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574B1 -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574B1
KR101602574B1 KR1020140134167A KR20140134167A KR101602574B1 KR 101602574 B1 KR101602574 B1 KR 101602574B1 KR 1020140134167 A KR1020140134167 A KR 1020140134167A KR 20140134167 A KR20140134167 A KR 20140134167A KR 101602574 B1 KR101602574 B1 KR 101602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dhesive layer
manufacturin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호
Original Assignee
박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호 filed Critical 박인호
Priority to KR1020140134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5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tes other than clay
    • C04B35/1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tes other than clay rich in aluminium oxide
    • C04B35/19Alkali metal aluminosilicates, e.g. spodum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tes other than clay
    • C04B35/1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tes other than clay rich in aluminium oxide
    • C04B35/195Alkaline earth aluminosilicates, e.g. cordierite or anorth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oker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용 발열도자기의 제조방법은 마이크로파 조사에 의하여 열을 방출하는 것으로 탄화규소·탄소·페라이트·산화철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조성하여 된 발열성분 및 점토·고령토·규석·장석·엽장석·뮬라이트·백토·청자토·백자토·석기토·산청토·옹기토·자기토·내열토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혼합한 도자기 제조용 소지를 배합하여 된 발열소지로 성형한 발열판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입도 20~250메쉬의 크기를 갖는 도자기 제조용 소지 30~70 중량부와 상기 발열성분을 포함하는 입도 20~250메쉬의 크기를 갖는 70~30 중량부로 이루어진 발열요소를 혼합하여 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1~40 중량부를 배합하여 된 발열소지 준비단계; 상기 발열소지로 접시나 용기의 바닥 또는 판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는 발열판체 형성단계; 상기 발열판체의 표면에 도자기 제조용 소지, 카오링, 점토, 장석, 도석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점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1~70중량부를 배합하여 된 점착소지를 0.01~3mm의 두께를 갖도록 도포하는 점착층 형성단계; 상기 점착층의 표면으로 실리카 또는 페타라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유약을 시유하여 된 표면층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붓, 스프레이, 디핑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일회 또는 수회 반복하여 점착소지를 도포하여 형성하되. 상기 발열판체와 점착층은 두께 100을 기준으로 5~95:95~5의 두께비를 갖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특성을 지닌 탄화규소·탄소·페라이트·산화철 등의 발열요소와 청자토·백자토·석기토·산청토·옹기토·자기토·내열토·점토·배토·흙 등의 도자기 제조용 소지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발열성분이 갖는 이질감을 최소화하면서 성형성을 양호하게 하고, 아울러 성형 후 형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 성형된 발열판체를 성형기물의 바닥 내·외측 또는 내부에 위치되게 성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발열판체와 성형기물을 별도의 접착제나 결속 구조없이도 소성과정에서 일체로 형성되게 할 수 있으므로 제품 외관상의 미려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간소하여 대량 양산에 따른 경제적인 제조와 보급이 가능하고, 아울러 종전에 비해 성형품에 대한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Cookware and Cookware manufacturing method for microwave oven}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에 의하여 단 시간 내에 고온으로 발열이 가능한 전자레인지용 마이크로파 발열 도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화규소·탄소·페라이트·산화철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조성하여 된 발열성분과 도자기 제조용 소지를 배합하여 된 발열소지로 발열판체를 성형하고, 이러한 발열판체의 표면에 유약을 시유하여 된 표면층이 안정되게 부착 형성될 수 있도록 발열판체와 표면층의 성분간 이질감을 방지하는 매개요소인 점착층을 부여하여 성형 후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판체가 고온으로 상승하여도 표면층이 쉽게 손상 또는 변형되거나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완성된 제품에 대한 형태의 안정성과 제품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이고 아울러 마이크로파에 의한 조리시의 에너지 이용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파용 발열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고주파인 마이크로파를 조리 대상물에 조사하여 조리 대상물내의 분자 충돌에 따른 마찰열을 이용하여 조리하는 장치이다. 즉,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이라고 칭하는 고주파 발진기로부터 발생되는 에너지에 의해 가열하려는 식품 내의 물분자를 강제적으로 진동시켜 이 분자 운동에서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식품을 가열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간편하고 빠른 시간 내에 식품을 가열할 수 있는 이점으로 인해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어 열을 방출함으로써 식품 가열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조리기구 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레인지용 조리기구와 관련하여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108367호가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전자유도가열기에 사용되는 가열용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기는 3개의 둥근 금속판을 겹쳐서 구성한 것으로서, 조리할 음식물을 수용하는 제 1금속판은 철판이며 상기 제 1금속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2금속판은 알루미늄판이며 상기 제 2금속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3금속판은 철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가열기용 가열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가열용기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제조 생산가가 높은 단점이 있었다.
