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979B1 - 개폐형 차양시설 - Google Patents

개폐형 차양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979B1
KR102569979B1 KR1020230005996A KR20230005996A KR102569979B1 KR 102569979 B1 KR102569979 B1 KR 102569979B1 KR 1020230005996 A KR1020230005996 A KR 1020230005996A KR 20230005996 A KR20230005996 A KR 20230005996A KR 102569979 B1 KR102569979 B1 KR 102569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wheel
opening
blad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5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형
Original Assignee
박건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형 filed Critical 박건형
Priority to KR1020230005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9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9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Abstract

본 발명의 개폐형 차양시설은 한 쌍의 가로 프레임과 한 쌍의 세로 프레임에 의해 정의되는 개방된 천장을 형성하는 지붕틀과, 각각이 상기 가로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다수개의 이동 블레이드와, 상기 다수개의 이동 블레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 작동 유닛과,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개폐 작동 유닛을 이동시키는 작동 벨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폐형 차양시설{Opening and closing type shading facility}
본 발명은 개폐형 차양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형 차양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양시설은 햇볕을 가리거나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기 위한 구조물로서, 휴식 공간이나 자건거 등의 사물 보관 공간을 제공하는 파고라 등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68117호는 '루버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한 루버 시스템은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루버 슬랫들이 회전하여 90도 각도로 열린 상태가 되거나 닫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루버 슬랫들 사이의 간격에 의해 천장의 개방이 이루어지므로, 천장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도 개방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루버 슬랫에 의한 그림자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6811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지붕을 구성하는 블레이드들을 자동으로 한쪽으로 이동시켜 지붕을 개방할 수 있는 개폐형 차양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천장이 열린 상태에서 블레이드들에 의해 그림자가 생성되던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개폐형 차양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지붕의 개폐시 각각의 블레이드가 회전과 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 메커니즘을 갖는 개폐형 차양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넷째, 블레이드들의 회전 및 이동 동작이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개폐형 차양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개폐형 차양시설은 한 쌍의 가로 프레임과 한 쌍의 세로 프레임에 의해 정의되는 개방된 천장을 형성하는 지붕틀과, 각각이 상기 가로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다수개의 이동 블레이드와, 상기 다수개의 이동 블레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 작동 유닛과,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개폐 작동 유닛을 이동시키는 작동 벨트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블레이드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블레이드 휠과, 상기 가로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 휠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형성하는 안내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작동 유닛은, 상기 회전축과 상기 작동 벨트를 연결하는 벨트 캐리어와, 상기 벨트 캐리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내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캐리어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프레임은, 상기 캐리어 휠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을 규정하는 내측면이 상기 캐리어 휠의 이동을 안내하는 캐리어 휠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휠 안내부는, 상기 내측면 중 상기 캐리어 휠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캐리어 휠의 이동 간에 상기 캐리어 휠과 접촉을 유지하고, 상기 레일은 상기 블레이드 휠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형 차양시설은 강우, 강설을 감지하는 기상센서와, 상기 이동 블레이드에 배치된 발열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상센서의 감지 결과에 의해 상기 모터 및 상기 발열체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폐형 차양시설은, 첫째, 블레이드들을 한쪽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지붕이 열리기 때문에 개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개폐 작동 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천장의 개폐와 개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와 연결된 개폐 작동 유닛이 작동 벨트에 의해 이동할 시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된 다수개의 블레이드의 회전 및 이동이 연동되므로, 천장 개방을 위한 메커니즘이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
