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512B1 - 수소흡장 합금 및 이것을 사용한 수소흡장 유닛 - Google Patents

수소흡장 합금 및 이것을 사용한 수소흡장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512B1
KR101604512B1 KR1020127004565A KR20127004565A KR101604512B1 KR 101604512 B1 KR101604512 B1 KR 101604512B1 KR 1020127004565 A KR1020127004565 A KR 1020127004565A KR 20127004565 A KR20127004565 A KR 20127004565A KR 101604512 B1 KR101604512 B1 KR 101604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alloy
magnesium
hydrogen storage
occl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4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6423A (ko
Inventor
나오키 우치야마
도모미 가나이
가즈미 하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쯔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쯔미테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쯔미테크
Publication of KR20120076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7/00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 B22F7/002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porous n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6Metallic particles coated with a non-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005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 C01B3/001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uptaking medium; Treatment thereof
    • C01B3/0026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uptaking medium; Treatment thereof of one single metal or a rare earth metal;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005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 C01B3/001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uptaking medium; Treatment thereof
    • C01B3/0031Intermetallic compounds; Metal alloys; Treatment thereof
    • C01B3/0042Intermetallic compounds; Metal alloys; Treatment thereof only containing magnesium and nickel;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005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 C01B3/001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uptaking medium; Treatment thereof
    • C01B3/0078Composite solid storage mediums, i.e. coherent or loose mixtures of different solid constituents, chemically or structurally heterogeneous solid masses, coated solids or solids having a chemically modified surface reg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47/00Making alloys containing metallic or non-metallic fibres or filaments
    • C22C47/02Pretreatment of the fibres or filaments
    • C22C47/06Pretreatment of the fibres or filaments by forming the fibres or filaments into a preformed structure, e.g. using a temporary binder to form a mat-like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49/00Alloys containing metallic or non-metallic fibres or filaments
    • C22C49/02Alloys containing metallic or non-metallic fibres or fila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rix material
    • C22C49/04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08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particles having an amorphous micro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2/00Physical properties
    • C22C2202/04Hydrogen absorb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tallurg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 Catalyst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Mg와 다른 합금(예를 들면 Mg2Ni)을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수소흡장 베이스(2)와, 그 수소흡장 베이스(2)의 표면을 덮는 촉매층(3)을 구비하였다. 이것에 의해, Mg가 갖는 높은 수소흡장 성능과, Mg2Ni가 갖는 높은 고체 확산 성능을 겸비한 수소흡장 합금을 얻을 수 있다. Mg에 흡장된 수소는, Mg2Ni에 의해 다른 Mg(또는 Mg2Ni)에 전달된다. 이 수소의 이동은, 열이나 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실온·대기압하에서 수소를 흡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소흡장 합금 및 이것을 사용한 수소흡장 유닛{Hydrogen storage alloy and hydrogen storage unit using same}
본 발명은, 수소를 흡장하는 수소흡장 합금 및 이것을 사용한 수소흡장 유닛에 관한 것이다.
차량 등의 연료전지에 사용하는 수소로서 기체 수소가 사용되고 있다. 수소는 기체의 상태에서는 체적이 매우 크다. 이 때문에, 기체의 수소는 압축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래도 실용하기에는 체적이 커서 공간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액체 수소는 기체 수소보다도 체적이 작다. 그러나, 수소를 액체의 상태로 보유·유지하는 것이 곤란하여, 실용화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체적이 작고, 취급성이 향상된 고체 수소를 사용하는 것이 연구·개발되고 있다. 고체 수소는 수소를 합금 내에 흡장한 상태로 사용된다. 이 합금은, 수소흡장 합금이라고 불리고 있다. 이 수소흡장 합금에 대해서 수소가 흡장·방출을 반복한다.
이러한 수소흡장 합금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수소저장(흡장) 재료, 그의 제조법 및 수소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수소저장재료는, Mg(마그네슘)금속으로 되고, 그 표층부에 최근접 원자간 거리가 Mg 금속보다도 짧은 결정영역 X를 가지며, 300℃ 이하에 있어서, 100 중량부당 7 중량부 이상의 수소를 저장 및 방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나타내어지는 벌크상의 Mg와 수소를 결합시켜 MgH2로 하는 것과 같은 수소화를 행하는 경우, 열이나 압력이 필요해진다. 즉, 수소흡장 합금에 수소를 흡장하기 위한 열에너지나 압력에너지가 필요해진다. 이들의 에너지를 수소화반응할시마다 공급해야하는 것은 불편하다.
