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653B1 - 지붕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지붕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653B1
KR101603653B1 KR1020140134610A KR20140134610A KR101603653B1 KR 101603653 B1 KR101603653 B1 KR 101603653B1 KR 1020140134610 A KR1020140134610 A KR 1020140134610A KR 20140134610 A KR20140134610 A KR 20140134610A KR 101603653 B1 KR101603653 B1 KR 101603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roof
drive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도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도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134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지붕 개폐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지붕 개폐장치는, 건물의 상부를 덮는 고정 지붕과, 상기 고정 지붕 일측의 개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건물에 설치되는 양쪽의 지지용 빔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용 지붕을 포함하는 지붕 개폐장치로서, 상기 개폐용 지붕이 설치된 건물에 마련되는 하나의 구동수단과, 양쪽 단부가 양쪽의 상기 지지용 빔들의 단부 영역에 각각 회전 지지되거나, 상기 건물의 구조물에 각각 회전 지지되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회전축을 포함하는 개폐 구동부; 상기 개폐용 지붕이 개방완료되는 위치의 양쪽 지지용 빔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설치되는 피동 체인풀리들과, 상기 구동 회전축의 각 단부 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 체인풀리들과, 상기 구동 체인풀리와 상기 피동 체인풀리에 설치되는 각각의 개폐용 체인들로 이루어진 개폐 작동부; 및 한쪽이 상기 개폐용 체인들에 각각 연결되고, 다른 쪽은 상기 개폐용 지붕의 각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양쪽의 각 개폐용 체인들과 상기 개폐용 지붕의 양쪽 하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작동으로 상기 구동 회전축이 양쪽의 구동 체인풀리를 회전 구동시켜 양쪽의 개폐용 체인이 동시에 작동되어 상기 개폐용 지붕의 양쪽 하단부를 개방위치나 폐쇄위치로 동시에 이동시켜 상기 개폐용 지붕이 상기 개방공간을 개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문대나 체육관 등의 상부를 커버하는 슬라이딩 구조의 개폐용 지붕이 하나의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슬라이딩 구동됨으로써, 개폐용 지붕이 좌,우 편차없이 원활하게 개폐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지붕 개폐장치{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ROOF}
본 발명은 지붕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상부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하는 지붕 구조물을 하나의 구동수단으로 좌,우 편차없이 슬라이딩시켜 개폐할 수 있는 지붕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별자리 관찰을 위한 천문대, 실내 체육시설, 경기장, 강당, 창고 등의 건축물 상부에는 지붕이 설치되는데, 최근에는 자연채광과 환기를 목적으로 지붕을 슬라이딩 구조로 구성하여 개폐하거나, 천문대의 경우에는 별자리 관찰을 위한 목적으로 지붕을 슬라이딩 구조로 구성하여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구조의 지붕 개폐장치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넓은 면적을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80410호(공고일 : 2013.07.01)에는, 슬라이드방식의 지붕 개폐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슬라이드방식의 지붕 개폐장치는, 수직 구조물의 상부를 덮는 고정측 지붕 및, 지붕 개방부를 개방 또는 차단하기 위한 가동측 지붕으로 된 슬라이드방식의 지붕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지붕의 양측에 부착되고 양측에 'ㄷ'자 리브를 가지는 슬라이드바와; 상기 구조물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바가 상부에 덮이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일측에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레일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부착되고 상기 슬라이드바가 안착한 채 내측면에 구름 접촉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샤프트의 구동롤러 외측에 구비된 채 상기 리브의 내측면에 아이들(Idle) 상태로 구름 접촉하면서 상기 슬라이드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롤러로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구동롤러에 전달되므로 가동측 지붕을 슬라이딩시켜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지붕 개폐장치는, 구동모터가 가동측 지붕의 한쪽에만 설치된 구동롤러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가동측 지붕의 슬라이딩 개폐시 좌,우 편차가 발생하여 원활한 슬라이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중량물인 가동축 지붕의 한쪽 변에만 구동모터가 설치되어 구동롤러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가동축 지붕의 이동시 좌측와 우측이 같은 속도로 동시에 이동하지 않고 구동모터가 설치된 어느 한쪽만 먼저 이동하게 되어 좌,우 편차가 발생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가동측 지붕의 양쪽에 구동모터를 설치한 기술도 개시되었으나, 이 경우에도 각각의 구동모터가 여러 가지 여건에 의해 동시에 구동되지 않음으로써, 가동측 지붕의 이동시 좌,우 편차가 발생할 수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80410호(공고일 : 2013.07.01)
