로 조절하는 것을 가능케 하도록 시트 보텀 샤시에 대해 선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차량 시팅 시스템들은 차량 내장에 대해 시트의 길이 방향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위치 조절 조립체를 포함한다. 소정의 위치 조절 조립체들은 차량 시트에 장착된 상부 레일, 및 차량 내장의 플로어에 장착된 하부 레일을 포함한다. 상부 레일은 하부 레일에 맞물림되고, 시트의 길이 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하부 레일에 대해 병진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소정의 구성들에서, 위치 조절 조립체는, 또한 상부 레일에 커플링되는 래치를 포함한다. 래치는 시트의 길이 방향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하부 레일의 윈도우들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다중 치형부들을 포함한다.
소정의 구성들에서, 래치는 래치를 가압하여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는 아암으로부터 연장한다. 이러한 구성들에서, 아암은 스프링 강과 같은 탄성 재료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불행하게도, 높은 중력 가속도 경우 중에, 치형부들과 각각의 윈도우들 사이 접촉력은 아암을 변형시키는 것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윈도우에 대한 치형부들의 각도를 변화시킨다. 그 결과, 치형부들은 각각의 윈도우들로부터 미끄러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하부 레일에 대한 상부 레일의 병진운동을 가능케 하며, 차량 내장에 대한 시트 움직임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은, 레일에 대한 차량 시트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레일 내에서 각각의 윈도우들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치형부들을 갖는 래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래치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분리된 제 1 치형부 및 제 2 치형부를 포함한다. 제 1 치형부는 맞물림면 및 잠금면을 포함하고, 제 1 치형부의 맞물림면은 제 1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제 1 치형부의 맞물림면과 제 1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 제 1 접촉력은 제 1 문턱값 미만이며, 제 1 치형부의 맞물림면은 제 1 치형부의 잠금면을 향해 제 1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를 지향하도록 각을 이루는 한편, 제 1 접촉력은 제 1 문턱값과 같거나 그를 초과하며, 제 1 치형부의 잠금면은 제 1 치형부의 잠금면과 제 1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에서 접촉시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치형부는 맞물림면 및 잠금면을 포함하고, 제 2 치형부의 맞물림면은 제 1 길이 방향에 대항하는 제 2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제 2 치형부의 맞물림면과 제 2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 제 2 접촉력은 제 2 문턱값 미만이며, 제 2 치형부의 맞물림면은 제 2 치형부의 잠금면을 향해 제 2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를 지향하도록 각을 이루는 한편, 제 2 접촉력은 제 2 문턱값과 같거나 그를 초과하며, 제 2 치형부의 잠금면은 제 2 치형부의 잠금면과 제 2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에서 접촉시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에 대한 차량 시트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레일 내에서 제 1 윈도우와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제 1 치형부를 갖는 래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 1 치형부는 맞물림면 및 잠금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치형부의 맞물림면은 제 1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제 1 치형부의 맞물림면과 제 1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 제 1 접촉력은 제 1 문턱값 미만이며, 제 1 치형부의 맞물림면은 제 1 치형부의 잠금면을 향해 제 1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를 지향하도록 각을 이루는 한편, 제 1 접촉력은 제 1 문턱값과 같거나 그를 초과하며, 제 1 치형부의 잠금면은 제 1 치형부의 잠금면과 제 1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에서 접촉시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레일에 대한 차량 시트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레일 내에서 각각의 윈도우들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치형부들을 갖는 래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래치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분리된 제 1 치형부 및 제 2 치형부를 포함한다. 제 1 치형부는 제 1 윈도우의 길이 방향 단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내부면을 포함하는 한편, 제 1 치형부는 제 1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제 1 윈도우에 맞물림되며, 제 2 치형부는 제 2 윈도우의 길이 방향 단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내부면을 포함하는 한편, 제 2 치형부는 제 1 길이 방향에 대항하는 제 2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제 2 윈도우에 맞물림된다.
도 1은 위치 조절 조립체를 갖는 시트를 포함할 수 있는 예시적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시트 보텀 및 시트 백을 포함하는 예시적 시트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시트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레일에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래치를 포함하는, 위치 조절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4-4선 내를 취한, 도 3에 도시된 래치의 상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5-5선 내를 취한, 도 4에 도시된 래치의 제 1 치형부의 상세 횡단면도이다.
도 6은 6-6선 내를 취한, 도 4에 도시된 래치의 제 5 치형부의 상세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제 1 길이방향으로의 힘의 인가 이후에, 도 3 에 도시된 래치의 상세 횡단면도이다.
도 8은 제 2 길이방향으로의 힘의 인가 이후에, 도 3에 도시된 래치의 상세 횡단면도이다.