한편으로, Pd(팔라듐)나 Pt(백금) 등의 촉매를 사용하여 수소화의 반응성을 높이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촉매를 사용해도 열에너지나 압력에너지는 필요하다. 이와 같이, 수소흡장 합금과 수소를 결합시키는 수소화에 관해서, 에너지가 필요한 것을 문제점으로서 들 수 있다.
또한, Mg 자체는 수소흡장 성능이 높은 것이 이점이지만, 수소의 고체 확산 성능이 낮기 때문에, 수소의 흡장에 시간이 걸린다. 수소의 고체 확산 성능이 낮다는 것, 즉 수소의 고체 확산이 느리다는 것은, 합금 표면에 위치하는 Mg가 수소를 흡수하더라도, 이것이 합금의 내측에 있는 Mg에 전달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합금 표면의 Mg만이 수소와 결합하여 MgH2가 되고, 이것이 배리어막이 되어 다음의 수소의 흡장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이, Mg의 고체 확산의 느림도 문제점으로서 들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147473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을 고려한 것으로서, 실온·대기압의 환경하에서 수소를 흡장할 수 있고, 고체 확산을 빨리 하여 수소화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수소흡장 합금 및 이것을 사용한 수소흡장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마그네슘과, 마그네슘·니켈 합금, 또는 마그네슘·티탄 합금, 또는 마그네슘·니오브 합금, 또는 마그네슘·망간 합금, 또는 마그네슘·코발트 합금의 혼합물로 형성된 수소흡장 베이스와, 그 수소흡장 베이스의 표면을 덮는 촉매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흡장 합금을 제공한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은 Pd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수소흡장 합금을 사용한 수소흡장 유닛으로서, 수소분자가 통과 가능한 구멍을 다수 구비한 다공질체와, 상기 구멍을 포함하는 상기 다공질체의 표면을 덮는 상기 수소흡장 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흡장 유닛을 제공한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은 Pd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체는 나노파이버의 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5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집합체 내의 개개의 나노파이버의 방향은 랜덤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소흡장 합금의 상기 수소흡장 베이스는 상기 다공질체의 상기 표면에 증착에 의해 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Mg가 갖는 높은 수소흡장 성능과, 기타 합금(특히 Mg2Ni가 바람직하다)이 갖는 높은 고체 확산 성능을 겸비한 수소흡장 합금을 얻을 수 있다. Mg에 흡장된 수소는, 예를 들면 Mg2Ni에 의해 다른 Mg(또는 Mg2Ni)에 전달된다. 이 수소의 이동은, 열이나 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실온·대기압하에서 수소를 흡장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수소는 Pd에 의해 분자로부터 원자로 해리된다(H2→2H). 수소는 원자상태에서 가장 신속하게 Mg에 흡장된다. Pd는 Pt와 달리 수소원자를 프로톤화하는 능력은 없다. 따라서, Pd를 촉매로 사용함으로써 수소를 원자상태에 머무르게 해 둘 수 있다. 이 때문에, 백금촉매를 사용하는 것보다도 신속한 수소흡장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수소분자가 통과 가능한 구멍을 다수 갖는 다공질체의 표면을 수소흡장 합금이 덮기 때문에, 수소흡장층의 표면적이 커켜, 수소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진다. 이 때문에, 보다 신속한 수소흡장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수소는 Pd에 의해 분자로부터 원자로 해리된다(H2→2H). 수소는, 원자상태에서 가장 신속하게 Mg에 흡장된다. Pd는 Pt와 달리 수소원자를 프로톤화하는 능력은 없다. 따라서, Pd를 촉매로 사용함으로써 수소를 원자상태에 머무르게 해 둘 수 있다. 이 때문에, 백금촉매를 사용하는 것보다도 신속한 수소흡장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나노파이버를 집합체로 했을 때에, 파이버끼리 서로 얽혀서 생기는 극간이 수소 통과 가능한 구멍이 된다. 이 때문에, 용이하게 다공질체를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특별히 나노파이버의 배치를 한정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형성된 집합체이더라도 구멍이 형성된다. 이 구멍을 이용하여, 신속한 수소흡장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다공질체에 대해서, 증착에 의해 층형상으로 수소흡장 합금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신속한 수소흡장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소흡장 합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소흡장 유닛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수소흡장 섬유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수소흡장 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수소흡장 섬유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수소흡장 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수소흡장 유닛을 사용해서 수소를 흡장했을 때의 시간과 압력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소흡장 합금의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소흡장 합금(1)은, 수소흡장 베이스(2)와, 촉매층(3)으로 된다. 수소흡장 베이스(2)는, Mg 금속(4)과, 다른 금속(도면에서는 Mg2Ni(5))을 혼합하여 박막화한 것이다. 이 Mg(4)와 Mg2Ni(5)의 혼합비율은, 1분자의 Mg2Ni에 대해서, 0~10(0을 포함하지 않는다)분자의 Mg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분자의 Mg2Ni에 대해서, 4~8분자의 Mg이다. 특히, 혼합 후의 화학식이 Mg6Ni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Mg(4)와 Mg2Ni(5)를 혼합함으로써, 이하의 화학반응이 일어나, 도면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소원자 H가 내측의 Mg(또는 Mg2Ni)에 전달되어, 수소의 고체 확산 성능이 높아진다. 따라서, 신속한 수소흡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수소흡장 베이스(2)는, 무정형(amorphous)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소흡장 베이스(2)를 박막화한 것도 수소흡장의 신속화에 기여하고 있다.
