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847B1 - 제어반용 제습장치 - Google Patents

제어반용 제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847B1
KR101604847B1 KR1020150063276A KR20150063276A KR101604847B1 KR 101604847 B1 KR101604847 B1 KR 101604847B1 KR 1020150063276 A KR1020150063276 A KR 1020150063276A KR 20150063276 A KR20150063276 A KR 20150063276A KR 101604847 B1 KR101604847 B1 KR 101604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body
control panel
spac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니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니토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니토이
Priority to KR1020150063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847B1/ko
Priority to CN201680025455.6A priority patent/CN107548445B/zh
Priority to PCT/KR2016/004453 priority patent/WO201617848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은 제어반의 외면에 밀착 고정됨과 더불어 제어반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두 연통공이 상하로 이격 형성되고, 배면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케이스체; 상기 케이스체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케이스체 내부를 두 연통공이 위치되는 흡열측 공간과 공기흡입구 및 공기배출구가 위치되는 발열측 공간으로 각각 구획하는 구획격벽; 상기 구획격벽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발열측 부위는 상기 발열측 공간으로 노출됨과 동시에 흡열측 부위는 상기 흡열측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진 열전모듈; 상기 케이스체 내의 흡열측 공간 중 상기 두 연통공 사이를 가로막도록 위치되면서 상기 두 연통공이 형성된 공간을 상하로 구획함과 더불어 후단은 상기 구획된 상하 공간이 연통되도록 개방된 구조의 안내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반용 제습장치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제어반 내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원활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어반용 제습장치{dehumidifier device for a control panel}
본 발명은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반의 외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어반 내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원활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제어반용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어반은 각종 전자 장치나 제조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다양한 회로 부품 및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장비이다.
이와 같은 제어반 중 산업용 제조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어반의 경우는 제조 장치가 구비된 작업장 내에 설치되며, 이로써 작업장 내의 환경에 의한 영향을 크게 적용받게 된다.
즉, 통상의 제어반은 다양한 회로 부품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습기에 매우 취약할 뿐만 아니라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분진이나 유분 등에 오작동이나 손상 발생이 잦을 수밖에 없었으며, 이로써 열악한 환경의 산업용 제어반의 경우는 잦은 고장이 발생될 수박에 없다는 문제점 및 쇼트에 따른 화재의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작업 현장에 위치되는 제어반을 습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제습장치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습장치의 제습 운전에 의해 상기 제어반 내부가 습기로 인해 손상되거나 오작동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0544563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7614호, 등록특허 제10-0424345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장치는 제어반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어반 내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습을 위해 가열된 고온의 열기가 상기 제어반 내로 제공될 수밖에 없고, 이러한 고온의 열기로 인해 상기 제어반 내의 각종 회로 부품이 손상되거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추가로 발생되었다.
물론, 최근에는 등록특허 제10-0781347호 및 등록특허 제10-0473193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습장치를 제어반의 외벽면에 장착한 기술이 제공되면서 상기 제습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고온의 열기로 인해 제어반 내의 회로 부품이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된 기술들은 공기의 유동 특성을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원활한 제습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작업 현장 내에 존재하는 각종 분진이나 유분 등에 대한 대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해당 제습장치가 작업 현장 내부의 영향으로 쉽게 고장나는 현상이 발생되어 실질적으로 열악한 제조공장의 소형 제어반에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반의 외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어반 내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원활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제어반용 제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어반용 제습장치는 전면은 제어반의 외면에 밀착 고정됨과 더불어 제어반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두 연통공이 상하로 이격 형성되고, 배면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케이스체; 상기 케이스체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케이스체 내부를 두 연통공이 위치되는 흡열측 공간과 공기흡입구 및 공기배출구가 위치되는 발열측 공간으로 각각 구획하는 구획격벽; 상기 구획격벽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발열측 부위는 상기 발열측 공간으로 노출됨과 동시에 흡열측 부위는 상기 흡열측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진 