도 1은 위치 조절 조립체를 갖는 시팅을 포함하는 예시적 차량(10)의 사시도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은 시트(14)를 갖는 내장(interior)(12)을 포함한다. 이하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시트(14)는 차량 내장(12)에 대해 시트(14)의 길이방향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위치 조절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위치 조절 조립체는 레일에 대한 시트(14)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레일 내에서 각각의 윈도우들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다중 치형부들을 갖는 래치를 포함한다. 래치는 서로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제 1 치형부 및 제 2 치형부를 포함한다. 제 1 치형부는 제 1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내부면을 포함하는 한편, 제 1 치형부는 제 1 윈도우에 맞물림되며, 이에 의해 제 1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한다. 유사하게, 제 2 치형부는 제 2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내부면을 포함하는 한편, 제 2 치형부는 제 2 윈도우에 맞물림되며, 이에 의해 제 1 길이방향에 대향하는 제 2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제 2 길이방향으로(예컨대, 전방 충돌을 통해) 시트(14)에 힘이 인가되면, 제 2 치형부와 제 2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의 접촉은 접촉 지점에 대해 토크를 유도하며, 이에 의해 제 1 윈도우 내로 제 1 치형부를 더멀리(farther) 구동한다. 반대로, 제 1 길이방향으로(예컨대, 후미 추돌을 통해) 시트(14)에 힘이 인가되면, 제 1 치형부와 제 1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의 접촉은 접촉 지점에 대해 토크를 유도하며, 이에 의해 제 2 윈도우 내로 제 2 치형부를 구동한다. 치형부들이 힘의 인가중 이들 각각의 윈도우들 내에 유지되기 때문에, 충돌과 관련된 에너지가 치형부들 각각에 걸쳐 분배되며, 이에 의해 충돌 중 시트 움직임의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감소 또는 제거한다.
도 2는 시트 보텀(16) 및 시트 백(18)을 포함하는 예시적 시트(14)의 전방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시트 보텀(16)은 시트 보텀 샤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쿠션들 및 패브릭 커버링을 포함한다. 시트 보텀 샤시는 정상적인 차량 작동 중 그리고 높은 중력가속도 경우들(예컨대, 급가속 또는 감속 등) 중에, 승객의 체중을 지지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시트 보텀 샤시는 시트 보텀(16)을 차량(10)의 플로어에 고정하고, 시트 백(18)을 위한 장착면을 제공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쿠션들은 승객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해서 시트 보텀 샤시에 커플링될 수 있으며, 패브릭 커버링은 요망하는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서 그리고/또는 시트 보텀(16)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조립체에 대해 배치될 수 있다. 시트 백(18)은 유사한 방식으로, 즉 강성 샤시에 고정되며 패브릭 커버링으로 둘러싸이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쿠션들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시트 보텀(16)은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을 갖는 위치 조절 조립체(20)에 고정된다. 상부 레일은 시트 보텀(16)에 커플링되며, 하부 레일은 장착 피트(mounting feet)(22)에 의해 차량(10)의 플로어에 장착된다. 하기에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상부 레일은 차량 내장(12)에 대한 시트(14)의 길이방향 위치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하부 레일에 대해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팅 위치의 조절은 수동식 또는 보조식일 수 있다. 예컨대, 전기 모터가 랙 및 피니언(rack and pinion) 시스템과 같은 적절한 기구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시트(14)를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시트 백(18)은 시트 보텀(16)에 대해 기울어지도록(recline)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시트 백(18)의 조절은, 예컨대 수동식 또는 전기 모터에 의한 보조식일 수 있다.
하기에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위치 조절 조립체(20)는 차량 내장(12)에 대한 시트(14)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하부 레일 내에서 각각의 윈도우들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는 다중 치형부들을 갖는 래치를 포함한다. 래치는 서로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제 1 치형부 및 제 2 치형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치형부의 내부면은 각각의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하부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어느 한 쪽의(either) 길이방향으로(예컨대, 차량 충돌을 통해) 시트(14)에 힘이 인가되면, 치형부와 각각의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의 접촉은 접촉 지점에 대해 토크를 유도하며, 이에 의해 각각의 윈도우 내로 다른 치형부를 더멀리(farther) 구동한다. 치형부들이 힘의 인가중 그들의 각각의 윈도우들 내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충돌과 관련된 에너지는 치형부들 각각을 가로질러 분배되며, 이에 의해 충돌 동안 시트 움직임의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감소 또는 제거한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치형부는 맞물림면 및 잠금면을 포함한다. 맞물림면은 문턱값(threshold value)과 같거나 그보다 더 큰 접촉력의 인가시 잠금면을 향해 각각의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를 지향하도록 각을 이룬다(angled). 게다가, 잠금면은 잠금면과 각각의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에서 접촉시 하부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잠금면이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맞물림면은 윈도우로부터 치형부의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를 용이하게 하도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잠금면이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를 기계적으로 캡쳐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각각의 치형부의 형상은 치수 편차(dimensional variation)들에 덜 민감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각각의 치형부의 표면은, 잠금 각도로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와 맞물림함으로써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치형부에 비해, 마찰 계수에 덜 민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래치를 형성하는데 관련된 제조 비용들이 실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도 3은 시트(14)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레일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래치를 포함하는, 위치 조절 조립체(20)의 일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위치 조절 조립체(20)는 (예컨대, 장착 피트(22)를 통해) 차량(10)의 플로어에 장착되는 하부 레일(24), 및 시트 보텀(16)에 장착되는 상부 레일(26)을 포함한다. 