본 발명의 목적은, 천문대나 체육관 등의 상부를 커버하는 슬라이딩 구조의 지붕 구조물이 하나의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슬라이딩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딩 구동시 좌,우 편차없이 원활한 슬라이딩 개폐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건물의 상부를 덮는 고정 지붕과, 상기 고정 지붕 일측의 개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건물에 설치되는 양쪽의 지지용 빔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용 지붕을 포함하는 지붕 개폐장치로서, 상기 개폐용 지붕이 설치된 건물에 마련되는 하나의 구동수단과, 양쪽 단부가 양쪽의 상기 지지용 빔들의 단부 영역에 각각 회전 지지되거나, 상기 건물의 구조물에 각각 회전 지지되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회전축을 포함하는 개폐 구동부; 상기 개폐용 지붕이 개방완료되는 위치의 양쪽 지지용 빔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설치되는 피동 체인풀리들과, 상기 구동 회전축의 각 단부 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 체인풀리들과, 상기 구동 체인풀리와 상기 피동 체인풀리에 설치되는 각각의 개폐용 체인들로 이루어진 개폐 작동부; 및 한쪽이 상기 개폐용 체인들에 각각 연결되고, 다른 쪽은 상기 개폐용 지붕의 각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양쪽의 각 개폐용 체인들과 상기 개폐용 지붕의 양쪽 하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작동으로 상기 구동 회전축이 양쪽의 구동 체인풀리를 회전 구동시켜 양쪽의 개폐용 체인이 동시에 작동되어 상기 개폐용 지붕의 양쪽 하단부를 개방위치나 폐쇄위치로 동시에 이동시켜 상기 개폐용 지붕이 상기 개방공간을 개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개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동 회전축은 2개로 분할 구성되어 축 연결 커플링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감속기 및 클러치 구성을 갖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져 구동축에 마련되는 구동기어 및 어느 하나의 구동 회전축에 마련되는 피동기어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구동 회전축을 구동 회전시키거나, 감속기 및 클러치 구성을 갖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져 구동축에 마련되는 모터측 체인풀리 및 어느 하나의 구동 회전축에 마련되는 회전축 체인풀리, 그리고 모터의 체인풀리와 회전축 체인풀리에 설치되는 회전축 구동용 체인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 회전축을 구동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감속기 및 클러치 구성을 갖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져 구동축에 마련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 회전축에 마련되는 피동기어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구동 회전축을 구동 회전시키거나, 감속기 및 클러치 구성을 갖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져 구동축에 마련되는 모터 체인풀리 및 상기 구동 회전축에 마련되는 회전축 체인풀리, 그리고 모터 체인풀리와 회전축 체인풀리에 설치되는 회전축 구동용 체인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 회전축을 구동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 구동부는, 상기 구동수단의 고장시 상기 구동 회전축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상기 개폐용 지붕을 개폐시키기 위한 수동 개폐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수동 개폐수단은, 양쪽의 상기 지지용 빔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용 빔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수동핸들이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수동 개폐용 피동체인풀리; 상기 수동 개폐용 피동체인풀리와 일직선상에 해당하는 상기 구동 회전축에 마련되는 수동 개폐용 구동체인풀리; 및 상기 수동 개폐용 피동체인풀리와 수동 개폐용 구동체인풀리에 설치되는 수동 개폐용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감속기 및 클러치 구성을 갖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고, 구동축에 마련되는 구동 베벨기어가 상기 구동 회전축에 마련되는 피동 베벨기어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고장시 상기 구동 회전축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상기 개폐용 지붕을 개폐시키기 위한 수동 개폐수단이 마련될 수 있는데, 상기 수동 개폐수단은, 상기 구동 회전축에 마련되는 수동용 피동 베벨기어; 및 상기 수동용 피동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수동용 구동 베벨기어가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동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용 지붕이 상기 개폐 구동부에 의해 개폐작동되는 제1 지붕과, 상기 제1 지붕의 개폐작동에 연동하여 개폐작동되는 제2 지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제1,2 지붕이 연동되어 개방공간을 개폐하도록 하기 위한 연동 개폐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연동 개폐수단은, 상기 피동 체인풀리 쪽에 위치한 상기 제1 지붕의 하단부 한쪽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2 공회전 체인풀리; 일단이 상기 제2 지붕의 한쪽 하단부 쪽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공회전 