열전모듈; 상기 케이스체 내의 흡열측 공간 중 상기 두 연통공 사이를 가로막도록 위치되면서 상기 두 연통공이 형성된 공간을 상하로 구획함과 더불어 후단은 상기 구획된 상하 공간이 연통되도록 개방된 구조의 안내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획격벽은 상기 케이스체 내에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각 공간의 열기가 서로 전도됨을 차단하도록 단열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체의 저면 후방측에는 응축수배출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체의 저면은 상기 응축수배출공이 형성된 후방측 부위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체의 공기흡입구에는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분진이나 유분 및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체의 배면에는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가 저부로부터 상승 유동되면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유동안내관이 더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체의 상면에는 상기 공기배출구 내로 분진이나 이물질이 낙하되어 유입됨을 방지하면서 공기의 배출 유동을 안내하는 가림막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연통공 중 적어도 어느 한 연통공에는 제1송풍팬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공기흡입구 및 공기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2송풍팬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장치에 의해 제어반은 고온의 열기나 높은 습도로 인해 각 전장부품의 오작동이나 고장 발생 등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습장치는 구획격벽의 경사진 설치구조나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 및 각 연통공에 대한 배치구조 그리고, 안내플레이트의 배치구조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각 방열핀과의 열교환 성능이 극대화될 수 있게 되어 제습성능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장치는 작업 현장 내부의 공기에 존재하는 각종 분진이나 쇳가루 혹은, 유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해당 이물질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용 제습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용 제습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용 제습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측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용 제습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본 측면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
도 6은 도 4의 “B”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용 제습장치 중 열전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용 제습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각 방향별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제어반용 제습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용 제습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용 제습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용 제습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측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용 제습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
이때, 상기 각 도면 중 사시도의 경우는 내부 구조의 설명을 위해 케이스체의 어느 한 측벽을 제거한 상태로 도시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용 제습장치는 크게 케이스체(100)와, 구획격벽(200)과, 열전모듈(300)과, 안내플레이트(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용 제습장치는 제어반(10)의 외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어반(10) 내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원활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케이스체(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용 제습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케이스체(100)는 각 벽면을 갖는 박스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체(100)의 각 벽면들은 서로 조립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어느 한 벽면의 경우는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케이스체(100)의 전면(110)은 제어반(10)의 외면에 밀착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체(100)가 밀착되는 제어반(10)의 외면이라 함은 상기 제어반(10) 내의 공기 유출입을 위한 유출공(11) 및 유입공(12)이 형성된 면이다.
이와 함께, 상기 케이스체(100)의 전면(110)에는 상기 제어반(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두 연통공(111,112)이 상하로 이격 형성됨과 더불어 이러한 두 연통공(111,112) 중 어느 한 연통공(도면상 하부측에 위치된 연통공)(이하, “유입측연통공”이라 함)(111)은 상기 제어반(10) 외면의 유출공(11)(첨부된 도 4 참조)과 연통되도록 위치되고, 다른 한 연통공(도면상 상부측에 위치된 연통공)(이하, “유출측연통공”이라 함)(112)은 상기 제어반(10) 외면의 유입공(12)과 연통되도록 위치된다. 즉, 상기 제어반(10) 내의 공기는 상기 유출공(11)과 유입측연통공(11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케이스체(100) 내로 유입되어 유동된 후 상기 유출측연통공(112)과 유입공(1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어반(10) 내로 제공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두 연통공(111,112) 중 적어도 어느 한 연통공(112)에는 제1송풍팬(113)이 더 구비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송풍팬(113)이 상기 유출공(11)에 구비됨을 그 예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체(100)의 배면(120)에는 제습장치의 외부 공기(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구(121)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체(100)의 상면(130)에는 상기 공기흡입구(1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구(131)가 형성된다.