상부 레일(26)은 하부 레일(24)을 캡쳐하도록 구성된 리세스를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C자형 횡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서, 시트(14)의 수직 부하(vertical load)가 상부 레일(26)로부터 하부 레일(24)로 그리고 이후 차량(10)의 플로어로 전달된다. 또한, 상부 레일(26)은 시트(14)의 위치 조절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부 레일(24)에 대해 병진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시트(14)는 하부 레일(24)에 대한 제 1 길이방향(28)으로의 상부 레일(26)의 움직임을 통해 전방 방향(forward direction)(즉, 스티어링 휠을 향함)으로 병진운동될 수 있다. 반대로, 시트(14)는 하부 레일(24)에 대한 제 2 길이방향(30)으로의 상부 레일(26)의 움직임을 통해 후방 방향(rearward direction)(예컨대, 스티어링 휠로부터 멀어짐)으로 병진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트(14)는 운전자 또는 승객 안락함을 위해 소망하는 위치로 조절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위치 조절 조립체(20)는 부착 부재(34), 아암(36) 및 래치(38)를 갖는 래치 조립체(32)를 포함한다. 부착 부재(34)는 상부 레일(26)에 커플링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래치 조립체(32)를 차량 시트(14)에 고정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래치(38)는 상부 레일(26)의 각각의 윈도우(42)들 및 하부 레일(24)의 각각의 윈도우(44)들에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다중 치형부(40)들을 포함한다. 윈도우(42, 44)들 내에 배치된 치형부(40)들에 의해, 하부 레일(24)에 대한 상부 레일(26)의 움직임이 차단되며, 이에 의해 차량 내장(12)에 대한 시트(14)의 움직임을 차단한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래치 조립체(32)는 예컨대, 스프링 강과 같은 탄성 재료의 단일편(single piece)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아암(36)은 치형부(40)들을 윈도우(42, 44)들 내로 가압하며(urge), 이에 의해 하부 레일(24)에 대한 상부 레일(26)의 움직임을 차단한다. 시트(14)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래치(38)가 아암(36)의 바이어스(bias)에 대항하여 방향(46)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하부 레일(24)의 윈도우(44)들로부터 치형부(40)들을 제거한다. 그 결과, 상부 레일(26)은 제 1 길이방향(28) 또는 제 2 길이방향(30)으로 움직일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액츄에이터는 탭(tab)(48)을 통해 래치(38)에 커플링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운전자 또는 승객이 시트(14)를 소망하는 위치로 조절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하기에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래치(38)의 길이방향 일단부 상에 위치되는 제 1 치형부의 내부면은, 제 1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래치(38)의 길이방향 대향 단부 상에 위치되는 제 2 치형부의 내부면은, 제 2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하부 레일(24)에 대한 래치(38)의 움직임은, 길이방향(28, 30)들에서 차단된다. 게다가, 힘이 어느 한쪽 길이방향으로 (예컨대, 차량 충돌을 통해서) 시트(14)에 인가된다면, 제 1 치형부와 제 1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 접촉 또는 제 2 치형부와 제 2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 접촉은, 접촉 지점에 대한 토크를 유도하며, 이에 의해 이들 각각의 윈도우들 내로 더 멀리 다른 치형부들을 구동한다. 치형부들이 힘의 인가 중 이들 각각의 윈도우들 내에 유지되기 때문에, 충돌과 관련된 에너지가 치형부들의 각각에 걸쳐 분배되며, 이에 의해 충돌 중 시트 움직임의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감소 또는 제거한다.
도 4는 4-4 선 내에서 취한, 도 3에 도시된 래치의 상세 횡단면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래치(38)는 래치(38)의 제 1 길이방향 단부 상에 위치된 제 1 치형부(50)를 포함한다. 또한, 래치(38)는 방향(30)을 따라 제 1 치형부(50)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오프셋된 제 2 치형부(52), 방향(30)을 따라 제 2 치형부(52)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오프셋된 제 3 치형부(54), 및 방향(30)을 따라 제 3 치형부(54)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오프셋된 제 4 치형부(56)를 포함한다. 게다가, 래치(38)는 방향(30)을 따라 제 4 치형부(56)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오프셋되고 제 1 치형부(50)로부터 래치(38)의 길이방향 대향 단부 상에 위치된 제 5 치형부(58)를 포함한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치형부(40)들은 윈도우(42, 44)들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하부 레일(24)에 대한 상부 레일(26)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5 개의 치형부(40)들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포함되어 있지만, 대안의 실시예들은 더 많거나 더 적은 치형부들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소정의 실시예들은, 1, 2, 3, 4, 5, 6, 7, 8, 9, 10 또는 그 초과의 치형부(4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 1 치형부(50)는 제 2 길이방향(30)으로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치형부(40)들은 하부 레일(24)의 윈도우(44)들에 맞물림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0)와 제 1 치형부(50)의 맞물림면(62) 사이 접촉은, 방향(30)으로의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잠금 상태를 만든다. 래치 조립체(32)가 상부 레일(26)을 통해 시트(14)에 커플링되기 때문에, 차량 내장(12)에 대한 시트(14)의 후방 방향 움직임이 차단된다. 유사하게, 제 5 치형부(58)는 제 1 길이방향(28)으로의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치형부(40)들은 하부 레일(24)의 윈도우(44)들에 맞물림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4)와 제 5 치형부(58)의 맞물림면(66) 사이 접촉은 방향(28)으로의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잠금 상태를 만든다. 래치 조립체(32)가 상부 레일(26)을 통해 시트(14)에 커플링되기 때문에, 차량 내장에 대한 시트(14)의 전방 방향 움직임이 차단된다.