넷째, 블레이드의 회전축에 블레이드 휠이 결합되고, 안내 프레임이 블레이드 휠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형성하여, 각각의 블레이드가 안정적으로 회전 및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와 작동 벨트를 연결하는 벨트 캐리어에 캐리어 휠이 결합되고, 안내 프레임에 캐리어 휠의 이동을 안내하는 캐리어 휠 안내부를 형성하여, 블레이드의 회전 및 이동 시 구조적으로 안정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캐리어 휠 안내부 내에서 캐리어 휠의 상방향 미동이 제한되고, 블레이드 휠의 하측에 레일이 배치되어 있어, 상하방향으로 벨트 캐리어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차양시설의 적용 예(천장 개방 상태)를 모식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폐형 차양시설을 위에서 본 방향으로 모식한 도면으로, (a)는 천장이 완전히 닫힌 상태이고, (b)는 천장이 일부 열린 상태이고, (c)는 천장이 완전히 열린 상태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개폐형 차양시설 중 일부를 절개하여 모식한 도면으로, 천장이 완전히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개폐형 차양시설 중 모터 및 작동 벨트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개폐형 차양시설에 있어서, 가로 프레임의 일측을 상하방향으로 절개한 단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개폐형 차양시설에 있어서, 가로 프레임과 블레이드와 개폐 작동 유닛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개폐형 차양시설에 있어서, 블레이드와 벨트 캐리어와 작동 벨트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개폐형 차양시설에 있어서, 벨트 캐리어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개폐형 차양시설을 강우, 강설 시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차양시설의 적용 예(천장 개방 상태)를 모식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폐형 차양시설을 위에서 본 방향으로 모식한 도면으로, (a)는 천장이 완전히 닫힌 상태이고, (b)는 천장이 일부 열린 상태이고, (c)는 천장이 완전히 열린 상태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개폐형 차양시설 중 일부를 절개하여 모식한 도면으로, 천장이 완전히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개폐형 차양시설 중 모터 및 작동 벨트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개폐형 차양시설에 있어서, 가로 프레임의 일측을 상하방향으로 절개한 단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개폐형 차양시설에 있어서, 가로 프레임과 블레이드와 개폐 작동 유닛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개폐형 차양시설에 있어서, 블레이드와 벨트 캐리어와 작동 벨트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개폐형 차양시설에 있어서, 벨트 캐리어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개폐형 차양시설을 강우, 강설 시 제어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차양시설은 다수개의 지주(1)에 의해 지지되고 개방된 천장(2a)을 형성하는 지붕틀(2)과, 상기한 천장(2a)을 개방하거나 가릴 수 있게 천장(2a)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3, 4)를 포함한다.
지붕틀(2)은 상기한 천장(2a)을 정의하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10)과 한 쌍의 세로 프레임(20)을 포함한다.
가로 프레임(10)은 가로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이하, '가로방향(화살표 D1)'이라 함.)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한 천장(2a)을 정의하는 본체부(11)와, 본체부(11)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블레이드(3, 4)의 하측에 배치되는 빗물받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로 프레임(10)의 단면이 대략 'L'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블레이드(3, 4)는 세로 프레임(20)의 길이방향(이하, '세로방향(화살표 D2)'이라 함.)으로 길게 연장되고,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다수개가 배치된다.
다수개의 블레이드(3, 4)는 가로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부 블레이드(3, 4)가 가로 프레임(10)에 대해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서로의 회전 및 이동이 링크(5)에 의해 연동되어, 천장(2a)을 개방하거나 가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개의 블레이드(3, 4)가 세워진 상태로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한쪽으로 이동되어 겹쳐진 상태일 시 다수개의 블레이드(3, 4)가 겹쳐서 배치되어 부분을 제외한 천장(2a)의 나머지 부분이 블레이드(3, 4)에 의한 가림없이 완전히 개방된다. 다수개의 블레이드(3, 4)가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반대쪽으로 이동하고, 각각이 눕혀진 상태일 시에는 천장(2a)이 닫아진다. 이와 같이 천장(2a)이 개방되고 닫아질 시 천장(2a)의 최대 개방 상태를 100 % 라 하면,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블레이드(3, 4)의 이동 정도에 따라 천장(2a)의 개방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천장(2a)의 개방율을 100% 미만으로 개방할 시 블레이드(3, 4)를 세워진 상태와 눕혀진 상태 사이의 소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할 수 있어 차양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다수개의 블레이드(3, 4)는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천장(2a) 전체를 가릴 수 있게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천장(2a)의 일부분에 한정하여 차양을 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블레이드(3, 4)는 세로방향(화살표 D2)으로 양측면에 각각 회전축(3a)이 구비되어, 회전 동작에 따라 세워지거나 눕혀질 수 있다.