즉, 실내의 공기는 상기 공기흡입구(121)를 통과하여 케이스체(100) 내로 유입되어 유동된 후 상기 공기배출구(131)를 통과하여 실내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기흡입구(121) 및 공기배출구(131)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제2송풍팬(122,132)이 구비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거나 혹은, 케이스체(100) 내의 고온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송풍팬(122,132)이 상기 공기흡입구(121) 및 공기배출구(131) 모두에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고온 열기를 최대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을 그 예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케이스체(100)의 저면(140) 후방측에는 응축수배출공(14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체(100)의 저면(140)은 상기 응축수배출공(141)이 형성된 후방측 부위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즉, 후술될 열전모듈(300)의 흡열측 부위에 맺혀 낙하되는 응축수는 상기 케이스체(100) 저면의 경사에 따라 후방측으로 흐르도록 한 후 상기 응축수배출공(14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응축수배출공(141)에는 응축수배출호스(도시는 생략됨)가 연결되어 응축수의 배출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체(100)의 공기흡입구(121)에 필터체(123)가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용 제습장치는 공작기계 등의 가공용 기기가 위치된 작업 현장 내에 주로 설치됨을 고려할 때 상기 작업 현장 내에서 발생된 분진이나 유분 및 쇳가루 등이 상기 케이스체(100) 내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공기흡입구(121)에 필터체(123)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공기흡입구(12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분진이나 유분 및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체(100)의 배면(120) 중 공기흡입구(121)가 위치된 부위에 상기 공기흡입구(121)로 흡입되는 공기가 저부로부터 상승 유동되면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유동안내관(124)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공기흡입구(121)에 필터체(123)를 구비한다 하더라도 작업 현장 내의 공기를 직접적으로 제공받도록 구성할 경우 상기 필터체(123)는 상기 공기에 포함된 쇳가루나 분진 및 유분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아 막힘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써 케이스체(100) 내의 고온의 공기를 원활히 배출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유동안내관(124)을 추가적으로 제공하고 이러한 유동안내관(124)은 저부로 개방된 구조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현장 내의 공기가 상기 유동안내관(124)을 따라 상승 이동되는 도중 쇳가루나 유분 등이 자연스럽게 낙하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필터체(123)가 작업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됨에 따른 오염이나 손상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체(100)의 상면(130) 중 공기배출구(131)가 위치된 부위에는 상기 공기배출구(131) 내로 분진이나 이물질이 낙하되어 유입됨을 방지하면서 공기의 배출 유동을 안내하는 가림막(133)이 더 구비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즉, 상기 케이스체(100)의 상면(130)에 공기배출구(131)가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 현장 내를 부유하는 각종 분진이나 유분 및 쇳가루 등이 상기 공기배출구(131)에 쌓이게 되는 우려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공기배출구(131)의 보호를 위한 가림막(133)의 추가 제공을 통해 상기 공기배출구(131)를 통한 분진이나 유분 혹은, 쇳가루가 역으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획격벽(200)은 상기 케이스체(100) 내부를 하부측 및 상부측의 두 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한 부위이다.
즉, 상기한 구획격벽(200)에 의해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하부측 공간은 두 연통공(111,112)이 위치되는 흡열측 공간을 이룸과 더불어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상부측 공간은 공기흡입구(121) 및 공기배출구(131)가 위치되는 발열측 공간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획격벽(200)은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대략 중앙측 부위에 위치되면서 케이스체(100) 내부의 흡열측 공간 및 발열측 공간을 가로막도록 배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구획격벽(200)이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면서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도록 함을 제시한다. 이러한 구획격벽(200)의 설치 구조는 공기의 유동 특성을 고려한 구조이다. 즉, 공기흡입구(121)를 통해 발열측 공간 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구획격벽(200)의 경사에 따른 안내를 받아 상승 이동되면서 공기배출구(131)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유입측연통공(111)을 통해 흡열측 공간 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구획격벽(200)의 경사에 따른 안내를 받으면서 유출측연통공(112)을 통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구획격벽(200)이 단열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발열측 공간의 고온 열기가 상기 흡열측 공간으로 전도되어 제습 성능을 저하시키는 현상 및 고온 열기가 제어반(10) 내로 제공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획격벽(200)의 단열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서는 상기 구획격벽(200)의 표면에 단열재질을 추가로 설치하거나 혹은, 상기 구획격벽(200) 전체를 단열재질로 형성하여 구성함을 그 예로 한다.
또한, 상기 구획격벽(200)의 중앙에는 설치공(210)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설치공(210)은 후술될 열전모듈(300)의 설치를 위한 부위로 제공된다.