제 1 치형부(50)가 제 2 길이방향(30)으로의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제 5 치형부(58)가 제 1 길이방향(28)으로의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래치(38)는 소망하는 위치에 유지되는 한편, 치형부(40)들은 하부 레일(24)의 슬롯(44)들에 맞물림된다. 이에 따라, 전후 방향(fore/aft direction)으로의 시트(14)의 움직임은 래치(38)에 의해 차단된다. 하기에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28)으로(예컨대, 전방 충돌을 통해) 시트(14)에 힘이 인가된다면, 제 5 치형부(58)와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4) 사이 접촉은 접촉점에 대해 토크를 유도하여, 이에 의해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치형부들을 그들의 각각의 윈도우들 내로 더멀리 구동한다. 반대로, 길이방향(30)으로(예컨대, 후미 추돌을 통해) 시트(14)에 힘이 인가된다면, 제 1 치형부(50)와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0) 사이 접촉은 접촉점에 대해 토크를 유도하여, 이에 의해 제 2, 제 3, 제 4 및 제 5 치형부들을 그들의 각각의 윈도우들 내로 더멀리 구동한다. 힘의 인가 중 그들의 각각의 윈도우들 내에 치형부들을 유지하기 때문에, 충돌과 관련된 에너지는 치형부들의 각각에 걸쳐 분배되며, 이에 의해 충돌 중 시트 움직임의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감소 또는 제거한다.
도 5는 5-5선 내를 취한, 도 4에 도시된 래치(38)의 제 1 치형부(50)의 상세 횡단면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 1 치형부(50)의 맞물림면(62)은 잠금 각도(68)로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하부 레일(24)에 대한 길이방향(30)으로의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잠금 상태를 만든다. 잠금 각도는 윈도우(44)에 대한 치형부(50)의 측방향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요소들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을 만드는 각도이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잠금 각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요소들 사이의 마찰 계수에 의존한다. 예컨대, 잠금 각도(68)는 약 10°미만, 약 7°미만, 또는 약 5°미만일 수 있다. 예시로써, 잠금 각도(68)는 약 0°내지 10°, 약 1°내지 9°, 약 2°내지 8°, 약 3°내지 7°, 약 4°내지 6°, 또는 약 5.5°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상적인 차량 작동 중, 치형부(50)의 맞물림면(62)과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0) 사이 접촉은, 하부 레일(24)에 대한 길이방향(30)으로의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하며, 이에 의해 차량 내장(12)에 대한 시트(14)의 후방 방향 움직임을 차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또한, 제 1 치형부(50)는 맞물림면(62)에 인접 위치된 잠금면(70), 및 맞물림면(62)과 잠금면(70) 사이에 위치된 리세스(72)를 포함한다. 잠금면(70) 및 리세스(72)는, 차량 시트(14) 상에 과도한 힘(예컨대, 차량 충돌로부터)이 맞물림면(62)에 대해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0)가 미끄러지는 것(slip)을 유도한다면, 하부 레일(24)에 대한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예시된 실시예에서, 맞물림면(62)은 길이방향(30)을 따라 하부 레일(24)에 대한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맞물림면(62)과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0) 사이의 접촉력은 문턱값 미만이다. 게다가, 맞물림면(62)은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접촉력의 인가시, 잠금면(70)을 향해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0)를 지향하도록 각도를 이룬다. 이에 따라, 잠금면(70)은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0)에 대해 음의 각도(negative angle)로 배향되며, 이에 의해 잠금면(70)과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0) 사이 접촉시 하부 레일(24)에 대한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한다.
예시로써, 정상적인 차량 작동중(예컨대, 차량 가속, 차량 감속 등), 제 1 치형부(50)의 맞물림면(62)과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0) 사이 접촉력은, 문턱값 미만일 수 있다. 그 결과, 길이방향(30)으로의 하부 레일(24)에 대한 래치(38)의 움직임은 맞물림면(62)과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0) 사이 접촉에 의해 차단되며, 이에 의해 차량 내장(12)에 대한 시트(14)의 움직임을 차단한다. 그러나, 후미 추돌과 같은 높은 중력가속도 경우 동안, 맞춤면(62)과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0) 사이 접촉력은, 문턱값을 초과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0)가 리세스(72)에 대해 맞물림면(62)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유도한다. 예컨대,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래치 조립체(32)는 스프링 강과 같은 탄성 재료의 단일편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문턱값보다 큰 접촉력이 아암(36)에 변형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치형부(50)와 하부 레일(24) 사이 각도를 변화시킨다. 그 결과,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0)는, 면들 사이 각도가 잠금 각도(68)를 초과하여 증가함에 따라 맞물림면(62)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0)가 리세스(72)와 맞물리면, 잠금면(70)은 래치(38)에 대한 레일(24)의 움직임을 추가로 차단하며, 이에 의해 차량 내장(12)에 대한 시트(14)의 움직임을 차단한다. 예컨대, 잠금면(70)은 제 1 치형부(50)와 윈도우(44)의 맞물림면(60) 사이에 자기 잠금(self-locking) 상태를 만들기 위해서 음의 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즉, 맞물림면(62) 및 잠금면(70)은, 리세스(72)가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0)를 기계적으로 캡쳐하도록 각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하부 레일(24)에 대한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한다.
