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392U - 천문대 - Google Patents

천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392U
KR20180000392U KR2020160004358U KR20160004358U KR20180000392U KR 20180000392 U KR20180000392 U KR 20180000392U KR 2020160004358 U KR2020160004358 U KR 2020160004358U KR 20160004358 U KR20160004358 U KR 20160004358U KR 20180000392 U KR20180000392 U KR 201800003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conveying
roller
observatory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583Y1 (ko
Inventor
김일환
Original Assignee
김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환 filed Critical 김일환
Priority to KR2020160004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58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3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3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5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04B7/16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characterised by a translation movement of the movable roof part, with or without additional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6Housings; Caps; Mountings; Supports, e.g. with counterwe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문대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벽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상기 관측소의 외측으로 상기 지붕의 길이만큼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지붕이송레일과; 상기 지붕의 양측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붕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의 내측에 상기 지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한 쌍의 이송체인과; 상기 관측소의 상단에 구비되며, 구동축에 이송체인을 이송하는 체인풀리가 결합되어 상기 지붕이 직선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한 쌍의 지붕이송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문대{OBSERVATORY}
본 고안은 천문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지붕 전체의 슬라이딩 이동으로 관측소 상부 전체가 개방되어 관측자의 관측범위를 넓힐 수 있는 천문대에 관한 것이다.
천체는 과거에 비해 많은 사람이 관심을 보이고 있는 분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천체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전문가는 물론 특별한 관심을 갖고 정기적으로 모임을 하는 동호인까지 천체관측에 관심을 보이는 인원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관심에 부흥하여 천체관측을 대중화시키려는 움직임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천체 관측은 소수에 불과한 천문대를 이용해야하나, 천문대의 대부분이 교통이 불편한 장소에 자리하고 있어 자주 방문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한편, 천체 관측을 위해서는 고가의 천체망원경 등과 같은 천체 관측장비가 필요하다. 고가의 천체망원경은 천문대를 찾지 않고도 천체를 관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천체 관측을 위해 휴대하기가 어렵고, 이동 후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많은 시간을 소요하여 천체망원경을 설치했으나 급작스럽게 비나 눈 등에 의해 기상조건이 악화되면 이를 철수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관측자들이 천체망원경을 범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한계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 도심지 내부에서 천체를 관측할 수 있는 간이 천문대가 설치되고 있다.
종래 간이 천문대들은 내부에 천체를 관측할 수 있는 망원경을 구비하고, 관측실의 상부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반구형의 돔을 형성하여 천체관측을 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 때, 반구형 돔은 개폐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개폐가능한 천문대의 돔구조가 등록특허 제10-1323808호 "안전개폐장치가 구비된 천문대 돔구조"에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천문대의 반구형 돔은 전체가 완전하게 개방될 수 없어 돔의 개방면적이 적은 단점이 있다.
즉, 천체 관측시 돔이 반원모양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열려지는 형태로 개방되므로 개방면적이 좁아 관측자가 여러방향에서 천체를 관측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돔을 수시로 회전시켜야만 하므로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 또한, 반구형 돔이 개폐될 뿐만 아니라 회전까지 되도록 설치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짐은 물론 천문대의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측소 상부의 지붕 전체를 개방하여 관측면적을 넓힐 수 있는 천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지붕을 관측소 상부에서 좌우로 개폐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천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장소를 이동할 수 있는 천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천문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천문대는, 양측벽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상기 관측소의 외측으로 상기 지붕의 길이만큼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지붕이송레일과; 상기 지붕의 양측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붕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의 내측에 상기 지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한 쌍의 이송체인과; 상기 관측소의 상단에 구비되며, 구동축에 이송체인을 이송하는 체인풀리가 결합되어 상기 지붕이 직선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한 쌍의 지붕이송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붕의 양측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이송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롤러하우징과; 