체인풀리에 감기며, 타단은 상기 피동 체인풀리와 근접한 위치의 지지용 빔이나 건물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1 연동체인; 및 일단이 상기 제2 지붕의 다른 쪽 하단부 쪽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공회전 체인풀리에 감기며, 타단은 상기 구동 회전축에 근접한 위치의 지지용 빔이나 건물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2 연동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붕이 상기 개폐 구동부와 개폐 작동부에 의해 개방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1 공회전 체인풀리가 상기 제1 연동체인을 당기게 되어 상기 제2 지붕이 상기 제1 지붕의 개방 작동에 연동되어 개방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1 지붕이 상기 개폐 구동부와 개폐 작동부에 의해 폐쇄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2 공회전 체인풀리가 상기 제2 연동체인을 당기게 되어 상기 제2 지붕이 상기 제1 지붕의 개방 작동에 연동되어 폐쇄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문대나 체육관 등의 상부를 커버하는 슬라이딩 구조의 개폐용 지붕이 하나의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슬라이딩 구동됨으로써, 개폐용 지붕이 좌,우 편차없이 원활하게 개폐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모터가 고장 나더라도 수동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개폐용 지붕을 좌,우 편차없이 원활하게 개폐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폐용 지붕이 2개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 구성될 경우에 연동 개폐수단에 의해 각각의 계폐용 지붕이 연동되어 개폐 작동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개폐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붕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붕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붕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동 개폐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a,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붕 개폐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개폐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붕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붕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붕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붕 개폐장치는, 건물 상부의 개방공간 전부 또는 일부를 개폐하도록 된 것으로, 건물의 상부 양쪽에 평행하게 각각 설치되는 지지용 빔(10)에 양쪽의 하단부(22) 로울러(24)에 의해 지지용 빔(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용 지붕(20)과, 하나의 구동수단(32)과 이 구동수단(3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회전축(34)을 구비한 개폐 구동부(30)와, 개폐 구동부(30)의 구동력을 개폐용 지붕(20)에 전달하여 개폐용 지붕(20)이 건물 상부의 개방공간을 개폐하도록 하기 위한 개폐 작동부(40)와, 개폐 작동부(40)와 개폐 구동부(30)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연결부재(50)를 포함하여, 개폐용 지붕(20)이 하나의 구동수단(32)에 의해 슬라이딩 구동되면서 개방공간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지붕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건물의 상부 구조물에는 한 쌍의 지지용 빔(10)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 지지용 빔(10)의 상면에는 하단부(22)에 설치된 로울러(24)가 안내되기 위한 안내레일(12)이 각각 설치된다. 지지용 빔(10)은 개폐용 지붕(20)의 개폐방향으로 각각 나란히 설치되는 것이다.
개폐용 지붕(20)은, 건물 상부의 개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돔형태를 갖으며 양쪽의 하단부(22)에는 지지용 프레임(22A)이 설치되고, 이 지지용 프레임(22A)에는 안내레일(12)에 지지되어 구름운동하는 로울러(24)가 설치된다. 따라서 개폐용 지붕(20)은 안내레일(12)을 따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개방공간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재(50)는, 개폐용 지붕(20)의 하단부(22)에 마련되는 것으로 이 연결부재(50)의 하단부(53) 양쪽에는 안내레일(12)의 내측면에 위치하여 로울러(24)가 안내레일(1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한 쌍의 이탈방지 로울러(54)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이탈방지 로울러(54)는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부재(50)의 하단부(53) 양쪽에 각각 결합될 수 있고, 수직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부재(50)의 하단부(53) 양쪽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양쪽의 연결부재(50)의 하단부(53)에는 개폐 작동부(40)의 개폐용 체인(46)에 결합되기 위한 연결단(56)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절곡되어 형성된다.
개폐 구동부(30)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개폐용 지붕(20)을 개폐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개폐용 지붕(20)이 설치된 건물에 마련되는 하나의 구동수단(32)과, 양쪽 단부가 양쪽의 지지용 빔(10)들의 단부 영역에 각각 회전 지지되어 구동수단(3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회전축(34)으로 이루어진다.