Figure 112012014189932-pct00001
이와 같이, Mg(4)와 Mg2Ni(5)를 혼합함으로써, Mg(4)가 갖는 높은 수소흡장 성능과, Mg2Ni(5)가 갖는 높은 고체 확산 성능을 겸비한 수소흡장 합금을 얻을 수 있다. 이 수소의 이동에는, 열이나 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실온·대기압하에서 수소를 흡장할 수 있다.
촉매층(3)은 Pd(팔라듐)로 형성되어 있다. 촉매층(3)은 수소흡장 베이스(2)의 표면 전역을 덮어 형성되어 있다. 단, 일부를 덮고 있어도 된다. Pd를 사용함으로써, 수소는 분자로부터 원자로 해리된다(H2→2H). 수소는, 원자상태에서 가장 신속하게 Mg에 흡장된다. Pd는 Pt와 달리 수소원자를 프로톤화하는 능력은 없다. 따라서, Pd를 촉매로 사용함으로써 수소를 원자상태에 머무르게 해 둘 수 있다. 이 때문에, 백금촉매를 사용하는 것보다도 신속한 수소흡장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수소흡장 합금(1)을 사용하여 수소를 흡장하면, 기체 중의 수소(6)가 Pd 촉매층(3)에 접촉하여 수소원자로 해리된다. 그 후, 수소원자가 수소흡장 베이스(2)의 표면에 존재하는 Mg(4)나 Mg2Ni(5)에 흡장된다. 이 흡장된 수소원자는, Mg2Ni(5)의 작용에 의해 내측의 Mg(4)나 Mg2Ni(5)에 흡장되어 간다.
또한, 전술한 Mg2Ni 대신에, 기타 마그네슘·니켈 합금, 또는 마그네슘·티탄 합금, 또는 마그네슘·니오브 합금, 또는 마그네슘·망간 합금, 또는 마그네슘·코발트 합금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촉매층(3)에는, Pd(팔라듐) 외에, Pt(백금), Nb(니오브) 또는 ZrNi(지르코니아·니켈) 등을 사용해도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소흡장 유닛의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소흡장 유닛(7)은, 나노파이버에 수소흡장 합금(1)(도 1 참조)이 증착된 수소흡장 섬유(8)의 집합체이다. 수소흡장 섬유(8)가 다수 교차함으로써 극간(9)이 형성된다. 개개의 나노파이버의 방향은 랜덤이어도 된다. 이 극간(9)의 크기는, 수소분자가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나노파이버에 수소흡장 합금(1)(도 1 참조)이 증착되어 있기 때문에, 수소흡장 베이스(2)(도 1 참조)의 표면적이 커져, 수소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진다. 즉, 극간(9)이 수소분자를 통과시키는 구멍이 되어, 수소흡장 유닛(7)의 표면뿐 아니라, 수소흡장 유닛(7)의 내측까지 안으로 들어가서 수소가 흡장되기 때문에, 보다 신속한 수소흡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나노파이버 자체를 다공질인 것, 예를 들면 다공 나노파이버로 형성하면, 수소흡장 베이스(2)(도 1 참조)의 표면적을 더욱 크게 할 수 있어, 수소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신속한 수소흡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수소가 통과하는 구멍을 갖는 다른 다공질체를 사용하여 수소흡장 유닛을 형성해도 된다.