상기 롤러하우징과 상기 이송체인을 결합시켜 상기 이송체인의 견인력이 상기 지붕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체인하우징결합판과; 상기 체인하우징결합판과 대향되는 방향에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롤러하우징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지붕이송레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지붕의 직선 이송을 안내하는 지붕이송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붕이송레일은 상기 관측소 양측벽의 상면에 결합되는 관측소결합판과, 상기 이송롤러와 접촉되며 상기 이송롤러의 이송을 안내하는 롤러안내판과, 상기 관측소결합판과 상기 롤러안내판을 서로 연결하는 수직축을 포함하며, 상기 지붕이송가이드부는, 상단은 상기 롤러하우징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수직축을 향해 절곡형성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절곡된 단부에 상기 수직축과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며, 상기 지붕의 직선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측소는 차량에 적재되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관측소의 하부에는 상기 차량의 이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복수개의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측소의 내부에는 상기 관측소에서 충격이 발생될 때, 상기 망원경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망원경고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망원경고정부재는 상기 관측소본체의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길이가 가변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망원경의 외주면을 접촉가압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천문대는 지붕전체를 관측소로부터 이웃하게 직선이동시키므로, 관측소의 상부 전체가 개방된다. 이에 의해 관측범위가 넓어질 수 있어 관측자가 다양한 각도에서 천체를 관측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천문대는 지붕의 개폐구조가 모터와 체인으로 구현되며, 관측소가 컨테이너 또는 조립식건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체 천문대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어 다양한 장소에 간편하게 설치되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천문대는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하여, 다양한 장소로 이동하며 천체를 관측할 수도 있다. 이 때,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을 완충부재로 완충하여 망원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천문대의 지붕이 닫혀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천문대의 지붕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천문대의 관측소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천문대의 지붕이송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천문대의 지붕이송부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천문대의 지붕이 개폐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천문대가 차량에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천문대(1)의 지붕(200)이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천문대(1)의 지붕(200)이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천문대(1)는 망원경(160)이 배치된 관측소(100)와, 관측소(100)의 상부에 구비된 지붕(200)과, 지붕(200)을 직선이동시키는 지붕이송부(300)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관측자가 천체를 관측하지 않을 경우 지붕(200)을 닫고, 관측자가 천제를 관측할 경우 지붕(200)을 이동시켜 관측소(100)의 상부 전체를 개방할 수 있다. 관측소(100)의 상부 전체가 개방되므로 관측자는 다양한 방향으로 망원경(160)의 각도를 변경하여 관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문대(1)의 관측소(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측소(100)는 함체 형태로 형성된 관측소본체(110)와, 관측소본체(110)의 외면에 구비되어 관측자가 출입하는 도어(120)와, 관측소본체(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높게 형성되는 데크(130)와, 바닥면과 데크(130)를 연결하는 계단(140)과, 관측자가 데크(13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난간(150)과, 데크(13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망원경(160)을 포함한다.
관측소본체(110)는 간편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컨테이너, 또는 조립식 건물로 형성될 수 있다. 관측소본체(110)를 형성하는 양측벽(111)의 상면에는 지붕이송부(300)의 지붕이송레일(320)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전면가로벽(113)과 후방가로벽(115)이 양측벽(111)에 결합된다.
여기서, 후방가로벽(115)은 지붕(200)이 이동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가로벽을 의미하며, 전방가로벽(113)은 지붕(200)이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가로벽을 의미한다.
후방가로벽(115)의 상부에는 한 쌍의 지붕이송모터(310)가 구비된다.
도어(120)는 관측소본체(110)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된다. 도어(120)는 잠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관측자가 없는 시간 동안 안전하게 망원경(160)과 내부시설이 보호될 수 있게 한다.
데크(130)는 관측자가 높은 위치에서 망원경(160)을 통해 천체를 관측할 수 있게 한다. 데크(130)는 마루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데크(130)는 관측소본체(110)의 바닥면과 계단(140)으로 연결되고, 데크(130)의 단부에는 난간(150)이 형성되어 관측자가 데크(130)로부터 바닥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망원경(160)은 데크(130)에 배치된다. 망원경(160)은 집광률과 배률이 상이한 것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망원경(160)은 분실되지 않도록 데크(130)에 고정배치되며, 다양한 각도로 천체를 관측할 수 있도록 관측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관측소본체(110)에는 지붕이송부(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170)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박스(170)는 관측소본체(110)의 내측벽면에 설치되거나, 관측소본체(110)의 일측에 통제소의 형태로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관리자는 제어박스(170)를 조작하여 지붕(200)을 개폐하게 된다.