구동수단(32)은, 감속기(32B) 및 회전력이 발생될 때에만 동력이 전달되는 클러치(32C) 구성을 구비한 구동모터(32A)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32A)의 구동축에 마련되는 모터측 체인풀리(32D) 및 구동 회전축(34)에 마련되는 회전축 체인풀리(32E), 그리고 모터 체인풀리(32D)와 회전축 체인풀리(32E)에 설치되는 회전축 구동용 체인(32F)에 의해 구동 회전축(34)을 구동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구동 회전축(34)은 베어링 장치에 의해 회전 지지되며, 양단부는 양쪽의 지지용 빔(1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베어링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따라서 구동모터(32A)의 회전력은 회전축 구동용 체인(32F)를 통하여 구동 회전축(34)에 전되어 구동 회전축(34)이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구동모터(32A)의 구동력이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구동 회전축(34)에 설치되는 피동기어의 맞물림 구성에 의해 구동 회전축(34)에 전달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수단(32)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회전축(34)이 2개로 분할되고, 축 연결 커플링(34A)에 의해 서로 연결된 구성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개폐 구동부(30)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은, 하나의 구동모터(32A)로 개폐용 지붕(20)의 양쪽 하단부(22)를 동시에 개방 방향으로 당기거나 폐쇄방향 으로 당겨 양쪽 하단부(22)가 편차없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개폐용 지붕(20)의 원활한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개폐 작동부(40)는, 구동 회전축(34)의 회전력을 개폐용 지붕(2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개폐용 지붕(20)이 개방완료되는 위치의 양쪽 지지용 빔(10)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설치되는 피동 체인풀리(42)들과, 구동 회전축(34)의 각 단부 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 체인풀리(44)들과, 구동 체인풀리(42)와 피동 체인풀리(44)에 설치되는 각각의 개폐용 체인(46)들로 이루어진다. 피동 체인풀리(42)와 구동 체인풀리(44)는 일직선상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는 피동 체인풀리(42)와 구동 체인풀리(44)에 감긴 개폐용 체인(46)이 회전중에 피동 체인풀리(42)와 구동 체인풀리(4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지지용 빔(10)에는 개폐용 체인(46)의 처짐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인 안내부재 등이 다수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개폐용 체인(46)의 일부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연결부재(50)의 연결단(56)과 결합된다.
한편, 전술한 개폐 작동부(40)와 연결부재(50) 등은 구동 회전축(34)을 사이에 두고 양쪽의 각 하단부(22)와 연결되도록 마련됨은 당연하다. 즉, 양쪽의 개폐 작동부(40)와 연결부재(50)는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붕 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개폐용 지붕(20)이 개방공간을 덮어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개폐 구동부(30)의 구동모터(32A)가 정회전을 하면, 구동 회전축(34)이 양쪽의 개폐용 체인(46)들을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점쇄선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개폐용 체인(46)에 연결단(56)으로 결합된 개폐용 지붕(20)의 하단부(22)가 동시에 일점쇄선 화살표 방향으로 좌,우 편차없이 이동하여 개방공간을 개방하게 된다.
한편, 구동모터(32A)가 역회전을 하면, 구동 회전축(34)이 양쪽의 개폐용 체인(46)들을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이점쇄선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개폐용 체인(46)에 연결단(56)으로 결합된 개폐용 지붕(20)의 하단부(22)가 동시에 이점쇄선 화살표 방향으로 좌,우 편차없이 이동하여 개방공간을 폐쇄하게 된다.
즉, 구동 회전축(34)이 정회전하거나 역회전하는 작동에 따라 개폐용 체인(46)이 연결단(56)을 이동시키게 되므로, 개폐용 지붕(2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개방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구동수단(32)이 하나의 구동 회전축(34)을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켜 양쪽의 개폐용 체인(46)을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폐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개폐용 지붕(20)의 양쪽이 좌,우 편차없이 동시에 당겨져 슬라이딩하여 이동(실제로는 로울러의 구름운동)하게 되므로, 개폐용 지붕(20)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구동부(30)는 구동수단(32)의 고장시 구동 회전축(34)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개폐용 지붕(20)을 개폐시키기 위한 수동 개폐수단(35)을 더 구비한다.
이 수동 개폐수단(35)은, 양쪽의 지지용 빔(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용 빔(10)에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되고, 수동핸들(35A)이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수동 개폐용 피동체인풀리(35B)와, 수동 개폐용 피동체인풀리(35B)와 일직선상에 해당하는 구동 회전축(34)에 마련되는 수동 개폐용 구동체인풀리(35C)와, 수동 개폐용 피동체인풀리(35B)와 수동 개폐용 구동체인풀리(35C)에 설치되는 수동 개폐용 체인(35D)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정전이나 구동수단(32)이 고장으로 구동 회전축(34)의 자동 구동이 곤란한 경우에는, 개폐용 피동체인풀리(35B)에 수동핸들(35A)을 결합한다.