잠금면(70)이, 높은 중력 가속도 경우 중에 하부 레일(24)에 대한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맞물림면(62)은 윈도우(44)로부터 치형부(50)의 맞물림 및 맞물림해제를 용이하게 하도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잠금면(70)이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0)를 기계적으로 캡쳐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치형부(50)의 형상은 치수 편차들에 대해 덜 민감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치형부(50)의 표면은 잠금 각도로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를 맞물림함으로써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치형부에 비해서, 마찰계수에 대해 덜 민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래치 조립체(32)를 형성하는 것과 관련된 제조 비용들이 실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도 6은 6-6선 내를 취한, 도 4에 도시된 래치(38)의 제 5 치형부(58)의 상세 횡단면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 5 치형부(58)의 맞물림면(66)은 잠금 각도(74)로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4)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하부 레일(24)에 대한 길이방향(28)으로의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잠금 상태를 만든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잠금 각도는 윈도우(44)에 대한 치형부(58)의 측방향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요소들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을 만드는 각도이다. 예컨대, 잠금 각도(74)는 약 15°미만, 약 10°미만, 또는 약 5°미만일 수 있다. 예시로써, 잠금 각도(74)는 약 0°내지 15°, 약 2°내지 13°, 약 4°내지 12°, 약 6°내지 11°, 약 9°내지 11°, 또는 약 1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상적인 차량 작동 중, 맞물림면(66)과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4) 사이 접촉은, 하부 레일(24)에 대한 길이방향(28)으로의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하며, 이에 의해 차량 내장(12)에 대한 시트(14)의 전방 방향 움직임을 차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또한, 제 5 치형부(58)는 맞물림면(66)에 인접 위치된 잠금면(76), 및 맞물림면(66)과 잠금면(76) 사이에 위치된 리세스(78)를 포함한다. 잠금면(76) 및 리세스(78)는, 차량 시트(14) 상에 과도한 힘(예컨대, 차량 충돌로부터)이 맞물림면(66)에 대해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4)가 미끄러지는 것을 유도한다면, 하부 레일(24)에 대한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예시된 실시예에서, 맞물림면(66)은 길이방향(28)을 따라 하부 레일(24)에 대한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맞물림면(66)과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4) 사이의 접촉력은 문턱값 미만이다. 게다가, 맞물림면(66)은 문턱값과 같거나 그보다 큰 접촉력의 인가시, 잠금면(76)을 향해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4)를 지향하도록 각도를 이룬다. 이에 따라, 잠금면(76)은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4)에 대해 음의 각도로 배향되며, 이에 의해 잠금면(76)과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4) 사이 접촉시 하부 레일(24)에 대한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한다.
예시로써, 정상적인 차량 작동중(예컨대, 차량 가속, 차량 감속 등), 제 5 치형부(58)의 맞물림면(66)과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4) 사이 접촉력은, 문턱값 미만일 수 있다. 그 결과, 길이방향(28)으로의 하부 레일(24)에 대한 래치(38)의 움직임은 맞물림면(66)과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4) 사이 접촉에 의해 차단되며, 이에 의해 차량 내장(12)에 대한 시트(14)의 움직임을 차단한다. 그러나, 전방 충돌과 같은 높은 중력가속도 경우 동안, 맞물림면(66)과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4) 사이 접촉력은, 문턱값을 초과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4)가 리세스(78)에 대해 맞물림면(66)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유도한다. 예컨대,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래치 조립체(32)는 스프링 강과 같은 탄성 재료의 단일편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문턱값보다 큰 접촉력이 아암(36)에 변형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치형부(58)와 하부 레일(24) 사이 각도를 변화시킨다. 그 결과,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4)는, 면들 사이 각도가 잠금 각도(74)를 초과하여 증가함에 따라 맞물림면(66)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4)가 리세스(78)와 맞물리면, 잠금면(76)은 래치(38)에 대한 레일(24)의 움직임을 추가로 차단하며, 이에 의해 차량 내장(12)에 대한 시트(14)의 움직임을 차단한다. 예컨대, 잠금면(76)은 제 5 치형부(58)와 윈도우(44)의 맞물림면(66) 사이에 자기 잠금 상태를 만들기 위해서 음의 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즉, 맞물림면(66) 및 잠금면(76)은, 리세스(78)가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4)를 기계적으로 캡쳐하도록 각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하부 레일(24)에 대한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한다.
잠금면(76)이 높은 중력 가속도 경우 중에 하부 레일(24)에 대한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맞물림면(66)은 윈도우(44)로부터 치형부(58)의 맞물림 및 맞물림해제를 용이하게 하도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잠금면(76)이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4)를 기계적으로 캡쳐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치형부(58)의 형상은 치수 편차들에 대해 덜 민감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치형부(58)의 표면은 잠금 각도로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를 맞물림함으로써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치형부에 비해서, 마찰계수에 대해 덜 민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래치 조립체(32)를 형성하는 것과 관련된 제조 비용들이 실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제 1 치형부(50)가 길이 방향(30)으로의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제 5 치형부(58)가 길이 방향(28)으로의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다른 치형부들이 래치(38)의 길이방향 움직임을 차단하기 위해서 대안의 실시예들에서 활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제 2 치형부(52) 또는 제 3 치형부(54)가 길이 방향(30)으로의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제 3 치형부(54) 또는 제 4 치형부(56)가 길이 방향(28)으로의 래치(38)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 1 치형부 및 제 5 치형부를 참조하여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치형부는 맞물림면 및 잠금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제 1 길이 방향(28)으로의 힘의 인가 이후, 도 3에 도시된 래치(38)의 상세 횡단면도이다. 예컨대, 전방 충돌은 시트(14)를 전방 방향으로(즉, 스티어링 휠을 향해) 움직이도록 가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하부 레일(24)에 대해 길이 방향(28)으로 래치(38)를 구동한다. 충분한 힘이 시트(14)에 인가되면, 윈도우(44)의 길이 방향 단부(64)는 예시된 바와 같이 제 5 치형부(58)의 맞물림면(66)을 따라 리세스(78)로 미끄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향(28)으로의 래치(38)의 추가 움직임은 윈도우(44)의 길이 방향 단부(64)와 잠금면(76) 사이 접촉에 의해 차단된다. 추가로, 길이방향 단부(64)가 리세스(78) 내에서 맞물림되기 때문에, 제 1 측방향(80)으로의 이동 및 제 2 측방향(82)으로의 이동은 차단된다. 그 결과, 높은 중력가속도 경우 중에 윈도우(44)와 제 5 치형부(58)의 맞물림해제 가능성이 실질적으로 감소되거나 제거된다.