다수개의 블레이드(3, 4) 중 적어도 하나는 가로 프레임(10)에 대해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위치 고정된 블레이드(3, 4)(이하, '위치 고정 블레이드(3)'라 함.)로 구비되고, 나머지는 가로 프레임(10)에 대해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이동 가능한 블레이드(3, 4)(이하, '이동 블레이드(4)'라 함.)로 구비된다. 이하, 다수개의 블레이드(3, 4) 중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양끝에 배열된 2개의 블레이드(3, 4) 중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3, 4)를 위치 고정 블레이드(3)로 구비하고, 나머지들을 이동 블레이드(4)로 구비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링크(5)는 대략 일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세로방향(화살표 D2)으로 블레이드(3, 4)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이웃하는 2개의 블레이드(3, 4)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링크(5)는 블레이드(3, 4)와 함께 세워지거나 눕혀질 수 있다.
차양시설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30)와, 다수개의 이동 블레이드(4)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개폐 작동 유닛(40)과, 모터(30)에 의해 구동되면 개폐 작동 유닛(40)을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이동시키는 작동 벨트(50)를 포함한다.
상기한 개폐 작동 유닛(40)과 작동 벨트(50)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10)에 각각 배치되어, 다수개의 이동 블레이드(4)를 양쪽에서 안정적으로 이동 및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30)는 세로 프레임(2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로 프레임(10)의 양끝에는 각각 모터(30)의 회전축(3a)에 연결된 구동 풀리(31)와 아이들 휠(32)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구동 풀리(31)와 아이들 휠(32)에 작동 벨트(50)가 권취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작동 벨트(50) 중 일부만 도시된 것으로, 작동 벨트(50)는 컨베이어 벨트와 같이 띠형으로 형성되어 구동 풀리(31)와 아이들 휠(32)에 권취될 수 있다.
개폐 작동 유닛(40)은 이동 블레이드(4)의 회전축(3a)과 작동 벨트(50)를 연결하는 벨트 캐리어(41)와, 벨트 캐리어(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캐리어 휠(49)을 포함할 수 있다.
벨트 캐리어(41)는 회전축(3a)에 연결되고 작동 벨트(50)가 수용되는 벨트 수용부(41a)를 형성하는 캐리어 부재(42, 43, 44)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부재(42, 43, 44)는 작동 벨트(50)를 기준으로 다수개의 캐리어 부재(42, 43, 44)들이 상하방향으로 조립되는 유닛 형태로 구비되어,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부재(42, 43, 44)는 회전축(3a)에 연결되는 제 1 캐리어 부재(42)와, 제 1 캐리어 부재(42) 하측에 결합되는 제 2 캐리어 부재(43)와, 제 2 캐리어 부재(43)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한 벨트 수용부(41a)를 형성하는 제 3 캐리어 부재(44)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벨트 수용부(41a)는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양쪽으로 개방되어 작동 벨트(50)의 일측이 수용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캐리어 부재(42, 43, 44)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캐리어 부재(42)와 제 2 캐리어 부재(43)가 상하방향으로 체결되는 제 1 체결부재(61)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제 2 캐리어 부재(43)와 제 3 캐리어 부재(44)가 상하방향으로 체결되는 제 2 체결부재(62)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벨트 캐리어(41)는 벨트 수용부(41a)에 배치되고, 가로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제 1 톱니(45a)가 다수개 형성된 톱니 형성부재(45)를 포함할 수 있고, 작동 벨트(50)는 기어처럼 톱니 형성부재(45)의 제 1 톱니(45a)와 맞물릴 수 있는 제 2 톱니(50a)가 형성된 코그(cog) 벨트 형태로 구비되어, 벨트 캐리어(41)가 작동 벨트(50)와 맞물린 상태로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