지붕(200)은 관측소(100)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지붕(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측소(100)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측소(100)의 상부를 개방한다. 지붕(200)은 상단이 볼록하게 형성된 돔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붕이송부(300)는 제어박스(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붕(200)을 직선이동시켜 관측소(10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한다. 도 4는 지붕이송부(3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지붕이송부(30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천문대(1)의 측단면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지붕이송부(300)는 지붕(200)이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지붕이송모터(310)와, 관측소(100)의 양측벽(111)의 상단에 구비되어 지붕(200)의 이송을 안내하는 지붕이송레일(320)과, 지붕(200)의 양측하부(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롤러(330)와, 지붕(200)의 양측하부(210)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송체인(340)을 포함한다.
지붕이송모터(310)는 관측소(100)의 후방가로벽(115)에 양측으로 배치되어, 이송체인(340)이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지붕이송모터(310)는 제어박스(170)의 제어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정역방향으로 구동된다. 지붕이송모터(310)의 구동축(311)에는 체인풀리(313)가 결합된다. 체인풀리(313)는 이송체인(340)과 맞물리며 회전하여 이송체인(340)이 이동되도록 한다.
지붕이송레일(320)은 관측소(100)의 양측벽(111)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이 때, 지붕이송레일(3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측소(100)의 양측벽(111)으로부터 지붕(200)의 이동방향을 따라 지붕(200)의 길이(ℓ)만큼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관측소(100)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지붕이송레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곽지붕이송레일(320)이라 칭한다.
이에 의해 지붕(200)이 관측소(100)의 상부에 결합된 지붕이송레일(320)로부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측소(100)의 외측으로 연장된 외곽지붕이송레일(320)로 전체가 이동될 수 있다.
지붕이송레일(3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I"자 형태인 빔으로 형성된다. 지붕이송레일(320)은 관측소본체(110)의 양측벽(111)의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본체결합판(321)과, 본체결합판(321)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축(323)과, 수직축(323)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이송롤러(330)의 이송을 안내하는 롤러안내판(325)을 포함한다.
본체결합판(321)은 용접 또는 체결부재에 의해 양측벽(111)의 상면에 고정된다. 수직축(323)은 본체결합판(321)과 롤러안내판(325)을 서로 연결한다. 롤러안내판(325)은 이송롤러(3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송롤러(330)가 롤러안내판(325)을 따라 구름이동함에 따라 이송체인(340)의 견인력에 의해 이동되는 지붕(200)이 보다 용이하게 직선이동될 수 있다.
지붕이송레일(320)의 양단에는 지붕(200)의 이동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327)가 구비된다. 스토퍼(327)는 지붕(200)의 높이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된다.
여기서, 지붕이송모터(3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이송레일(320)의 가운데 영역에 위치하게 후방가로벽(115)의 상단에 결합된다. 지붕이송모터(310)가 지붕이송레일(320)의 가운데 영역에 배치됨에 따라 지붕이송모터(310)의 체인풀리(313)가 이송체인(340)의 후방에서 전방까지 맞물리며 지붕(200) 전체가 외측지붕이송레일(320a)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지붕이송부(300)는 지붕이송모터(310)와 지붕이송레일(320) 및 이송체인(340)이 지붕(200)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지붕(200)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형있고 안정감있게 이동되도록 한다.
이송롤러(330)는 지붕(200)의 양측하부(21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이송롤러(330)는 롤러하우징(33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롤러하우징(331)은 지붕(200)의 양측하부에 고정결합된다.
이송롤러(330)는 롤러하우징(331)의 내부에 수용된 채로 외주연의 일부만 외부로 돌출되어 지붕이송레일(320)과 접촉회전하게 된다.
이송체인(340)은 롤러하우징(331)의 내측에 지붕(200)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이송체인(340)은 체인하우징결합판(341)의 하부에 고정결합된다. 이송체인(340)은 무게를 경량화하기 위해 자전거에 사용되는 자전거용 체인이 사용될 수 있다. 이송체인(340)은 지붕이송모터(310)의 체인풀리(313)와 맞물리게 배치된다. 지붕이송모터(310)의 구동에 의해 체인풀리(313)가 회전되면, 이송체인(340)은 체인풀리(313)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체인하우징결합판(341)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하우징(331)의 내측벽면에 결합되어 이송체인(340)의 이동을 롤러하우징(331)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롤러하우징(331)으로 전달된 이송체인(340)의 견인력은 지붕(200)으로 전달한다. 이송체인(340)이 이동되면, 견인력이 롤러하우징(331)과 지붕(200)으로 전달되고, 롤러하우징(331)의 하부에 구비된 이송롤러(330)가 롤러안내판(325)을 따라 회전하여 지붕(200)이 직선이동된다.