게다가, 길이방향(28)으로 시트(14)에 힘이 인가됨에 따라(예컨대, 전방 충돌 중), 제 5 치형부(58)와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4) 사이 접촉은 방향(84)으로의 리세스(78)에 대한 토크를 유도한다. 그 결과, 제 1 치형부(50), 제 2 치형부(52), 제 3 치형부(54) 및 제 4 치형부(56)는 이들 각각의 윈도우(44)들 내로 더 멀리 구동된다. 치형부들이 힘의 인가중 이들 각각의 윈도우들 내에 유지되기 때문에, 충돌과 관련된 에너지가 치형부들 각각에 걸쳐 분배되며, 이에 의해 충돌 중 시트 움직임의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감소 또는 제거한다.
도 8은 제 2 길이 방향(30)으로의 힘의 인가 이후, 도 3에 도시된 래치(38)의 상세 횡단면도이다. 예컨대, 후미 추돌은 시트(14)를 후방 방향으로(즉, 스티어링 휠로부터 멀리) 움직이도록 가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하부 레일(24)에 대해 길이 방향(30)으로 래치(38)를 구동한다. 충분한 힘이 시트(14)에 인가되면, 윈도우(44)의 길이 방향 단부(60)는 예시된 바와 같이 제 1 치형부(50)의 맞물림면(62)을 따라 리세스(72)로 미끄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향(30)으로의 래치(38)의 추가 움직임은 윈도우(44)의 길이 방향 단부(60)와 잠금면(70) 사이 접촉에 의해 차단된다. 추가로, 길이방향 단부(60)가 리세스(72) 내에서 맞물림되기 때문에, 제 1 측방향(80)으로의 이동 및 제 2 측방향(82)으로의 이동은 차단된다. 그 결과, 높은 중력가속도 경우 중에 윈도우(44)와 제 1 치형부(50)의 맞물림해제 가능성이 실질적으로 감소되거나 제거된다.
게다가, 길이방향(30)으로 시트(14)에 힘이 인가됨에 따라(예컨대, 후미 추돌 중), 제 1 치형부(50)와 윈도우(44)의 길이방향 단부(60) 사이 접촉은 방향(86)으로의 리세스(72)에 대한 토크를 유도한다. 그 결과, 제 2 치형부(52), 제 3 치형부(54), 제 4 치형부(56) 및 제 5 치형부(58)는 이들 각각의 윈도우(44)들 내로 더 멀리 구동된다. 치형부들이 힘의 인가중 이들 각각의 윈도우들 내에 유지되기 때문에, 충돌과 관련된 에너지가 치형부들 각각에 걸쳐 분배되며, 이에 의해 충돌 중 시트 움직임의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감소 또는 제거한다.
본 발명의 단지 특정의 특징들 및 실시예들만이 예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청구범위들에서 인용된 요지의 신규의 교시들 및 이점들로부터 실질적으로(materially) 벗어나지 않고 다수의 변형예들 및 변경예들(예컨대, 다양한 요소들의 크기들, 치수들, 구조들, 형상들 및 비율들, 파라미터들(예컨대, 온도들, 압력들 등)의 값들, 장착 배열체들, 재료들의 사용, 색들, 배향들의 변경들 등)이 당업자들에게 발생될 수 있다. 임의의 프로세스 또는 방법 단계들의 순서 또는 시퀀스는 대안의 실시예들에 따라 변경 또는 재배열(re-sequence)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내에 있는 이러한 수정예들 및 변경예들 모두를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게다가, 예시적 실시예들의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에 있어서, 실제 구현예의 모든 특징들이, 설명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즉, 본 발명을 실행하는데 현재 고려되는 최적의 양태에 관련되지 않은 것들, 또는 청구된 본 발명을 가능하게 하는 데 관련되지 않은 것들). 이러한 임의의 실제 구현예의 개발시, 임의의 공학적 또는 설계 프로젝트에서와 같이, 다양한 구현의 특정한 결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상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개발 노력은, 복잡하며 시간소모적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의 이점을 갖는 당업자가 과도한(undue) 실험 없이도 설계, 제작 및 제조에 있어서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것(routine)일 것이다.