이외에도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4766호가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페탈라이트, 점토로 이루어진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20~30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진공 토련한 후,용기와 마감부재를 성형하는 성형단계; 상기 용기와 마감부재 사이에 발열체를 삽입하고, 페탈라이트, 점토로 이루어진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40~60 중량부를 배합한 접착액을 도포하여 접착하는 접착단계; 상기 접착단계를 거쳐 형성된 성형물을 건조 후, 마감부재상에 발열체와 연통되는 공기홀을 형성하는 피어싱단계; 상기 공기홀이 형성된 성형물을 소성로에 투입하고, 800~1000℃로 굽는 초벌구이단계; 및 상기 초벌 구이된 성형물에 유약을 바른 다음, 소성로에서 1200~1400℃로 굽는 재벌구이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발열체에 의한 제한적인 가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효율성이 낮고,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대량 양산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제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특히, 이들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리기구 및 조리용기는 부피가 크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의 형태 디자인에 대한 자유도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제조 생산가가 높은 문제점으로 인해 경제적인 보급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표준화된 제조 공정에 의해 제작이 간소하면서 대량 양산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제조와 보급이 가능하고, 아울러 제품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발열 용기 및 도자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174766호, 2쪽, 청구항 1, 도면 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성을 갖는 발열요소(탄화규소·탄소·페라이트·산화철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조합)와 도자기 제조용 소지(청자토·백자토·석기토·산청토·옹기토·자기토·내열토·점토·배토·흙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조합)와 물을 적절한 비율로 배합하여 발열요소와 도자기 제조용 소지간의 성분간 이질감을 최소화하여 성형성을 양호하게 하고 성형 후의 형태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용 발열도자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발열소지로 발열판체를 형성하고 이 발열판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유약으로 된 표면층과의 이질감을 최소화하여 형태의 안정성과 마이크로파에 의한 발열체의 발열시 표면층이 손상, 파손, 변형 또는 박리되는 현상을 억제하여 제품에 대한 내구성을 보장함과 아울러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단 시간내에 고온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최적의 발열특성을 보장하여 제품에 대한 에너지 효율성 및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의 제조방법은, 마이크로파 조사에 의하여 열을 방출하는 것으로 탄화규소·탄소·페라이트·산화철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조성하여 된 발열성분 및 점토·고령토·규석·장석·엽장석·뮬라이트·백토·청자토·백자토·석기토·산청토·옹기토·자기토·내열토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혼합한 도자기 제조용 소지를 배합하여 된 발열소지로 성형한 발열판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입도 20~250메쉬의 크기를 갖는 도자기 제조용 소지 30~70 중량부와 상기 발열성분을 포함하는 입도 20~250메쉬의 크기를 갖는 70~30 중량부로 이루어진 발열요소를 혼합하여 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1~40 중량부를 배합하여 된 발열소지 준비단계;
상기 발열소지로 접시나 용기의 바닥 또는 판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는 발열판체 형성단계;
상기 발열판체의 표면에 도자기 제조용 소지, 카오링, 점토, 장석, 도석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점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1~70중량부를 배합하여 된 점착소지를 0.01~3mm의 두께를 갖도록 도포하는 점착층 형성단계;
상기 점착층의 표면으로 실리카 또는 페타라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유약을 시유하여 된 표면층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판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점착층은 붓, 스프레이, 디핑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일회 또는 수회 반복하여 점착소지를 도포하여 형성하되. 상기 발열판체와 점착층은 두께 100을 기준으로 5~95:95~5의 두께비를 갖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특성을 지닌 탄화규소·탄소·페라이트·산화철 등의 발열요소와 청자토·백자토·석기토·산청토·옹기토·자기토·내열토·점토·배토·흙 등의 도자기 제조용 소지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발열성분이 갖는 이질감을 최소화하면서 성형성을 양호하게 하고, 아울러 성형 후 형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 성형된 발열판체를 성형기물의 바닥 내·외측 또는 내부에 위치되게 성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발열판체와 성형기물을 별도의 접착제나 결속 구조없이도 소성과정에서 일체로 형성되게 할 수 있으므로 제품 외관상의 미려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간소하여 대량 양산에 따른 경제적인 제조와 보급이 가능하고, 아울러 종전에 비해 성형품에 대한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용 발열도자기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열소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열도자기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용 발열도자기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파에 의하여 가열되는 특성을 갖는 도자기(그릇, 접시, 용기 바닥, 트레이 등)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로파 조사에 의하여 열을 방출하는 것으로 도자기 제조용 소지로 성형기물을 성형하고 이 성형기물의 일측에 탄화규소·탄소·페라이트·산화철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조합된 발열소지로 발열판체를 구비하여 된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의 제조방법을 그 배경기술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용 발열도자기의 제조방법은 크게 도자기 제조용 소지와 발열요소를 배합하여 된 혼합물 준비단계(s10)와, 준비된 혼합물에 물을 혼합하여 반죽 상태로 하여 된 발열소지 준비단계(s20)와, 상기 발열소지를 공지의 다양한 도자기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판형상의 발열판체를 형성하는 발열판체 형성단계(s30)와, 성형된 발열판체의 표면에 점착소지를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층 형성단계(s40)와, 상기 점착층의 표면으로 유약을 시유하여 표면층을 형성하는 표면층 형성단계로 구성된다.