여기서, 이송체인(340)과 이송롤러(330)만으로 지붕(200)이 지붕이송레일(320)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이송롤러(330)의 한쪽만 위치가 고정되므로 이송롤러(330)가 편심되어 지붕이송레일(320)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롤러하우징(331)의 외측에 지붕(200)의 직선이송을 안내하는 지붕이송가이드부(350)가 구비될 수 있다.
지붕이송가이드부(350)는 롤러하우징(331)의 외측으로부터 수직축(323)까지 연장형성된 가이드판(351)과, 가이드판(351)의 단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롤러(353)를 포함한다.
가이드판(351)은 롤러하우징(331)으로부터 수직하게 수직축(323)의 중간영역까지 연장형성되는 수직가이드판(351a)과, 수직가이드판(351a)의 하부에서 수직축(323)을 향해 절곡형성되는 절곡판(351b)을 포함한다.
가이드롤러(353)는 절곡판(351b)의 단부에 롤러결합축(35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가이드롤러(353)는 외주면이 수직축(323)의 표면과 접촉되게 직경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지붕(200)의 양측하부(210)는 롤러하우징(331)을 중심으로 내측은 이송체인(340)이 체인풀리(313)과 치합되고, 외측은 가이드롤러(353)가 수직축(323)의 표면과 접촉되며 회전된다. 가이드롤러(353)의 내측과 외측이 모두 체인풀리(313)와 수직축(323)에 접촉지지되므로 지붕(200)의 직선이송시에 지붕이송레일(320)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천문대(1)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천문대(1)는 컨테이너 또는 조립식 건물로 형성되므로 지방의 산속 뿐만 아니라 천체를 관측할 수 있는 다양한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기상상황이 안 좋거나 관측자가 없는 경우 관리자는 도어(120)를 열쇠 등을 이용해 잠금상태로 유지한다. 이에 의해 내부에 배치된 고가의 망원경(160)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 때, 지붕(200)은 도 1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이송레일(320)에 결합되어 관측소(100)의 상단을 덮은 상태로 유지된다.
기상상황이 좋거나 관측자가 있는 경우, 관리자는 도어(120)를 개방하고, 제어박스(170)를 통해 지붕(200) 개방신호를 인가한다. 개방신호의 인가에 의해 지붕이송모터(310)로 전원이 공급된다. 지붕이송모터(310)는 지붕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지붕이송모터(310)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311)에 결합된 체인풀리(313)도 회전한다.
체인풀리(313)가 회전되면서 체인풀리(313)와 맞물린 이송체인(340)이 체인풀리(313)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지붕(200)의 양측하부(210)에 배치된 한 쌍의 체인풀리(313)가 이동되면서, 이송롤러(330)가 지붕이송레일(320)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지붕(200)은 지붕이송레일(32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지붕이송모터(310)가 연속하여 회전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200)은 외측지붕이송레일(320a)로 전체가 이동하게 되고, 관측소(100)의 상부는 완전히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관측자는 도어(120)를 통해 관측소(100) 내부로 들어가고, 계단(140)을 이용해 데크(130)로 올라선 후, 망원경(160)을 통해 천체를 관측하게 된다. 이 때, 관측소(100)의 상단이 모두 개방되어 있으므로 관측자는 희망하는 다양한 각도로 망원경(160)을 조절하여 천체를 관측할 수 있다.
한편, 천체를 관측하는 도중에 갑자기 눈이나 비가 오는 경우, 작업자는 즉시 지붕(200)이 닫히는 방향으로 지붕이송모터(310)의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이에 의해 앞서와 반대과정을 거쳐 지붕(200)이 관측소(100)의 상부를 커버하게 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천문대(1)는 설치장소에 고정되게 구비되나, 경우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문대(1a)로 트럭(A)에 적재된 상태로 설치장소가 변경될 수 있게 구비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문대(1)는 트럭(A)의 적재함(B)에 적재된 상태로 관측자에게 개방된다. 관측자는 계단 등을 통해 천문대(1)로 출입하게 된다.