그리고 수동핸들(35A)을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게 되면, 수동 개폐용 체인(35D)이 구동 회전축(34)을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 시키게 되므로, 양쪽의 개폐용 체인(46)이 양쪽의 하단부(22)를 동시에 당기게 되어 개폐용 지붕(20)의 개폐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수단(32)이 고장나거나 정전시에 수동핸들(35A)로 개폐용 피동체인풀리(35B)를 구동시켜 개폐용 지붕(20)의 양쪽 하단부(22)를 동시에 이동시켜 개폐용 지붕(20)을 개폐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은, 구동모터(32A)에 클러치(32C)가 마련되어 있어서, 구동모터(32A)가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구동 회전축(34)과 구동모터(32A)가 기구적으로 분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구동 회전축(34)이 수동 개폐수단(35)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고, 더불어 양쪽 하단부(22)가 하나의 구동 회전축(34)에 의해 동시에 구동 작동하는 양쪽의 각 개폐 작동부(40)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수단(32)이 고장나거나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개폐용 지붕(20)을 수동 개폐수단(35)으로 용이하게 개폐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동 개폐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개폐수단(35)의 다른 실시예는, 구동수단(32)이 감속기(32B) 및 클러치(32C) 구성을 갖는 구동모터(32A)로 이루어지고, 구동모터(32A)의 구동축에 마련되는 구동 베벨기어(35E)가 구동 회전축(34)에 마련되는 피동 베벨기어(35F)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경우에, 구동 회전축(34)에 마련되는 수동용 피동 베벨기어(35G)와, 수동용 피동 베벨기어(35G)와 맞물리는 수동용 구동 베벨기어(35H)가 단부에 마련되어 구동모터(32A)가 설치되는 케이스(35I)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동핸들(35J)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수동핸들(35J)에는 수동핸들(35J)가 회전작동할 때만 회전 동력을 수동용 구동 베벨기어(35H)에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가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32A)가 고장나거나 정전으로 구동모터(32A)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 수동핸들(35J)를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면, 수동용 구동 베벨기어(35H)가 구동 회전축(34)에 마련된 수용동 피동 베벨기어(35G)를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게 되므로, 구동 회전축(34)이 수동핸들(35J)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정회전하거나 역회전하게 되어 양쪽의 개폐용 체인(46)을 각각 작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작동으로 개폐용 지붕(20)이 수동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a,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붕 개폐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6a,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붕 개폐장치는, 개폐용 지붕(20)이 개폐 구동부(30)에 의해 개폐작동되는 제1 지붕(20A)과, 제1 지붕(20A)의 개폐작동에 연동하여 개폐작동되는 제2 지붕(20B)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제1,2 지붕(20A,20B)이 연동되어 개방공간을 개폐하도록 하기 위한 연동 개폐수단(60)이 마련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때, 제2 지붕(20B)은 제1 지붕(20A)보다 크게 형성되어 겹쳐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연동 개폐수단(60)은, 피동 체인풀리(42) 쪽에 위치한 제1 지붕(20A)의 하단부 한쪽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2 공회전 체인풀리(62A,62B)와, 일단이 제1 연결 브라켓(61)에 의해 제2 지붕(20B)의 한쪽 하단부 쪽에 고정되고, 제1 공회전 체인풀리(62A)에 감기며, 타단은 피동 체인풀리(42)와 근접한 위치의 지지용 빔(10)이나 건물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1 연동체인(64)와, 일단이 제2 연결 브라켓(63)에 의해 제2 지붕(20B)의 다른 쪽 하단부 쪽에 고정되고 제2 공회전 체인풀리(62B)에 감기며, 타단은 구동 회전축(34)에 근접한 위치의 지지용 빔(10)이나 건물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2 연동체인(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제1 연동체인(64)은 제1 공회전 체인풀리(62A)에 감기고, 일단이 제2 지붕(20B)의 한쪽 하단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피동 체인풀리(42)가 설치된 위치의 지지용 빔(10)에 고정되는 것이고, 제2 연동체인(66)은 제2 공회전 체인풀리(62B)에 감기고, 일단이 제2 지붕(20B)의 다른 쪽(제1 연동체인의 일단이 결합된 방향의 반대 방향) 하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구동 회전축(34) 쪽에 근접한 위치의 지지용 빔(1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동 개폐수단(60)의 작동으로 제1,2 지붕(20A,20B)이 동시에 개방되고 폐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개폐 구동부(30)의 작동으로 구동 회전축(34)이 정회전하게 되면, 개폐용 체인(46)이 제1 지붕(20A)을 개방위치(일점쇄선 화살표 방향)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제1 지붕(20A)의 하단부 한쪽에 공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1,2 공회전 체인풀리(62A,62B)도 제1 지붕(20A)과 같이 개방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1 공회전 체인풀리(62A)는 제1 연동체인(64)을 당기게 된다. 