톱니 형성부재(45)는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일측에 제 2 체결부재(62)가 체결될 수 있게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제 1 체결구(45b)가 형성되고, 제 1 체결구(45b)를 기준으로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양쪽에 각각 다수개의 제 1 톱니(45a)가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톱니 형성부(45-1, 45-2)가 연장될 수 있다. 작동 벨트(50)는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제 1 체결구(45b)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끊어진 형태이고, 상기한 끊어진 어느 한쪽 단부(50-1)가 제 1 톱니 형성부(45-1)와 결합되고 나머지 한쪽 단부(50-2)가 제 2 톱니 형성부(45-2)와 결합되어, 톱니 형성부재(4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립할 때 톱니 형성부재(45)의 제 1 톱니(45a)와 작동 벨트(50)의 제 2 톱니(50a)가 서로 잘 맞물렸는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캐리어 휠(49)은 제 3 캐리어 부재(44)에 결합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2쌍으로 구성되어 벨트 캐리어(4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캐리어 휠(49)은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이동하는 벨트 캐리어(41)를 지지하는 것으로, 가로 프레임(10)에 구비된 안내 프레임(70)에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안내 프레임(70)은 캐리어 휠(49)을 수용하는 공간(71a)을 형성하고, 상기한 공간(71a)을 규정하는 내측면이 캐리어 휠(49)의 이동을 안내하는 캐리어 휠 안내부(7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휠(49)이 세로방향(화살표 D2)으로 서로 이격되어 쌍을 이루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캐리어 휠 안내부(71)는 세로방향(화살표 D2)으로 서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쌍을 이루는 캐리어 휠(49) 각각을 수용하는 한 쌍의 캐리어 휠 안내부(7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캐리어 휠 안내부(71) 각각은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길게 연장되어 양단이 각각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캐리어 휠 안내부(71) 각각은 단면이 대략 'C'자 형태로 이루어져 캐리어 휠(49)을 감싸는 형태일 수 있고,'C'자형의 개방된 부분이 벨트 캐리어(41)와 대향되어 캐리어 휠(49)의 축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캐리어 휠 안내부(71)가 규정하는 공간(71a)은 세로방향(화살표 D2)으로'C'자형의 개방된 부분의 반대쪽 부분이 세로방향(화살표 D2)으로 확장된 형태일 수 있다.
캐리어 휠 안내부(71)는 상기한 내측면 중 캐리어 휠(49)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71b)이 캐리어 휠(49)의 이동 간에 캐리어 휠(49)과 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블레이드(4)의 회전축(3a)에는 블레이드 휠(80)이 결합되고, 안내 프레임(70)에는 블레이드 휠(8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72)을 형성할 수 있다.
블레이드 휠(80)과 회전축(3a) 사이에 베어링 등이 개재되어, 블레이드 휠(80)이 이동 블레이드(4)와 함께 가로방향(화살표 D1)으로 이동하되, 이동 블레이드(4)에 대해 블레이드 휠(80)만 회전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블레이드 휠(80)에는 반경방향으로 개구되고 블레이드 휠(80)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레일(72)이 삽입되는 환형의 레일 삽입구(80a)가 형성되어 있어 레일(72)을 따라 흔들림없이 이동될 수 있다.
레일(72)은 캐리어 휠 안내부(71)와 함께 벨트 캐리어(41)가 상하방향으로 미동 못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72)은 블레이드 휠(8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단 부분이 블레이드 휠(80)의 이동 간에 블레이드 휠(8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 휠(80)과 레일(72) 간 간섭에 의해 벨트 캐리어(41)의 하측방향 미동이 제한되고, 아울러 캐리어 휠(49)과 캐리어 휠 안내부(71) 간 간섭에 의해 벨트 캐리어(41)의 상측방향 미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 결과, 블레이드(3, 4)가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이동 및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레일(72)은 상단 부분을 단면이 대략 'ㄷ'자 형태인 채널(73)로 감싸는 형태일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채널(73)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안내 프레임(70)은 가로 프레임(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안내 프레임(70)은 캐리어 휠 안내부(71) 상측으로 연장되고 가로 프레임(10)의 본체부(11) 내측면에 맞대질 수 있는 패널부(74)와, 패널부(74)로부터 가로 프레임(10)의 본체부(11)를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75)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75)는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로 프레임(10)의 본체부(11) 내측면에는 세로방향(화살표 D2)으로 걸림돌기(75)가 삽입되어 걸어지는 결합구(11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내 프레임(70)은 캐리어 휠 안내부(71) 하측으로 연장되고 가로 프레임(10)의 빗물받이부(12)에 배치되는 받침부(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76)에는 쓰레기막이 격자 패널(trash rack)(77)이 배치될 수 있다.