여기서, 트럭(A)이 주행하는 경우, 트럭(A)의 주행시 발생되는 충격이 관측소(100) 내부의 망원경(16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망원경(160)은 고가의 장비이며 충격에 예민한 장비이므로, 충격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른 실시예의 천문대(1a)는 관측소(100)의 바닥면과 적재함(B) 사이에 완충부재(190)를 구비하여 관측소(100)로 전달되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관측소본체(110)의 내부에 망원경(160)을 지지하는 망원경지지부재(180)를 배치할 수 있다. 망원경지지부재(180)는 관측자가 망원경(160)을 사용할 때는 관측소본체(110)의 벽체 또는 바닥면에 은폐하거나 길이를 줄여 배치하고, 관측이 완료되고 트럭(400)이 주행되는 경우 길이를 신장시켜 망원경(160)의 양측을 접촉지지하여 망원경(160)이 충격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망원경지지부재(180)는 주름관형태로 형성되어 형상변형이 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실린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망원경지지부재(180)의 단부에는 쿠션부재가 구비되어 망원경(160)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천문대는 지붕전체를 관측소로부터 이웃하게 직선이동시키므로, 관측소의 상부 전체가 개방된다. 이에 의해 관측범위가 넓어질 수 있어 관측자가 다양한 각도에서 천체를 관측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천문대는 지붕의 개폐구조가 모터와 체인으로 구현되며, 관측소가 컨테이너 또는 조립식건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체 천문대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어 다양한 장소에 간편하게 설치되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천문대는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하여, 다양한 장소로 이동하며 천체를 관측할 수도 있다. 이 때,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을 완충부재로 완충하여 망원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천문대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천문대 100 : 관측소
110 : 관측소본체 111 : 양측벽
113 : 전면가로벽 115 : 후방가로벽
120 : 도어 130 : 데크
140 : 계단 150 : 난간
160 : 망원경 170 : 제어박스
180 : 망원경지지부재 190 : 완충부재
200 : 지붕 210 : 양측하부
300 : 지붕이송부 310 : 지붕이송모터
311 : 구동축 313 : 체인풀리
320 : 지붕이송레일 321 : 본체결합판
323 : 수직축 325 : 롤러안내판
327 : 스토퍼 320a : 외측지붕이송레일
330 : 이송롤러 331 : 롤러하우징
340 : 이송체인 341 : 체인하우징결합판
350 : 지붕이송가이드부 351 : 가이드판
351a : 수직가이드판 351b : 절곡판
353 : 가이드롤러 355 : 롤러결합축

Claims (5)

  1. 내부에 망원경이 구비되며, 상단이 개방되고 일측에 도어가 결합된 관측소와;
    상기 관측소의 개방된 상부에 구비되는 지붕과;
    상기 지붕이 상기 관측소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지붕을 직선이동시키는 지붕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붕이동부는,
    상기 관측소의 양측벽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상기 관측소의 외측으로 상기 지붕의 길이만큼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지붕이송레일과;
    상기 지붕의 양측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붕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의 내측에 상기 지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한 쌍의 이송체인과;
    상기 관측소의 상단에 구비되며, 구동축에 이송체인을 이송하는 체인풀리가 결합되어 상기 지붕이 직선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한 쌍의 지붕이송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의 양측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이송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롤러하우징과;
    상기 롤러하우징과 상기 이송체인을 결합시켜 상기 이송체인의 견인력이 상기 지붕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체인하우징결합판과;
    상기 체인하우징결합판과 대향되는 방향에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롤러하우징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지붕이송레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지붕의 직선 이송을 안내하는 지붕이송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문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이송레일은 상기 관측소 양측벽의 상면에 결합되는 관측소결합판과, 상기 이송롤러와 접촉되며 상기 이송롤러의 이송을 안내하는 롤러안내판과, 상기 관측소결합판과 상기 롤러안내판을 서로 연결하는 수직축을 포함하며,
    상기 지붕이송가이드부는,
    상단은 상기 롤러하우징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수직축을 향해 절곡형성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절곡된 단부에 상기 수직축과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며, 상기 지붕의 직선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문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소는 차량에 적재되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관측소의 하부에는 상기 차량의 이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복수개의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문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소의 내부에는 상기 관측소에서 충격이 발생될 때, 상기 망원경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망원경고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망원경고정부재는 상기 관측소본체의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길이가 가변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망원경의 외주면을 접촉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문대.