다음으로, 상기 열전모듈(300)은 케이스체(100) 내의 각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함과 더불어 방출하는 기능의 부품으로써, 상기 구획격벽(200)의 설치공(210)에 설치되면서 발열측 부위는 상기 발열측 공간으로 노출됨과 동시에 흡열측 부위는 상기 흡열측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열전모듈(300)은 열을 흡열하는 흡열플레이트(heat absorption plate)(310)와, 상기 흡열플레이트(310)와는 이격되면서 열을 발산하는 발열플레이트(heat emission plate)(320)와, 상기 흡열플레이트(310)와 발열플레이트(320) 사이에 구비되면서 전원 공급에 의해 상기 흡열플레이트(310)로 흡열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된 열전소자부(thermoelement part)(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흡열플레이트(310)는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흡열측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발열플레이트(320)는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발열측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특히, 상기 각 플레이트(310,320)에는 열교환 성능의 향상을 위한 방열핀(311,321)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부(330)는 전원 공급에 의해 상기 흡열플레이트(310)로 흡열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배치된 N형반도체(N-type thermoelectric element)(331) 및 P형반도체(P-type thermoelectric element)(332)를 가지는 열전소자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플레이트(400)는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흡열측 공간 중 두 연통공(111,112)이 형성된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유입측연통공(111)을 통해 케이스체(100) 내로 유입된 제어반(10) 내의 공기 유동이 유출측연통공(112)을 통해 곧장 배출됨을 방지하는 부위이다.
즉, 상기 안내플레이트(400)의 추가 제공을 통해 상기 유입측연통공(111)을 통해 케이스체(100) 내로 유입된 제어반(10) 내의 공기가 구획격벽(200)에 설치된 열전모듈(300)의 흡열플레이트(310) 및 그의 방열핀(311)을 온전히 경유하면서 열교환 및 제습된 후 유출측연통공(112)을 통해 상기 제어반(10) 내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안내플레이트(400)는 평판으로 형성되면서 선단은 상기 케이스체(100)의 전면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후단은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배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안내플레이트(400)의 전후 길이는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전면(110)과 배면(120) 사이의 거리에 비해 짧게 형성하여 상기 안내플레이트(400)의 후단이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배면(120)과는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이격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 부위를 통해 상기 유입측연통공(111)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열전모듈(300)의 흡열플레이트(310)에 설치된 방열핀(311)을 온전히 경유한 후 유출측연통공(112)이 형성된 부위로 유동되어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안내플레이트(400)는 그의 후단이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배면(120)에 이르기까지 길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안내플레이트(400)의 후방측 부위에 개구공과 같은 별도의 개방 부위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전술된 실시예의 안내플레이트(4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체(100) 내부에 상기 열전모듈(300)에 대한 동작 제어 및 각 송풍팬(113,122,132)에 대한 동작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50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500)는 비록 고온의 열기에 따른 영향을 받을 수는 있지만 케이스체(100) 내의 발열측 공간에 설치되도록 배치함이 제어반(10)의 제습을 위한 공기 유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510은 온도센서이며,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온도센서(510)에 의해 감지된 온도 정보를 토대로 열전모듈(300)의 동작 제어 및 각 송풍팬(113,122,132)의 동작 제어를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물론, 상기 컨트롤러(500)는 제어반(10)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의 경우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장치의 전체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용 제습장치를 이용한 제어반(10)의 제습 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제어반(10)에 대한 제습 운전이 요구될 경우 컨트롤러(500)는 열전모듈(300)로의 전원 공급 및 각 송풍팬(113,122,132)으로의 전원 공급을 통한 동작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열전모듈(300)로의 전원이 공급되면 N형반도체(331)로부터 P형반도체(332)를 향해 직류 전류가 제공되고, 이로 인해 상기 흡열플레이트(310) 및 그에 구비된 방열핀(311)으로는 케이스체(100) 내의 흡열측 공간에 존재하는 열을 흡수함과 더불어 발열플레이트(320) 및 그에 구비된 방열핀(321)을 통해 케이스체(100) 내의 발열측 공간으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또한, 제1송풍팬(113)의 동작에 의해 유입측연통공(111)을 통해 제어반(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흡열측 공간 내로 유입된 후 안내플레이트(400)의 안내를 받아 상기 흡열측 공간의 후방측으로 유동된 후 구획격벽(200)의 안내를 받아 유출측연통공(112)을 통해 상기 제어반(10) 내부로 재공급되며, 이의 과정에서 상기 공기는 흡열플레이트(310) 및 그에 구비된 방열핀(311)과 열교환되면서 제습된다. 