즉,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1 공회전 체인풀리(62A)가 제1 지붕(20A)에 의해 개방위치로 이동하면서 제1 연동체인(64)을 당기게 되므로 제2 지붕(20B)은 제1 지붕(20A)의 이동에 연동되어 개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제1 연동체인(64)의 일단은 제2 지붕(20B)의 한쪽 하단부에 고정되고, 중간부가 제1 공회전 체인풀리(62A)에 감기며, 타단이 지지용 빔(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공회전 체인풀리(62A)가 개방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제1 공회전 체인풀리(62A)가 회전되면서 제2 지붕(20B)의 한쪽 하단부에 고정된 제1 연동체인(62A)을 개방위치(구동 회전축이 설치된 방향) 방향으로 당기게 되므로 제2 지붕(20B)이 제1 지붕(20A)의 개방작동에 연동되어 개방위치로 이동하면서 제1 지붕(20A)과 더불어 개방공간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제2 연동체인(66)의 일단은 제1 연동체인(64)에 의해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제2 지붕(20B)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 연동체인(66)에는 부하가 걸리지 않고, 제2 지붕(20B)과 함께 개방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지붕(20B)이 제1 지붕(20A)의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에 연동되므로, 제1,2 지붕(20A,20B)가 동시에 개방공간을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개폐 구동부(30) 및 개폐 작동부(40)의 폐쇄 작동으로 개폐용 체인(46)이 이점쇄선 화살표 방향(폐쇄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지붕(20A)이 개폐공간을 폐쇄하는 경우에, 개방위치에 있던 제1 지붕(20A)이 폐쇄위치로 이동하면, 제2 공회전 체인풀리(62B)가 제1 지붕(20A)과 같이 이동하면서 제2 연동체인(66)을 이점쇄선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이때, 제1 연동체인(64)에는 부하가 걸리지 않기 때문에 제1 공회전 체인풀리(62A)는 원활하게 폐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공회전 체인풀리(62B)가 일단이 제2 지붕(20B)의 다른쪽 하단부에 고정된 제2 연동체인(66)을 당기게 되므로 제2 지붕(20B)은 제1 지붕(20A)의 폐쇄 작동과 연동되어 폐쇄위치로 이동하면서 제1 지붕(20A)과 더불어 개방공간은 폐쇄하게 된다.
제2 지붕(20B)의 연동 개폐작동은, 제1 지붕(20A)의 단부 영역에 공회전하는 제1,2 공회전 체인풀리(62A,62B)가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연동체인(64)의 일단은 제2 지붕(20B)의 한쪽에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용 빔(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공회전 체인풀리(62A)에 감기고, 제2 연동체인(66)의 일단은 제2 지붕(20B)의 반대쪽(제1 연동체인이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고정되고 타단은 구동 체인풀리(44)에 근접한 영역의 지지용 빔(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 공회전 체인풀리(62B)에 감기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 지붕(20A)의 개폐 작동에 연동하여 개폐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지붕(20A,20B)으로 구성된 상태에서 서로 연동되는 상태를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구성을 이용하여 2개 이상의 지붕을 서로 연동시켜 개방공간을 개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지지용 빔 20 : 개폐용 지붕
20A : 제1 지붕 20B : 제2 지붕
22 : 하단부 30 : 개폐 구동부
32 : 구동수단 34 : 구동 회전축
35 : 수동 개폐수단
40 : 개폐 작동부 42 : 피동 체인풀리
44 : 구동 체인풀리 46 : 개폐용 체인
50 : 연결부재 60 : 연동 개폐수단

Claims (7)

  1. 건물의 상부를 덮는 고정 지붕과, 상기 고정 지붕 일측의 개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건물에 설치되는 양쪽의 지지용 빔과, 각 상기 지지용 빔에 설치되는 각각의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레일에 안내되는 로울러가 하단부에 설치되는 개폐용 지붕을 포함하는 지붕 개폐장치로서,
    상기 개폐용 지붕이 설치된 건물에 마련되는 하나의 구동수단과, 양쪽 단부가 양쪽의 상기 지지용 빔들의 단부 영역에 각각 회전 지지되거나, 상기 건물의 구조물에 각각 회전 지지되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회전축을 포함하는 개폐 구동부; 상기 개폐용 지붕이 개방완료되는 위치의 양쪽 지지용 빔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설치되는 피동 체인풀리들과, 상기 구동 회전축의 각 단부 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 체인풀리들과, 상기 구동 체인풀리와 상기 피동 체인풀리에 설치되는 각각의 개폐용 체인들로 이루어진 개폐 작동부; 및 한쪽이 상기 개폐용 체인들에 각각 연결되고, 다른 쪽은 상기 개폐용 지붕의 각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양쪽의 각 개폐용 체인들과 상기 개폐용 지붕의 양쪽 하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안내레일에 안내되는 로울러가 이탈되지 않도록 양쪽의 하단부에, 한 쌍의 이탈방지 로울러가 상기 안내레일의 양쪽 내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는 양쪽의 하단부에는 상기 개폐용 체인이 결합되기 위한 연결단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거나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폐용 지붕이 상기 개폐 구동부에 의해 개폐작동되는 제1 지붕과, 상기 제1 지붕의 개폐작동에 연동하여 개폐작동되는 제2 지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제1,2 지붕이 연동되어 개방공간을 개폐하도록 하기 위한 연동 개폐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연동 개폐수단은,