도 3은 수소흡장 섬유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수소흡장 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소흡장 섬유(8)는, 나노파이버(10)와, 수소흡장 베이스(수소흡장층)(2)와, 촉매층(3)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파이버(10)의 표면에 수소흡장 합금(1)이 층형상으로 증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소흡장 섬유(8)가 다수 교차하여 서로 얽혀 집합체가 됨으로써 수소흡장 유닛(7)을 형성하고 있다. 나노파이버(10)의 표면이 평활한 경우, 도면과 같이 균일하게 증착된다. 나노파이버는 전기 방사법(electrospinning) 등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수소흡장 섬유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의 수소흡장 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소흡장 합금(1)이 나노 합금 입자가 된 경우, Mg와 Mg2Ni로 되는 수소흡장 베이스(수소흡장 코어)(2)가 구형상이 되고, 그 주변을 Pd로 되는 촉매층(3)이 구형상이 되어 덮는다. 즉, 수소흡장 코어(2)와 촉매층(3)으로 콜로이드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나노 합금 입자가, 나노파이버(10)의 주위에 부착되어 수소흡장 섬유(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수소흡장 합금(1)은, 합금(1)의 제법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여러 가지 형태로 얻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수소흡장 유닛을 사용하여 수소를 흡장했을 때의 시간과 압력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진공상태에서 수소를 공급하면, 수소흡장 합금에 의한 수소흡장이 개시되면서 압력이 증가해 간다. 시간 T에서 수소의 공급을 멈추면, 수소흡장 합금에 의한 수소흡장이 더욱 진행되어, 압력이 단번에 저하되고 있다. 압력의 저하는, 공급된 기체 수소의 압력의 저하를 나타내, 수소가 흡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신속한 수소흡장이 행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시험은, 수소흡장 유닛을 수용한 사방관(four-way tube)의 세 쪽에 밸브를 설치하고, 한쪽에 압력계, 또 한쪽에 진공펌프, 다른 쪽에 수소 봄베를 접속한 장치를 사용해서 행하였다. 먼저, 진공펌프로 사방관 내의 압이 안정될 때까지 감압한다(약 20 Pa). 다음으로, 진공펌프측의 밸브를 닫고 수소측 밸브를 연다. 목표압까지 수소가 주입되면, 수소 봄베측 밸브를 닫고 압력변화를 압력계로 확인한다. 이번 시험에서는, 107190 Pa가 320 Pa까지 감압되었다. 수소흡장 합금으로서는 Mg6Ni+Pd를 사용하고, 수소의 주입은 100% H2를 6(㎖/min)으로 행하였다.
1 수소흡장 합금
2 수소흡장층
3 촉매층
4 Mg
5 Mg2Ni
6 수소
7 수소흡장 유닛
8 수소흡장 섬유
9 극간
10 나노파이버

Claims (7)

  1. 수소분자가 통과 가능한 구멍을 다수 구비한 다공질체와,
    상기 구멍을 포함하는 상기 다공질체의 표면을 덮는 수소흡장 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흡장 유닛으로서,
    상기 수소흡장 합금은 마그네슘과, 마그네슘·니켈 합금, 또는 마그네슘·티탄 합금, 또는 마그네슘·니오브 합금, 또는 마그네슘·망간 합금, 또는 마그네슘·코발트 합금의 혼합물로 형성된 수소흡장 베이스와, 그 수소흡장 베이스의 표면을 덮는 촉매층을 구비하는 수소흡장 합금이고,
    상기 다공질체는 다공 나노파이버의 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흡장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은 Pd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흡장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체 내의 개개의 나노파이버의 방향은 랜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흡장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흡장 합금의 상기 수소흡장 베이스는 상기 다공질체의 상기 표면에 증착에 의해 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흡장 유닛.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7004565A 2009-09-04 2009-09-04 수소흡장 합금 및 이것을 사용한 수소흡장 유닛 KR101604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5504 WO2011027461A1 (ja) 2009-09-04 2009-09-04 水素吸蔵合金及びこれを用いた水素吸蔵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423A KR20120076423A (ko) 2012-07-09
KR101604512B1 true KR101604512B1 (ko) 2016-03-17

Family

ID=4364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565A KR101604512B1 (ko) 2009-09-04 2009-09-04 수소흡장 합금 및 이것을 사용한 수소흡장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81151B2 (ko)
EP (1) EP2474376A4 (ko)
JP (1) JPWO2011027461A1 (ko)
KR (1) KR101604512B1 (ko)
CN (1) CN102596451B (ko)
CA (1) CA2771360A1 (ko)
WO (1) WO20110274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5335B2 (en) * 2010-08-18 2015-06-02 The Governors Of The University Of Alberta Kinetic stabilization of magnesium hydride