차양시설은 가로 프레임(1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벨트 캐리어(41) 상측에 배치되어 케이블이 배치되는 공간(90a)을 형성하는 케이블 프레임(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프레임(90)은 상측부가 개방된 형태이고, 케이블 프레임(90)의 개방된 부분이 커버 패널(91)에 의해 덮어질 수 있다. 커버 패널(91)에는 케이블 프레임(90)의 하측에서 블레이드 휠(80)의 상측까지 연장되어 케이블 프레임(90)과 벨트 캐리어(41) 사이 공간이 가리는 연장부(91a)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차양시설은 강우, 강설을 감지하는 기상센서(100)와, 이동 블레이드(4)에 배치된 발열체(110)를 더 포함하고, 기상센서(100)의 감지 결과에 의해 제어기(120)이 상기한 모터(30) 및 발열체(1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발열체(110)는 고정 블레이드(3)에도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나 눈이 감지되었을 시 천장(2a)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라면, 기상센서(100)의 감지 결과에 의해 제어기(120)이 모터(30)를 구동하여 사람이 있든 없든 상관없이 자동으로 천장(2a)을 가릴 수 있다.
또한, 비나 눈이 멈춘 후에도 블레이드(3, 4) 위에 빗물이나 눈이 잔존한 상태에서 천장(2a)을 개방할 시 블레이드(3, 4)에서 빗물이나 눈이 떨어져 낭패를 볼 수 있는데, 비나 눈이 멈춘 후에 제어기(120)에 의해 발열체(110)를 구동하여 발열체(11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젖어 있는 블레이드(3, 4)를 신속히 말려서 상기한 낭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눈이 내리는 동안 발열체(110)를 구동하여 발열체(11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블레이드(3, 4) 위에 내린 눈을 바로 녹여서 쌓이지 않게 하여, 블레이드(3, 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발열체(110)는 블레이드(3, 4)의 표면에 배치되고, 전류를 통한 열을 발생하기 위한 소정 패턴의 열선이 인쇄된 열선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한 발열체(110)를 구비한 차양시설은 발열체(110)로 발생되는 발열을 이용하여 차양시설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비나 눈이 오지 않더라도 추운 날씨에 발열체(110)를 구동하여 차양시설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을 따뜻하게 난방할 수 있다. 차양시설에는 추운 날씨에 발열체(110)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치(130)가 구비되고, 스위치(130)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제어기(120)가 기상센서(100)의 감지 결과와 상관없이 발열체(110)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스위치(130)의 조작에 의해 발열체(110)를 구동할 시 천장(2a)이 열려 있다면 모터(30)를 구동하여 천장(2a)를 자동으로 닫을 수 있다.