혼합물 준비단계(s10)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입도 20~250메쉬의 크기를 갖는 도자기 제조용 소지 30~70 중량부를 준비하고, 이 도자기 제조용 소지와 상기 발열성분을 포함하는 입도 20~250메쉬의 크기를 갖는 70~30 중량부로 이루어진 발열요소를 혼합하여 된 혼합물을 준비한다.
본 발명에서의 도자기 제조용 소지는, 도자기를 제조하기 위한 점토를 비롯한 공지의 소지가 사용되며, 세라믹 파우더를 비롯하여 천연산의 미세한 알루미나 규산염을 주성분으로 한 광물의 집합체인 점토(화학식 Al2O3. SiO2.2H2O)외에도 내열토나 백자토, 청자토, 석기토, 산청토, 옹기토, 자기토, 백토가 사용되거나 또는 고령토(kaolin), 규석(silica), 장석(felspar), 엽장석(fetalite), 뮬라이트(mullite) 성분을 함유한 소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열성분을 함유한 소지가 사용되는 것이다. 일례로 산백토(산청토와 백토를 적절한 비율로 배합한 흙으로 1230~1270 흰색소지에 검은 반점이 피며, 열에 강하고 점력이 양호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 산청토(1200~1260, 경상도 산청 지역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입자가 크고 붉은 색을 많이 띠며, 열에 강하여 식기 및 큰 형태의 기물제작에 널리 사용하며, 열에 따른 분위기가 양호하고 다른 흙과 배합하여 사용), 내열토(내열성분과 점토를 혼합하여 된 것으로 열에 강하고, 주로 뚝배기 등을 만들 때 사용)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내열성분인 페트라이트와 점토를 혼합한 내열성 소지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의 도자기 제조용 소지는 바람직하게는 내열성분을 함유한 소지가 사용되는 것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자기 제조에 쓰이는 공지의 소지들인 점토, 고령토, 규석, 장석, 엽장석, 뮬라이트, 백토, 청자토, 백자토, 석기토, 산청토, 옹기토, 자기토, 내열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된 사용되는 것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서의 도자기 제조용 소지는 도자기 제작을 위한 점토를 비롯한 공지의 다양한 소지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발열성분은 후술할 발열판체를 성형하기 위한 발열요소로서, 앞서 설명한 도자기 제조용 소지에 마이크로파 조사에 의해 발열을 하는 발열요소를 적절하게 혼합하였을 때 양호한 성형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발열특성이 우수한 성분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의 발열요소는 탄화규소(silicon carbide)페라이트(ferrite)산화철(iron oxid)탄소(Carbon)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조성한 것이 사용되는 것으로, 입도 20~250매쉬의 크기를 갖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발열요소에서 제안되는 성분인 탄화규소와 페라이트와 산화철 및 탄소는 저항 피막의 전파흡수발열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탄화규소는 SiC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난융성(難融性) 공유결합 화합물로서, 높은 경도와 분해온도 그리고 전기열의 전도성을 특징으로 하고, 페라이트 아철산염이라고도 칭하는 것으로 다결정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산화철은 철과 산소의 화합물로 천연에서 적철석, 자철석으로 산출된다. 이러한 발열요소는 응집성이 없어 반죽 형태로 하여 특정의 형상으로 성형이 불가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열요소와 성형성이 양호한 도자기 제조용 소지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발열소지를 준비하고, 이 발열소지를 이용하여 양호한 발열특성과 성형성 모두를 확보한 발열판체를 형성하여 성형기물에 적용하였다.