KR2020160004358U 2016-07-28 2016-07-28 천문대 KR200487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358U KR200487583Y1 (ko) 2016-07-28 2016-07-28 천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358U KR200487583Y1 (ko) 2016-07-28 2016-07-28 천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92U true KR20180000392U (ko) 2018-02-08
KR200487583Y1 KR200487583Y1 (ko) 2018-10-10

Family

ID=61282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358U KR200487583Y1 (ko) 2016-07-28 2016-07-28 천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5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3594A (zh) * 2019-03-13 2019-05-17 碳十四空间科技河北有限公司 天文台屋顶滑动自锁装置及天文台屋顶结构
CN113998013A (zh) * 2021-11-01 2022-02-01 江苏捷诚车载电子信息工程有限公司 车载方舱天文望远镜舱室的舱板收放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1040U (ko) * 1986-04-02 1987-10-13
KR200207980Y1 (ko) * 2000-05-04 2000-12-15 유근수 전동식으로 회전되는 천체 관측용 돔형 구조물을 가진특수차량
KR101270215B1 (ko) * 2011-11-22 2013-06-04 임종필 자동 슬라이딩 루프가 구비된 천체 관측소
JP2013151798A (ja) * 2012-01-24 2013-08-08 Goto Optical Mfg Co 天体観測施設
KR101603653B1 (ko) * 2014-10-06 2016-03-15 주식회사 명도시스템 지붕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1040U (ko) * 1986-04-02 1987-10-13
KR200207980Y1 (ko) * 2000-05-04 2000-12-15 유근수 전동식으로 회전되는 천체 관측용 돔형 구조물을 가진특수차량
KR101270215B1 (ko) * 2011-11-22 2013-06-04 임종필 자동 슬라이딩 루프가 구비된 천체 관측소
JP2013151798A (ja) * 2012-01-24 2013-08-08 Goto Optical Mfg Co 天体観測施設
KR101603653B1 (ko) * 2014-10-06 2016-03-15 주식회사 명도시스템 지붕 개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3594A (zh) * 2019-03-13 2019-05-17 碳十四空间科技河北有限公司 天文台屋顶滑动自锁装置及天文台屋顶结构
CN109763594B (zh) * 2019-03-13 2024-04-16 重庆市巫山城市建设(集团)有限公司 天文台屋顶滑动自锁装置及天文台屋顶结构
CN113998013A (zh) * 2021-11-01 2022-02-01 江苏捷诚车载电子信息工程有限公司 车载方舱天文望远镜舱室的舱板收放系统
CN113998013B (zh) * 2021-11-01 2024-02-23 江苏捷诚车载电子信息工程有限公司 车载方舱天文望远镜舱室的舱板收放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583Y1 (ko)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622B2 (en) Overhead door assembly for a storage container
RU2286298C2 (ru) Откидная стенка
CN102470880B (zh) 疏散坡道
US6055692A (en) Boarding bridge for commuter type aircraft or the like
KR200487583Y1 (ko) 천문대
IT1241433B (it) Parcheggio interrato circolare od a raggio variabile.
US20130247310A1 (en) Gangway for Embarking and Disembarking Passengers
ITAR20130018A1 (it) Piattaforma mobile ad azionamento elettrico-meccanico per hangar interrato per elicotteri con sistema automatizzato di chiusura elettro-meccanica del piano di copertura
CN104245425A (zh) 铰链式的可伸出的攀登器
JP5026719B2 (ja) 可動デッキ
CN211281019U (zh) 拨盖装置
CN108928437B (zh) 一种登船桥接候船楼通道
UA122687C2 (uk) Підйомно-транспортна система для обслуговування фасадів будівель
FR2690476A1 (fr) Abri ouvrant, notamment pour piscine.
CN114524233A (zh) 一种便于地铁车站装修施工的搬运设备
CN210174867U (zh) 拨盖机构及拨盖装置
JP2660309B2 (ja) 立体駐車装置用入庫待機機構
CN209855020U (zh) 一种用于天文望远镜的开合屋盖
JP2014214466A (ja) 機械式駐車設備
US11851303B2 (en) Elevating cage apparatus with alternative powered or manual input
JP2996036B2 (ja) キャブ付き出し入れ装置
FR3056975A1 (fr) Dispositif de plateau monte-escalier a rampe de guidage retournee, bras articule extensible, et nacelle a toit profile ouvrant
CN219447886U (zh) 一种电梯配件转运的防护木箱
KR102043358B1 (ko) 터널 공동구의 덮개 개방 장치
CN211417262U (zh) 拨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