1; 지주 2; 지붕틀
2a; 천장 3; 위치 고정 블레이드
4; 이동 블레이드 5; 링크
10; 가로 프레임 20; 세로 프레임
30; 모터 40; 개폐 작동 유닛
41; 벨트 캐리어 45; 톱니 형성 부재
49; 캐리어 휠 50; 작동 벨트
70; 안내 프레임 71; 캐리어 휠 안내부
72; 레일 80; 블레이드 휠
81; 커버 패널 100; 기상센서
110; 발열체 120; 제어기

Claims (6)

  1. 한 쌍의 가로 프레임과 한 쌍의 세로 프레임에 의해 정의되는 개방된 천장을 형성하는 지붕틀;
    각각이 상기 가로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다수개의 이동 블레이드;
    상기 다수개의 이동 블레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 작동 유닛;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개폐 작동 유닛을 이동시키는 작동 벨트;
    상기 이동 블레이드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블레이드 휠; 및
    상기 가로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 휠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블레이드 휠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형성하는 안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 작동 유닛은,
    상기 이동 블레이드의 회전축과 상기 작동 벨트를 연결하는 벨트 캐리어; 및
    상기 블레이드 휠의 하측에서 상기 벨트 캐리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이동 블레이드의 회전축과 평행한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안내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캐리어 휠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프레임은,
    상기 레일의 하측에서 상기 캐리어 휠을 수용하는 공간을 더 형성하되, 상기 공간을 규정하는 내측면이 상기 캐리어 휠의 이동을 안내하는 캐리어 휠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휠 안내부는,
    상기 공간을 규정하는 내측면 중 상기 캐리어 휠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캐리어 휠의 이동 간에 상기 캐리어 휠과 접촉을 유지하는 개폐형 차양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강우 또는 강설을 감지하는 기상센서;
    상기 이동 블레이드에 배치된 발열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상센서의 감지 결과에 의해 상기 모터 및 상기 발열체의 구동이 제어되는 개폐형 차양시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30005996A 2023-01-16 2023-01-16 개폐형 차양시설 KR102569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5996A KR102569979B1 (ko) 2023-01-16 2023-01-16 개폐형 차양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5996A KR102569979B1 (ko) 2023-01-16 2023-01-16 개폐형 차양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979B1 true KR102569979B1 (ko) 2023-08-22

Family

ID=8779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5996A KR102569979B1 (ko) 2023-01-16 2023-01-16 개폐형 차양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9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117B1 (ko) 2019-06-14 2020-01-20 육용희 루버 시스템
KR20210015224A (ko) * 2019-08-01 2021-02-10 김순석 은폐판을 이용한 폴딩도어의 가이드프레임 은폐구조
KR102228418B1 (ko) * 2020-09-24 2021-03-16 주식회사 올찬 스카이 어닝
KR20220094840A (ko) *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코인 절첩식 천장루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117B1 (ko) 2019-06-14 2020-01-20 육용희 루버 시스템
KR20210015224A (ko) * 2019-08-01 2021-02-10 김순석 은폐판을 이용한 폴딩도어의 가이드프레임 은폐구조
KR102228418B1 (ko) * 2020-09-24 2021-03-16 주식회사 올찬 스카이 어닝
KR20220094840A (ko) *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코인 절첩식 천장루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0847A (en) Sealable curtain
US5752557A (en) Sealable curtain
US5564234A (en) Building structure consisting of a framework of uprights and beams covered with a foil
US3577691A (en) Movable roof window having a pyramidal frame construction
FR2925567A1 (fr) Dispositif d'obturation comportant au moins un obturateur symetrise repliable en accordeon
KR102569979B1 (ko) 개폐형 차양시설
US6543517B2 (en) Carrier and spacer assembly
CN212295260U (zh) 伸缩百叶篷
KR101803536B1 (ko)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JP2004506109A (ja) 通気付スラット屋根デバイス
JP4142988B2 (ja) 温室の換気装置
AU4862997A (en) A roller shutter
KR0182243B1 (ko) 무기둥 3중 단동온실
CN220133851U (zh) 一种摆动式百叶翻转联动结构及可堆叠翻板百叶
KR200441430Y1 (ko) 개방형 지붕
CN219034574U (zh) 一种竖式可堆叠的翻转百叶结构及折叠门
EP1408734A1 (en) Insect screen
FI122640B (fi) Maatilan tuotantorakennuksen kattoikkunajärjestely
KR100427798B1 (ko) 터널형 지붕
KR102614699B1 (ko)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JP2907909B2 (ja) パネルシャッタ装置
KR100425649B1 (ko) 사이드 격납식 슬라이딩 도어
JPH09317253A (ja) 開閉式屋根
JP3745699B2 (ja) 温室の天窓
JP2788940B2 (ja) 日除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