발열소지 준비단계(s20)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1~40 중량부를 배합하여 반죽 상태의 발열소지를 준비한다. 이때의 상기 혼합물과 물의 배합비율은 후술할 발열판체의 성형 방법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발열판체 형성단계(s30)
상기 발열소지로 접시나 용기의 바닥 또는 판 형상을 갖는 발열판체를 성형한다.
즉, 상기 혼합물과 물을 배합하여 반죽 상태로 만든 발열소지는 공지의 도자기 성형방식을 사용하여 발열판체로 성형되는 것이며, 이때의 도자기 성형방식으로는 프레스 성형, 자동수동 롤러머신 성형, 압력주입 성형, 슬립캐스팅 성형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성형방식에 따라 혼합물과 물의 배합비율은 적절히 조절되는 것이며, 일례로 슬립캐스팅 성형방식의 경우 프레스 성형 방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발열소지의 점도가 묽어야 한다.
점착층 형성단계(s40)
점착층은 상기 발열판체 형성단계에서 성형된 발열판체의 표면에 유약의 시유 및 부착성을 양호하게 조성하고, 아울러 소성후 유약과 발열판체가 갖는 성분간 이질감에 의해 서로 일체화되지 못하고 박리되거나 또는 발열판체의 발열에 의해 후술할 표면층이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성형된 발열판체의 표면에 후술할 유약에 의한 표면층이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이며, 이때의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는 도자기 제조용 소지, 카오링, 점토, 장석, 도석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점착물이 사용된다.
이러한 점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1~70 중량부를 배합하여 점착소지를 준비하고, 이 점착소지를 발열판체의 표면에 0.01~3mm의 두께를 갖도록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발열판체의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붓으로 여러번 칠하거나 또는 스프레이 방식으로 액상의 점착소지를 도포하거나 또는 발열판체를 액상의 점착소지에 침지시키는 디핑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붓, 스프레이, 디핑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일회에서 수회 반복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표면층 형성단계(s50)
상기 발열판체의 표면에 점착층의 형성이 완료되면, 이 점착층의 표면으로 실리카 또는 페타라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유약을 시유한 뒤 이를 소성하여 표면층의 형성을 완료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발열판체와 점착층은 두께 100을 기준으로 5~95:95~5의 두께비를 갖는 것을 제안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용 발열도자기의 제조방법은 발열판체에 점착층과 표면층을 형성하여 된 것으로, 이러한 상태로 접시나 트레이 형태의 가열 조리기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접시나 트레이 형태가 아닌 발열판체의 테두리 부분을 도자기 제조용 소지로 벽을 형성하여 용기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의 발열판체는 도자기 제조용 소지와 발열요소의 혼합 비율에 따라 전자레인지에서 5분간 가열하였을 때 다음의 표 1과 같은 온도 변화를 갖는다.
도자기 제조용 소지 : 발열요소 온도(℃)
80 : 20 210
70 : 30 250
60 : 40 300
50 : 50 400
40 : 60 550
30 : 70 350
20 : 80 200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도자기 제조용 소지와 발열요소는 총 100을 기준으로 40:60의 비율로 배합되었을 때 최적의 발열성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도자기 소지와 발열요소가 70:30의 미만의 배합률을 갖거나 또는 도자기 소지와 발열요소가 20:80 이상의 배합률을 갖는 경우에는 발열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열소지의 성분 배합 중 도자기 제조용 소지와 발열요소가 40:60로 배합된 발열판체의 경우 상온(20~25)에서의 자연냉각 온도변화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시간 온도(℃)
5분 234
10분 138
20분 80
30분 55
40분 39
* 상온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온도변화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s10 : 혼합물 준비단계;
s20 : 발열소지 준비단계
s30 : 발열판체 형성단계
s40 : 점착층 형성단계
s50 : 표면층 형성단계

Claims (5)

  1. 마이크로파 조사에 의하여 열을 방출하는 것으로 탄화규소·탄소·페라이트·산화철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조성하여 된 발열성분 및 점토·고령토·규석·장석·엽장석·뮬라이트·백토·청자토·백자토·석기토·산청토·옹기토·자기토·내열토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혼합한 도자기 제조용 소지를 배합하여 된 발열소지로 성형한 발열판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입도 20~250메쉬의 크기를 갖는 도자기 제조용 소지 30~70 중량부와 상기 발열성분을 포함하는 입도 20~250메쉬의 크기를 갖는 70~30 중량부로 이루어진 발열요소를 혼합하여 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1~40 중량부를 배합하여 된 발열소지 준비단계; 상기 발열소지로 접시나 용기의 바닥 또는 판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는 발열판체 형성단계; 상기 발열판체의 표면에 도자기 제조용 소지, 카오링, 점토, 장석, 도석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점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1~70중량부를 배합하여 된 점착소지를 0.01~3mm의 두께를 갖도록 도포하는 점착층 형성단계; 상기 점착층의 표면으로 실리카 또는 페타라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유약을 시유하여 된 표면층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붓, 스프레이, 디핑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일회 또는 수회 반복하여 점착소지를 도포하여 형성하되. 상기 발열판체와 점착층은 두께 100을 기준으로 5~95:95~5의 두께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용 발열도자기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용 발열도자기.