Claims (20)

  1. 차량 시팅 시스템으로서,
    레일에 대한 차량 시트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레일 내에서 각각의 윈도우(window)들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치형부들을 갖는 래치(latch)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분리된 제 1 치형부(thooth) 및 제 2 치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치형부는 맞물림면 및 잠금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치형부의 맞물림면과 제 1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 제 1 접촉력이 제 1 문턱값(threshold value) 미만인 동안, 상기 제 1 치형부의 맞물림면은 제 1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접촉력이 제 1 문턱값과 같거나 그를 초과하는 동안, 상기 제 1 치형부의 맞물림면은 제 1 치형부의 잠금면을 향해 제 1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를 지향시키도록 각을 이루며,
    상기 제 1 치형부의 잠금면은 제 1 치형부의 잠금면과 제 1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에서 접촉시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치형부는 맞물림면 및 잠금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치형부의 맞물림면과 제 2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 제 2 접촉력이 제 2 문턱값 미만인 동안, 상기 제 2 치형부의 맞물림면은 제 1 길이 방향에 대항하는 제 2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접촉력이 제 2 문턱값과 같거나 그를 초과하는 동안, 상기 제 2 치형부의 맞물림면은 제 2 치형부의 잠금면을 향해 제 2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를 지향시키도록 각을 이루며,
    상기 제 2 치형부의 잠금면은 제 2 치형부의 잠금면과 제 2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에서 접촉시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시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래치 조립체의 아암(arm)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래치 조립체는 부착 부재(attachment member)를 통해 차량 시트에 커플링되는,
    차량 시팅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조립체는 탄성 재료의 단일편(single piece)으로부터 형성되는,
    차량 시팅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재료는 스프링 강(steel)을 포함하는,
    차량 시팅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치형부의 맞물림면은 제 1 잠금 각도로 제 1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와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시팅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잠금 각도는 4°내지 6°인,
    차량 시팅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치형부의 맞물림면은 제 2 잠금 각도로 제 2 윈도우의 길이 방향 단부와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시팅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잠금 각도는 9°내지 11°인,
    차량 시팅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차량 시트에 제 2 길이 방향으로의 제 1 힘의 인가시 제 1 윈도우 내로 제 1 치형부를 가압하도록(urge) 구성되는,
    차량 시팅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차량 시트에 제 1 길이 방향으로의 제 2 힘의 인가시 제 2 윈도우 내로 제 2 치형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시팅 시스템.
  11. 차량 시팅 시스템으로서,
    레일에 대한 차량 시트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레일 내에서 제 1 윈도우와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제 1 치형부를 갖는 래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치형부는 맞물림면 및 잠금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치형부의 맞물림면과 제 1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 제 1 접촉력이 제 1 문턱값 미만인 동안, 상기 제 1 치형부의 맞물림면은 제 1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접촉력이 제 1 문턱값과 같거나 그를 초과하는 동안, 상기 제 1 치형부의 맞물림면은 제 1 치형부의 잠금면을 향해 제 1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를 지향시키도록 각을 이루며,
    상기 제 1 치형부의 잠금면은 제 1 치형부의 잠금면과 제 1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에서 접촉시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시팅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차량 시팅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제 1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 치형부로부터 오프셋(offset)된 제 2 치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는 차량 시트에 제 1 길이 방향으로의 제 1 힘의 인가시 제 2 윈도우 내로 제 2 치형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시팅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치형부는 맞물림면 및 잠금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치형부의 맞물림면과 제 2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 제 2 접촉력이 제 2 문턱값 미만인 동안, 상기 제 2 치형부의 맞물림면은 제 1 길이 방향에 대항하는 제 2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접촉력이 제 2 문턱값과 같거나 그를 초과하는 동안, 상기 제 2 치형부의 맞물림면은 제 2 치형부의 잠금면을 향해 제 2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를 지향시키도록 각을 이루며,
    상기 제 2 치형부의 잠금면은 제 2 치형부의 잠금면과 제 2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에서 접촉시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시팅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차량 시트에 제 2 길이 방향으로의 제 2 힘의 인가시 제 1 윈도우 내로 제 1 치형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시팅 시스템.
  16. 차량 시팅 시스템으로서,
    레일에 대한 차량 시트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레일 내에서 각각의 윈도우들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치형부들을 갖는 래치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분리된 제 1 치형부 및 제 2 치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치형부는 제 1 윈도우의 길이 방향 단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내부면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 1 치형부는 제 1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제 1 윈도우에 맞물림되며,
    상기 제 2 치형부는 제 2 윈도우의 길이 방향 단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내부면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 2 치형부는 제 1 길이 방향에 대항하는 제 2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제 2 윈도우에 맞물림되며,
    상기 제 1 치형부의 내부면은 맞물림면 및 잠금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치형부의 맞물림면은 제 1 문턱값과 같거나 그를 초과하는 제 1 접촉력의 인가시 제 1 치형부의 잠금면을 향해 제 1 윈도우의 길이 방향 단부를 지향시키도록 각을 이루며, 상기 제 1 치형부의 잠금면은 제 1 치형부의 잠금면과 제 1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에서 접촉시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치형부의 내부면은 맞물림면 및 잠금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치형부의 맞물림면은 제 2 문턱값과 같거나 그를 초과하는 제 2 접촉력의 인가시 제 2 치형부의 잠금면을 향해 제 2 윈도우의 길이 방향 단부를 지향하도록 각을 이루며, 제 2 치형부의 잠금면은 제 2 치형부의 잠금면과 제 2 윈도우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에서 접촉시 레일에 대한 래치의 움직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시팅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차량 시팅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차량 시트에 제 2 길이 방향으로의 제 1 구동 힘의 인가시 제 1 윈도우 내로 제 1 치형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래치는 차량 시트에 제 1 길이 방향으로의 제 2 구동 힘의 인가시 제 2 윈도우 내로 제 2 치형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시팅 시스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치형부의 맞물림면은, 제 1 잠금 각도로 제 1 윈도우의 길이 방향 단부와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치형부의 맞물림면은, 제 2 잠금 각도로 제 2 윈도우의 길이 방향 단부와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시팅 시스템.