이때, 상기 방열핀(311)에는 상기 공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응축되어 맺히게 되며, 이렇게 맺힌 응축수는 상기 구획격벽(200)이 이루는 경사에 의해 후방으로 흐른후 케이스체(100) 내의 저면(140)으로 낙하하게 되며, 이후 상기 저면(140)에 형성된 응축수배출공(141)을 통해 케이스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함께, 두 제2송풍팬(122,132)의 동작에 의해 공기흡입구(121)를 통해 작업 현장 내부의 공기가 케이스체(100) 내의 발열측 공간으로 유입되어 유동된 후 상기 공기배출구(131)를 통과하여 실내로 배출되며, 이의 과정에서 상기 공기는 발열플레이트(320) 및 그에 구비된 방열핀(321)과 열교환되면서 해당 발열측 공간 내부를 방열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흡입구(121)에는 필터체(123) 및 유동안내관(124)이 구비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작업 현장 내부의 각 분진이나 쇳가루 혹은, 유분은 상기 유동안내관(124)을 따라 상승 유동하는 과정에서 일차적인 걸러짐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필터체(12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재차적인 걸러짐이 이루어짐으로써 케이스체(100) 내부의 오염은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배출구(131)는 가림막(133)으로 가려진 상태이기 때문에 작업 현장 내부를 부유하는 분진이나 유분 등이 상기 공기배출구(131)를 통해 상기 케이스체(100) 내의 공간으로 유입됨은 방지된다.
따라서, 전술된 작용이 연속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제어반(10) 내부의 각 전장부품에 의해 발생된 열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로 제공되어 제습되면서 냉각되고, 이렇게 제습되어 냉각된 저온의 건조 공기는 상기 제어반(10) 내부로 재공급되면서 상기 각 전장부품을 방열시키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제습장치에 의해 제어반(10)은 고온의 열기나 높은 습도로 인해 각 전장부품의 오작동이나 고장 발생 등이 방지될 수 있게 되며, 특히 구획격벽(200)의 경사진 설치구조나 공기흡입구(121)와 공기배출구(131) 및 각 연통공(113,122,132)에 대한 배치구조 그리고, 안내플레이트(400)의 배치구조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각 방열핀(311,321)과의 열교환 성능이 극대화될 수 있게 되어 제습성능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장치는 작업 현장 내부의 공기에 존재하는 각종 분진이나 쇳가루 혹은, 유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해당 이물질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10. 제어반 11. 유출공
12. 유입공 100. 케이스체
110. 전면 111. 유입측 연통공
112. 유출측 연통공 113. 제1송풍팬
120. 배면 121. 공기흡입구
122,132. 제2송풍팬 123. 필터체
124. 유동안내관 130. 상면
131. 공기배출구 133. 가림막
140. 저면 141. 응축수배출공
200. 구획격벽 210. 설치공
300. 열전모듈 310. 흡열플레이트
320. 발열플레이트 311,321. 방열핀
330. 열전소자부 331. N형반도체
332. P형반도체 400. 안내플레이트
500. 컨트롤러 510. 온도센서

Claims (5)

  1. 전면은 제어반의 외면에 밀착 고정됨과 더불어 제어반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두 연통공이 상하로 이격 형성되고, 배면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케이스체;
    상기 케이스체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케이스체 내부를 두 연통공이 위치되는 흡열측 공간과 공기흡입구 및 공기배출구가 위치되는 발열측 공간으로 각각 구획하는 구획격벽;
    상기 구획격벽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발열측 부위는 상기 발열측 공간으로 노출됨과 동시에 흡열측 부위는 상기 흡열측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진 열전모듈;
    상기 케이스체 내의 흡열측 공간 중 상기 두 연통공 사이를 가로막도록 위치되면서 상기 두 연통공이 형성된 공간을 상하로 구획함과 더불어 후단은 상기 구획된 상하 공간이 연통되도록 개방된 구조의 안내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반용 제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격벽은 상기 케이스체 내에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각 공간의 열기가 서로 전도됨을 차단하도록 단열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반용 제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의 저면 후방측에는 응축수배출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체의 저면은 상기 응축수배출공이 형성된 후방측 부위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반용 제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의 공기흡입구에는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분진이나 유분 및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체의 배면에는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가 저부로부터 상승 유동되면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유동안내관이 더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체의 상면에는 상기 공기배출구 내로 분진이나 이물질이 낙하되어 유입됨을 방지하면서 공기의 배출 유동을 안내하는 가림막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반용 제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통공 중 적어도 어느 한 연통공에는 제1송풍팬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공기흡입구 및 공기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2송풍팬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반용 제습장치.