KR1020140134167A 2014-10-06 2014-10-06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602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167A KR101602574B1 (ko) 2014-10-06 2014-10-06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167A KR101602574B1 (ko) 2014-10-06 2014-10-06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574B1 true KR101602574B1 (ko) 2016-03-10

Family

ID=5553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167A KR101602574B1 (ko) 2014-10-06 2014-10-06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5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457A (ko) * 2016-11-22 2018-05-30 홍유정 도자기 성형용 흙풀의 조성물
CN111056821A (zh) * 2019-12-31 2020-04-24 泉州阳光创艺陶瓷股份有限公司 一种高白度陶瓷工艺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2253A (ja) * 2011-01-22 2012-08-16 Ichiyama Seitosho:Kk 電子レンジ用発熱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74766B1 (ko) 2012-04-12 2012-08-17 (주)정진누리마루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조리용기
KR101428945B1 (ko) * 2013-04-05 2014-09-22 박인호 전자레인지용 발열도자기 제조방법
KR101447412B1 (ko) * 2014-01-24 2014-10-07 박인호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2253A (ja) * 2011-01-22 2012-08-16 Ichiyama Seitosho:Kk 電子レンジ用発熱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74766B1 (ko) 2012-04-12 2012-08-17 (주)정진누리마루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조리용기
KR101428945B1 (ko) * 2013-04-05 2014-09-22 박인호 전자레인지용 발열도자기 제조방법
KR101447412B1 (ko) * 2014-01-24 2014-10-07 박인호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457A (ko) * 2016-11-22 2018-05-30 홍유정 도자기 성형용 흙풀의 조성물
CN111056821A (zh) * 2019-12-31 2020-04-24 泉州阳光创艺陶瓷股份有限公司 一种高白度陶瓷工艺品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0984B2 (ja) 電子レンジ用発熱陶磁器の製造方法及びマイクロ波用発熱陶磁器
CN108033768A (zh) 具有耐高温、防爆釉面的白瓷壶及其制备方法
CN101786860B (zh) 微波发热体及其制造方法
KR101174766B1 (ko)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조리용기
KR101602574B1 (ko)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CN101100392A (zh) 电磁炉用的陶器或瓷器容器的制作方法
CN101828855B (zh) 可煎烤的微波炉陶瓷器
KR101428945B1 (ko) 전자레인지용 발열도자기 제조방법
KR100470316B1 (ko) 세라믹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876352B1 (ko) 전자레인지용 발열 세라믹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CN103086717A (zh) 微波炉用耐热皿
KR101447412B1 (ko) 마이크로파용 발열 도자기
JP5716910B2 (ja) 陶磁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314489A (ja) 発熱体、それを備えた加熱用構造部材および容器、ならびに発熱体の製造方法
KR100777831B1 (ko) 도자기 용기의 코팅 처리방법과 그 코팅 처리 방법으로처리된 도자기 용기
KR20160023509A (ko) 도자기용 발열 유약 조성물
JP5850821B2 (ja) マイクロ波吸収発熱体用粉末およびその粉末を用いたマイクロ波吸収発熱体なら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KR101589830B1 (ko) 마이크로파 오븐형 고온 발열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2016010435A (ja) 陶磁器製容器
CN109414136A (zh) 使用陶瓷加热元件的加热炊具及其制造方法
JP2013255626A (ja) 陶磁器製容器
JP2003325298A (ja) 電子レンジ用耐熱皿
KR101884016B1 (ko) 인덕션 사용이 가능한 내열자기 및 그 제조방법
JP5828812B2 (ja) マイクロ波吸収発熱体用粉末の製造方法およびマイクロ波吸収発熱体用粉末ならびにその粉末を用いたマイクロ波吸収発熱体
JP2012162404A (ja) マイクロ波吸収・自己発熱性耐熱陶磁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5