CN103968244B (zh) * 2014-04-03 2016-09-14 上海华篷防爆科技有限公司 一种银氧化镉复合材料制备的储氢装置
CN103968238A (zh) * 2014-04-03 2014-08-06 上海华篷防爆科技有限公司 一种铁基合金复合材料的储氢装置
CN103972568A (zh) * 2014-04-03 2014-08-06 上海华篷防爆科技有限公司 一种铁基合金储氢装置
CN103968239A (zh) * 2014-04-03 2014-08-06 上海华篷防爆科技有限公司 一种铜基合金储氢装置
CN103968243A (zh) * 2014-04-03 2014-08-06 上海华篷防爆科技有限公司 一种由铁基多孔金属复合材料制备的储氢装置
US9533884B1 (en) 2016-05-24 2017-01-03 Kuwait Institute For Scientific Research Composition for hydrogen storage
CN114411028B (zh) * 2022-01-21 2022-09-20 徐州工程学院 一种微量镍复合层状镁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6860A (ja) * 2003-02-25 2004-09-16 Tdk Corp 水素吸蔵体
JP2004261675A (ja) * 2003-02-28 2004-09-2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ガス貯蔵材料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4636B2 (ja) * 1986-09-12 1995-09-13 マツダ株式会社 水素吸蔵合金
JPS63177397A (ja) 1987-01-19 1988-07-21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S63177397U (ko) * 1987-05-08 1988-11-17
EP0815273B1 (en) * 1995-02-02 2001-05-23 Hydro-Quebec NANOCRYSTALLINE Mg-BASED MATERIALS AND USE THEREOF FOR THE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HYDROGEN
JP4456712B2 (ja) * 2000-02-04 2010-04-28 株式会社アルバック 水素ガス貯蔵材料及び貯蔵方法
JP2003147473A (ja) 2001-11-14 2003-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素貯蔵材料およびその製造法ならびに水素発生装置
US7211541B2 (en) * 2003-12-11 2007-05-01 Ovonic Hydrogen Systems Llc Mg—Ni hydrogen storage composite having high storage capacity and excellent room temperature kinetics
JP4735485B2 (ja) * 2006-09-07 2011-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水素吸着材料の製造方法
KR101022857B1 (ko) * 2008-01-16 2011-03-1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저장용 전이금속 도금된 다공성 탄소나노섬유 복합체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6860A (ja) * 2003-02-25 2004-09-16 Tdk Corp 水素吸蔵体
JP2004261675A (ja) * 2003-02-28 2004-09-2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ガス貯蔵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71360A1 (en) 2011-03-10
JPWO2011027461A1 (ja) 2013-01-31
CN102596451A (zh) 2012-07-18
KR20120076423A (ko) 2012-07-09
US8481151B2 (en) 2013-07-09
CN102596451B (zh) 2015-01-07
EP2474376A1 (en) 2012-07-11
WO2011027461A1 (ja) 2011-03-10
EP2474376A4 (en) 2013-08-14
US20120164432A1 (en)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512B1 (ko) 수소흡장 합금 및 이것을 사용한 수소흡장 유닛
US7807131B2 (en) Hydrogen producing fuel for power generator
WO2011027462A1 (ja) 水素吸蔵ユニット
US8993135B2 (en) Fuel cell stack for hydrogen fuel power generator
EP2376370A1 (fr) Reservoir adiabatique d'hydrure metallique
US20190190041A1 (en) Hydrogen storage device
US9065128B2 (en) Rechargeable fuel cell
Lozano et al. Enhanced volumetric hydrogen density in sodium alanate by compaction
US20150200408A1 (en) Method of forming a fuel cell stack
EP3152475A1 (en) Metal hydride bed, metal hydride container, and method for the making thereof
WO2008147916A1 (en) Hydrogen storage in nanoporous inorganic networks
JP4917787B2 (ja) 水素分離用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898037B2 (ja) 保持部材及び水素製造装置
CN100391827C (zh) 场辅助气体储存材料和包含它的燃料电池
JP3430371B2 (ja) 水素吸蔵体および水素吸蔵装置
TW202300854A (zh) 發熱單元、發熱模組及發熱裝置
JP2004261675A (ja) ガス貯蔵材料
Kudiiarov et al. Structural Features and Phase Transitions during Dehydrogenation of a Composite Based on Magnesium Hydride and Metal-Organic Framework Structures MIL-101 (Cr)
KR101112077B1 (ko) 나노 기공성 물질을 이용한 수소저장장치
JP2018150212A (ja) 水素分離型リフォーマ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