  20. 삭제
KR1020147024965A 2012-02-06 2013-01-29 차량 시팅용 위치 조절 조립체 KR101605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95498P 2012-02-06 2012-02-06
US61/595,498 2012-02-06
PCT/US2013/023540 WO2013119411A1 (en) 2012-02-06 2013-01-29 Position adjustment assembly for vehicle sea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476A KR20140121476A (ko) 2014-10-15
KR101605505B1 true KR101605505B1 (ko) 2016-03-22

Family

ID=4768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965A KR101605505B1 (ko) 2012-02-06 2013-01-29 차량 시팅용 위치 조절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44202B2 (ko)
EP (1) EP2812209B1 (ko)
JP (1) JP5908120B2 (ko)
KR (1) KR101605505B1 (ko)
CN (1) CN104093595B (ko)
WO (1) WO20131194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6388B (zh) * 2018-10-19 2023-04-07 麦格纳座椅公司 与长导轨组件一起使用的可移除座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6080A (ja) 2005-11-07 2007-05-24 Shiroki Corp シートトラックのロック機構
WO2009128848A1 (en) * 2007-06-11 2009-10-2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atch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9234Y2 (ko) 1984-12-12 1989-11-24
US5234189A (en) 1992-04-23 1993-08-10 Hoover Universal, Inc. Seat assembly with irreversible pawl adjusting latch mechanism
DE4400474C1 (de) * 1994-01-11 1995-03-09 Keiper Recaro Gmbh Co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Fahrzeugsitz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JPH09104265A (ja) 1995-10-12 1997-04-22 Nhk Spring Co Ltd シートスライドレールのロック機構
US6216995B1 (en) * 1998-10-22 2001-04-17 Johnson Contools Technology Company Solenoid activated manual adjuster
EP1316465B2 (de) * 2001-11-28 2014-06-04 C.Rob. Hammerstein GmbH & Co.KG Arretiervorrichtung mit gerillten Sperrstiften
JP4433925B2 (ja) * 2004-07-27 2010-03-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DE602005002720T2 (de) 2004-12-20 2008-07-17 Aisin Seiki K.K., Kariya Sitzgleitschienen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
US7905461B2 (en) * 2005-05-19 2011-03-1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eat track latch assembly
JP2008049891A (ja) * 2006-08-25 2008-03-06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176313B2 (ja) 2006-12-08 2013-04-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4986036B2 (ja) * 2007-04-05 2012-07-2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機構
DE102008034788B4 (de) * 2008-02-28 2012-06-14 Lear Corporation Sitzanordnung und Längs-Sitz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KR20100044775A (ko) * 2008-04-18 2010-04-30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래치 메커니즘
WO2010080597A1 (en) * 2008-12-19 2010-07-15 Lear Corporation Adjustable seat track with zero chuck lock
FR2958230B1 (fr) * 2010-04-02 2012-04-13 Faurecia Sieges Automobile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comportant une telle glissie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6080A (ja) 2005-11-07 2007-05-24 Shiroki Corp シートトラックのロック機構
WO2009128848A1 (en) * 2007-06-11 2009-10-2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atch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12209B1 (en) 2016-10-05
US9944202B2 (en) 2018-04-17
KR20140121476A (ko) 2014-10-15
CN104093595B (zh) 2017-03-08
US20150020643A1 (en) 2015-01-22
JP5908120B2 (ja) 2016-04-26
EP2812209A1 (en) 2014-12-17
CN104093595A (zh) 2014-10-08
WO2013119411A1 (en) 2013-08-15
JP2015506311A (ja) 2015-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9217B2 (en) Vehicle seat
US9616777B2 (en) Vehicle seat
US9610874B2 (en) Head restraint which is movable in the X direction
EP2847029B1 (en) Longitudinal adjuster for a vehicle seat
US11912179B2 (en) Seat rail module for a vehicle seat for vehicle seat deceleration in the event of a crash
US9199555B2 (en) Easy entry mechanism for vehicle seating
US20120013159A1 (en) Child Safety Seat
US9254762B2 (en) Seat structure for vehicle
EP3024690B1 (en) Structural cam for latch
US20130169021A1 (en) Locking member of vehicle seat device, vehicle seat device, and seat placement body
JP6286493B2 (ja) 車両用シート
US8979202B2 (en) Crash-active headrest having a locking pushbutton
KR101605505B1 (ko) 차량 시팅용 위치 조절 조립체
JP5315859B2 (ja) 車両用シート
KR102234593B1 (ko) 차량용 시트 구조
JP6235328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2017202796A (ja) 乗物用シート
WO2021023730A1 (en) A headrest for a vehicle seat
CN214523436U (zh) 手动式座椅滑轨总成
CN114633670A (zh) 可调节安装座及儿童安全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