    상기 피동 체인풀리 쪽에 위치한 상기 제1 지붕의 하단부 한쪽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2 공회전 체인풀리;
    일단이 상기 제2 지붕의 한쪽 하단부 쪽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공회전 체인풀리에 감기며, 타단은 상기 피동 체인풀리와 근접한 위치의 지지용 빔이나 건물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1 연동체인; 및
    일단이 상기 제2 지붕의 다른 쪽 하단부 쪽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공회전 체인풀리에 감기며, 타단은 상기 구동 회전축에 근접한 위치의 지지용 빔이나 건물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2 연동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붕이 상기 개폐 구동부와 개폐 작동부에 의해 개방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1 공회전 체인풀리가 상기 제1 연동체인을 당기게 되어 상기 제2 지붕이 상기 제1 지붕의 개방 작동에 연동되어 개방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1 지붕이 상기 개폐 구동부와 개폐 작동부에 의해 폐쇄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2 공회전 체인풀리가 상기 제2 연동체인을 당기게 되어 상기 제2 지붕이 상기 제1 지붕의 개방 작동에 연동되어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전축은 2개로 분할 구성되어 축 연결 커플링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감속기 및 클러치 구성을 갖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져 구동축에 마련되는 구동기어 및 어느 하나의 구동 회전축에 마련되는 피동기어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구동 회전축을 구동 회전시키거나,
    감속기 및 클러치 구성을 갖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져 구동축에 마련되는 모터측 체인풀리 및 어느 하나의 구동 회전축에 마련되는 회전축 체인풀리, 그리고 모터의 체인풀리와 회전축 체인풀리에 설치되는 회전축 구동용 체인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 회전축을 구동 회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감속기 및 클러치 구성을 갖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져 구동축에 마련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 회전축에 마련되는 피동기어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구동 회전축을 구동 회전시키거나,
    감속기 및 클러치 구성을 갖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져 구동축에 마련되는 모터측 체인풀리 및 상기 구동 회전축에 마련되는 회전축 체인풀리, 그리고 모터의 체인풀리와 회전축 체인풀리에 설치되는 회전축 구동용 체인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 회전축을 구동 회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부는,
    상기 구동수단의 고장시 상기 구동 회전축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상기 개폐용 지붕을 개폐시키기 위한 수동 개폐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수동 개폐수단은,
    양쪽의 상기 지지용 빔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용 빔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수동핸들이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수동 개폐용 피동체인풀리;
    상기 수동 개폐용 피동체인풀리와 일직선상에 해당하는 상기 구동 회전축에 마련되는 수동 개폐용 구동체인풀리; 및
    상기 수동 개폐용 피동체인풀리와 수동 개폐용 구동체인풀리에 설치되는 수동 개폐용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감속기 및 클러치 구성을 갖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고, 구동축에 마련되는 구동 베벨기어가 상기 구동 회전축에 마련되는 피동 베벨기어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고장시 상기 구동 회전축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상기 개폐용 지붕을 개폐시키기 위한 수동 개폐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수동 개폐수단은,
    상기 구동 회전축에 마련되는 수동용 피동 베벨기어;
    상기 수동용 피동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수동용 구동 베벨기어가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동핸들; 및
    상기 수동핸들이 회전작동할 때에만 회전 동력을 상기 수동용 구동 베벨기어에 전달하도록 상기 수동핸들에 구비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개폐장치.