KR1020150063276A 2015-05-06 2015-05-06 제어반용 제습장치 KR101604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276A KR101604847B1 (ko) 2015-05-06 2015-05-06 제어반용 제습장치
CN201680025455.6A CN107548445B (zh) 2015-05-06 2016-04-28 控制面板用除湿装置
PCT/KR2016/004453 WO2016178489A1 (ko) 2015-05-06 2016-04-28 제어반용 제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276A KR101604847B1 (ko) 2015-05-06 2015-05-06 제어반용 제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847B1 true KR101604847B1 (ko) 2016-03-18

Family

ID=5565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276A KR101604847B1 (ko) 2015-05-06 2015-05-06 제어반용 제습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04847B1 (ko)
CN (1) CN107548445B (ko)
WO (1) WO20161784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2002B (zh) * 2017-03-31 2019-07-12 吴芷境 一种具有除湿功能的无线传感器外壳
CN113594933B (zh) * 2021-07-18 2022-11-29 临沂施乃通电气技术有限公司 深层矿坑箱式安全变电站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0916A (ja) * 1988-09-28 1990-03-30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装置
JPH0528413U (ja) * 1991-09-26 1993-04-16 帝国ピストンリング株式会社 電子除湿器
KR100424345B1 (ko) * 2003-05-30 2004-03-24 장철수 제어반의 항온제습 조절장치
KR100546665B1 (ko) * 2003-08-22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CN200975726Y (zh) * 2006-09-07 2007-11-14 中山华帝燃具股份有限公司 一种双效环保吸油烟机
KR100781347B1 (ko) * 2007-03-22 2007-11-30 이관식 제습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와 이를 이용한제어방법
JP5287764B2 (ja) * 2010-02-24 2013-09-1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電気制御盤の冷却方法及び冷却設備
CN201750045U (zh) * 2010-07-29 2011-02-16 广州电力设计院 一种智能端子箱
CN201919286U (zh) * 2011-03-11 2011-08-03 三河燕郊欧伏电气有限公司 电气设备柜内空气除湿器
CN204103251U (zh) * 2014-07-17 2015-01-14 国家电网公司 一种用于电气配电箱内的除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48445A (zh) 2018-01-05
WO2016178489A1 (ko) 2016-11-10
CN107548445B (zh)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4371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90031133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5478185B2 (ja) 空調システム
JP6578011B2 (ja) 電子筐体ラインおよび前記電子筐体ラインに接続される冷却機を備える電子筐体装置
JP5997207B2 (ja) 制御盤冷却装置
RU2560344C2 (ru) Наружный блок охлажд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WO2012160788A1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17514095A (ja) サーバ室冷却装置、及びそれを具備するデータセンターの空調システムの製造方法
KR101604847B1 (ko) 제어반용 제습장치
US10488895B2 (en) Cooling arrangement for computer system
US10845066B2 (en) Heat source unit of refrigerating apparatus
KR102168620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821369B1 (ko) 온도조절 기능을 가지는 함체
JP201005416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410594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TWI814955B (zh) 工具機之控制盤
KR20180024143A (ko) 전장함의 환기 및 냉각 제어 시스템
JP2011112325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160113289A (ko) 패키지 수납형 엔진 발전기
JP2011058651A (ja) 空気温調機
JP2008286497A (ja)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
JP6632733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38558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90017180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팬 필터 유닛의 냉각 장치
KR20090020759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컨트롤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