  7. 삭제
KR1020140134610A 2014-10-06 2014-10-06 지붕 개폐장치 KR101603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610A KR101603653B1 (ko) 2014-10-06 2014-10-06 지붕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610A KR101603653B1 (ko) 2014-10-06 2014-10-06 지붕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3653B1 true KR101603653B1 (ko) 2016-03-15

Family

ID=5554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610A KR101603653B1 (ko) 2014-10-06 2014-10-06 지붕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6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392U (ko) * 2016-07-28 2018-02-08 김일환 천문대
KR101930341B1 (ko) 2017-08-04 2018-12-18 민인영 천장, 경사면, 곡면 및 외부 차양용 블라인드 장치
KR20190121467A (ko) * 2018-04-18 2019-10-28 경기도 부천시 침전지용 탈취 커버의 주행식 점검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3124U (ja) * 1992-03-10 1993-10-05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屋根窓の開閉装置
JPH0941540A (ja) * 1995-07-27 1997-02-10 Yashima Tekko Kk アーケードの屋根開閉装置
KR100786767B1 (ko) * 2006-10-16 2007-12-21 주식회사 장학산업 슬라이드식 개방형 지붕
KR20130003241U (ko) * 2011-11-24 2013-06-0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지하철 외부 출입구용 캐노피
KR101280410B1 (ko) 2011-12-22 2013-07-01 주식회사 스판코리아 슬라이드방식의 지붕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3124U (ja) * 1992-03-10 1993-10-05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屋根窓の開閉装置
JPH0941540A (ja) * 1995-07-27 1997-02-10 Yashima Tekko Kk アーケードの屋根開閉装置
KR100786767B1 (ko) * 2006-10-16 2007-12-21 주식회사 장학산업 슬라이드식 개방형 지붕
KR20130003241U (ko) * 2011-11-24 2013-06-0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지하철 외부 출입구용 캐노피
KR101280410B1 (ko) 2011-12-22 2013-07-01 주식회사 스판코리아 슬라이드방식의 지붕 개폐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392U (ko) * 2016-07-28 2018-02-08 김일환 천문대
KR200487583Y1 (ko) * 2016-07-28 2018-10-10 김일환 천문대
KR101930341B1 (ko) 2017-08-04 2018-12-18 민인영 천장, 경사면, 곡면 및 외부 차양용 블라인드 장치
KR20190121467A (ko) * 2018-04-18 2019-10-28 경기도 부천시 침전지용 탈취 커버의 주행식 점검대
KR102100030B1 (ko) * 2018-04-18 2020-04-13 경기도 부천시 침전지용 탈취 커버의 주행식 점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653B1 (ko) 지붕 개폐장치
US5806245A (en) Vertical lift gate assembly
US20090301821A1 (en) Elevator entrance apparatus
WO2021180831A1 (en) A door operation system
US20230265705A1 (en) A door operator system
KR100761035B1 (ko)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 가이드장치
KR100786767B1 (ko) 슬라이드식 개방형 지붕
US6719033B2 (en) Power operated multi-paneled garage door opening system
KR100863514B1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US20090205258A1 (en) Door, in particular sectional door, and door drive
KR20090011218U (ko)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
KR100706196B1 (ko) 전동 도어 수동 조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동 도어
KR100672022B1 (ko) 슬라이드식 개방형 지붕
KR101163762B1 (ko) 회전식 창문 개폐장치
KR20160003957U (ko) 흔들림 방지 구조를 갖는 디펜스 도어 개폐장치
KR102217624B1 (ko)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
KR100651173B1 (ko) 캐노피 수동 구동장치
JP2912202B2 (ja) アーケードの屋根開閉装置
WO2019040019A2 (en) ENHANCED FOLDING WINDOWS
KR102227063B1 (ko) 변속 기능을 가진 창문형 자동폐쇄장치
KR20160144089A (ko) 비닐하우스의 환기방법 및 그 장치
KR200453010Y1 (ko) 레일조립체
KR200486404Y1 (ko) 도어 링크 꺽임 방지 구조를 갖는 디펜스 도어 개폐장치
KR200447076Y1 (ko) 레일 조립체
KR102569979B1 (ko) 개폐형 차양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